KR20000047295A -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295A
KR20000047295A KR1019980064089A KR19980064089A KR20000047295A KR 20000047295 A KR20000047295 A KR 20000047295A KR 1019980064089 A KR1019980064089 A KR 1019980064089A KR 19980064089 A KR19980064089 A KR 19980064089A KR 20000047295 A KR20000047295 A KR 2000004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voice signal
digital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최원용
주식회사 코스모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용, 주식회사 코스모탄 filed Critical 최원용
Priority to KR101998006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295A/ko
Publication of KR2000004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27Concept to speech synthesisers; Generation of natural phrases from machine-based concep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Abstract

영어와 같은 음절언어의 발음에서 약음을 선택적으로 강하게 보강해주며 관용적 묵음을 보완하여 음절언어의 청취해득력을 높이고 학습을 보조할 수 있는 음성신호 가공기술이 개시된다. 적어도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는 후처리에 적합한 신호레벨로 전치증폭되어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는 의해 음성신호와 비음성신호(환경신호)로 분리된다. 분리된 음성신호를 신호의 세기 및/또는 주파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한 다음, 다단계로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갈수록 증폭이득률을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차등 적용하여 증폭하므로써 약음을 강화시킨다. 나아가 분리된 음성신호로부터 묵음부분을 검출하고, 미리 입력된 음성패턴분석자료를 이용하여 검출된 묵음부분에 해당하는 음성패턴신호를 약음이 강화된 가공된 신호와 합성하므로써 묵음을 보완한다. 본 발명을 음성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하면 영어와 같은 음절언어의 발음에서 해득하기 어려운 약음이나 묵음 부분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으므로 예컨데, 영어 학습기 등에 활용하면 학습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본 발명은 음성의 청취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음성신호의 가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신호중 약음이나 묵음인 부분을 보강 또는 보완하여 보다 정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이 마이크로폰을 통해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전환될 때, 녹음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VTR), 텔레비젼 등 오디오신호의 수신 혹은 수신 내지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재생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장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어와 같은 음절언어(syllabic language)는 한국어 혹은 일본어와는 달리 억양과 액센트에 의해 보다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언어적 특징을 갖고 있다. 하나의 단어에 포함된 여러 가지 발음중 그 일부를 생략하거나 약화시켜도 그 의미 전달에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음절언어 특히 영어 발음에는 묵음이나 약음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한국어나 일본어 등과 같은 비음절언어(nonsyllabic language)의 경우 그 음성을 통한 의사전달은 각 단어가 포함하고 있는 의미가 주로 담당하므로 억양이나 액센트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비음절언어의 발음상의 특징은 각각의 단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이고 묵음이나 약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드물다. 한국어나 일본어와 같은 비음절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영어 발음 중에서 액센트가 없는 음절 부분 즉, 묵음이나 약음으로 발음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청해하기란 매우 힘들다. 결국, 한국어나 일본어 발음체계에 익숙한 사람들이 영어발음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반복적인 청취학습을 거듭해야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영어의 발음에서 약음이나 묵음을 보다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약음이나 묵음 부분을 보강해주는 청취보조장치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종래에는 영어 등 음절언어의 직접 청취를 보조하는 장치는 제안된 바 없었다. 다만, 관련 기술로서, 대용량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어 등 음절언어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기술과 영어의 학습을 돕기 위한 자동반복기능 또는 미리 문장이 입력된 녹음 또는 녹화기를 이용한 문자 음성 동시 출력장치 등이 제안된 바 있을 따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절언어의 발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약한 음절을 선택적으로 강하게 보강해주며 관용적으로 묵음이 되는 부분을 전기적으로 보완하여 음절언어의 청취해득력을 높이고 학습을 보조할 수 있는 음성신호 가공방법과 이를 위한 음성신호 가공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절언어의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필터와 단계적 반비례 증폭기 및 발음패턴 분석기 등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비음절언어의 발음특성에 맞도록 가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가공방법은, 적어도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로부터 음성신호와 비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제1단계; 및 분리된 상기 음성신호중 약하게 발음되는 부분의 음성신호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분리된 상기 음성신호를 차등 증폭하는 제2 단계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의 세기에 반비례하는 증폭이득률을 적용하므로써 약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에는 높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고 강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는 낮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신호의 세기 및/또는 주파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갈수록 증폭이득률을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차등 적용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단계에 앞서 상기 오디오신호를 후처리에 적합한 신호레벨로 전치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비음성신호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한다.
디지털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성신호 가공방법은 상기 제2 단계 전에 상기 오디오신호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후에 증폭처리된 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또한, 묵음부분의 발음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음성신호 가공방법은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로부터 묵음부분을 검출하고, 미리 입력된 음성패턴분석자료를 이용하여 검출된 묵음부분에 해당하는 음성패턴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패턴신호를 상기 제2 단계에서 증폭된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가공장치는, 적어도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를 후처리에 적합한 신호레벨로 전치증폭하여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정규화부; 상기 정규화부에서 출력되는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로부터 음성신호와 비음성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신호분리부; 및 분리된 음성신호중 약하게 발음되는 부분의 음성신호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분리된 상기 음성신호를 차등 증폭하는 음성신호가공부를 구비한다. 상기 음성신호 가공장치는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상기 분리된 비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가공부에서 출력되는 가공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신호합성부를 더 구비한다.
특히, 상기 음성신호가공부는 i) 약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에는 높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고 강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는 낮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의 세기에 반비례하는 증폭이득률을 적용하는 반비례증폭기임로 구현하거나, 또는 ii)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신호의 세기 및/또는 주파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는 단계적 신호분리기; 및 상기 단계적 신호분리기에 의해 다단계로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갈수록 증폭이득률을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차등 적용하여 증폭하는 단계적 신호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음성신호 가공장치는,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로부터 묵음부분을 검출하고, 미리 입력된 음성패턴분석자료를 이용하여 검출된 묵음부분에 해당하는 음성패턴신호를 결정하는 음성패턴분석기; 및 상기 음성패턴신호를 상기 단계적 신호증폭기의 출력신호와 합성하고 합성된 신호를 상기 신호합성부로 출력하는 패턴합성기를 더 구비한다.
음성신호를 디지털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성신호 가공장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및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는 상기 신호분리부의 전단이나 후단에 그리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신호합성부의 전단이나 후단에 개재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가공장치의 개념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성신호 가공부의 다양한 신호처리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음성신호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신호가공부 110 : 정규화기
120 : A/D 변환기 200 : 신호분리부
300 : 음성신호가공부 310 : 반비례증폭기
320 : 단계적 신호분리기 330 : 단계적 신호증폭기
340 : 음성패턴분석기 350 : 패턴합성기
400 : 신호합성부 410 : D/A 변환기
이하, 본 발명의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가공장치는, 도 1에 그 개념적 구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가공부(100), 신호분리부(200), 음성신호 가공부(300) 및 신호합성부(400)를 포함한다.
신호가공부(100)의 입력신호는 오디오신호로서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입력신호에는 음성신호 이외에도 주변환경의 소음이나 잡음 등과 같은 비음성신호 내지 환경신호가 더 포함되어 있다. 신호가공부(100)는 상기 입력신호를 후속의 신호처리에 적합한 신호레벨로 정규화하기 위한 전치증폭을 한다.
신호분리부(200)는 신호가공부(100)에 의해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신호와 환경신호(비음성신호)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해준다. 신호의 분리는 필터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음성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환경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과는 다른 대역특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면 음성신호와 환경신호를 별개의 신호로 분리해 낼 수 있다.
음성신호가공부(300)는 신호분리부(200)에 의해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의 강약을 검사하여 약하게 발음되는 부분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해 약음과 강음에 관한 신호를 차등적으로 증폭한다. 차등적 신호증폭에 관한 자세한 방식은 후술한다.
신호합성부(400)는 신호분리부(200)에서 분리 출력된 환경신호와 음성신호가공부(300)에서 출력되는 가공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합성된 신호는 스피커(비도시)와 같은 음성변환장치에 곧바로 출력되거나 오디오신호의 기록장치(비도시) 등에 임시로 저장된다. 기록매체에 임시로 기록된 가공된 음성신호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 바로 통상의 음성재생장치를 통해 음성재생을 위한 신호처리를 거치면 된다. 신호합성부(400)는 필요에 따라서는 반드시 채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음성신호 가공부(300)에 의해 가공된 음성신호만을 음성재생을 위한 출력신호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경우에는 환경신호와의 합성과정은 굳이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 점은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음성신호 가공부(300)의 다양한 신호처리기법은 도 2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도 2의 (A)는 음성신호 가공부(300)를 반비례증폭기(310)로 구현한 경우의 입출력신호의 파형을 예시한 것이다. 반비례증폭기(310)는 입력신호를 증폭함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신호강도의 세기에 반비례하는 증폭률을 적용하여 입력신호를 증폭한다. 즉, 반비례증폭기(310)는 신호분리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약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 부분(t2시간의 L2레벨)에 대해서는 높은 증폭이득률을 적용하고 강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 부분(t1시간의 L1레벨)에 대해서는 낮은 증폭이득률을 적용하여 증폭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반비례적인 차등증폭의 결과 얻어지는 출력신호를 살펴보면, 강음의 출력레벨(L'1)과 약음의 출력레벨(L'2) 간의 레벨차이가 입력신호의 그것에 비하여 현격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약음으로 발음되는 신호부분만이 선택적으로 증폭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음성신호 가공부(3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 신호분리기(320)와 단계적 신호증폭기(330)로 구성된다. 단계적 신호분리기(320)는 신호의 세기 및/또는 주파수에 따라 음성신호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기 위한 각 단계별 기준값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동시에, 신호분리부(200)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도 2의 (B)의 두 번째 파형도는 음성신호의 세기를 4 단계로 구분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단계적 신호증폭기(330)는 단계적 신호분리기(320)에 의해 각 단계별로 구분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데, 이때 증폭율을 차등적으로 적용한다. 즉, 신호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는 증폭율을 높게 적용하고 신호의 세기가 강한 경우에는 증폭율을 낮게 적용한다. 각 단계별로 적용하는 증폭율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데, 신호의 세기가 가장 낮은 제1 단계(0~L1)의 신호는 증폭율을 2.0으로, 제2 단계(L1~L2)의 신호는 증폭율을 1.5로, 제3 단계(L2~L3)의 음성신호는 증폭율을 1.2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호의 세기가 가장 높은 제4 단계(L3~L4)의 음성신호는 증폭율을 1.0으로 각각 적용한다. 도 2의 (B)의 마지막에 예시된 파형도는 위와 같은 차등 증폭율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증폭된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 및 각 단계별 차증적 증폭율은 사용자의 청해능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적합한 함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묵음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음성패턴분석기(340)와 패턴합성기(350)를 더 구비하여야 한다. 음성패턴분석기(340)는 영어 발음의 특성상 묵음으로 처리되는 각종의 발음패턴에 관한 자료를 패턴데이터로 미리 확보하고 있다. 음성패턴분석기(340)는 신호분리기(200)에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는 패턴데이타와 비교하여 묵음으로 발음 처리되는 부분을 검출하고 그 묵음부분에 대한 유효한 패턴음성신호를 인공적으로 생성한다. 묵음에 대응하는 유효한 패턴음성신호는 패턴합성기(350)에 제공되어 반비례증폭기(310) 또는 단계적 신호분리기(320) 및 단계적 신호증폭기(330)에 의해 약음 부분이 강화 처리된 가공 음성신호와 합성된다. 이때 패턴발음신호의 세기는 패턴합성기(350)가 신호합성시 외부에서 제공되는 패턴합성의 세기를 조절하는 신호에 의해 조정된다.
도 3은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근거한 음성신호 가공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의 (A)는 신호가공부(300)를 단계적 신호분리기(320)와 단계적 신호증폭기(330)로 구현하고 신호처리방식이 아날로그신호 처리방식인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신호를 후속 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정규화하기 위한 증폭작용을 하는 정규화부(110)와,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신호와 환경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분리부(200)와, 음성신호를 단계적으로 분리하여 상설한 바와 같이 차등 증폭하기 위한 단계적 신호분리부(320) 및 단계적 신호증폭기(330)와, 단계적 신호증폭기(330)의 출력신호와 신호분리부(200)에서 분리된 환경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신호합성부(400)로 구성된다.
도 3의 (B)와 (C)는 신호가공부(300)를 단계적 신호분리기(320)와 단계적 신호증폭기(330)로 구현하고 신호처리방식이 디지탈신호 처리방식인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다. 디지털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해주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0)와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해주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10)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0)는 정규화기(110)와 신호분리기(120) 사이에 개재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10)는 신호합성부(400)의 후단에 위치시키는 제1 방식(도 3의 (B)) 혹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0)를 신호분리부(200)와 단계적 신호분리기(320) 사이에 개재시키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10)는 단계적 신호증폭기(330)와 신호합성부(400) 사이에 개재시키는 제2 방식(도 3의 (C))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제1 방식에 의하면 환경신호까지도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따라서 신호합성부(400)는 가공된 음성신호와 환경신호를 디지털방식으로 합성해야 한다. 그러나 제2 방식에 따르는 경우에는 음성신호만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방식으로 처리될 뿐이다. 따라서 신호합성부(400)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10)를 통해 출력되는 가공된 음성신호와 환경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한다. 아울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0)로부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10)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신호처리는 디지털 방식에 따른다.
도 3의 (D)는 도 3의 (B)의 구성을 갖는 음성신호 가공장치에 묵음 처리기능을 더 보강한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묵음을 보완하기 위한 음성패턴분석기(340)와 패턴합성기(350)가 신호분리부(200)와 신호합성부(400) 사이에 더 부가된다.
이상에서는 약음 내지 묵음으로 발음되는 음성신호를 강화 내지 보완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음성신호의 가공방법은 별도의 추가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음성신호 가공장치를 음성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하면 영어와 같은 음절언어의 발음에서 해득하기 어려운 약음이나 묵음 부분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영어 학습기 등에 활용하면 학습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적어도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로부터 음성신호와 비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제1단계; 및
    분리된 상기 음성신호중 약하게 발음되는 부분의 음성신호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분리된 상기 음성신호를 차등 증폭하는 제2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음성신호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제3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앞서 상기 오디오신호를 후처리에 적합한 신호레벨로 전치증폭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전에 상기 오디오신호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후에 증폭처리된 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의 세기에 반비례하는 증폭이득률을 적용하므로써 약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에는 높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고 강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는 낮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신호의 세기 및/또는 주파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갈수록 증폭이득률을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차등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로부터 묵음부분을 검출하고, 미리 입력된 음성패턴분석자료를 이용하여 검출된 묵음부분에 해당하는 음성패턴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패턴신호를 상기 제2 단계에서 증폭된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방법.
  8. 적어도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를 후처리에 적합한 신호레벨로 전치증폭하여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정규화부;
    상기 정규화부에서 출력되는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로부터 음성신호와 비음성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신호분리부; 및
    분리된 음성신호중 약하게 발음되는 부분의 음성신호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분리된 상기 음성신호를 차등 증폭하는 음성신호가공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상기 분리된 비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가공부에서 출력되는 가공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신호합성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가공부는 약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에는 높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고 강하게 발음되는 음성신호는 낮은 증폭이득률이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의 세기에 반비례하는 증폭이득률을 적용하는 반비례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가공부는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신호의 세기 및/또는 주파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는 단계적 신호분리기; 및 상기 단계적 신호분리기에 의해 다단계로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갈수록 증폭이득률을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차등 적용하여 증폭하는 단계적 신호증폭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로부터 묵음부분을 검출하고, 미리 입력된 음성패턴분석자료를 이용하여 검출된 묵음부분에 해당하는 음성패턴신호를 결정하는 음성패턴분석기; 및 상기 음성패턴신호를 상기 단계적 신호증폭기의 출력신호와 합성하고 합성된 신호를 상기 신호합성부로 출력하는 패턴합성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기에서 출력되는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신호분리부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및 상기 신호합성부에서 출력되는 합성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기에서 출력되는 정규화된 오디오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신호분리부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및 상기 신호합성부에서 출력되는 합성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신호가공부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및 상기 음성신호가공부에서 출력되는 차동 증폭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신호합성부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가공장치.
KR1019980064089A 1998-12-31 1998-12-31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2000004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089A KR20000047295A (ko) 1998-12-31 1998-12-31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089A KR20000047295A (ko) 1998-12-31 1998-12-31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295A true KR20000047295A (ko) 2000-07-25

Family

ID=1957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4089A KR20000047295A (ko) 1998-12-31 1998-12-31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2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111A (ko) * 1999-09-29 2001-04-06 최원용 외국어 청취 보조 장치
KR100447371B1 (ko) * 2001-12-29 2004-09-04 주식회사 멀티채널랩스 녹음 비교 기능을 갖는 어학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어학학습 방법
KR20130133541A (ko) * 2012-05-29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02620A (ko) * 2020-02-12 2021-08-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기반의 언어장애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111A (ko) * 1999-09-29 2001-04-06 최원용 외국어 청취 보조 장치
KR100447371B1 (ko) * 2001-12-29 2004-09-04 주식회사 멀티채널랩스 녹음 비교 기능을 갖는 어학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어학학습 방법
KR20130133541A (ko) * 2012-05-29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02620A (ko) * 2020-02-12 2021-08-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기반의 언어장애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70A (zh) 有线广播清晰度系统
US20120140964A1 (en) Method and hearing aid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sounds heard by a hearing-impaired listener
ATE368922T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audiosignalverarbeitung
US11367457B2 (en) Method for detecting ambient noise to change the playing voice frequency and sound playing device thereof
KR20000047295A (ko) 음성신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JP2001184100A (ja) 話速変換装置
JPH05307395A (ja) 音声合成装置
JPS63149699A (ja) 音声入出力装置
JP3578598B2 (ja) 音声合成装置
JP2006208820A (ja) 音声処理装置
KR100372576B1 (ko) 오디오신호 가공방법
JPH0764594A (ja) 音声認識装置
JP2975808B2 (ja) 音声認識装置
JP3336098B2 (ja) 音声効果装置
KR20010029111A (ko) 외국어 청취 보조 장치
JPS6159397A (ja) 音声入力再生装置
JPS613241A (ja) 音声確認方式
JPH048480Y2 (ko)
JP2000242287A (ja) 発声補助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632384B2 (ja) 聴覚補助装置
JP2005037423A (ja) 音声出力装置
JP3292098B2 (ja) 聴覚補助装置
JPH0675596A (ja) スピーチおよび音響学的現象分析装置
JPH04107298U (ja) カラオケ装置
JP2609874B2 (ja) 音声認識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