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567A -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567A
KR20000046567A KR1019980063254A KR19980063254A KR20000046567A KR 20000046567 A KR20000046567 A KR 20000046567A KR 1019980063254 A KR1019980063254 A KR 1019980063254A KR 19980063254 A KR19980063254 A KR 19980063254A KR 20000046567 A KR20000046567 A KR 20000046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ff
serving
mobile subscriber
serving sid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324B1 (ko
Inventor
홍창용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32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가입자가 착신 링중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착신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링백톤(Ringback Tone)을 유지시키는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은, 핸드오프 발생에 따라 타겟측에 통화로가 완전히 연결되어 서빙측으로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가 전송되면, 서빙측 핸드오프 처리부는 착신가입자가 링중인지를 확인하고, 링중이면, 최종 통화로 연결을 보류하고 링백톤 스위치 연결상태를 보존하면서 핸드오프 채널과 인트라 정터를 저장하고 착신응답대기상태로 설정된다. 착신가입자가 응답하면, 서빙측 이동호 처리부에 의해 링백톤이 절단되고, 서빙측의 최종 핸드오프 통화로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조기의 링백톤 절단으로 인하여 발신 가입자측이 통화를 재시도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교환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오프된 이동가입자가 착신 링중일 때,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교환시스템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의 이동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다. 이는 이동통신의 특성상 단말의 이동이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동통신 서비스에는 핸드오프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핸드오프기능은 이동가입자가 호를 개시한 셀로부터 인접한 셀로 이동했을 때, 현재 이동 가입자가 위치하고 있는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채널을 새로 할당받아 정상적인 이동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소프터 핸드오프, 소프트 핸드오프, 하드 핸드오프로 분류된다.
소프터 핸드오프는 섹터화된(Sectorized) 기지국의 한 셀내의 한 섹터에서 다른 섹터로 이동중인 가입자의 섹터내의 통화권을 변경시키는 기능이고, 소프트 핸드오프는 기지국 망내의 셀간을 이동하는 가입자에 대한 통화를 유지시키는 기능으로 기존의 통화로를 끊기 전에 이미 두 기지국간에 설정되어 있는 물리적인 링크를 통하여 새로운 통화로를 설정하여 핸드오프 구간중에 두 개 이상의 채널을 운용하고 있다가 절체처리를 하므로 서비스를 받는 이용자가 통화권 변경시점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부드러운 통화 절체가 이루어진다.
하드 핸드오프는 통화도중 이동에 따른 불가피한 상황에 있어서 이미 사용중인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 채널을 새로운 기지국에서 할당할 수 없을 때 이루어지는 기능으로서, 주파수가 바뀌면서 새로운 주파수 채널을 획득하기 위한 이동국의 설정과정이 짧은 순간이지만 다시 시작되므로 통화절체 순간에 통화음이 부드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가입자는 짧은 단속음을 듣게 된다. 교환기에서 지원하는 핸드오프는 상술한 하드 핸드오프가 된다.
이러한 하드 핸드오프가 착신 이동가입자가 링중에 발생되면, 하드웨어적인 스위치 구조상 서빙측 인트라 정터내에 구비되어 있는 링백톤(Ringback Tone) 제공부와 착신 이동가입자에게 할당되었던 음성채널(Speech CH)간의 연결을 착신가입자의 응답이 이루어지기 전에 절단시키고 핸드오프 채널과 인트라 정터(Intra Junctor)를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어, 발신가입자는 착신가입자의 응답에 의해 링백톤이 절단된 것으로 착각하고 음성메시지를 송신하나 실질적으로 착신가입자의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최종적인 핸드오프 통화로(인트라 정터와 기존에 서빙측에 할당되었던 음성채널간의 통화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수신되는 음성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아 통화로에 이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발신가입자는 통화를 재시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측 이동가입자가 링중에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착신측 이동가입자가 정상적인 응답을 할 때까지 발신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링백톤(Ringback Tone)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드 핸드오프처리를 하는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은, 가입자 갑이 이동가입자 을에게 통화를 시도하여 이동가입자 을에 링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가입자 을의 이동으로 핸드오프가 발생될 때,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에 있어서, 핸드오프 발생으로 타겟측 통화로 설정이 완료되어 타겟측 핸드오프처리부로부터 서빙측 핸드오프 처리부로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가 전송되면, 서빙측 핸드오프 처리부는 이동가입자 을에 대한 링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체크단계; 체크단계 수행결과, 이동가입자 을에 대해 링상태이면,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서빙측의 최종 통화로 연결을 보류하고, 발신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링백톤에 대한 서빙측의 스위치 연결상태를 보존하는 단계; 서빙측의 이동가입자 을이 초기에 점유하고 있던 중계선 및 무선자원을 해제하는 단계; 서빙측 스위치 메모리에 서빙측에 설정된 핸드오프 채널과 인트라 정터를 저장하는 단계;이동가입자 을에 대한 착신 응답 대기상태로 운영되는 단계; 이동가입자 을로부터 착신 응답이 이루어지면, 타겟측 해드오프 처리부는 서빙측에 구비되어 있는 핸드오프 처리부로 이동가입자 을의 착신응답을 통보하는 단계; 착신응답이 통보되면, 서빙측 핸드오프 처리부는 서빙측 이동호 처리부로 링백톤 절단을 요구하는 단계;서빙측 이동호 처리부는 서빙측에 설정된 링백톤 제공을 위한 스위치 연결을 절단하고, 서빙측의 최종 핸드오프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교환기 및 제 2 교환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제 1 교환기와 제 2 교환기에 설정되는 스위칭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제 1 및 제 2 기지국(BS) 120:제 1 교환기
111, 112:제 1 및 제 3 지지국 제어기(BSC)140:제 2 교환기
201:제 1 기지국 제어기 정합부 202, 212:이동호 처리부
203, 213: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204:고정호 처리부
205:제 1 핸드오프 처리부 206:제 1 스위치 처리부
207:제 1 메모리 208:제 1 중계호 처리부
211:제 2 기지국 제어기 정합부 214:제 2 스위치 처리부
215:제 2 메모리 216:제 2 핸드오프 처리부
217:제 2 중계호 처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럭도로서, 동일한 교환기내에서 초기 호가 시도된 상태에서 다른 교환기로 이동가입자 을이 순방향 핸드오프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즉, 도 1은 제 1 교환기(120) 관할 지역에서 고정 가입자 갑과 제 1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111)의 관할지역내에 존재하는 제 1 기지국(101) 지역에 위치한 이동가입자 을이 초기 호를 시도한 상황에서 이동가입자 을이 다른 제 2 교환기(140) 관할 지역에 존재하는 제 2 기지국(102)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순방향 핸드오프가 발생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가입자 갑과 이동가입자 을이 초기 호 설정시 이동가입자 을과 접속되어 있는 제 1 기지국(101), 제 1 기지국(101)을 관할하는 제 1 기지국 제어기(111), 이동호 처리시 이용하는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130), 제 1 기지국 제어기(111)를 관할하고 고정 가입자 갑과의 정합도 가능하고 이동호 처리시 홈위치 등록기(130)를 참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교환기(120), 순방향 핸드오프시 이동가입자 을과 접속되는 제 2 기지국(102), 제 2 기지국(102)을 관할하는 제 2 기지국 제어기(112), 제 2 기지국 제어기(112)를 관할하는 제 2 교환기(140)로 구성된다. 제 2 교환기(140)는 제 1 교환기(1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교환기일 수도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만 제공하는 교환기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교환기(120) 및 제 2 교환기(140)의 기능 블록도로서, 제 1 교환기(120)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기지국 제어기(111)와의 정합처리를 하는 제 1 기지국 제어기 정합부(201), 이동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를 하는 이동호 (202), 이동호 처리부(202)가 소정의 이동호에 대한 처리시 참고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203), 고정 가입자 갑과의 정합처리를 하는 고정호 처리부(204), 대국과의 중계호 처리를 하는 제 1 중계호 처리부(208), 제 1 기지국 제어기 정합부(201) 및 제 1 중계호 처리부(208)와 연동하여 제 1 교환기(120)에 대한 전반적인 핸드오프 처리를 수행하는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 스페이스 스위치(Space Switch)를 구비하고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에 의해 제어되어 이동호 처리부(203)와 고정호 처리부(204) 및 제 1 중계호 처리부(208)에 구비되어 있는 타임스위치(Time SW)와 함께 제 1 교환기(120)내의 스위칭 처리를 하는 제 1 스위치 처리부(206) 및 제 1 스위치 처리부(206)의 동작 수행시 저장이 요구되는 스위칭 데이타를 저장하는 스위치 메모리인 제 1 메모리(207)로 구성된다.
제 2 교환기(140)는 도 1에 도시된 제 2 기지국 제어기(112)와 정합처리를 하는 제 2 기지국 제어기 정합부(211), 이동호 처리부(212), VLR(213), 상술한 제 1 스위치 처리부(206)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스위치 처리부(214), 상술한 제 1 메모리(207)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메모리(215), 제 2 교환기(140)내의 전반적인 핸드오프 처리를 수행하는 제 2 핸드오프 처리부(216), 제 2 중계호 처리부(21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고정가입자 갑과 이동가입자 을이 제 1 교환기(120)상에서 초기 호를 시도하여 링이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교환기(120)상에 설정되는 통화로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 구조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 처리에 의해 통화로가 설정된 제 1 교환기(120)와 제 2 교환기(140)상의 스위치 구조도이다.
즉, 고정 가입자 갑 단말기와 접속된 고정호 처리부(204)내에 구비되는 가입자 정합 서브시스템(ASS-S)상의 임의의 타임슬롯과 링크 채널을 각각 할당하고, 제 1 스위치 처리부(206)에 구비되어 있는 스페이스 스위치(S_SW)의 한 채널을 할당하고, 이동호 처리부(202)내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가입자 정합 서브시스템(ASS_W)상의 하나의 링크 채널이 할당되고, 할당된 링크 채널과 인트라 정터(Intra Junctor)내에 구비되어 있는 링백톤 제공부(미도시됨)를 연결시켜 발신가입자인 가입자 갑 단말기로 링백톤이 제공된다. 이 때, 이동가입자 을이 아직 착신응답을 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타임 슬롯은 할당되지 않은 상태이고, 이동호 처리부(202)는 이동가입자 을에게 링신호를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가입자 을에게 링이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가입자 을이 제 2 기지국(102)이 관할하는 지역으로 순방향 핸드오프가 발생된 경우에, 제 1 교환기(120)와 제 2 교환기(140)는 각각 구비하고 있는 핸드오프 처리부(205, 216)에 의해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되어 타겟측에 해당되는 제 2 교환기(140)상에서는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통화로를 모두 형성하고 서빙측에 해당되는 제 1 교환기(120)상에도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일부 통화로를 형성한다. 통화로 형성순서는 도 4에 숫자로 표시된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즉, 서빙측 교환기인 제 1 교환기(120)내의 제 1 중계호 처리부(208)에 구비되어 있는 트렁크 정합 서브시스템(ASS_T)상의 하나의 타임슬롯을 할당(①)하고, 타겟측 교환기인 제 2 교환기(140)내의 제 2 중계호 처리부(217)에 구비되어 있는 트렁크 정합 서브시스템(ASS_T)상의 하나의 타임슬롯을 할당(②)하고, 타겟측 이동호 처리부(212)내의 가입자 정합 서브시스템(ASS_W)상의 하나의 타임슬롯을 할당(③)하고, 타겟측 제 2 스위치 처리부(214)내의 스페이스 스위치(S_SW)상의 하나의 채널을 할당(④)하고, 타겟측 제 2 중계호 처리부(217)내의 트렁크 정합 서브시스템(ASS_T)상의 하나의 링크 채널을 할당(⑤)하고, 타겟측 이동호 처리부(212)내의 가입자 정합서브시스템(ASS_T)상의 하나의 링크채널을 할당(⑥)하고, 타겟측 트렁크 정합 서브시스템에 할당된 링크채널과 스페이스 스위치 채널을 연결(⑦)하고, 타겟측 가입자 정합 서브시스템상의 링크 채널과 스페이스 스위치 채널을 연결(⑧)한다.
그리고, 서빙측 교환기인 제 1 교환기(120)로 핸드오프 요구를 하여,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의 주도하에 제 1 스위치 처리부(206)에 구비되어 있는 스페이스 스위치(S_SW)상의 하나의 채널을 할당(⑨)하고, 서빙측 이동호 처리부(202)내에 구비되어 있는 가입자 정합서브시스템(ASS_W)상의 링크채널중 한 채널을 핸드오프 채널로 할당(⑩)하고, 서빙측 제 1 중계호 처리부(208)내의 트렁크 정합 서브시스템(ASS_T)상의 하나의 링크 채널을 할당(⑪)하고, 트렁크 정합 서브시스템(ASS_T)상에 설정된 링크 채널과 스페이스 스위치(S_SW)상에 설정된 한 채널을 연결(⑫)한다.
이와 같이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서빙측 교환기내의 최종 통화로를 연결하기 전단계까지 통화로가 설정된 상태에서, 타겟측 교환기인 제 2 교환기(140)내의 제 2 핸드오프 처리부(216)로 제 2 기지국 제어기(102)로부터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가 송출되면, 제 2 핸드오프 처리부(216)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 처리방법이 수행되도록 제 301 단계로 진행되어 타겟측 핸드오프 완료상태로 설정한다.
그 다음 제 302 단계로 진행되어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를 제 2 중계호 처리부(217)를 통해 서빙측인 제 1 교환기(120)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 1 교환기(120)는 제 1 중계호 처리부(208)를 통해 수신된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를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로 전송한다.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는 제 303 단계로 진행되어 이동가입자 을의 현재 상태가 링이 제공되고 있는 상태인 지를 체크한다. 체크방식은 초기 호셋업시 이동호 처리부(202)에서 저장한 링백톤 상태를 체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체크결과, 이동가입자 을이 링상태이면,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는 제 304 단계로 진행되어 서빙측에 순서적으로 설정되어야 할 최종 통화로 설정을 보류(또는 대기)하고, 도 4에 도시된 서빙측 ASS_W상에 설정되어 있는 링백톤 제공을 위한 스위치 연결상태를 보존한다. 즉, 초기에 설정된 음성채널과 인트라 정터내의 링백톤 제공부를 연결시킨 스위치 연결상태를 그대로 보존한다.
그리고 제 305 단계로 진행되어 제 1 교환기(120)와 제 1 기지국 제어기(111) 및 제 1 기지국(101)간에 설정되어 있는 서빙측 중계선 및 무선자원을 해제하고, 제 제 306 단계로 진행된다. 제 306 단계에서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는 스위치 메모리인 제 1 메모리(207)에 핸드오프 채널과 인트라 정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핸드오프 채널은 도 4에서 ⑩으로 표기한 채널이고, 인트라 정터는 도 4에서 ⑩'로 표기한 것이다. ⑩'는 링백톤 제공시 이용한 인트라 정터와 상이한 새로운 인트라 정터가 되고, 핸드오프 채널은 잘알려진 바와 같이 링크 채널중 아이들한 하나의 링크 채널이다. 이와 같이 제 1 메모리(207)에 핸드오프 채널과 인트라 정터를 저장하는 것은 후에 이동호 처리부(202)에 의해 최종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다음, 제 307 단계로 진행되어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는 착신 가입자인 가입자 을에 대한 응답 대기상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응답 대기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동가입자 을이 응답하여 자신의 단말기(미도시됨)에 부착된 송신키(Send key)를 제어하면, 제 2 기지국(102)과 제 2 기지국 제어기(112), 제 2 기지국 제어기 정합부(211)를 통해 제 2 핸드오프 처리부(216)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된다. 이에 따라 제 2 핸드오프 처리부(216)는 제 308 단계를 통해 제 309 단계로 진행되어 가입자 을의 응답 메시지를 제 2 중계호 처리부(217)를 통해 제 1 교환기(120)로 송출한다. 이 때, 전송되는 메시지는 PAP(Pcs Application Protocol)에서 정의한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교환기(120)는 제 1 중계호 처리부(208)를 통해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로 착신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는 제 309 단계로 진행되어 이동호 처리부(202)로 링백톤 절단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이동호 처리부(202)는 음성채널과 인트라 정터내의 링백톤 제공부(미도시됨)간의 연결상태를 끊는다.
그리고 제 311 단계로 진행되어 제 1 메모리(207)에 상술한 링백톤 절단정보가 저장되도록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저장된 핸드오프 채널과 새로운 인트라 정터를 읽고, 제 1 메모리(207)에 저장되었던 핸드오프 채널과 새로운 인트라 정터가 클리어(Clear)되도록 업데이트(Update)한다. 그 다음 제 312 단계로 진행되어 제 1 메모리(207)로부터 읽은 핸드오프 채널과 새로운 인트라 정터를 이용하여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최종 핸드오프 통화로를 연결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 정터상의 새로운 인트라 정터⑩'와 핸드오프 채널⑩을 연결시키고(⑬), 새로운 인트라 정터와 초기 호시도시 설정되었던 음성채널을 연결시킨다(⑭).
이와 같이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최종 통화로가 연결되면,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통화로 설정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 303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착신 가입자인 이동가입자 을이 링이 울리는 상태가 아니면, 서빙측의 가입자 정합 서브시스템(ASS_W)상에 타임슬롯이 설정되어 통화가 진행중인 상태이므로 제 313 단계로 진행되어 제 1 핸드오프 처리부(205)는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타임슬롯과 음성채널을 절단하고, 음성채널과 핸드오프 채널(⑩)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최종 통화로를 설정한 후, 설정된 통화로에 대한 제 1 메모리(207)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통화로 설정작업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동일한 교환기내에서 초기 호가 시도된 상태에서 다른 교환기로 이동가입자 을이 이동된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서로 다른 교환기간에 초기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또 다른 교환기로 이동가입자 을이 이동한 경우와 동일한 교환기내에서 초기 호가 시도된 상태에서 동일한 교환기 관할지역내의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가입자 을이 이동한 경우에도 타겟측의 핸드오프 완료상태가 설정된 이후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 호가 시도된 후, 이동가입자가 링이 울리는 상태에서 핸드오프가 발생된 경우에, 반드시 이동가입자의 착신응답이 이루어진 후 링백톤이 절단되도록 하는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착신응답이 이루어지기 전의 링백톤 절단으로 인해 발신가입자의 통화 재시도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핸드오프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입자 갑이 이동가입자 을에게 통화를 시도하여 상기 이동가입자 을에 링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가입자 을의 이동으로 핸드오프가 발생될 때,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발생으로 타겟측 통화로 설정이 완료되어 상기 타겟측 핸드오프처리부로부터 서빙측 핸드오프 처리부로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서빙측 핸드오프 처리부는 상기 이동가입자 을에 대한 링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체크단계;
    상기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이동가입자 을에 대해 링상태이면, 상기 핸드오프 발생에 따른 상기 서빙측의 최종 통화로 연결을 보류하고, 상기 발신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링백톤에 대한 서빙측의 스위치 연결상태를 보존하는 단계;
    상기 서빙측의 상기 이동가입자 을이 초기에 점유하고 있던 중계선 및 무선자원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서빙측 스위치 메모리에 상기 서빙측에 설정된 핸드오프 채널과 인트라 정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가입자 을에 대한 착신 응답 대기상태로 운영되는 단계;
    상기 이동가입자 을로부터 착신 응답이 이루어지면, 상기 타겟측 해드오프 처리부는 상기 서빙측에 구비되어 있는 핸드오프 처리부로 상기 이동가입자 을의 착신응답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착신응답이 통보되면, 상기 서빙측 핸드오프 처리부는 상기 서빙측 이동호 처리부로 링백톤 절단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서빙측 이동호 처리부는 서빙측에 설정된 링백톤 제공을 위한 스위치 연결을 절단하고, 상기 서빙측의 최종 핸드오프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핸드오프 통화로 연결단계는 상기 링백톤 스위치 연결에 대한 절단처리에 의해 상기 인트라 정터내의 링백톤 제공부와 서빙측의 이동가입자 을에 할당되었던 음성채널간의 연결이 절단되면, 상기 스위칭 메모리에 저장된 핸드오프 채널과 인트라 정터를 연결하고, 상기 인트라 정터와 상기 음성채널간을 연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19980063254A 1998-12-31 1998-12-31 교환시스템에있어서착신링중하드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31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54A KR100310324B1 (ko) 1998-12-31 1998-12-31 교환시스템에있어서착신링중하드핸드오프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54A KR100310324B1 (ko) 1998-12-31 1998-12-31 교환시스템에있어서착신링중하드핸드오프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567A true KR20000046567A (ko) 2000-07-25
KR100310324B1 KR100310324B1 (ko) 2001-11-15

Family

ID=1956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254A KR100310324B1 (ko) 1998-12-31 1998-12-31 교환시스템에있어서착신링중하드핸드오프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3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7608A1 (en) * 2003-05-30 2004-12-09 Utstarcom Korea Limited Method of providing a hard handoff between mscs during an alerting state
KR100706915B1 (ko) * 2006-05-03 2007-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얼러팅 중 핸드오프를 수행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호처리 방법
WO2009085874A1 (en) * 2007-12-28 2009-07-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terminating mobile station during an alerting proced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7608A1 (en) * 2003-05-30 2004-12-09 Utstarcom Korea Limited Method of providing a hard handoff between mscs during an alerting state
KR100706915B1 (ko) * 2006-05-03 2007-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얼러팅 중 핸드오프를 수행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호처리 방법
WO2009085874A1 (en) * 2007-12-28 2009-07-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terminating mobile station during an alerting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0324B1 (ko) 200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1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after performing an inter-MSC soft handoff in a cellular system
KR19980076546A (ko) 이동통신망의 가입자간 데이타 통신을 위한 데이타망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10324B1 (ko) 교환시스템에있어서착신링중하드핸드오프처리방법
US20020077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until call completion
WO2009076833A1 (zh) 切换方法、交换设备及终端设备
KR100250432B1 (ko) 이동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US20020077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transceiver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KR1002853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20000039683A (ko) 개인이동통신 가입자 호에 대한 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0234833B1 (ko) 호 전환 실패 호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전환 방법
KR20010028310A (ko)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접속 요청을 알리는 방법
KR100286753B1 (ko) 개인이동통신 가입자 호에 대한 교환기간 순방향 및 역방향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
JP4259616B2 (ja) 移動交換局と基地局との間に情報付き警報信号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11298968A (ja) 事業所型プライベ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呼制御方式および呼制御装置
KR960028636A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 가입자 핸드 오버신호 인터페이스 방법
JP3016458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着信端末状態制御方法
KR1011735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JPH08140139A (ja) 再接続型チャネル切替え方式
KR2009001273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crbt 에러 처리 장치와 방법
KR100303313B1 (ko) 이동 교환국없이 이동 단말기간 호를 설정하는 방법
KR101064838B1 (ko)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9990080221A (ko) 이동 통신 교환기의 다른 액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 내에서통화중일 때 기지국 제어기간 연속 핸드오프 방법
KR100681918B1 (ko) 통화중 다자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214133B1 (ko) 목표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링백톤중에 교환기간 핸드오프 제어 방법
KR100732481B1 (ko)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