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481B1 -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481B1
KR100732481B1 KR1020060000095A KR20060000095A KR100732481B1 KR 100732481 B1 KR100732481 B1 KR 100732481B1 KR 1020060000095 A KR1020060000095 A KR 1020060000095A KR 20060000095 A KR20060000095 A KR 20060000095A KR 100732481 B1 KR100732481 B1 KR 10073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terminal
terminal
mobil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묵
김승한
우정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중에 핸드 오버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착신을 시도하는 경우에,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페이징 및 응답 완료율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 2이동 단말기와 음성 통화중에 핸드 오버되는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중 핸드 오버되는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해 제 3이동 단말기에서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이동 단말기의 통화중 핸드 오버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전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해 호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화중, 핸드 오버, 착신전환, 착신 시도

Description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RECEIVING CALL PROCESSING METHOD FOR HAND OVER MOBILE TERMINAL IN BUSY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14:이동 단말기, 16,18,20:이동통신 기지국,
22,24,26:기지국 제어기, 28,30,32:이동통신 교환기,
34:홈위치 등록기.
본 발명은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망 시스템에서 음성 통화중에 핸드 오버되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 처리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 시스템은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이동 단말기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상대방과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바, 이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옵션 기능을 구비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무선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각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하는 통신영역을 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와의 상호 정보통신에 의해 각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호접속 및 호접속에 의한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교환기가 관장하는 지역으로부터 다른 이동통신 교환기의 관장 지역으로 핸드 오버(Hand Over)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음성 통화 중에 핸드 오버를 진행하는 특정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다른 이동 단말기가 호 발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에서는 호 발신에 따라 TLDN(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을 할당하여야 하고, ISUP 전송을 진행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호자원의 점유 시간이 28초정도 소요되어 정상적인 호 발신에 의한 페이징(Paging) 및 응답 완료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게 되면서,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진행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성 통화 중에 핸드 오버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착신을 시도하는 경우에,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페이징 및 응답 완료율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이동 단말기와 음성 통화중에 핸드 오버되는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중 핸드 오버되는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해 제 3이동 단말기에서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이동 단말기의 통화중 핸드 오버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전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해 호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제 1∼제 3이동 단말기(10,12,14), 이동통신 기지국(BTS)(16,18,20), 기지국 제어기(BSC)(22,24,26), 제 1∼제 3이동통신 교환기(MSC)(28,30,32),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34)로 구성된다.
상기 각 이동 단말기(10,12,14)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와 음성 통화 중에 특정 이동통신 교환기가 관장하는 지역으로부터 다른 이동통신 교환기가 관장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핸드 오버에 의해 통화가 끊기지 않고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가 제 2이동 단말기(12)와 음성 통화를 진행하면서,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의 관장 지역으로부터 제 2이동통신 교환기(32)의 관장 지역으로 핸드 오버되는 경우에, 상기 제 3이동 단말기(14)가 제 1이동 단말기(10)에 대해 호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상기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에서 제 2이동통신 교환기(30)와의 사이에 가입자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전환 정보로 착신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이동통신 기지국(16,18,20)은 기저대역의 신호처리와,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의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서, 이는 RF무선 신호의 처리에 의해 각 이동 단말기(10,12,14)에 대한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2,24,26)는 상기 담당 기지국(16,18,20)과 각 이동통신 교환기(28,30,32)의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16,18,20)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 이동 단말기(10,12,14)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기능과, 단말기 및 기지국의 송신출력 제어기능, 셀간의 핸드오프 결정, 기지국의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제 3이동통신 교환기(28,30,32)는 이동 단말기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홈 위치 등록기(34)를 통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 오버 절차를 수행하게 되고, 각각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가 제 2이동 단말기(12)와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가 관장하는 지역으로부터 제 2이동통신 교환기(300)가 관장하는 지역으로 이동함에 의해 핸드 오버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3이동 단말기(14)가 제 1이동 단말기(10)로 호를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에서는 상기 제 2이동통신 교환기(30)와의 사이에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의 가입자 상태를 확인하여 통화중 상태를 확인함에 의해, 상기 제 3이동 단말기(14)로부터 발신된 호가 제 1이동 단말기(10)의 가입자가 설정한 착신전환번호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홈위치 등록기(34)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등록된 전체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각 이동통신 교환기(28,30,32)와 연결하여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LR)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단말기 가입자의 위치등록 및 가입자 추적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음성 통화 상태에서 핸드 오버되는 이동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착신전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1이동 단말기(10)가 제 2이동 단말기(12)와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가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가 관장하는 지역으로부터 제 2이동통신 교환기(30)가 관장하는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핸드 오버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 3이동 단말기(14)가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와의 통화를 위한 호 발신를 시도하게 되면, 상기 제 3이동 단말기(14)가 위치하는 지역을 관장하는 제 3이동통신 교환기(32)에서는 홈위치 등록기(34)에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위치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단계 S10).
이에, 상기 홈위치 등록기(34)에서는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에 라우팅을 요청(Routing Request)하게 되고(단계 S11), 상기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에서는 핸드 오버가 이루어지는 제 3이동통신 교환기(30)와의 사이에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의 가입자 상태를 확인하게 됨에 따라(단계 S12),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가 핸드 오버 상태에서 통화중임을 확인하게 된다(단계 S13).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교환기(28)는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에 대해 호 연결을 위한 TLDN 할당 및 ISUP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대신, 상기 홈위치 등록기(34)에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며(단계 S14), 제 1이동 단말기(10)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 대신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본 발명의 상기 홈위치 등록기(34)에서는 상기 제 1이동 단말기(10)의 가입자가 설정한 착신전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15).
그에 따라, 상기 홈위치 등록기(34)에서는 상기 제 3이동통신 교환기(32)에 착신전환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단계 S16), 상기 제 3이동통신 교환기(32)는 상기 전환정보에 근거하여 착신을 시도하게 된다(단계 S17).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 상에서 특정 이동 단말기가 상대방과 음성 통화 중에 핸드 오버되는 상태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이동 단말기와 통화를 위해 호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음성 통화중 핸드 오버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을 전환시킴에 의해, 그 착신 전환 정보로 착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음성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가 핸드 오버되는 상태에서 착신이 시도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TLDN 및 ISUP 전송에 따른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페이징 및 응답 완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음성 통화중에 핸드 오버되는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 1이동 단말기에 대해 제 3이동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신되면, 상기 제 3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을 관장하는 제 3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제 3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호를 상기 제 1이동 단말기로 착신되도록 하기 위하여,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제 1이동 단말기의 위치 조회를 요청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1이동 단말기의 위치 지역을 관장하는 제 1이동통신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1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제 1이동 단말기가 핸드오버중인 제 2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상기 제 1이동 단말기가 통화중 핸드 오버 상태임을 인지하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제 1이동 단말기가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통화중 정보를 전송하는 제 3단계와;
    상기 홈위치 등록기가 상기 제 1이동 단말기의 착신전환 번호를 조회하여, 상기 제3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3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한 착신전환 번호로의 호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제 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60000095A 2006-01-02 2006-01-02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KR10073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095A KR100732481B1 (ko) 2006-01-02 2006-01-02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095A KR100732481B1 (ko) 2006-01-02 2006-01-02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481B1 true KR100732481B1 (ko) 2007-06-27

Family

ID=3837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095A KR100732481B1 (ko) 2006-01-02 2006-01-02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4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717A (ko) * 1999-09-22 2001-04-06 서평원 교환 시스템에서 휴지 상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20010105691A (ko) * 2000-05-17 2001-11-29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시 패킷 호 착신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717A (ko) * 1999-09-22 2001-04-06 서평원 교환 시스템에서 휴지 상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20010105691A (ko) * 2000-05-17 2001-11-29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시 패킷 호 착신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93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프 제어방법
KR1011629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경유한 공유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공유 서버
KR100691819B1 (ko) 국제 로밍시 호 설정 방법
KR100836476B1 (ko) 발신호 타입에 따른 호처리 수행 방법
KR0182235B1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KR100732481B1 (ko) 핸드 오버 통화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KR100570898B1 (ko) 패킷 기반의 이동전화 구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KR20120037596A (ko) 이종망간의 착신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234833B1 (ko) 호 전환 실패 호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전환 방법
KR100827127B1 (ko)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80100005A (ko) 국제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023391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대기 처리 방법
KR20010019815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100260093B1 (ko) 동일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핸드오프 통지 방법
KR10055478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지정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방법
KR20040027106A (ko) 자동 연결 또는 착신 전환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제공 방법
KR101040399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 변경방법
KR100871555B1 (ko) 고속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고속 단문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
KR100260092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핸드오프 후 3자 통화 처리 방법
KR100957640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통신망 사이의 호연결 처리 방법
KR0124032B1 (ko) 개인 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사설 교환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