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563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563B1
KR101173563B1 KR1020070089333A KR20070089333A KR101173563B1 KR 101173563 B1 KR101173563 B1 KR 101173563B1 KR 1020070089333 A KR1020070089333 A KR 1020070089333A KR 20070089333 A KR20070089333 A KR 20070089333A KR 101173563 B1 KR101173563 B1 KR 10117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ignal link
station controller
exchang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358A (ko
Inventor
조은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5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발생한 장애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 복구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교환기 프로세서의 장애가 복구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교환기간 신호링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상기 교환기 프로세서의 장애 복구를 통지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가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링크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링크 중 이상이 있는 신호 링크에 대한 선택적 복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지국 제어기와 교환기간 신호링크 중 이상이 있는 신호링크에 대한 복구 처리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불능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P, 교환기 장애, No.7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METHOD FOR RESTORING IN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장애가 발생한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복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공간의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체 상호간 또는 이동체와 고정체간의 통신으로서, 불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지국,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 및 타 망과 연동하여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및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큰 특징의 하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가입자의 이동성을 위해 필요한 제 반 기능을 제공하는 교환기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교환기는 각 기지국 제어기와의 연결과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인증, 관련 부가 장비들로 구성되며, 다른 망과의 접속을 이루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교환기는 각 기지국에서의 발호, 착호를 처리하고, 모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중앙 통제 기능과 함께 공중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의 교환기와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화가 완료된 호에 대한 과금 자료수집 기능도 갖는다.
교환기는 최상위 프로세서가 각 서브 시스템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 메시지를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 경로를 통해서 전달한다.
IPC 경로는 각 서브 시스템의 TSW(Time Switch)단도 포함하는데, TSW단에서 IPC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최상위 프로세서인 OMP(Operation & Maintenance Processor)와 각 서브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인 ASP(Access Switching Subsystem Processor) 사이에 IPC 경로에도 통신 장애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교환기의 프로세서 듀얼 다운(ASP Dual Down)이 발생하게 되고, 듀얼 다운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기지국 제어기의 가입자의 호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환기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장애 복구 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 장애 복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 기지국 제어기(20), 교환기(30)로 구성된다.
기지국(10)은 기지국 제어기(2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오 무선으로 직접 연결시켜 주는 장치로서, 전국적으로 배치되어 전국이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이 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40)는 기지국(1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 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통신한다.
이러한 기지국(10)은, 기지국 제어기(20)에 의하여 제어되고 관리되며, 기지국 제어기(20)는 교환기(30)에 의하여 제어되고 관리된다.
교환기(30)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0)의 호(CALL) 접속 요청에 의하여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메시지 센터와 연동, IWF와의 연동, 기지국 제어기와의 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처리용량 또는 수용용량의 한계에 의하여 일정 크기의 지역별 또는 일정한 행정구역 단위마다 설치되며, 각 교환기(30)는 망(NETWORK) 구성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교환기(30)는 다른 교환기(50)와도 연결되어 다른 교환기(50)의 서비스 영역에서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설정해 준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교환기(30)와 제 2 교환기(50)로 구분한다.
이와 같은 제 1, 제 2 교환기(30)(50)는 기본적으로 무선 가입자망 정합, 중계선 정합, No.7 정합, 기지국 제어기 정합을 한다.
제 1, 제 2 교환기(30)(50)는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연결망 제어 서브시스템(INS: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및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CS: Central Control Subsyste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제 2 교환기(30)(50)의 ASS는 타임 스위치(TSW: Time Switch),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Access Switching Subsystem Processor), 각종 신호 장치 및 패킷 처리기(Packet Handler)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 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보전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제 1 교환기(30)나 제 2 교환기(50)의 구성물은 수십 개의 랙(Rack)에 구성되어 있으며, 1 개의 랙은 수십 개의 보드(Board)와 보드에 연결된 케이블(Cable)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랙에는 액세스 교환을 담당하는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가 구비된다.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는 트래픽 제어, M&A, 국번번역, PP 제어, 기지국 제어기(20)와의 신호 링크 상태 관리 등을 수행한다.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는 연결망 제어 서브시스템(INS) 랙에 의해 다른 교환기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교환기(30)는 중계보드인 복수의 CDTI부(CEPT Digital Trunk Interface 보드)(31)(33)와, SPHC부(SSPHA(Signaling System No.7 Protocol Handler) 보드)(32) 및 교환기 프로세서(34)가 구비된다.
여기서, CDTI부(31)(33)는 제 1, 제 2 교환기(30)(50)간 각각 구성되어 교환기간 중계보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SPHC부(32)는 INS에 의해 일반망 또는 기지국 제어기의 메시지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기 프로세서(34)는 트래픽 제어, M&A, 국번번역, PP 제어, 기지국 제어기(20)와의 신호 링크 상태 관리 등을 수행하는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이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20)에는 TCLA(Trans code Control and Link Assembly board)부(21)와,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BMP : BSC Main Processor)(2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TCLA부(21)는 보코더 기능 및 기지국 제어기(20)와 교환기(30)간 접속 기능을 제공한다.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BMP)(22)는 기지국 제어기(20)의 호처리, 공통선(No.7) 신호처리, 기지국 제어기(20)내의 자원관리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링크 제어 등을 수행한다.
이때, 교환기(30)내의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에 구비되는 CDTI부(33)는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CDTI부를 통해 디지털 트렁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므로 CDTI부(33)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 제어기(20)와 연결되는 SPHC부(32)의 경우 교환기(30)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에 장애(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 다운(Down))가 발생한 경우,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를 복구(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 로딩(loading))한 후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공통선(No.7) 신호 링크 상태관리, 즉 신호링크 활성화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그와 같은 신호링크 활성화는 교환기 프로세서(34)인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에서 수행함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20)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수행을 위한 복구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는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가 신호링크의 상태를 관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교환기(30)에 장애가 발생하여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가 다운되면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가 관리하는 신호링크의 상태 정보가 사라지는 것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20)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수행을 위한 복구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교환기(30)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는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의 로딩을 수행하는 것에 따라 복구된다(S100). 이와 같은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복구에는 CDMA 1x의 경우 2분 내지 3분 정도가 소요된다.
이어,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복구 후 공통선(No.7) 신호링크가 수용 되어 있는 SPHC(Signaling No.7 Processor Massage Handing Processor)부(32) 활성화를 위해 SPHC 링크 재시작(Restart)을 한다(S110). 따라서,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가 모두 다운(Down)된다.
여기서,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가 모두 다운되는 이유는 종래 기술의 경우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의 상태 관리를 교환기(30)에서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교환기(30)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를 복구한 다음, 공통선(No.7) 신호 링크 리셋(reset), SPHC부 활성화, 신호링크 활성화 및 신호점 활성화를 차례로 수행하는 방식을 통해 신호링크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스킴(Scheme)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가 다운되면 신호점(signaling point)도 다운된다. 여기서 신호점이란 신호 메시지를 발착신하거나, 한 신호 링크에서 다른 신호 링크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2가지 기능을 모두 가진 신호망 내의 접속점이다.
그와 같은,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 다운에 따라 신호링크들의 상태 관리 정보가 지워지므로, SPHC부(32)는 신호링크의 상태정보를 알기 위해 중앙 관리 프로세서인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로 망정보를 요청하고, INP로부터 망정보를 수신한다(S120).
이어, 해당 망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제어기(20)와 교환기(30)간 신호링크 활성화를 수행한다(S130)
이어서, SPHC부(32)는 기지국 제어기(20)로 공통선(No.7) 활성화를 요청한 다(S140). 이와 같은 공통선(No.7) 활성화는 교환기(30)의 교환기 프로세서(34) 다운 시 신호링크의 상태 관리 정보가 지워진 상태이므로 SPHC부(32)에 할당된 신호링크의 개수만큼 송신한다.
또한, 신호링크의 개수만큼 공통선(No.7) 활성화가 요청되면 SPHC부(32)는 기지국 제어기(20)와 교환기(30)간 초기할당(Initial Alignment)을 시작한다(S150).
이어, 기지국 제어기(20)로부터 초기할당에 대한 응답(Ack)이 오면(S160), SPHC부(32)는 기지국 제어기(20)로 신호링크의 활성화가 정상적인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S170).
그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20)는 활성화 테스테에 대한 응답(Ack) 신호를 교환기(30)로 전송하고, 교환기(30)에서는 기지국 제어기(20)로부터의 활성화 테스트에 대한 응답에 따라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가 활성화(Active)되면 신호점 활성화를 인식한다(S190).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에 있어서는 교환기 프로세서 중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가 다운된 후 복구되면,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에서 관리하는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들의 상태관리 정보를 알기 위하여 SPHC 링크 재시작(Restart)을 요청한 후, 신호링크 활성화 및 신호점 활성화를 수행하는 스킴을 채택하고 있어 서비스 불능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교환기는 SPHC 재시작(Restart) 요청 시 신호링크들이 다운 되므로 신호점이 죽게 되고, 그에 따라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복구 후 SPHC 요청과, 신호링크 활성화 동작과 신호점을 살리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서비스 불능(Out Of Service)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간에 호 처리가 수행되지 않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장애가 발생한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복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 복구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교환기 프로세서의 장애가 복구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교환기간 신호링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상기 교환기 프로세서의 장애 복구를 통지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가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링크 상 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링크 중 이상이 있는 신호 링크에 대한 선택적 복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교환기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상기 장애 복구를 통지하기 이전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의 모든 신호링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링크의 상태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링크는 No.7 신호 링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교환기는 이상이 있는 신호링크에 대한 복구 처리 수행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신호링크에 대한 상태처리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교환기로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교환기간 신호링크의 활성화 상태 정보와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링크를 복구함에 있어 교환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교환기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가 복구된 후 기지국 제어기에서 기지국 제어기와 교환기간 신호링크의 상태 정보를 교 환기로 전송함으로써 이상이 있는 신호링크에 대한 복구 처리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불능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4 는 본 발명 일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 그 중에서도 공통선(No.7) 신호링크의 상태에 대하여 기지국 제어기(20)가 관리한다.
그에 따라 교환기(3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교환기(30)의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다운(Down) 시,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는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의 로딩을 수행하면 복구된다(S200). 이와 같은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복구에는 CDMA 1x의 경우 2 내지 3분 정도가 소요된다. 이때, 교환기(30)는 기지국 제어기(20)와의 모든 신호 링크를 활성화시킨다. 즉, 종래와는 달리 SPHC부(32)에 대한 재시작(Restart)없이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간(20) 신호링크에 대한 활성화를 수행한다.
이어, 교환기 프로세서(34)는 SPHC부(32)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20)의 TCLA(Trans code Control and Link Assembly board)부(21)로 교환기 프로세서(34)인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가 복구되었음을 통지한다(S210).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의 상태는 교환기의 교환기 프로세서(34)와 기지국 제어기의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BMP) 모두에서 알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 그 중에서도 공통선(No.7) 신호링크의 상태에 대하여 기지국 제어기(20)가 신호링크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기지국 제어기(20)의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BMP)는 교환기(30)로부터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복구가 통지되면 기지국 제어기(20)와 교환기(30)간 신호링크의 상태 정보를 교환기(30)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BMP)는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 링크들의 활성화(active) 상태 정보와, 비활성화(inactive) 상태 정보가 전송된다.
그에 따라, 교환기(30)는 우선 기지국 제어기(20)로부터의 신호링크 상태정보에 대한 ACK를 전송한다(S230).
이어, 교환기(30)는 신호링크 상태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의, 즉 이상이 있는 신호 링크에 대해 활성화를 위한 복구처리를 수행한다(S240). 다시 말하면, 기지국 제어기(20)와 교환기(30)간 신호링크 중 비활성화 상태의 신호 링크에 대한 활성화만을 수행한다. 만약, 모든 신호 링크가 정상이라면 신호링크에 대한 활성화 동작은 필요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예에 있어서는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의 상태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복구 시 신호링크를 모두 활성화하도록 한 후 신호링크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20)에서 수신한 교환기(30)가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신호링크를 복구하도록 하여 신호링크 복구를 위한 스킴을 변경한 것이다.
그 다음, 교환기(30)는 신호링크 상태 처리 완료를 기지국 제어기(20)로 통보하고(S250), 기지국 제어기(20)는 해당 신호링크 상태처리 완료에 대한 ACK를 교환기(30)로 전송한다(S260).
즉 본 발명의 일예에 있어서는 교환기(30)와 기지국 제어기(20)간 신호링크의 상태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 복구 시 신호링크를 모두 활성화하도록 한 후 신호링크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20)에서 수신한 교환기(30)가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신호링크를 복구하도록 하여 신호링크 복구를 위한 스킴을 변경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일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링크의 상태를 기지국 제어기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교환기의 ASP 복구 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불능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환기의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 장애 복구 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간 신호 링크 장애 복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지국 20 : 기지국 제어기
21 : TCLA부 22 : 기지국 제어기 프로세서
30,50 : 교환기 31, 33, 51 : CDTI부
32 : SPHC부 34 : 교환기 프로세서
40 :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6)

  1.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사이의 신호링크를 관리하는 교환기와 상기 신호링크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에서 장애가 복구되면,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사이의 신호링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상기 장애 복구를 통지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장애 복구 통지를 수신하면, 저장된 상기 신호링크 상태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신호링크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사이의 신호링크 중 이상이 있는 신호 링크에 대한 선택적 복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장애 복구를 통지하기 이전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의 모든 신호링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사이의 신호링크는 공통선 신호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이상이 있는 신호링크에 대한 복구 처리 수행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신호링크에 대한 상태처리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링크 상태 정보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교환기 사이의 신호링크의 활성화 상태 정보와 비활성화 상태 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KR1020070089333A 2007-09-04 2007-09-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KR10117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33A KR101173563B1 (ko) 2007-09-04 2007-09-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33A KR101173563B1 (ko) 2007-09-04 2007-09-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58A KR20090024358A (ko) 2009-03-09
KR101173563B1 true KR101173563B1 (ko) 2012-08-13

Family

ID=4069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333A KR101173563B1 (ko) 2007-09-04 2007-09-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5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98B1 (ko) 2006-04-04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데이터 경로의 장애를 방지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98B1 (ko) 2006-04-04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데이터 경로의 장애를 방지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58A (ko) 200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3908C2 (ru) Способ повто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ызова
KR100407933B1 (ko) 교환기간핸드오프시스템
CN100389628C (zh) 一种无线网络控制器节点容灾方法及系统
KR100374025B1 (ko) 무선통신망에서 오류가 있는 오버헤드 채널의 선택적인복구 시스템 및 방법
JPH1127725A (ja) 交換システム
KR1011735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KR20070076332A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원격 복구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기지국원격 제어 서버 및 시스템
JP4788430B2 (ja)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72369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데이터 경로의 장애를 방지하는 방법
KR100310324B1 (ko) 교환시스템에있어서착신링중하드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82714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교환국의 호 실패 원인을 기지국에제공하는 방법
KR100375914B1 (ko) 교환 시스템에서 휴지 상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0135909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 가입자 핸드 오버신호 인터페이스 방법
JPH11225366A (ja) とまり木チャネル切り替え方法及び装置
KR100311311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일반 호 설정 및해제 시험 방법
KR100629117B1 (ko)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KR100914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관리 방법
KR100357704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 장비 에러 자동 검출방법
KR100706909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100311313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인터넷 호 설정및 해제 시험 방법
KR100840429B1 (ko) 무선 이동 단말의 기지국 운용 제어 방법
KR10113202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교환기간 하드 핸드오프 회선 감시방법
KR100286753B1 (ko) 개인이동통신 가입자 호에 대한 교환기간 순방향 및 역방향하드 핸드오프 처리방법
KR0181653B1 (ko) Cdma 이동통신망에서 이동데이타통신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61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간 중계선 상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