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117B1 -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117B1
KR100629117B1 KR1020040018556A KR20040018556A KR100629117B1 KR 100629117 B1 KR100629117 B1 KR 100629117B1 KR 1020040018556 A KR1020040018556 A KR 1020040018556A KR 20040018556 A KR20040018556 A KR 20040018556A KR 100629117 B1 KR100629117 B1 KR 10062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
call contro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285A (ko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1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기지국 관리 및 제어 프로세서 사이에 이루어지는 회선 에러 감시를 위한 프로세서 액티브 상태 확인 주기를 증가시켜서 회선 에러의 감시 기준을 완화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지국 관리기(BSM)와 각 기지국 제어기의 호 제어 프로세서(CCP) 간에 회선 에러 감시를 위한 프로세서의 액티브 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에러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관리기로부터 호 제어 프로세서에 프로세서의 액티브 상태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 상태 확인 메시지의 송출로부터 5초 간격으로 연속 4회로 호 제어 프로세서로부터의 응답을 수신받지 못하게 되면, 상기 기지국 관리기의 재차 로딩이 수행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지국 관리기(BSM), 기지국 제어기(BSC), 호 제어 프로세서(CCP), 회선에러

Description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CIRCUIT ERROR MONITOR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선 에러를 감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프로세서 상호간의 액티브(Active) 확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통신 교환기(MSC), 20:기지국 관리기(BSM),
30:호 제어 프로세서(CCP), A1∼An:기지국 제어기(BSC),
B1∼Bn:이동통신 기지국(BTS).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기지국을 유지보수 및 감시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간의 액티브(Active) 상태를 확인하여 회선 에러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서 임의의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음성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하는 통신영역을 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와의 상호 정보통신에 의해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호접속 및 호접속 상태에서의 핸드오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 가능한 전반적인 지역에 서로 관할하는 지역을 나누어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기지국과, 각 기지국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지국 제어기는 각각의 기지국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호 제어 프로세서(Call Cotrol Processor; CCP)와 같은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기지국 제어기의 프로세서는 별도의 기지국 관리기(Base Station Manager; BSM)와의 상호 액티브 상태 확인 통신을 통해서 정상 작동 유무의 주기적인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바, 해당 기지국 제어기의 프로세서와 기지국 관리기와의 프로세서 액티브 확인 통신 주기는 현재 4초 간격으로 3회 연속으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이는 기지국 관리기에서 기지국 제어기의 프로세서에 액티브 확인 메시지를 송출하고 나서 이동통신 교환기와 기지국 간의 E1 링크(Link)으로 인해 에러 패킷이 다량으로 유입되어 회선상의 에러가 집중됨에 따라, 프로세서의 듀얼 다운(Dual Down)이 유발되면서 4초 만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횟수가 연속 3회이면, 회선 에러로 판정하여, 해당 기지국 관리기는 재차 로딩(Loading)에 의해 해당 기지국 제어기의 프로세서를 정상상태로 초기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제어기의 프로세서와 기지국 관리기와의 상호 프로세서 액티브 상태 확인 통신 주기가 4초 간격으로 연속 3회로 실행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 액티브 상태의 확인 통신을 위한 시간 간격과 응답 횟수가 비교적 짧게 되어 있는데 따른 기지국 관리기의 재차 로딩 횟수의 증가가 불가피하고, 이동 통신망의 정상적인 운용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기지국 관리 및 제어 프로세서 사이에 이루어지는 회 선 에러 감시를 위한 프로세서 액티브 상태 확인 주기를 증가시켜서 회선 에러의 감시 기준을 완화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관리기(BSM)와 각 기지국 제어기의 호 제어 프로세서(CCP) 간에 회선 에러 감시를 위한 프로세서의 액티브 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에러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관리기로부터 호 제어 프로세서에 프로세서의 액티브 상태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 상태 확인 메시지의 송출로부터 5초 간격으로 연속 4회로 호 제어 프로세서로부터의 응답을 수신받지 못하게 되면, 상기 기지국 관리기의 재차 로딩이 수행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은, 이동통신 교환기(10)와, 기지국 관리기(Base Station Manager; BSM)(20), 다수 의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A1∼An), 다수의 기지국(Base Transmission Station; BTS)(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0)는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또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를 통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지국 관리기(20)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0)가 관할하는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기지국(B1∼Bn)에 기능이 향상된 새로운 버전의 기지국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사용하도록 관리하게 되고, 상기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A1∼An)에 주기적으로 프로세서의 액티브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기지국 제어기(A1∼An)의 프로세서로부터 응답되는 메시지를 통해 통신 링크 에러에 의한 프로세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A1∼An)는 각각 제어를 담당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B1∼Bn)이 종속적으로 연결되고서 이동통신 기지국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기능과, 단말기 및 기지국의 송신출력 제어기능, 셀간의 핸드오프 결정, 이동통신 기지국의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A1∼An)는 호처리와, 통신 자원 관리, 각 프로세서 들의 상태관리를 수행하는 호 제어 프로세서(Call Cotrol Processor; CCP)(30; 도 2 참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B1∼Bn)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이 가능한 전반적인 지역에 대해 서로 관할하는 지역을 나누어서 광범위하게 분포되고서, 기저대역의 신호처리와,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의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 사용된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선 에러를 감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프로세서 상호간의 액티브 확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 관리기(20)는 상기 각 기지국 제어기(A1∼An)의 호 제어 프로세서(30)에 액티브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주기(Keep Alive Polling 주기)(즉, 기지국 관리기(20)와 호 제어 프로세서(30) 간에 시그널을 주고받는 주기)로서 "5초 간격으로 연속 4회"로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관리기(20)와 각 기지국 제어기(A1∼An)의 호 제어 프로세서(30) 간의 액티브 상태 확인을 위한 주기(Keep Alive Polling 주기)로서 결정된 "5초 간격으로 연속 4회"의 주기는 해당 기지국 관리기(20)에서 각 호 제어 프로세서(30)에 프로세서 액티브 상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나서 5초 이내에 응답을 못받는 것이 연속으로 4회이면 회선의 에러에 의한 호 제어 프로세서(30)의 듀얼 다운(Dual Down)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하여, 기지국 관리기(20)는 재차 로딩을 통해 호 제어 프로세서(30)를 초기화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회선 에러 판단 기준의 완화를 위한 일환으로서, 상기 기지국 관리기(20)와 각 기지국 제어기(A1∼An)의 호 제어 프로세서(30) 간의 액티브 상태 확인 주기를 적정하게 5초 간격으로 연 속 4회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에 의한 기지국 제어기 내부의 호제어 프로세서에 대한 듀얼 다운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기지국 관리기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의 액티브 상태 확인 주기를 완화시켜서 조정함에 따라, 종래의 짧은 액티브 상태 확인 주기에 의한 기지국 관리기의 잦은 재차 로딩상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더욱 신뢰성있는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기지국 관리기(BSM)와 각 기지국 제어기의 호 제어 프로세서(CCP) 간에 회선 에러 감시를 위한 프로세서의 액티브 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에러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관리기로부터 호 제어 프로세서에 프로세서의 액티브 상태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관리기가 상기 액티브 상태 확인 메시지에 대응되는 호 제어 프로세서의 응답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호 제어 프로세서로부터 응답 수신이 실패인 경우, 5초 간격으로 상기 액티브 상태 확인 메시지를 상기 호 제어 프로세서로 재전송하되, 상기 응답 수신 실패가 연속 4회 발생하면, 상기 기지국 관리기는 재차 로딩을 통해 상기 호 제어 프로세서를 초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KR1020040018556A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KR10062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556A KR100629117B1 (ko)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556A KR100629117B1 (ko)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285A KR20050093285A (ko) 2005-09-23
KR100629117B1 true KR100629117B1 (ko) 2006-09-27

Family

ID=3727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556A KR100629117B1 (ko)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024B1 (ko) * 2006-03-09 2012-04-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교환기간 하드 핸드오프 회선 감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285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5208B (zh) 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5974310A (en) Communication control for a user of a central communication center
FI106505B (fi) Langattoman tilaajaliittymän toteuttava radiojärjestelmä sekä tilaajalaite radiojärjestelmää varten
JP4243599B2 (ja) パケット交換サービスのページングチャネルのモニター方法
CN107409334B (zh) 终端、终端操作方法、传输协调器设备、基站以及传输协调器设备的操作方法
KR20170020564A (ko) 콜 발생자 및 발언권 중재자 다중화에 의한 ptt 제어 방법
JP4301989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制御装置
KR100629117B1 (ko)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회선 에러 감시 방법
JP6486568B1 (ja) 無線遠隔監視システム
US2014009417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racking error management device, and mobility management device
JP2005252510A (ja) 位置登録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上位装置及び加入者端末
EP2617212A1 (en) Method,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requesting entity
JPH11205346A (ja) 遠隔保守管理システム
KR10072369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데이터 경로의 장애를 방지하는 방법
KR100914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관리 방법
JP56592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1735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KR100713646B1 (ko) 통화품질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3334679B2 (ja) 警報転送方式
KR2006009612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KR100311313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인터넷 호 설정및 해제 시험 방법
CA2685111C (en) Method for ensuring the accessibility of mobile radio devices using an optimized paging mechanism
KR100264790B1 (ko) 스탠바이 피에스에이에서의 파일롯/동기/액세스 채널카드 이중화관리 방법
JP4950983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制御装置
KR20070098110A (ko) 연속적인 s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서비스 센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