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629A -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629A
KR20000045629A KR1019980062196A KR19980062196A KR20000045629A KR 20000045629 A KR20000045629 A KR 20000045629A KR 1019980062196 A KR1019980062196 A KR 1019980062196A KR 19980062196 A KR19980062196 A KR 19980062196A KR 20000045629 A KR20000045629 A KR 20000045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ain control
data
data field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6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5629A/ko
Publication of KR2000004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6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드(Field) 동기신호를 자동이득 제어의 기준 신호로 사용하여 증폭기의 이득을 컨트롤하도록 한 필드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먼저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로부터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검출하며, 선택신호 발생기는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필드에 대한 적분치를 선택토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되는 선택신호에 의거 선택기는 해당 필드의 신호를 선택하게 되고, 그 선택된 신호는 레벨 조절기에 의해 적정한 레벨로 조절된다. 이렇게 조절된 신호가 이득 제어 신호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게 된다.

Description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본 발명은 잔류측파대(VSB) 방식 고화질 텔레비전(HDTV) 시스템에서 자동이득 제어(AGC)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드(Field) 동기신호를 자동이득 제어의 기준 신호로 사용하여 증폭기의 이득을 컨트롤하도록 한 필드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SB 방식 HDTV 시스템의 수신기는 수신 신호를 심벌 주파수(10.76Mhz/Symbol)로 표본화한다. 따라서 수신기의 동기화 성능 및 복조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수신신호의 표본화 값들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다이내믹 레인지 이내에 들어오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한 것이 자동이득제어(AGC)이며, 이 자동이득제어는 수신 신호의 크기에 따라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여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방법이다.
첨부한 도면 도1은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에 적용된 비동기(Noncoherent)자동이득 제어회로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는 샘플링 클록(2fs)에 따라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를 양자화 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주파수 위상 고정루프(12)로 입력되어 입력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이 보정 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디지털 신호는 절대값 산출기(13)에 인가된다. 절대값 산출기(13)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절대값을 산출한다. 산출된 절대값은 적분 및 평균기(14)에 입력되며, 적분 및 평균기(14)는 입력되는 절대값을 적분하고, 이를 일정량 누적한 후 그 누적치의 평균값을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평균값은 감산기(15)에서 기준값과 감산되어 그 차이 값이 이득 오차값(Gain error)으로 이득 제어기(16)에 전달되며, 이득 제어기(16)는 상기 전달되는 이득 오차 값에 따라 튜너내 증폭기의 이득을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수신 신호가 항상 일정하게 수신되도록 한다.
첨부한 도면 도2는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에 적용된 비동기 자동이득 제어회로의 다른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는 샘플링 클록(2fs)에 따라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를 양자화 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주파수 위상 고정루프(12)로 입력되어 입력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이 보정 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디지털 신호는 절대값 산출기(13)에 인가된다. 절대값 산출기(13)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절대값을 산출한다. 산출된 절대값은 적분 및 평균기(14)에 입력되며, 적분 및 평균기(14)는 입력되는 절대값을 적분하고, 이를 일정량 누적한 후 그 누적치의 평균값을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평균값은 감산기(15)에서 기준값과 감산되어 그 차이 값이 이득 오차값(Gain error)으로 적분기(17)에 전달되며, 적분기(17)는 이를 적분한다. 그 적분치는 스위치(18)를 통한 후 펄스폭변조신호 발생기(19)에 전달되며, 펄스폭변조신호 발생기(19)는 그 전달되는 적분치에 따라 펄스폭이 조절하여 자동이득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비동기 자동이득 제어장치는, 수신신호의 평균 세기를 구하여 기준값(정상적인 크기일 때의 신호크기)과 비교하여 이득 제어를 행하는데, 이때 평균 세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평균치를 산출하기 위한 계산구간의 길이나 입력신호의 분포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므로 자동이득 제어에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이득 제어장치를 구현하였다.
첨부한 도면 도3은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세그먼트 동기 및 심볼클록 복원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검출기(21)는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 및 타이밍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동기 검출기(21)를 통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에 입력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는 위상동기루프(23)에서 얻어지는 타이밍 펄스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이를 양자화 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을 한다.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검출기(24)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에서 얻어지는 디지털 신호와 기준이 되는 동기 패턴을 비교하여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를 검출하게 되며, 신뢰기(25)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검출기(24)에서 검출된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세그먼트 동기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아울러 이득 제어기(26)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검출기(24)에서 검출된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기준이 되는 이득치와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중간주파수 및 튜너의 증폭기 이득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VSB방식 변조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기 위해서는 주지한 바와 같이 심볼클록을 복원해야하며, 세그먼트 동기 및 필드 동기를 검출해야한다.
첨부한 도면 도4는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VSB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이다. 이러한 VSB방식 HDTV 시스템의 프레임 동기신호는 2개의 레벨을 가지며, 다른 HDTV 시스템의 경우와는 달리 현행 NTSC방식과 유사하게 세그먼트 동기와 필드 동기로 나누어져 전송된다.
수신되는 데이터를 적절히 해석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와 동기를 이루어 동작해야 한다. 이처럼 수신기를 수신데이터의 프레임 구조와 동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프레임 동기화라고 한다. 프레임 동기화는 송신측에서 전송하는 일정한 신호, 즉 프레임 표시자 또는 동기화 부호어(Synchronization Codeword)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VSB방식 HDTV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데이터 세그먼트로 나누어질 뿐만 아니라 데이터 필드로도 나누어진다. 세그먼트 동기 신호는 매 데이터 세그먼트832심볼)마다 전송되고, 필드 동기 신호는 매 필드(313세그먼트)마다 전송된다. VSB방식 HDTV 시스템에서는 2개의 필드가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따라서 필드 동기는 기필드와 우필드를 구별할 수 있도록 전송되어야한다.
VSB방식 HDTV 시스템은 지상 방송 모드와 고속 전송 케이블 모드의 두 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그러나 동기 획득부의 구조는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이하에서는 지상 방송 모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5는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VSB 데이터 세그먼트의 구조도이다. 2레벨의 4심볼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는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의 시작부분에서 8레벨 디지털 데이터의 스트림(Stream)에 삽입된다. 하나의 세그먼트는 4개의 동기 심볼과 828개의 데이터와 패리티 심볼들로 이루어진다. 세그먼트 동기 신호는 패킷과 클록 복원을 좀 더 간단하게 하기 위해 2레벨로 구성된다. 세그먼트 동기 신호로 이용되는 2레벨(±5)은 둔감성을 보장하고, 동일 채널 NTSC신호에 간섭을 인가하지 않는다. 같은 동기 신호 패턴이 일정 주기마다 반복되는데, 이러한 네 심볼의 주기적인 반복은 심한 잡음과 간섭하에서도 수신단에서 믿을만한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신호와는 달리 데이터 세그먼트의 동기 신호는 리드-솔로몬(RS) 부호화나 격자 부호화를 하지 않고 인터리빙도 하지 않는다.
도6은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VSB 필드 세그먼트의 구조도이다. 데이터는 데이터 세그먼트로 나누어질 뿐만 아니라 데이터 필드로도 나누어진다. 모든 데이터 필드는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의 하나의 완전한 데이터 세그먼트로 시작한다.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는 2레벨의 511심볼과 3개의 63개 의사랜덤 시퀀스로 구성된다.
데이터 필드 세그먼트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동기는 데이터 필드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동기 신호이고 1001로 정의되어 있으며, 의사 랜덤 시퀀스인 PN511은 ML(Maximum Length)로서, 원시 다항식이 X9+ X7+ X6+ X4+ X3+ X + 1이고, 초기화 값은 0*200이다. 또한, PN63은 ML시퀀스이고, 원시 다항식이 X6+ X + 1이고 초기화 값은 0*47이고, VSB모드는 24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의 VSB모드를 결정한다. 첫 2바이트는 다른 사용을 위하여 유보되어 있는데, VSB 방식에서는 0*0f0f로 채워넣도록 추천되고 있으며, 다음 바이트는 PABCPABC이다. 여기서 P는 우수 패리티(Even Parity)바이트이고, A, B, C는 실제 비트이다. 고속 전송 케이블 모드에서는 PABC는 1100이고, 지상방송 모드에서는 0101이다. Reserved는 마지막 104비트는 예비 공간이고 연속적인 PN63 시퀀스로 채울 것이 추천되고 있다. 8VSB 격자 모드(Trellis)에서는 92비트가 예비되어 있고, 기준 신호의 끝에 있는 12심볼은 데이터 경로에 NTSC 제거 필터가 있을 때 격자 복호화를 돕기 위해 그 이전의 세그먼트의 마지막 12심볼들과 같은 값을 가진다.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는 다섯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 각 데이터 시작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부호간섭(ISI)을 제거하는데 훈련 기준 신호로서 진보된 텔레비전 수상기 수신단의 등화기에 사용되어진다. 셋째, 수신단에서 NTSC 간섭 제거 필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넷째, 신호 대 잡음비나 채널 응답 같은 시스템의 특징적인 값들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다섯째, 수신단의 위상 추적기에서 회로들을 리셋 하거나 루프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도 RS 부호화나 격자부호화를 하지 않고 인터리빙도 하지 않는다.
도7은 주지한 바와 같은 세그먼트 동기를 이용한 종래 자동이득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동기 검출기(31)는 입력되는 데이터 시그널로부터 세그먼트 동기를 검출하게 된다. 상관기(32)는 세그먼트 동기 검출기(31)에서 얻어지는 세그먼트 동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 시그널과 기준 데이터{+1,-1,-1,+1}을 비교하여 상관치를 획득한다. 도8은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이용한 상관기(32)의 상관값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a)는 세그먼트 동기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상관기에 입력되는 기준 데이터{+1,-1,-1,+1}을 나타낸 것이며, (c)는 동기 상관에 의해 획득된 상관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획득된 상관치는 감산기(33)에서 기준값과 감산되고, 그 차이 값이 멀티플렉서(34)에 전달된다. 멀티플렉서(34)는 상기 세그먼트 동기 검출기(31)에서 얻어지는 세그먼트 동기신호(Seg_sync)를 선택신호로하여 상기 감산기(33)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값("0")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키게 되고, 감산기(35)는 상기 멀티플렉서(34)에서 선택되어 출력되는 신호와 후단의 양자화기(37)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그 차이 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차이 값은 누적기(36)에서 일정량 누적되고, 그 누적치는 양자화기(37)에서 양자화 된다. 이와 같이 양자화된 신호는 상기 감산기(35)에 피이드백 됨과 동시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8)로 전달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38)는 입력되는 디지털 양자화 데이터를 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IF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 제어신호(pwm-agc)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는,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검출한 후 미리 알고 있는 신호에 대한 입력 신호의 오차 값을 계산하므로 오차 신호의 계산 결과가 정확하므로 정확한 이득 조절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반면 세그먼트 동기신호는 4심볼 길이의 매우 간단하고 짧은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832 심볼 주기에 1개씩 삽입되어 있으므로, 긴 주기의 이득 변화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드(Field) 동기신호를 자동이득 제어의 기준 신호로 사용하여 증폭기의 이득을 컨트롤하도록 한 필드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장치)은,
NTSC 간섭 제거 필터를 통한 데이터 심볼과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감산하여 그 오차 값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 감산기와;
상기 제1 및 제2 감산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오차 값을 적분하는 제1 및 제2 적분기와;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서 최소 오차를 갖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에서 검출된 각각의 최소오차 세그먼트를 소정회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서 선택된 신호의 레벨을 적정 레벨로 조절하여 이득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레벨 조절기와;
상기 레벨 조절기에서 출력되는 이득 제어신호와 비동기 이득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비동기시 이득 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최종적으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 제어 값을 출력하는 가산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에 적용된 비동기 자동이득 제어회로의 제1구성도,
도2는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에 적용된 비동기 자동이득 제어회로의 제2구성도,
도3은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세그먼트 동기 검출 및 심볼 클록 복원기 구성도,
도4는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VSB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
도5는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VSB 데이터 세그먼트의 구조도,
도6은 일반적인 VSB방식 HDTV시스템의 VSB 필드 동기의 구조도,
도7은 종래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구성도,
도8은 도7에서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 상관기의 상관값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필드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선택기
112 : 레벨 조절기
113 : 비동기 이득 제어기
114 : 가산기
115 : 선택신호 발생기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1세그먼트 길이로 313세그먼트 마다 1개씩 삽입되어 있는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필드 동기신호는 세그먼트 신호에 비해 패턴의 길이가 길고 주기도 길다. 이후 입력 신호(검출한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와 표준레벨의 필드 동기 패턴을 비교하여 그 오차 값으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필드 동기는 세그먼트 동기 검출이 이루어진 후 매 세그먼트마다 표준레벨의 필드 동기 패턴을 발생시켜 입력신호와 비교한다. 313 세그먼트 이내에 입력신호에서 필드 동기가 입력되면 표준 필드 동기 패턴과 오차가 "0"에 근접한다. 따라서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는 해당 세그먼트가 필드 동기인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필드 동기 기간 동안만 입력신호와 기준 필드동기 패턴을 비교하여 그 오차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의 증폭기 이득을 제어하게 된다.
첨부한 도면 도9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을 실제적으로 구체화한 본 발명에 의한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NTSC 간섭 제거 필터를 통한 데이터 심볼과 제1 및 제2 기준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 발생부(101)(102)에서 출력되는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감산하여 그 오차 값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 감산기(103)(104)와; 상기 제1 및 제2 감산기(103)(104)에서 각각 출력되는 오차 값을 적분하는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와;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서 최소 오차를 갖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107)(108)와; 상기 제1 및 제2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107)(108)에서 검출된 각각의 최소오차 세그먼트를 소정 횟수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109)(110)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109)(110)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기(115)와; 상기 선택신호 발생기(115)에서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111)와; 상기 선택기(111)에서 선택된 신호의 레벨을 적정 레벨로 조절하여 이득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레벨 조절기(112)와; 상기 레벨 조절기(112)에서 출력되는 이득 제어신호와 비동기 이득 제어기(113)에서 출력되는 비동기시 이득 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최종적으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 제어 값을 출력하는 가산기(1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필드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는, 먼저 제1 및 제2 감산기(103)(104)에서 NTSC 간섭 제거 필터를 통한 I채널의 데이터 심볼과 제1 및 제2 기준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 발생부(101)(102)에서 출력되는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감산하여 그 오차 값을 출력한다.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는 상기 제1 및 제2 감산기(103)(104)에서 각각 출력되는 오차 값을 적분하게 되고, 제1 및 제2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107)(108)는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서 최소 오차를 갖는 데이터 세그먼트(최소값을 갖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검출한다.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109)(110)는 상기 제1 및 제2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107)(108)에서 검출된 각각의 최소오차 세그먼트를 소정 횟수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를 발생한다.
아울러 선택신호 발생기(115)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109)(110)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기(111)는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105)(106)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레벨 조절기(112)는 상기 선택기(111)에서 선택된 신호의 레벨을 적정 레벨로 조절하여 이득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이득 제어신호는 가산기(114)에서 비동기 이득 제어기(113)에서 출력되는 이득 제어신호와 가산되어 그 결과치가 최종적으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 제어값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비동기 이득 제어기(113)는 데이터 필드 동기를 검출하기 전까지 자동이득 제어를 위한 이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며, 실제로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비동기시 이득 제어신호는 제로(0)가 된다. 따라서 데이터 필드 동기가 검출된 후에는 상기 레벨 조절기(112)에서 출력되는 이득 제어신호만 중간주파수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 제어 값으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의 증폭기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긴 주기의 이득 변화에도 최적으로 대응하여 이득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 데이터 심볼과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를 각각 감산하여 그 오차 값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 감산기, 상기 오차 값을 적분하는 제1 및 제2 적분기, 제1 및 제2 적분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서 최소값을 갖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최소오차 세그먼트 검출기, 상기 검출된 최소오차 세그먼트를 소정 횟수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 필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로 이루어져 필드 동기를 검출하는 VSB방식 HDTV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필드동기 확인기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필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적분치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서 선택된 신호의 레벨을 적정 레벨로 조절하여 이득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레벨 조절기와;
    상기 레벨 조절기에서 출력되는 이득 제어신호와 비동기 이득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비동기시 이득 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최종적으로 중간주파수 및 튜너 증폭기의 이득 제어 값을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KR1019980062196A 1998-12-30 1998-12-30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KR20000045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196A KR20000045629A (ko) 1998-12-30 1998-12-30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196A KR20000045629A (ko) 1998-12-30 1998-12-30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629A true KR20000045629A (ko) 2000-07-25

Family

ID=1956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196A KR20000045629A (ko) 1998-12-30 1998-12-30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56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16B1 (ko) * 2000-12-18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장비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16B1 (ko) * 2000-12-18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장비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661B1 (ko)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검출회로 및 그 방법
US58778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ield sync signals and generating useable field sync signals in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KR0170690B1 (ko) 반송파 및 심볼타이밍 복원완료 검출회로와 그 방법 및 이를 채용한 고해상도 텔레비젼
JP3432700B2 (ja) 自動利得調節回路及びその方法
CA2410783C (en) Vsb communication system
KR0161903B1 (ko) 엔티에스씨 간섭 검출기
CA2193817C (en) Symbol timing recovery circuit and method
US5497205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BPSK signal transmitted with NTSC TV on quadrature-phase video
US20060077300A1 (en)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i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20030061854A (ko) 에이티에스씨-고선명 텔레비전 트렐리스 디코더에서엔티에스씨 간섭 리젝을 위한 재귀적 메트릭
US7042965B2 (en) Judgment level setting method and data receiver
KR100320477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타이밍 복원 장치
US6094461A (en) Data transmission
KR10024422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인접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KR100219626B1 (ko) 필드 판별신호 발생회로 및 그 방법
KR100286304B1 (ko) 잔류측파대신호의심볼동기화장치및방법
JP2837105B2 (ja) テレビ信号中に埋め込まれたディジタル信号に対するシグマ−デルタ・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機能を備えた受信器
JP3850033B2 (ja) データスライサ
KR19990001779A (ko) 수신신호 판별회로 및 그 방법
US6111603A (en) Portable field tester for measuring signal reception of a digitally broadcast signal
KR10028235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KR20000045629A (ko)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장치
US200100074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ynchronizing signal of digital TV
KR100300947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신장치의세그먼트동기신호검출장치
KR101147769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