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317A -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317A
KR20000044317A KR1019980060814A KR19980060814A KR20000044317A KR 20000044317 A KR20000044317 A KR 20000044317A KR 1019980060814 A KR1019980060814 A KR 1019980060814A KR 19980060814 A KR19980060814 A KR 19980060814A KR 20000044317 A KR20000044317 A KR 2000004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dule
state
service
state management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의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317A/ko
Publication of KR2000004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monitoring of signaling messages, intelligen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간에 서로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통보하여 장애가 발생된 서비스모듈로 서비스를 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모듈 상태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내부 연동망에 연결된 다수 서비스모듈의 각 상태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모듈에서 각각 상태관리정보 송신주기가 되는지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관리정보 송신주기가 되었을 시 다수의 다른 서비스모듈로 자신의 상태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서비스모듈에서 다른 서비스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입력하여 상태관리 테이블에 다른 서비스모듈에 대한 상태를 기록하는 과정과, 설정된 주기내에 다른 서비스모듈로부터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 수신되지 않은 서비스모듈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관리 테이블에 장애상태를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에서 다수의 모듈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모듈간에 서로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통보하여 장애가 발생된 서비스모듈로 서비스를 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모듈 상태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시스템은 종합정보통신망(ISDN), LAN망, 공중전화망(PSTN), PC통신 서비스망(Unitel, Hitel, 천리안, 나우누리등)등이 연계되어 있는 각종 서비스모듈들이 시스템연동망에 연결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연동망에 각각 연결된 서비스모듈들의 상태를 관리하여야 원할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스템에서 서비스모듈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구성도이다.
관리의 대상이 되는 다수의 서비스 모듈(101∼10n)이 시스템 내부연동망(200)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시스템 내부 연동망(200)에 관리장치 인터페이스(30)이 연결되며, 상기 관리장치 인터페이스(300)에 관리장치(400)가 연결되어 있다.
관리의 대상이 되는 다수의 서비스모듈(101∼10n)은 관리장치 인터페이스(300)을 통해 관리장치(400)로 자신이 살아있어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고한다. 관리장치(400)으로 보고한 메시지들은 관리장치(400)가 수집하여 다수의 서비스모듈(101∼10n)의 상태에 관한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테이블은 어느 서비스모듈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부를 알게해주며, 비정상적인 모듈은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서비스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서비스모듈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던 서비스 모듈은 서비스를 종료하여야 한다. 또한 새로운 다른 서비스모듈과 연동하여 서비스하고자하는 서비스모듈은 어느 서비스모듈이 서비스 가능한지 검색하고 접속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서비스모듈 단위에서 서로의 상태가 서비스가능한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관리장치(400)에서는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각 서비스모듈에 내려 주게 된다. 다수의 서비스모듈(101∼10n)은 상태관리 테이블의 타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참조하여 호를 종료할 것인지 아니면 계속진행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이 호를 시작할 때 어느 서비스모듈로 호를 접속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은 관리장치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게 되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된다.
첫 번째 관리장치에 일시적인 장애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모듈에 대한 상태관리 테이블의 신뢰도를 떨어진다. 예를들어 서비스모듈A(101)과 서비스모듈B(102)가 서로 연동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서비스모듈A(101)에장애가 발생하여 더 이상의 서비스가 불가능하며, 이를 서비스모듈B(102)에 알리지도 못하는 경우 서비스모듈A(101)가 장애임을 관리장치(400)에서 주기보고가 없음을 통해 감지하고 이를 서비스모듈B(102)에 알려서 서비스모듈B(102)가 서비스모듈A(101)와 연동을 중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관리장치(400)에 장애가 발생하면 서비스모듈A,B(101, 102)가 장인지를 알 수 없으며, 서비스모듈B(102)의 시스템 자원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두 번째로 다수의 서비스 모듈과 관리장치간의 경로상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태관리 테이블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장치의 일시적 장애나 서비스모듈과 관리장치간의 경로상의 장애가 발생되어도 각 서비스모듈에서 다른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각 서비스모듈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내부 연동망에 연결된 다수 서비스모듈의 각 상태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모듈에서 각각 상태관리정보 송신주기가 되는지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관리정보 송신주기가 되었을 시 다수의 다른 서비스모듈로 자신의 상태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서비스모듈에서 다른 서비스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입력하여 상태관리 테이블에 다른 서비스모듈에 대한 상태를 기록하는 과정과, 설정된 주기내에 다른 서비스모듈로부터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 수신되지 않은 서비스모듈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관리 테이블에 장애상태를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스템에서 서비스모듈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스템에서 서비스모듈들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신의 상태를 다른 서비스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서비스모듈에서 상태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서비스모듈에 내장된 상태관리 테이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스템에서 서비스모듈들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다수의 서비스 모듈(101∼10n)이 시스템 내부연동망(20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다수의 서비스모듈(101∼10n)내에서 상태관리 테이블을 구비하고 각 서비스모듈에서 다수의 다른 서비스모듈로 자신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보고하게 되면 다수의 다른 서비스모듈에서는 이 보고를 받아 상대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신의 상태를 다른 서비스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도이다.
(A)는 콜셋업(CALL SET UP)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할 시 해당 서비스모듈로 상태관리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포맷도이고, (B)는 주기적으로 다른 모든 서비스모듈로 상태관리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포맷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서비스모듈에서 상태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서비스모듈에 내장된 상태관리 테이블 구성도이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서비스모듈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신이 살아있어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상태를 실시간으로 다수의 다른 서비스모듈로 보고한다. 다수의 서비스모듈(101∼10n)에서는 특정 서비스모듈로부터 관리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각각 다른 서비스모듈에 대한 상태에 관한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테이블은 어느 서비스모듈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부를 도 5와 같은 테이블에 의해 알게해주며, 비정상적인 모듈은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서비스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서비스모듈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던 서비스 모듈은 서비스를 종료하여야 한다. 또한 새로운 다른 서비스모듈과 연동하여 서비스하고자하는 서비스모듈은 어느 서비스모듈이 서비스 가능한지 검색하고 접속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서비스모듈 단위에서 서로의 상태가 서비스가능한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각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각 서비스모듈에 내려 주게 된다. 다수의 서비스모듈(101∼10n)은 상태관리 테이블의 타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참조하여 호를 종료할 것인지 아니면 계속진행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이 호를 시작할 때 어느 서비스모듈로 호를 접속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각 서비스모듈간에 상태관리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201단계에서 초기 전원이 공급되면 각 정보를 초기상태로 설정하고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상태관리 정보 송신주가 되었는가 검사하여 상태관리 정보 송신주기가 되었으면 2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특정서비스모듈에서 모든 서비스모듈로 도 3의 (B)와 같은 상태관리정보를 전송하고 202단계로 돌아간다. 예를들어 특정 서비스모듈이 제1서비스모듈(101)이라면 제1 서비스모듈(101)에서 나머지 다수의 서비스모듈(102∼10n)로 상태관리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상태관리 정보는 브로드캐스트와 송신측 서비스모듈번호와 모든 서비스모듈을 지정하는 번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태관리정보 송신주기가 되지 않았으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콜셋업(CALL SET UP)을 위한 이벤트(EVENT)가 발생되었는가 검사하여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면 2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콜셋업을 하고자 하는 서비스모듈로 도 3의(A)와 같은 지정된 상태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예를들어 제1 서비스모듈(101)에서 제3 서비스모듈(103)로 콜셋업을 하고자 할 경우 제1서비스모듈(101)에서 제3서비스모듈(103)로 도 3의 (A)와 같은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지정된 상태관리 정보는 포인트-투-포인트(PTP)와 송신측 서비스모듈번호 및 수신측 서비스모듈을 지정하는 번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204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206단계로 진행하여 제2∼제n서비스모듈(102∼10n)로부터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208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관리정보에 해당하는 제1서비스모듈(101)의 상태를 도 5와 같은 테이블의 정상상태영역에 "GOOD"이라는 메시지를 기록하고 2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8단계에서 설정된 주기내에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서비스모듈이 존재하는가 검사하여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서비스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202단계로 돌아가고,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서비스모듈이 존재하면 2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도 5와 같은 해당 서비스모듈의 상태관리 테이블의 장애상태 영역에 "BAD"상태를 기록한다. 따라서 각 서비스모듈에서는 다른 서비스모듈의 상태를 상태관리 테이블을 검색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장애상태인지 판별하여 호를 시작할 때 어느 서비스모듈로 호를 접속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모듈의 모듈의 상태관리를 각 서비스모듈단위로 관리장치등의 장애와 관계없이 서비스모듈간에 안정적인 상태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내부 연동망에 연결된 다수 서비스모듈의 각 상태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모듈에서 각각 상태관리정보 송신주기가 되는지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관리정보 송신주기가 되었을 시 다수의 다른 서비스모듈로 자신의 상태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서비스모듈에서 다른 서비스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입력하여 상태관리 테이블에 다른 서비스모듈에 대한 상태를 기록하는 과정과,
    설정된 주기내에 다른 서비스모듈로부터 상태관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 수신되지 않은 서비스모듈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관리 테이블에 장애상태를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서비스모듈에서 콜셋업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호출측의 서비스모듈에서 피호출측 서비스모듈로 지정된 상태관리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관리 정보는 브로드캐스트와 송신측 서비스모듈번호와 모든 서비스모듈을 지정하는 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상태관리 정보는 포인트-투-포인트(PTP)와 송신측 서비스모듈번호 및 수신측 서비스모듈을 지정하는 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KR1019980060814A 1998-12-30 1998-12-30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KR20000044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814A KR20000044317A (ko) 1998-12-30 1998-12-30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814A KR20000044317A (ko) 1998-12-30 1998-12-30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317A true KR20000044317A (ko) 2000-07-15

Family

ID=1956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814A KR20000044317A (ko) 1998-12-30 1998-12-30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93B1 (ko) * 2001-12-31 2008-0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서비스 데이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62235A (ko) * 2015-11-27 2017-06-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서비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93B1 (ko) * 2001-12-31 2008-0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서비스 데이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62235A (ko) * 2015-11-27 2017-06-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서비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5643B (zh) 终端装置和后备系统
FI102341B (fi) Keskitetty langattoman puhelinverkon huoltomenetelmä
MXPA04006830A (es) Deteccion remota de estados de suministro de energia.
CN100391190C (zh) 经由冗余网络控制的多重网络故障容错管理的方法和装置
AU746056B2 (en) Method for extending OSI ping function capability
US6510203B1 (en) Central office technician notif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KR20000044317A (ko)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KR100279721B1 (ko) 교환기와과금센터간의인터페이스유지보수방법
WO1997050209A1 (en) A method for fault control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4582942B2 (ja) 機器監視装置と機器監視方法並びに機器監視システム
CN102571310B (zh) 语音信箱业务的容灾方法及装置
JP3019789B2 (ja) 監視装置
KR100223181B1 (ko)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US6049592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mutually monitoring information guidance units interconnected to telephone lines
KR100644284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관리자와 대행자간 운용관리 통신채널 상태 진단 방법
JPH04252533A (ja) 障害通知方式
CN100563393C (zh) 一种发送消息时自动补正的方法
JP3296295B2 (ja) 障害情報収集転送装置および障害情報収集転送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0307526A (ja) 障害通報システム
KR100292802B1 (ko) 시뮬레이터에서의 호감시방법
KR100279827B1 (ko) 원격접속 스위치 모듈의 독립운용 제어 방법
JP3064157B2 (ja) サービス要求加入者への応答サービス不可通知方法
JP2003224625A (ja) 回線切替接続装置
JP3183918B2 (ja) 広帯域幹線ループネットワーク
KR200306102Y1 (ko)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