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102Y1 -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102Y1
KR200306102Y1 KR20-2002-0033316U KR20020033316U KR200306102Y1 KR 200306102 Y1 KR200306102 Y1 KR 200306102Y1 KR 20020033316 U KR20020033316 U KR 20020033316U KR 200306102 Y1 KR200306102 Y1 KR 200306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charging
exchanger
unit
i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3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화로 이루어져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과금하는 교환기(10A)(10B)와; 상기 교환기(10A)(10B)와 연결되어 X.25 통신을 수행하는 DSU 장비(16A)(17A)(16B)(17B)와; 상기 DSU 장비(16A)(17A)(16B)(17B)와 연결되어 상기 교환기(10A)(10B)로부터 전송받은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는 집중 과금 센터(20)와; 상기 이중화로 이루어진 교환기(10A)(10B) 간의 IPC 전송을 수행하는 리피터(19A)(19B)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교환기를 이중화로 구성하여 운용할 경우 호처리 기능에는 이상이 없으나 한쪽 교환기의 과금 프로세서가 이상이 있을 경우 상대편의 과금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과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charging lose in exchange}
본 고안은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를 이중화로 구성하여 운용할 경우 호처리 기능에는 이상이 없으나 한쪽 교환기의 과금 프로세서가 이상이 있을 경우 상대편의 과금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과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Exchange)은 의사 및 데이터 정보를 주고받는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대상자 사이의 전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위치 회로망의 입선에서 오는 접속요구를 검출하고 출선을 선택하여 입선-출선 간의 경로를 설정한 다음 입선과 출선의 상태를 감시하고 절단하며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을 뜻한다.
이러한 교환을 통신 정보의 형식에 따라 분류하면 회화와 같은 음성 형식의 경우를 전화 교환, 전문과 같은 문자 형식의 경우를 전신 교환, 화상 정보 형식의 경우를 데이터 교환이라 한다. 또한 통신을 하는 주체에 따라 분류하면 국내 공중 교환, 국제 교환, 구내 교환, 전용선 교환 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과금(Charging)이란 가입자가 통신계를 사용한 정도에 따라 사용료를 산정하여 청구하는 것을 말한다. 과금 정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접속 방법의 차이 등에 따라 거리별 시간차법과 시간 적산법 등이 있다. 거리별 시간차법은 일정한 요금으로 통화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해 두고, 통화 거리가 멀어지면 그 시간이 짧아지는 펄스 등산 방식이고, 시간 적산법은 거리에 따라서 정해진 요금을 단위 시간마다 적산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최초의 3분간은 기본 요금을, 그 이후는 1분마다 일정 요금을 가산해 갈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교환기의 이중화 과금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화로 이루어져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10A)(10B)와; 상기 교환기(10A)(10B)와 연결되어 X.25 통신을 수행하는 DSU(Digital Service Unit, 디지털 서비스 유닛) 장비(16A)(17A)(16B)(17B)와; 상기 DSU 장비(16A)(17A)(16B)(17B)와 연결되어 상기 교환기(10A)(10B)로부터 전송받은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는 집중 과금 센터(2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교환기(10A)는, 호처리 및 과금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SSP(Switching Subsystem Processor)부(11A)와; 상기 SSP부(11A)에서 생성한 과금 데이터를 OCP(Operation Control Processor)부(13A)로 전송하도록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부(12A)와; 상기 IPC부(12A)로부터 전송된 과금 데이터를 취합하고 처리하는 OCP부(13A)와; 상기 OCP부(13A)에서 처리된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14A)와; 상기 과금 디스크(14A)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OCP부(13A)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하는 데이터 포트(15A)로 구성된다.
또한 교환기는 이중화로 구성되어 교환기 A(10A)와 교환기 B(10B)의 내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교환기(10)의 가입자가 통화 완료 후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호처리 및 과금생성 프로세서인 SSP부(11)에서 생성한 과금 데이터를 IPC부(12)를 통해 과금 데이터 취합/처리 프로세서인 OCP부(13)로 전달한다.
그리고 OCP부(13)는 IPC부(12)를 통해 전달받은 과금 데이터를 과금 디스크(14)에 저장하고, 집중 과금 센터(20)로는 교환기(10)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전용 포트인 데이터 포트(15)를 이용하여 X.25 프로토콜로 과금을 전송한다.
그러면 집중 과금 센터에서는 데이터 포트(15)에서 전송된 과금 데이터를 DSU부(16)(17)를 통해 전송받아 전송받은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과금 데이터를 취합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서인 OCP부(13)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상태로 천이할 경우 호처리 및 과금 생성 프로세서인 SSP부(11)에서 보내주는 과금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어 호 처리는 진행되지만 과금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과금 유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OCP부(13)가 비정상 상태가 될 경우 SSP부(11)와의 IPC 통신은 불능 상태가 되어 과금 디스크에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게 되고, 데이터 포트를 통해 집중 과금 센터로 과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과금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익성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교환기를 이중화로 구성하여 운용할 경우 호처리 기능에는이상이 없으나 한쪽 교환기의 과금 프로세서가 이상이 있을 경우 상대편의 과금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과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는,
이중화로 이루어져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과금하는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어 X.25 통신을 수행하는 DSU 장비와; 상기 DSU 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는 집중 과금 센터와; 상기 이중화로 이루어진 교환기 간의 IPC 전송을 수행하는 리피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교환기의 이중화 과금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 교환기 A 10B : 교환기 B
11A : SSP부 11B : SSP부
12A : IPC부 12B : IPC부
13A : OCP부 13B : OCP부
14A : 과금 디스크 14B : 과금 디스크
15A : 데이터 포트 15B : 데이터 포트
16A : DSU부 16B : DSU부
17A : DSU부 17B : DSU부
18A : 과금 디스크 18B : 과금 디스크
19A : 리피터 19B : 리피터
20 : 집중 과금 센터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화로 이루어져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과금하는 교환기(10A)(10B)와; 상기 교환기(10A)(10B)와 연결되어 X.25 통신을 수행하는 DSU 장비(16A)(17A)(16B)(17B)와; 상기 DSU 장비(16A)(17A)(16B)(17B)와 연결되어 상기 교환기(10A)(10B)로부터 전송받은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는 집중 과금 센터(20)와; 상기 이중화로 이루어진 교환기(10A)(10B) 간의 IPC 전송을 수행하는 리피터(Repeater)(19A)(1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교환기(10A)(10B)는, 호처리 및 과금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SSP부(11)와; 상기 SSP부(11)에서 생성한 과금 데이터를 OCP부(13)로 전송하도록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IPC부(12)와; 상기 IPC부(12)로부터 전송된 과금 데이터를 취합하고 처리하는 OCP부(13)와; 상기 OCP부(13)에서 처리된 과금 데이터에서 이중화된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를 각각 분리(Partition)하여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18)와; 상기 과금 디스크(18)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OCP부(13)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하는 데이터 포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교환기는 이중화로 구성되어 교환기 A(10A)와 교환기 B(10B)의 내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다.
도 3은 도 2에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 A(10A)의 SSP부(11A)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교환기 A(10)의 IPC부(12A)로 전달하면(ST11), 상기 교환기 A(10)의 IPC부(12A)는 교환기 A(10A)의 OCP부(13A)로 전달하여 취합된 과금 데이터를 과금 디스크(18A)의 교환기 A 파티션(Partition)에 저장하여 상기 집중 과금 센터(20)로 전송하게 하고(ST12 ~ ST14), 상기 교환기 A(10A)의 IPC부(12A)로부터의 과금 데이터를 상기 리피터(19A)(19B)를 통해 교환기 B(10B)의 IPC부(12B)에 전달하게 하고(ST15), 상기 교환기 B(10B)의 IPC부(12B)는 교환기 B(10B)의 OCP부(13B)로 전달하여 취합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의 교환기 A 파티션에 저장하게 하고(ST16), 교환기 A(10A)와 교환기 B(10B) 간의 주기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교환기 A(10A)의 OCP부(13A)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교환기B(10B)의 과금 디스크(18B)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집중 과금 센터(20)로 전송하게 한다(ST17)(ST18).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교환기를 이중화로 구성하여 운용할 경우 한쪽 교환기의 과금 프로세서가 이상이 있을 경우 과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교환기는 이중화로 구성하여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교환기 A(10A)와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는 교환기 B(10B)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기(10A)(10B)간에는 리피터(19A)(19B)를 구성하여, 쌍으로 구성된 교환기 A와 B(10A)(10B)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원거리로 IPC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교환기(10)의 내부에 SSP부(11), IPC부(12), OCP부(13), 데이터 포트(15)를 구비하는 것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과금 디스크(18)는 달리 구성한다. 즉, 과금 디스크(18)는 IPC부(12)를 통해 전달받은 교환기 A와 B(10A)(10B)의 과금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도록 교환기 A 파티션과 교환기 B 파티션으로 분리하여 구성한다.
그래서 교환기 A(10A)의 SSP부(11A)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교환기 A(10)의 IPC부(12A)로 전달한다(ST11).
그러면 교환기 A(10)의 IPC부(12A)는 교환기 A(10A)의 OCP부(13A)로 전달하여 취합된 과금 데이터를 과금 디스크(18A)의 교환기 A 파티션에 저장하여 집중 과금 센터(20)로 전송하게 한다(ST12 ~ ST14).
그리고 교환기 A(10A)의 IPC부(12A)로부터의 과금 데이터를 리피터(19A)(19B)를 통해 교환기 B(10B)의 IPC부(12B)에 전달하게 한다(ST15).
또한 교환기 B(10B)의 IPC부(12B)는 교환기 B(10B)의 OCP부(13B)로 전달하여 취합된 과금 데이터를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의 교환기 A 파티션에 저장하게 한다(ST16).
그리고 교환기 A(10A)와 교환기 B(10B) 간의 주기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교환기 A(10A)의 OCP부(13A)에 문제가 발생하면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집중 과금 센터(20)로 전송하게 한다(ST17)(ST18).
이러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환기 A(10A)의 가입자가 통화 완료 후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호처리 및 과금 생성 프로세서인 SSP부(11A)에서 생성한 과금 데이터를 IPC부(12A)를 통해 과금 데이터 취합/처리 프로세서인 교환기 A(10A)의 OCP부(13A)로 전달하고, 이와 동시에 리피터(19A)(19B)를 통해 교환기 B(10B)의 IPC부(12B)로 전달한다.
교환기 A(10A)의 OCP부(13A)로 전달된 과금 데이터는 교환기 A(10A)의 과금 디스크(18A)의 교환기 A 파티션에 저장한다. 그리고 집중 과금 센터(20)로는 교환기 A(10A)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포트(15A)를 이용하여 X.25 프로토콜로 과금을 전송한다.
그러면 집중 과금 센터(20)에서는 전송된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여 과금하게 된다.
한편 교환기 B(10B)의 IPC부(12B)로 전송된 과금 데이터는 교환기 B(10B)의 OCP부(13B)로 전송되고,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의 교환기 A 파티션에 저장된다.
교환기 A(10A)의 OCP부(13A)와 교환기 B(10B)의 OCP부(13B)는 주기적으로 테스트 신호를 주고받아 상대편의 OCP부(13A)(13B)의 정상 동작 유무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
만약 교환기 A(10A)의 OCP부(13A)가 비정상 상태로 천이하여 과금 수집 기능을 못하고 판단되면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즉, 교환기 B(10B)의 OCP부(13B)는 그때까지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의 교환기 A 파티션에 저장한 교환기 A(10A)의 과금 데이터 및 교환기 A(10A)의 SSP부(11A)에서 발생하고 있는 과금 데이터를 교환기 B(10B)의 OCP부(13B)와 데이터 포트(15B)를 이용하여 X.25 프로토콜로 과금을 전송하여 집중 과금 센터(20)에서 전송된 과금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교환기 B(10B)의 OCP부(13B)에서 교환기 A(10A)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정상으로 판단하게 되면, 교환기 A(10A)의 과금 데이터는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의 교환기 A 파티션에 계속 저장한다.
교환기 B(10B)의 가입자 과금 데이터도 위와 동일하게 저장하고 처리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교환기를 이중화로 구성하여 운용할 경우 호처리 기능에는 이상이 없으나 한쪽 교환기의 과금 프로세서가 이상이 있을 경우 상대편의 과금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과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는 교환기를 이중화로 구성하여 운용할 경우 한쪽 교환기(A)의 OCP부에서 이상이 발생되어 비정상 상태가 되더라도 호처리에는 이상이 없는 교환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실제 호처리 중인 교환기(A)의 SSP부로부터 발생되는 과금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중인 다른 교환기(B)의 OCP부로 전송하고 교환기(B)의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고 집중 과금 센터로 전송하여 과금 데이터의 유실없이 호처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업자의 과금 손실을 방지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이중화로 이루어져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과금하는 교환기(10A)(10B)와;
    상기 교환기(10A)(10B)와 연결되어 X.25 통신을 수행하는 DSU 장비(16A)(17A)(16B)(17B)와;
    상기 DSU 장비(16A)(17A)(16B)(17B)와 연결되어 상기 교환기(10A)(10B)로부터 전송받은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는 집중 과금 센터(20)와;
    상기 이중화로 이루어진 교환기(10A)(10B) 간의 IPC 전송을 수행하는 리피터(19A)(19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10A)(10B)는,
    호처리 및 과금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SSP부(11)와;
    상기 SSP부(11)에서 생성한 과금 데이터를 OCP부(13)로 전송하도록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IPC부(12)와;
    상기 IPC부(12)로부터 전송된 과금 데이터를 취합하고 처리하는 OCP부(13)와;
    상기 OCP부(13)에서 처리된 과금 데이터에서 이중화된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18)와;
    상기 과금 디스크(18)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OCP부(13)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하는 데이터 포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10A)(10B)는,
    교환기 A(10A)의 SSP부(11A)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교환기 A(10)의 IPC부(12A)로 전달하면(ST11), 상기 교환기 A(10)의 IPC부(12A)는 교환기 A(10A)의 OCP부(13A)로 전달하여 취합된 과금 데이터를 과금 디스크(18A)의 교환기 A 파티션(Partition)에 저장하여 상기 집중 과금 센터(20)로 전송하게 하고(ST12 ~ ST14), 상기 교환기 A(10A)의 IPC부(12A)로부터의 과금 데이터를 상기 리피터(19A)(19B)를 통해 교환기 B(10B)의 IPC부(12B)에 전달하게 하고(ST15), 상기 교환기 B(10B)의 IPC부(12B)는 교환기 B(10B)의 OCP부(13B)로 전달하여 취합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의 교환기 A 파티션에 저장하게 하고(ST16), 교환기 A(10A)와 교환기 B(10B) 간의 주기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교환기 A(10A)의 OCP부(13A)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교환기 B(10B)의 과금 디스크(18B)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집중 과금 센터(20)로 전송하게 하는(ST17)(ST18)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KR20-2002-0033316U 2002-11-07 2002-11-07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KR200306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16U KR200306102Y1 (ko) 2002-11-07 2002-11-07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16U KR200306102Y1 (ko) 2002-11-07 2002-11-07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102Y1 true KR200306102Y1 (ko) 2003-03-04

Family

ID=4940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316U KR200306102Y1 (ko) 2002-11-07 2002-11-07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1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3317C (en)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EP0539016B1 (en) Data packet switch apparatus
JPH08195746A (ja) Atm電子交換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電子交換機
JP3386215B2 (ja) Atm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ais伝送方式、送信側atm装置、及びatm通信システム
US6449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all services for remote users in the event of a communication failure
EP1177682B1 (en) A status monitoring and data processing system suitable for use in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EP0798896A2 (en) ATM exchanger
KR200306102Y1 (ko)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JP3123944B2 (ja) 網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データの二重化方式
US20020113874A1 (en) System for exchanging data
KR100211889B1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KR100295236B1 (ko) 원격교환모듈접속 데이터링크의 자기진단방법
KR100252834B1 (ko)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KR100284047B1 (ko) 소용량 교환기
KR960006912B1 (ko) 중앙집중식 변경전화번호 자동안내시스템
KR100229434B1 (ko) 이중화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JPH10257102A (ja) Lanシステム
KR100385218B1 (ko) 발신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210816B1 (ko)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의 집중과금 처리장치
KR100239053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JPH06188901A (ja) 非同期転送モード輻輳判定方式
JPH05244265A (ja) 通信システム
KR20000046362A (ko)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과금 데이터 전송 방법
JPH048050A (ja) トラヒツクデータ収集方式
KR20020041015A (ko)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