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015A -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015A
KR20020041015A KR1020000070728A KR20000070728A KR20020041015A KR 20020041015 A KR20020041015 A KR 20020041015A KR 1020000070728 A KR1020000070728 A KR 1020000070728A KR 20000070728 A KR20000070728 A KR 20000070728A KR 20020041015 A KR20020041015 A KR 20020041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history
information
err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015A/ko
Publication of KR2002004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0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07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 H04B2210/071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using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07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 H04B2210/072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using an overhead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장비의 오류발생시 이를 관리 시스템상의 이력으로 기록하고 저장한 후 보고를 수행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경보의 정보관리를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경보이력 관리와 경보보고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오류발생시 일어날수 있는 처리의 문제점과 시간지연을 막고 오류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시스템상의 이상상태 파악과 복구에 유용하도록 하는 한편, 시스템의 오류 관리에 있어 그 수행시간과 신뢰성을 최대화하여 전송장비의 오류관리에 적합하도록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PROCESSING APPLIANCE FOR ERROR INFORMATION OF OPTICAL TRANSMISSION EQUIPMENT}
본 발명은 전송장비의 오류발생시 이를 관리 시스템상의 이력으로 기록하고 저장한 후 보고를 수행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오류발생시 일어날수 있는 처리의 문제점과 시간지연을 막고 오류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시스템상의 이상상태 파악과 복구에 유용하도록 하는 한편, 시스템의 오류 관리에 있어 그 수행시간과 신뢰성을 최대화하여 전송장비의 오류관리에 적합하도록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155.520Mbps 시스템의 프레임은 9*270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처음 9*9 바이트는 섹션오버헤드(section overhead), 나머지는 패스오버헤드(path overhead) 및 유료부하(payloa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섹션오버헤드는 프레임 동기신호, 경로 에러 패리티, 신호 식별자, 패스오버헤드의 위치 등을 나타내며, 상기 패스오버헤드는 패스의 상태 및 위치, 패스 에러 패리티 등을 전송하는 부분이고, 유료부하는 150Mbps의 정보를 보내는 부분이다.
섹션오버헤드는 3*9바이트의 중계기 구간 오버헤드, 1*9바이트의 포인트, 5*9바이트의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계기 오버헤드의 D1∼D3바이트는 중계기 구간의 데이타 통신 채널로 본국(COT)과 지국(RT)간의 통신을 HDLC(High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로 수행한다.
이러한 HDLC 프로토콜에 있어서 지국은 본국에 통신 허가를 요구하고, 본국에서 통신허가가 있으면 프레임을 전송한다.
그러나, 다른 지국이 본국으로 프레임을 전송하고 있을 때에는 본국은 프레임 송신을 불허하므로 지국은 현재 전송하고 있는 프레임 전송을 종료한 후 본국으로 부터 프레임 전송을 허가할 때까지 대기한다.
즉,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네트워크 장치(NE; Network Element)로 부터 전송되는 오류 정보를 제어하는 장치를 네트워크 관리장치(NMS; Network Management System)라고 하며, 각 네트워크 장치(NE)로 부터 보내오는 경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에 보내주는 장치를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장치(GNE; Gateway Network Element)라고 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의 경보 발생시 이를 관리시스템상의 이력으로 기록하고 저장한 후 보고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각 네트워크 장치(NE)에서는 수집된 경보데이타를 가지고 경보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경보이력을 기록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이를 네트워크를 감시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에 송출한다.
이때, 각 전송장비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거나 그 역의 과정을 수행하는 STM-1 광 신호 유니트와, 다중화 또는 그 역의 과정을 수행하여 채널 유니트와 연결되는 멀티플렉싱 유니트(TSI; Time Slot Interchang), 각 유니트에 필요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니트, 각 신호에 대한 동작상태를 내부 CPU에 의해 제어하는 주 제어유니트, 교환기와 신호를 주고 받으며 가입자에게 통화로를 제공하는 채널 유니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 제어유니트는 각 유니트 및 시스템의 경보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인터페이스부(CIT; Craft Interface Terminal)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자동 보고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보고를 통해 본국에서는 지국들의 경보정보를 받아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CIT)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제어장치 통신부(1)를 통해 각 네트워크 장치(NE)에서 수집된 경보데이타를 전송시 경보이력 관리 및 경보발생 보고부(4)는 상기의 경보데이타를 사용자관리부(5)와 트랜잭션 랭귀지부(transaction language)(6)를 통해 관리하는 한편, 232C 통신부(2) 및 X.25 통신부(3)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와 통신하여 각 네트워크 장치(NE)에서 수집된 경보데이타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경보는 등급에 따라 긴급(CR; critical), 주요(MJ; major), 일반(MN; minor) 경보로 분류되며, 등급에 관계없이 이력에 기록되는 한편,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보고되어 운영자가 알수 있도록 하며, 누적된 경보이력은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보여줄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에 보고되는 경보정보는 데이타 통신채널(DCC)을 점유하는 순서대로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전송장비에서 경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각 네트워크 장치(NE)에 통신허가를 요구할 때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에서 통신허가가 있으면 프레임을 전송하게 되는 바, 이때 다른 네트워크 장치(NE)가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프레임을 전송하고 있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는 프레임 송신을 불허하는 한편, 현재 전송되고 있는 프레임의 전송을 종료시키게 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에서 프레임 전송을 허가할때까지 대기하고 순번대로 점유하므로, 중요도(severity)가 높은 경보가 발생해도 데이타 통신채널(DCC)이 사용중일때에는 그 채널이 해방되어 프레임을 전송할수 있을 때까지 대기하여야 하고, 이에따라 중요도가 높은 경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수 없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더불어, 전송장비와 네트워크 관리장치(NMS) 사이의 통신에 문제가 생긴 경우나 네트워크 관리장치(NMS) 자체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경보 메세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 없는 상태에서 다음 프레임 전송 요구를 받아들이도록 하므로서, 경보메세지에 대한 정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많은 양의 경보메세지가 한꺼번에 생길 경우에는 경보처리장치의 메모리가 부족하여 시간상의 지연이 발생되고 이러한 지연으로 부터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의 경보 보고과정도 동시에 지연되어 그 경보에 대한 대처가 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경보이력의 기록과정과 경보의 발생을 알리는 과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질수 있고, 정확하지 않은 경보 이력이 기록되거나 경보 발생상태 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생길수 있을뿐만 아니라 운용자가 정확한 경보정보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긴급한 정보를 실시간에 받지 못하여 적절한 오류 감시 및 제어를 보장할수 없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보의 정보관리를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경보이력 관리와 경보보고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오류발생시 일어날수 있는 처리의 문제점과 시간지연을 막고 오류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시스템상의 이상상태 파악과 복구에 유용하도록 하는 한편, 시스템의 오류 관리에 있어 그 수행시간과 신뢰성을 최대화하여 전송장비의 오류관리에 적합하도록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경보이력 테이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경보발생 테이블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주 제어장치 통신부2...232C 통신부
3...X.25 통신부 4...경보 이력관리 및 경보 발생 보고부
5...사용자 관리부6...트랜잭션 랭귀지부
10...경보이력 관리부20...경보 처리부
100...오류이력기록수단200...경고 보고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는,
주 제어유니트로 부터 수집된 각 유니트 및 시스템의 경보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자동 보고하는 인터페이스부에 있어서,
주 제어장치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경보 정보의 이력을 관리한 후 이를 처리하는 오류이력기록수단과;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과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되,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으로 부터 처리된 경보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보고하는 경보보고부;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은 경보의 이력을 관리하면서 그 경보이력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제공하는 경보이력관리부와, 상기 경보이력관리부로 부터 관리된 경보정보를 처리하는 경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보이력관리부는 경보의 이력에 따른 정보의 발생(occurreence), 복구(recovery), 경보의 위치(location), 경보의 형태(reason type), 발생시간(time), 복구시간, 중요도(severity) 등을 관리하는 경보이력테이블과, 상기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경보 발생정보를 가지고 등록할 위치를 기록하는경보발생테이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보처리부는 경보이력테이블에 기록된 경보발생정보와 경보복구정보의 등록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경보발생테이블에 기록된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경보발생정보를 가지고 등록할 위치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경보이력 테이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경보발생 테이블의 상태도 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 제어유니트로 부터 수집된 각 유니트 및 시스템의 경보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자동 보고하는 인터페이스부에 있어서,
주 제어장치 통신부(1)를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경보 정보의 이력을 관리한 후 이를 처리하는 오류이력기록수단(100)과;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100)과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되,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100)으로 부터 처리된 경보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보고하는 경보보고부(200);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100)은 경보의 이력을 관리하면서 그 경보이력정보를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제공하는 경보이력관리부(10)와, 상기 경보이력관리부(10)로 부터 관리된 경보정보를 처리하는 경보처리부(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경보이력관리부(10)는, 경보의 이력에 따른 정보의 발생(occurreence), 복구(recovery), 경보의 위치(location), 경보의 형태(reason type), 발생시간(time), 복구시간, 중요도(severity) 등을 관리하는 경보이력테이블과, 상기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경보 발생정보를 가지고 등록(registration)할 위치를 기록하는 경보발생테이블을 구성하였다.
상기 경보처리부(20)는 경보이력테이블에 기록된 경보발생정보와 경보복구정보의 등록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경보발생테이블에 기록된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경보발생정보를 가지고 등록할 위치를 저장하도록 하였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경보처리부(20)에는 경보데이타 정보를 포함한 HDLC프레임의 작성과 HDLC프레임에서 D1∼D3 바이트의 작성 및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D1∼D3 바이트 처리부와, 데이타 통신채널(DCC)이 사용중일 때 네트워크 장치(NE) 재생기 구간에서 오버헤드 바이트의 예비바이트(Z1)를 이용하고 경보의 출력요구를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에 전송하는 Z1바이트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는 경보의 출력요구에 대해 Z1바이트의 작성 및 출력과 전송된 Z1바이트의 분석 등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 제어장치 통신부(1)를 통해 경보정보가 인터페이스부로 전송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오류이력기록수단(100)에 포함된 경보이력관리부(10)에서는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경보이력을 제공된다.
즉, 상기 경보이력관리부(10)는 경보보고부(200)와는 상호 독립적으로 그 동작이 이루어지며서 상기 경보보고부(200)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의 경보 보고 과정과는 별개로 진행되는 바,
이는 경보이력의 제공과 경보 정보의 보고 과정을 좀더 신속하게 처리하고 모든 경보정보에 대한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의 보고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보이력관리부(10)에 포함된 경보이력테이블은 정보의 발생(occurreence), 복구(recovery), 경보의 위치(location), 경보의 형태(reason type), 발생시간(time), 복구시간, 중요도(severity) 등을 관리하고, 경보발생테이블에서는 상기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경보 발생정보를 가지고 등록할 위치를 기록하게 되는 바,
상기 경보발생정보를 가지고 도 3에 도시된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각 이력정보의 그 경보발생 위치를 등록하는 한편, 경보발생테이블의 등록위치에 등록하여 둔다.
또한, 경보가 복구되었을 때 그 결과로 경보복구정보를 받은 후 이를 경보발생테이블의 등록위치를 참고하여 해당하는 경보이력테이블상의 위치에 경보복구정보를 등록하여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경보가 복구되었을 때 경보복구 정보가 등록될 경보이력테이블상의 위치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수 있을뿐만 아니라 경보복구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수행하는 시간도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NE)로 부터 데이타 통신채널(DCC)에 의해 경보 송신중에 다른 네트워크 장치(NE)에서 경보가 발생하면, 상대적으로 경보가 늦게 발생한 네트워크 장치(NE)는 데이타 통신채널(DCC)의 사용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중이 아니면 데이타 통신채널(DCC)을 통해 경보를 중요도 순서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의 데이타 통신채널(DCC)이 사용중이면 예비바이트(Z1)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장치(GNE)를 이용하여 경보의 중요도를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는 경보 중요도의 비교 부분에서 식별된 수신경보의 중요도와 에비바이트(Z1)를 이용하여 전송된 경보의 중요도를 비교한 후, 상기 예비바이트(Z1)를 이용하여 전송된 경보의 중요도가 클 때 현재 경보를 전송중인 네트워크 장치(NE)의 경보 전송을 정지시키고, 예비바이트(Z1)를 이용하여 경보의 중요도를 전송한 네트워크 장치(NE)의 경보전성을 받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예비바이트(Z1)를 이용하여 전송된 경보의 중요도가 현재 경보를 전송중인 네트워크 장치(NE)의 중요도보다 작으면 계속해서 현재 경보를 전송중인 네트워크 장치(NE)의 경보를 전송 받도록 하고, 그 전송된 D1∼D3 바이트의 데이타로 부터 HDLC프레임을 복구한 후 해당 HDLC프레임에 포함된 경보 데이타를 네트워크 관리장치(NMS)에 입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NE)가 경보를 전송중이라도 다른 네트워크 장치(NE)에 중요도가 높은 경보가 발생하면, 중요도가 큰 경보를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관리장치(NMS)로 전송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우선적으로 경보를 전송하던 네트워크 장치(NE)의 경보전송이 종료되거나 전송할 경보의 중요도가 먼저 경보를 전송하던 네트워크 장치(NE)의 전송이 중지된 경보의 중요도보다 낮으면 먼저 경보의 전송을 재개하므로서, 다른 네트워크 장치(NE)에서 발생한 높은 중요도의 경보 우선 전송이 완료되면 경보전송을 정지한 네트워크 장치(NE)는 경보의 전송을 재개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경보의 정보관리를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경보이력 관리와 경보보고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오류발생시 일어날수 있는 처리의 문제점과 시간지연을 막고 오류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시스템상의 이상상태 파악과 복구에 유용하도록 하는 한편, 시스템의 오류 관리에 있어 그 수행시간과 신뢰성을 최대화하여 전송장비의 오류관리가 적합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주 제어유니트로 부터 수집된 각 유니트 및 시스템의 경보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자동 보고하는 인터페이스부에 있어서,
    주 제어장치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경보 정보의 이력을 관리한 후 이를 처리하는 오류이력기록수단과;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과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되,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으로 부터 처리된 경보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보고하는 경보보고부;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이력기록수단은,
    경보의 이력을 관리하면서 그 경보이력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제공하는 경보이력관리부와, 상기 경보이력관리부로 부터 관리된 경보정보를 처리하는 경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이력관리부는,
    경보의 이력에 따른 정보의 발생(occurreence), 복구(recovery), 경보의 위치(location), 경보의 형태(reason type), 발생시간(time), 복구시간, 중요도(severity) 등을 관리하는 경보이력테이블과, 상기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경보 발생정보를 가지고 등록할 위치를 기록하는 경보발생테이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처리부는,
    경보이력테이블에 기록된 경보발생정보와 경보복구정보의 등록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경보발생테이블에 기록된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경보발생정보를 가지고 등록할 위치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경보 복구 정보의 등록은,
    경보발생정보를 가지고 경보이력테이블상의 각 이력정보의 위치에 등록하고, 경보발생테이블의 등록위치에 등록하며, 경보가 복구되었을 때 그 결과로 경보복구 정보를 받아서 경보발생테이블의 등록위치를 참고하여 해당하는 경보이력테이블상의 위치에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경보이력의 저장은 경보정보의 보고와는 독립적으로 하여 경보이력테이블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장치의 경보 전송은, 경보이력테이블로 부터 경보의 중요도를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경보의 처리는,
    네트워크 관리장치가 데이타 통신채널을 통해 경보의 전송을 받고 있을 때 데이타 통신 채널이 아닌 예비바이트를 이용하여 경보의 중요도를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경보의 처리는,
    후에 전송된 예비바이트를 사용하여 전송된 경보의 중요도가 먼저 전송된 데이타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된 경보의 중요도보다 클 경우 후에 전송된 높은 중요도의 경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하고, 후에 전송된 예비바이트를 사용하여 전송된 경보의 중요도가 먼저 전송된 데이타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된 경보의 중요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후에 전송된 경보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KR1020000070728A 2000-11-25 2000-11-25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KR20020041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728A KR20020041015A (ko) 2000-11-25 2000-11-25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728A KR20020041015A (ko) 2000-11-25 2000-11-25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015A true KR20020041015A (ko) 2002-06-01

Family

ID=1970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728A KR20020041015A (ko) 2000-11-25 2000-11-25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039A (ko) * 2002-11-20 200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송 장치에서 폴링방식의 성능값 이력 수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039A (ko) * 2002-11-20 200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송 장치에서 폴링방식의 성능값 이력 수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20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fault loca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2568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mobile communication data
CA2470456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hysteresis in network management systems
AU623444B2 (en) A token ring communication loop
JPH098804A (ja) 端末管理方法及び管理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3524997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モニター方法及びモニター
US6128284A (en) SDH-communication-network/already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monitoring and integra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KR20020041015A (ko) 광 전송 장비의 오류 정보 처리장치
JPH11205346A (ja) 遠隔保守管理システム
US5796955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firmation of association on an application layer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between on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facing communication and a loop carrier system using the method
KR20080063921A (ko) 장애 관리 시스템에서 알람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0273964B1 (ko) 개인 휴대통신 시스템에서 터레스트리얼 회로의 링크별 상태 보고 방법
KR100254199B1 (ko) 상위 시스템으로의 데이터 전송 및 저장 방법
KR100228317B1 (ko) 비동기 광단국시스템의 감시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61263350A (ja) 通信回線障害自動通知方式
JP2922364B2 (ja) パケット交換システム
KR100198428B1 (ko) 10gbps 동기식 전송 장치에서의 성능 임계치 객체 관리 방법
JPH10336177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ヘルスチェック方式
JP4090759B2 (ja) マネージャ−エージェ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エージェント装置及びマネージャ−エージェ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の状態整合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287103B1 (ko) 교환기에서 과금수집 불가시 과금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75530B1 (ko) 통신관리망 시스템에 의한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상태 관리 방법
KR200306102Y1 (ko) 교환기의 과금유실 방지장치
KR100366541B1 (ko)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ass-t 구간별 신호링크경로 테스트 방법
KR100241693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KR100194628B1 (ko) 동기식 전송망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