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181B1 -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181B1
KR100223181B1 KR1019960056718A KR19960056718A KR100223181B1 KR 100223181 B1 KR100223181 B1 KR 100223181B1 KR 1019960056718 A KR1019960056718 A KR 1019960056718A KR 19960056718 A KR19960056718 A KR 19960056718A KR 100223181 B1 KR100223181 B1 KR 10022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udent
teaching
rea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901A (ko
Inventor
최희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1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원격교육시스템상에서 원격교육중 각 학생측 단말의 시스템상에 발생하는 장애 내지 망의 트래픽상황 등을 교수측 단말이 실시간적으로 감시하여 원활한 원격교육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망관리프로토콜인 SNMP를 사용하여 교수측 단말에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연결된 각 학생측 단말의 시스템상태 및 트래픽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장애발생시 이를 교수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NMP의 망관리프로토콜에 의해 교수와 학생들간의 대화가 가능토록 하여 원격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본 발명은 원격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교육서비스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교수와 학생들간의 대화식 교육서비스를 확실하게 제공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되어 가면서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상대방의 얼굴을 마주하며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화상통신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가 발전하고 있다. 그중 원격교육시스템은 학생이 학원에 직접 수강하여 교실에서 강의를 듣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러 지역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학생들과 교수를 상호 연결하여 교수의 강의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한다.
하지만, 종래의 원격교육시스템은 교수와 학생간에 대화를 할 수 없다. 그래서, 원격교육환경에서 교육을 하는 도중 여러 가지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예를 들면, 통신망에서 송수신되는 메세지 즉, 트래픽(traffic)이 지나치게 높다거나 학생측 단말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 대해 교수측 단말에서 전혀 알 수 없다. 이로 인하여 학생측 단말 내지 망에 대한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일방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망관리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교수측 단말에서 학생측 단말들의 시스템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원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시스템의 관리정보베이스(MIB)에 추가되는 감시정보자료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1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6~18 : 관리정보베이스(MIB) 12 : 교수단말
13~15 : 학생단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은 교수와 학생들 사이에 원격강의가 가능하도록 망관리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원격교육스템에 있어서, 감시정보자료가 정의된 관리정보베이스(MIB)를 내장하며, 상기 감시정보자료에 근거하여 실시간으로 각 학생측 단말들로 단말들의 시스템상태 및 연결망 상태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각 학생측 단말들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교수측 단말 및 상기 감시정보자료가 정의된 관리정보베이스를 내장하며, 상기 교수측 단말로부터 시스템상태 및 연결망상태에 대한 요청을 수신받으면 상기 감시정보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교수측 단말로 송신하는 다수의 학생측 단말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교수단말(12)과 다수의 학생단말(13~15)을 구비하며, 단말들(12~15)에는 망관리프로토콜을 통해 관리할 수 있는 정보들이 등록되어 있으며 학생단말들(13~15)에 대한 감시정보자료를 추가로 정의하고 있는 관리정보베이스 (Management Information Base ; MIB)(11)(16~18)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교수단말(12)과 학생단말들(13~15) 사이에는 인터넷(Internet) 또는 여러 지역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Network) 등의 망을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교수단말(12)과 학생단말들(13~15) 각각에는 현재 범용화된 망관리프로토콜인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SNMP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가 정의되어 있는 관리정보베이스(MIB)(11)(16~18)가 마련되어 있다. 관리정보베이스(MIB)(11)(16~18)상에는 교수단말912)이 학생단말들(13~15)의 시스템상태 내지 망의 트래픽상태 등을 감시할 수 있는 도 2 구조의 감시정보자료가 추가로 정의된다. 도 2를 보면, 감시정보자료리스트상에는 다수의 학생단말(13~15) 각각에 대한 학생이름 또는 번호 등의 아이디(ID)를 나타내는 식별정보(identification), 그 학생단말의 시스템위치(system location), 시스템상태 그리고 그 학생단말과의 연결망에 대한 트래픽(traffic)상태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교수단말(12)의 관리정보베이스(MIB)(11)와 학생단말들(13~15)의 관리정보베이스(MIB)(11)(16~18)는 동일하며, 교수단말(12)내의 프로세서(Manager processor)와 각 학생단말들(13~15) 내의 프로세서(Agent processor)가 실시간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3에서 교수단말(12)에서는 강의시작상태에서 관리정보베이스(MIB)(11)에 정의되어 있는 감시정보자료에 근거하여 첫 번째 학생단말(13)에 시스템상태 등을 요청한다(단계 301). 학생단말(13)에서는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교수단말(12)의 요청에 응답을 한다. 교수단말(12)은 요청에 대한 첫 번째 학생단말(13)의 시스템상태응답이 있는 지를 체크하여(단계 302), 응답이 없으면 재시도를 한다(단계 303). 교수단말(12)은 재시도결과 시스템상태응답이 있는 지를 재체크하여(단계 304), 응답이 없으면 첫 번째 학생단말(13)의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여 강의를 받을 수 없는 상태임을 교수가 알수 있도록 화면현시 등을 통해 통지(notify)해준다(단계 305). 그런 다음, 두 번째 학생단말(14)과 세 번째 학생단말(15)에 대해서도 차례로 각각 단계 301부터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단계 306). 이 때 교수단말(12)측의 프로세서(Manager processor)에서 강의종료상태인지를 체크하여(단계 307), 강의종료상태이면 그대로 단계를 종료하고 아직 강의상태이면 단계 301부터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단계 302에서, 시스템상태응답이 있으면 교수단말(12)은 그 학생단말에 대해 원활한 원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하여 단계 306을 수행한다. 또한, 단계 304에서 재시도결과에 의해 시스템상태응답이 있으면 교수단말(12)은 그 학생단말에 대해 원활한 원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하여 단계 306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학생단말들(13~15)에 장애가 발생하여 시스템상태응답을 못하고 있다가 차후 학생단말들(13~15)에서 장애가 복구되면 학생단말들(13~15)측의 프로세서에서 교수단말(12)측의 프로세서로 자신의 상태가 정상임을 알리는 통지를 할 수 있다.
위의 단계 수행을 통해 교수가 즉각적으로 학생단말들에 대한 시스템상태를 감지하여 원활한 원격교육이 실시간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SNMP 등의 망관리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교수단말과 학생단말들간에 대화가 가능토록 하여 원격교육 중 여러 가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해 감시할 수 있어 실시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7)

  1. 교수와 학생들 사이에 원격강의가 가능하도록 망관리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원격교육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정보자료가 정의된 관리정보베이스(MIB)를 내장하며, 상기 감시정보자료에 근거하여 실시간으로 각 학생측 단말들로 단말들의 시스템상태 및 연결망상태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각 학생측 단말들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교수측 단말 ; 및
    상기 감시정보자료가 정의된 관리정보베이스를 내장하며, 상기 교수측 단말로부터 시스템상태 및 연결망상태에 대한 요청을 수신받으면 상기 감시정보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교수측 단말로 송신하는 다수의 학생측 단말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학생측 단말에 대한 시스템상태 및 연결망상태의 감시가 가능한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베이스(MIB)의 감시정보자료는 다수의 학생측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 각 학생측 단말의 시스템위치, 시스템상태 및 각 학생측 단말과의 연결망에 대한 트래픽(traffic)상태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측 단말과 상기 다수의 학생측 단말 사이에는 인터넷 또는 여러지역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프로토콜은 인터넷상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측 단말은 강의시작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다수의 각 학생측 단말에 차례로 시스템상태와 연결망상태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학생측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송신되는 응답이 없으면, 다시 요청을 하고 재응답이 없으면 그 학생측 단말에 시스템장애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여 이를 교수가 알 수 있도록 교수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생측 단말은 정상상태에서 상기 교수측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른 응답을 상기 교수측 단말로 송신하고, 시스템장애 상태에서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상기 교수측 단말로 송신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생측 단말은 시스템장애가 복구되면 상기 교수측 단말로 자신의 시스템이 정상상태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교육시스템.
KR1019960056718A 1996-11-22 1996-11-22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KR10022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718A KR100223181B1 (ko) 1996-11-22 1996-11-22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718A KR100223181B1 (ko) 1996-11-22 1996-11-22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901A KR19980037901A (ko) 1998-08-05
KR100223181B1 true KR100223181B1 (ko) 1999-10-15

Family

ID=1948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718A KR100223181B1 (ko) 1996-11-22 1996-11-22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996A (ko) * 1999-11-09 2001-06-05 신창훈 다중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US6381444B1 (en) * 2000-07-12 2002-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multimedia virtual classes requiring small online network bandwidth
KR20020006884A (ko) * 2000-07-14 2002-01-26 정명식 인터넷을 통한 상호작용방식 원격 논문지도 시스템 및 방법
KR100756365B1 (ko) * 2004-04-01 2007-09-10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수업 및 학사업무를 겸비한 인터넷 교육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90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0082B2 (ja) 管理システムのモニタと制御
EP1705912B1 (en) Method for displaying conference information in video conference system
JPH0795552A (ja) テレビ会議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CN112738448A (zh) 一种基于e1专线的mcu切换系统及其通信方法
KR100223181B1 (ko) 실시간원격교육시스템
CN105657335A (zh) 一种校车安全监管系统及应用方法
CN1076910C (zh) 多主站监控系统
US5996094A (en)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mmunications system
US7417663B2 (en) Videoconferencing service system, videoconferencing service operating method and service center
CN108334295B (zh) 一种监控pc与拼接大屏操作与显示同步及分离方法
US6757357B1 (en) Failure response procedure and system
JPH0716056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および装置
CN100388781C (zh) 会议延时方法
JP3354620B2 (ja) Avネットワーク
JP2003077082A (ja) 緊急情報伝達システムと緊急情報伝達方法
CN112217850B (zh) 远程控制的处理方法、装置、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TWI754989B (zh) 遠端協助系統
US20070172043A1 (en) Ultimedia conference system
CN111866580B (zh) 一种基于h.239的辅流协商方法及终端设备
JP2003008778A (ja) インターネットマルチ通話システム
KR20000044317A (ko) 통신시스템의 서비스모듈 독립적 상태관리방법
JPH07203028A (ja) メンテナンス情報収集方式と、該方式を構成する保守センタ側端末装置及びユーザ側端末装置
JP3162196B2 (ja) 一斉同報通信の接続方法
CN116248160A (zh) 一种基于通信节点的网络快速通道构建方法
CN117319593A (zh) 视频会议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