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3095A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용백플레이트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용백플레이트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3095A
KR20000043095A KR1019980059405A KR19980059405A KR20000043095A KR 20000043095 A KR20000043095 A KR 20000043095A KR 1019980059405 A KR1019980059405 A KR 1019980059405A KR 19980059405 A KR19980059405 A KR 19980059405A KR 20000043095 A KR20000043095 A KR 2000004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coupling
main frame
dry unit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178B1 (ko
Inventor
강동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17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60Auxiliary feed or adjustment devices
    • B41J19/62Auxiliary feed or adjustment devices for back sp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2Key actions for specified purposes
    • B41J25/04Back sp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0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 B41J25/308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with print gap adjustment means on the printer frame, e.g. for rotation of an eccentric carriage guid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02Type-lever actu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02Type-lever actuating mechanisms
    • B41J7/04Levers mounted on fixed pivots
    • B41J7/16Type-head pivoted to or rotating on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37Back shooter

Landscapes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결합장치는, 메인프레임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 이 메인프레임 및 드라이유니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드라이유니트 프레임에 결합된 백플레이트; 및 이 백플레이트를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동롤러가 설치된 메인프레임과 드라이롤러가 설치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백플레이트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감광매체(10)에 소정 이미지를 현상하기 위한 현상유니트(20)와, 현상된 감광매체(10) 상에 잔류하는 액상 용매(이하 "캐리어"라 함)를 건조시키는 드라이유니트(30)와, 감광매체(10)에 현상된 이미지를 용지(S)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니트(40)가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유니트(30)는 감광매체(10)와 접촉 회전되면서 감광매체(10)에 잔류하는 캐리어를 흡수하는 드라이롤러(31)와, 이 드라이롤러(31)를 가열함으로써 드라이롤러(31)에 흡수된 캐리어를 증발시키는 히팅롤러(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감광매체(10)와 드라이롤러(31) 및 히팅롤러(32)는 인쇄 진행 중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구동되면서 상기 캐리어의 흡수 및 증발 작업을 수행하게 되지만, 장시간 인쇄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감광매체(10)와 드라이롤러(31) 및 히팅롤러(32) 모두를 서로 이격시켜 놓을 필요가 있다. 또한, 곧 인쇄를 개시하기 위한 인쇄대기 모드에서는 드라이롤러(31)가 감광매체(10)와 이격된 상태로 히팅롤러(32)와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드라이롤러(31)를 미리 예열시켜 놓음으로써 워밍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드라이유니트(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모드, 인쇄대기모드 및 정지모드에 따라 드라이롤러(31)와 히팅롤러(32)의 착탈위치가 일정한 간격의 범위 내에서만 변경 가능하다.
한편, 감광매체(10)는 구동롤러(12)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14)(16)에 감겨서 주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14)를 지나기 전에 대전기(18)에 의해 그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레이저 스캐닝유니트(22)에 의해 소망하는 인쇄 이미지에 따라 그 표면이 부분적으로 방전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현상유니트(30)로부터 분사되는 현상액에 의해 현상된 후 최종적으로 전사유니트(40)의 전사롤러(42)를 거쳐 용지(S)로 전사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 감광매체(10) 또는 드라이유니트(30)는 그것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드라이롤러(31)가 구동롤러(12)로부터 일정한 간격 이동된 상태 즉, 정지모드에서 주어진 간격만으로는 상기와 같은 수리 또는 교체작업을 할 수 없다. 또한, 드라이유니트(30)는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이격 작업은 드라이유니트(30) 전체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드라이롤러(31)를 구동롤러(12) 또는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사용상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감광매체의 교체나 드라이유니트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서는 상기 정지모드에서 유지되는 드라이롤러(31)와 감광매체(10) 사이의 간격보다 더 많은 간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8-44191호 및 제98-44192호를 통해 각각 수동 및 자동에 의해 메인프레임에 핸들을 설치하고, 그 핸들에 설치된 캠에 의해 드라이유니트 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장치들이 채용된 인쇄기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기에는 메인프레임과 드라이유니트 프레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인쇄기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한 백플레이트가 다수의 스크류에 의해 결합 설치된다. 그러나, 이 백플레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교체 및 수리작업을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들로부터 최우선적으로 분해해야 하며, 그러한 분해 작업이 빈번할 경우 상기 스크류의 결합 및 분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과 드라이유니트 프레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인쇄기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한 백플레이트의 메인프레임에 대한 결합이 원터치식으로 간편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주요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주요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백플레이트와 메인프레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백플레이트와 메인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백플레이트와 메인프레임이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감광매체 110...메인프레임 114...구동롤러
116...드라이롤러 118...히팅롤러 120...드라이유니트 프레임
130...백플레이트 132...핸들레버 설치부
141...손잡이 돌기 142...핸들레버 144...힌지샤프트
146...레버부재 148...결합핀 150...탄성편
152...탄성돌기 156...가이드핀 158...가이드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는, 메인프레임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및 드라이유니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유니트 프레임에 결합된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결합핀; 상기 백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핀에 회동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레버부재; 및 상기 힌지샤프트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백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된 핸들레버 설치부에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손잡이 돌기가 마련된 핸들레버;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는, 상기 핸들레버를 상기 백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고, 그 고정수단은: 상기 핸들레버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편; 상기 탄성편에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 및 상기 손잡이 돌기에 의해 상기 핸들레버가 회동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에 고정될 때, 상기 탄성편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탄성돌기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기 백플레이트가 결합될 때,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백플레이트의 결합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핀; 및 상기 백플레이트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핀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 본체에 해당되는 메인프레임(110)과, 이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과,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 결합된 백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30)와 메인프레임(110)을 결합시키기 위한 백플레이트 결합수단(140)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인쇄기 본체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무한궤도 상의 감광매체(112)가 감겨 주행되는 구동롤러(114)를 비롯한 미도시된 복수의 롤러들이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10) 하부에는 레일조립체(122)가 설치되어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레일조립체(122)의 접철에 의해 연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는 드라이롤러(116) 및 히팅롤러(118)가 장착되며, 그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은 레일조립체(122)에 의해 메인프레임(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는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 설치된 가이드핀(124)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판(124)이 설치된다.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는 이격판(126) 및 밀착판(128)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두 판(126)(128) 사이에는 캠부재(127)가 위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캠샤프트(129)에 의해 회전되면서 두 판(126)(128)에 접촉되어 밀어내기 때문에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밀착/이격 됨으로써, 드라이롤러(116)가 구동롤러(114)에 밀착/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10)에 대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의 밀착 간격은 약 12mm이고, 이격 간격은 약 3mm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이 밀착된 상태 즉, 상기 3mm는 인쇄대기 모드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구동롤러(114)에 대해 드라이롤러(116)가 약 3mm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쇄대기 모드에서 인쇄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드라이롤러(116)가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 설치된 미도시된 브라켓에 의해 회동되어 구동롤러(114)에 감긴 감광매체(112)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이 이격된 상태 즉, 상기 12mm는 인쇄기 본체가 작동하지 않는 소위, 수리모드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인쇄기에는 전원이 꺼져 작동되지 않고 다만, 감광매체(112)의 교체나 드라이유니트의 수리 등을 위해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 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약 12mm 정도의 간격에 의해 감광매체(112)의 교체를 위한 최소한의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는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가이드판(12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밀착/이격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도 2의 125)가 설치된다. 한편,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 장착된 드라이롤러(116)는 감광매체(112)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그 감광매체(112)에 잔존하는 캐리어를 흡수하고, 이 드라이롤러(116)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히팅롤러(1118)는 그 드라이롤러(116)를 가열하여 흡착된 캐리어를 증발시킨다.
상기 백플레이트(130)는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 결합된 것으로서, 드라이유니트에 설치된 드라이롤러(116)와 히팅롤러(118) 또는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구동롤러(114)와 같은 인쇄기 내부의 여러 가지 부품들을 보호하는 인쇄기의 측면 프레임 역할을 한다. 또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될 때,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과 함께 움직이도록 결합된다. 또한, 백플레이트(130) 일측에는 핸들레버(14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핸들레버 설치부(132)가 백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140)은 백플레이트(130)를 메인프레임(110)에 결합시킴으로써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힌지샤프트(144)와, 손잡이 돌기(141)가 마련된 핸들레버(142), 레버부재(146), 및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결합핀(148)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샤프트(144)는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 측의 백플레이트(130)에 설치되며, 백플레이트(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레버(142)는 백플레이트(130)에 형성된 핸들레버 설치부(138)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샤프트(144)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힌지샤프트(144) 양단에는 레버부재(146)가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핸들레버(142)를 회동 운동시키면 힌지샤프트(144)가 회전되고, 그 회전에 의해 양단의 레버부재(146)는 회동 운동되어 레버부재(146)에 형성된 결합홈(147)이 결합핀(148)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레버(142) 외부에 설치된 손잡이 돌기(141)는 사용자가 손잡이 돌기(141)를 잡고 핸들레버(142)를 힌지샤프트(144)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있어서, 결합핀(148)에 결합홈(147)이 결합됨과 동시에 핸들레버(142)를 백플레이트(130)에 고정시켜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고정수단으로서, 핸들레버(142)의 양측에 탄성편(150)을 설치하고, 그 탄성편(150)에는 탄성돌기(152)를 돌출 형성하고, 핸들레버(142)가 회동되어 백플레이트(130)에 고정될 때, 탄성편(150)의 탄성변형에 의해 탄성돌기(152)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백플레이트(130)에는 고정홈(154)이 형성된다.
한편, 메인프레임(110)에 백플레이트(130)가 결합될 때, 메인프레임(110)에 대한 백플레이트(13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으로서, 백플레이트(130)의 일측에 가이드핀(156)을 설치하고, 백플레이트(130)가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될 때 가이드핀(156)이 슬라이딩되면서 백플레이트(13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에는 가이드공(15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핀(156)은 가이드공(158)에 삽입되면서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테이퍼 형상을 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레버(142)는 백플레이트(130)와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백플레이트 결합수단(140)에 의해 레버부재(146)에 형성된 결합홈(147)이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결합핀(148)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146)의 결합홈(147)과 결합핀(148)의 결합은 백플레이트(130)에 의해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 돌기(141)를 사용자가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잡고 핸들레버(142)를 당기게 되면,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고정홈(도 5의 154)에 결합된 단성돌기(152)가 탄성편(150)의 탄성변형에 의해 그 고정홈(154)으로부터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A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핸들레버(142)에 설치된 힌지샤프트(144)가 함께 회동된다. 따라서, 그 회동력은 레버부재(146)를 회동시키게 되고, 레버부재(146)에 형성된 결합홈(147)은 결합핀(148)으로부터 빠져 나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으로부터 백플레이트(130)의 결합을 해제하는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드라이유니트나 인쇄기 본체의 수리나 그 내부의 부품의 교체가 끝난 상태에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에 백플레이트(130)를 결합한 후, 사용자가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120)과 백플레이트(130)를 밀어 레버부재(146)를 메인프레임(110) 측으로 접근시킨 후, 핸들레버(142)를 도면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그 핸들레버(142)와 함께 힌지샤프트(144)가 회동되고, 그 회동력은 레버부재(146)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레버부재(146)에 형성된 결합홈(147)이 결합핀(148)에 끼워져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편(150)이 판성변형됨으로써 탄성돌기(152)가 고정홈(154)에 결합되게 되고, 가이드핀(156)은 가이드공(158)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메인프레임(110)에 백플레이트(13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 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감광매체와 같은 인쇄기 본체의 부품 또는 드라이롤러 및 히팅롤러와 같은 드라이유니트의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시, 최우선적으로 백플레이트를 인쇄기 본체로부터 분해하는 작업을 힌지샤프트와, 레버부재, 핸들레버의 작동에 의해 쉽게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므로,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 결합 및 분해하는 것보다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다음과 같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메인프레임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유니트 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및 드라이유니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유니트 프레임에 결합된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결합핀;
    상기 백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핀에 회동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레버부재; 및
    상기 힌지샤프트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백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된 핸들레버 설치부에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손잡이 돌기가 마련된 핸들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를 상기 백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핸들레버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편;
    상기 탄성편에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 및
    상기 손잡이 돌기에 의해 상기 핸들레버가 회동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에 고정될 때, 상기 탄성편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탄성돌기가 탄성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기 백플레이트가 결합될 때,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백플레이트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핀; 및
    상기 백플레이트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핀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용 백플레이트 결합장치.
KR1019980059405A 1998-12-28 1998-12-28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드라이유니트용백플레이트결합장치 KR100343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405A KR100343178B1 (ko) 1998-12-28 1998-12-28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드라이유니트용백플레이트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405A KR100343178B1 (ko) 1998-12-28 1998-12-28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드라이유니트용백플레이트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095A true KR20000043095A (ko) 2000-07-15
KR100343178B1 KR100343178B1 (ko) 2002-09-18

Family

ID=1956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405A KR100343178B1 (ko) 1998-12-28 1998-12-28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드라이유니트용백플레이트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1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364A (en) * 1980-01-24 1981-08-20 Ricoh Co Ltd Fixing and drying device in wet type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H01248167A (ja) * 1988-03-30 1989-10-03 Copal Electron Co Ltd 湿式現像方式の画像形成装置
JPH05224476A (ja) * 1991-12-20 1993-09-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178B1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5835A (en) Fixing unit having press roller opening/closing mechanisms
KR10034317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드라이유니트용백플레이트결합장치
JPH064001A (ja) プリンタの定着装置
JP2000172122A (ja) 印刷機の感光ベルト張力調節装置
KR10033875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 결합장치
JP2007156276A (ja)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032722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 이동장치
KR100370200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 외관 도어 결합장치
JPS61254956A (ja) 現像器支持装置
KR10032722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 이동장치
KR100311011B1 (ko) 습식 프린터의 드라이 유니트 장치
JP2828533B2 (ja) 転写ベルトの着脱機構
KR20080077510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벨트 클리닝 유닛
KR200253159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
KR20090013853A (ko) 인쇄매체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H0394286A (ja) 加圧装置
KR100252097B1 (ko) 프린팅기기의 캐리어 증발장치
KR100382643B1 (ko)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KR10031102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 힘 구속장치
KR100338727B1 (ko) 인쇄기기의대전기지지장치
KR19990004966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385972B1 (ko) 프린터의 전사유닛 클리닝장치
JPH0648525Y2 (ja) 定着ローラ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00006670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
KR10031102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히팅 롤러 클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