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2210A -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2210A
KR20000042210A KR1019980058320A KR19980058320A KR20000042210A KR 20000042210 A KR20000042210 A KR 20000042210A KR 1019980058320 A KR1019980058320 A KR 1019980058320A KR 19980058320 A KR19980058320 A KR 19980058320A KR 20000042210 A KR20000042210 A KR 20000042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coating material
far
fabric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8046B1 (ko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KR1019980058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0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유성 또는 수성접착제에 적정량 혼합시켜서 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각종 의류나 방석,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 전체 또는 일측면에만 요철 형태로 도포 고착하여 이 섬유원단으로 제조된 각종 의류나 방석 및 시트등과 접촉되면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생약이 지닌 냄새로 인한 신선함 및 산소공급의 원할함을 통한 신선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유성 또는 수성접착제에 적정량 혼합시켜서 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각종 의류나 방석,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 전체에 도포시키거나 요철 형태로 도포시켜 이 섬유원단으로 제조된 각종 의류나 방석 및 시트등과 접촉되면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도록 하여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생약이 지닌 냄새로 인한 신선함 및 산소공급의 원할함을 통한 신선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원단으로 사용되는 각종 직물지는 제사, 방사, 연사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직물가공한 것으로, 각종 의류의 제조에 이용되는 직물지는 그 대부분 기계적 성능, 내구적 성능, 위생적 성능, 장식적 성능 및 감각적 성능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섬유원단은 채색과 각종 디자인을 통해 미려함을 유지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정전기로 인한 알레르기 피부질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없어 그로 인한 피해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황토 및 바이오 세라믹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이를 인체에 근접시킬 경우 세포의 생리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또 열에너지의 발생으로 인해 유해물질이 방출되어 광전(光電)효과가 있으며, 습도조절, 정화력 및 분해력이 발생되어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또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이란 빛으로써 일종의 전자파인데, 모든 물질은 절대온도 (-273℃=0℃K) 이상에서 열을 발생시키며 적외선을 방사한다.
또한, 원적외선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교하여 대기중의 미립자에 반사하거나 산란을 일으키는 일이 매우 적어 공기를 잘 투과하고 대상 물체에 흡수도 잘 되어 물체의 분자에 전기적 공진(共振)과 자기 발열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 황토 및 바이오 세라믹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침투력 분자의 진동에 의한 공명흡수 현상등으로 에너지 발생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에 따라,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다.
또한, 정화력과 분해력이 뛰어나 독성을 중화하고, 수면효과를 높이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와같은 황토나 바이오세라믹 등을 의류나 방석 및 시트등의 제저에 사용되는 섬유원단에 적용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유성 또는 수성접착제에 적정량 혼합시킨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각종 의류나 방석 및 시트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 전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그 표면에 요철 형태로 도포시켜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생약이 지닌 냄새 및 산소공급의 원할함을 통해 항상 신선한 주변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등의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속도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지 전체 또는 표면에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유성 또는 수성접착제에 적정량 혼합시켜서 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도포시켜 주는 도포부와;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부로 송풍시켜 주는 열풍 발생기와; 열풍 발생기로 부터 송풍되어 오는 열풍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건조시켜 섬유원단에 고착화시켜 주는 건조부와;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가 도포 및 건조 완료된 섬유원단을 권취시켜 주는 권취부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나 방석 또는 시트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에서 원적외선이 발생됨은 물론 생약이 지닌 냄새가 발생되므로,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촉진되어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생약이 지닌 냄새 및 산소공급의 원할함을 통해 항상 신선한 주변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 절취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중 도포부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원단 공급부 2 : 히팅로울러
3 : 도포부 4 : 건조부
5 : 열풍 발생기 6 : 권취부
7 : 가압 로울러 8 : 섬유원단
9 : 도포재 10 : 제어부
31 : 통체 32 : 전자변식 노즐
33 : 도포 로울러 41 : 사각함체형 몸체부
42,43 : 인입 및 인출구 44,61 : 아이들 로울러
45 : 온기 분배판 46 : 온기배출공
47 : 관체 연결구 51 : 흡입관
52 : 온기 배출관 53 : 보일러
54 : 블로워 62 : 권취로울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 절취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중 도포부의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갖는 롤 형태로 말려져 있는 섬유원단(8)을 회동 가능하게 재치시켜 선단부부터 차례로 공급시켜 주는 섬유원단 공급부(1)와;
상기 섬유원단 공급부(1)로 부터 공급되어 오는 섬유원단(8)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소를 열가압을 통해 눕혀주는 히팅로울러(2)와;
소정용적을 갖는 통체(31)와, 상기 통체(31)의 저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개폐되어 상기 통체(31)에 담겨진 도포재(9)를 일정량씩 배출시켜 주는 수개의 전자변식 노즐(32)을 구비하고 섬유원단 이송로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섬유원단(8)의 표면에 도포재(9)를 점형태로 배출시켜 주는 도포부(3)와;
"["자를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킨 형상의 사각함체형 몸체부(41) 양단부에 섬유원단(8) 인입 및 인출구(42)(43)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는 섬유원단의 평평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44)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이들 로울러(44)의 저부에는 수개의 온기배출공(46)을 구비한 온기 분배판(45)을 설치하고 하방부에는 열풍 발생기(5)의 온기 배출관(52)과 연결되는 관체 연결구(47)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도포부(3)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열풍 발생기(5)로 부터 송풍되어 오는 열풍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를 건조시켜 섬유원단(8)에 고착화하는 건조부(4)와;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흡입관(51)과, 본체부와 상기 건조부(4)의 관체 연결구(47) 사이에 설치되는 온기 배출관(52),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53)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블로워(54)를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부(4)내로 강제 송풍시켜 주는 열풍 발생기(5)와;
섬유원단(8)의 탄력조절수단과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61) 및 권취로울러(62)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부(4)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 완료된 섬유원단(8)을 권취시켜 주는 권취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에 따르면,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갖고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섬유원단(8)을 회동 가능하게 재치시켜 선단부부터 차례로 공급시켜 주는 섬유원단 공급부(1)와;
소정용적의 도포재(9)가 수납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통체(31)와, 상기 통체(31)내의 저부에 설치되는 도포 로울러(33)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31)내로 공급되는 섬유원단(8)의 전체에 도포재를 골구루 묻혀주는 도포부(3)와;
상기 도포부(3)를 통과하면서 무작위로 묻어진 도포재(9)가 섬유원단(8)의 상하면에서 일정두께를 갖도록 가압시키는 한쌍의 가압 로울러(7)와;
"["자를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킨 형상의 사각함체형 몸체부(41) 양단부에 섬유원단(8) 인입 및 인출구(42)(43)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는 섬유원단의 평평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44)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이들 로울러(44)의 저부에는 수개의 온기배출공(46)을 구비한 온기 분배판(45)을 설치하고 하방부에는 열풍 발생기(5)의 온기 배출관(52)과 연결되는 관체 연결구(47)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도포부(3)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열풍 발생기(5)로 부터 송풍되어 오는 열풍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를 건조시켜 섬유원단(8)의 상하면 전체에 고착화시키는 건조부(4)와;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흡입관(51)과, 본체부와 상기 건조부(4)의 관체 연결구(47) 사이에 설치되는 온기 배출관(52),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53)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블로워(54)를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부(4)내로 강제 송풍시켜 주는 열풍 발생기(5)와;
섬유원단(8)의 탄력조절수단과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61) 및 권취로울러(62)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부(4)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 완료된 섬유원단(8)을 롤 형태로 권취시켜 주는 권취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방법 중 일 실시예는, 섬유원단 공급부(1)로 부터 공급되는 섬유원단(8)상의 모소를 열 가압을 통해 눕혀주는 모소 눕힘공정과;
모소들이 눕혀진 상태에서 일정한 이동속도를 갖고 이동중인 섬유원단의 상면에 도포재(9)를 점형태로 도포시켜 주는 도포재 도포공정과;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방식을 통해 섬유원단(8)상에 점 형태로 도포된 도포재(9)를 건조, 고착화시키는 건조공정과;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되어 배출되는 섬유원단(8)을 권취시키는 권취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포재(9)는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유성 또는 수성접착제에 적정량씩 혼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섬유원단(8) 1야드당 유성 접착제 10ℓ에 황토 30g, 솔잎 15g, 쑥 15g, 바이오세라믹 30g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물 10ℓ에 수성 접착제 40g, 황토 30g, 솔잎 15g, 쑥 15g, 바이오세라믹 30g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방법 중 다른 실시예는, 섬유원단 공급부(1)로 부터 일정한 이동속도를 갖고 공급되는 섬유원단(8) 전체에 도포재(9)를 묻혀주는 도포공정과;
섬유원단(8)상에 무작위로 묻어진 도포재(9)를 일정압력으로 가압시켜 섬유원단(8)의 상하면에서 일정두께를 갖도록 하는 도포량 가압공정과;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방식을 통해 섬유원단(8)의 전체에 도포된 도포재(9)를 건조, 고착화시키는 건조공정과;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되어 배출되는 섬유원단(8)을 롤 형태로 권취시키는 권취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도포재(9)는 섬유원단(8) 1야드당 유성 접착제 20ℓ에 황토 60g, 솔잎 30g, 쑥 30g, 바이오세라믹 60g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거나, 물 20ℓ에 수성 접착제 80g, 황토 60g, 솔잎 30g, 쑥 30g, 바이오세라믹 60g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그 첫째는 섬유원단(8)의 표면에만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유성 또는 수성접착제에 적정량씩 혼합시켜 된 도포재(9)를 점 형태로 도포시키는 것이고, 둘째는 섬유원단 전체에 도포재(9)를 일정두께로 도포시키는 것이다.
첫번째 실시예의 경우 섬유원단(8)의 표면에 도포재(9)를 점 형태로 도포시키기 위해서 도포부(3)를 소정용적의 통체(31)와, 상기 통체(31)의 저부에 수개의 전자변식 노즐(32)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통상의 섬유원단(8)상에는 모소들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와같이 모소가 존재하는 섬유원단(8)상에 도포재(9)를 점 형태로 도포할 경우 모든 섬유원단(8)상에 형성되어 있는 모소들에 의해 점 형상이 그데로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섬유원단 공급부(1)와 도포부(3) 사이에 히팅로울러(2)를 설치하여 상기 섬유원단 공급부(1)로 부터 공급되어 오는 섬유원단(8)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소를 열가압을 통해 눕혀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두번째의 경우와 같이 섬유원단(8) 전체에 도포재(9)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섬유원단의 모소를 눕힐 필요가 없으므로 히팅로울러의 설치를 생략한다.
다만, 두번째 실시예의 경우는 첫번째 실시예와 달리 섬유원단(8) 전체에 도포재(9)가 도포될 수 있도록 그 자체가 도포부(3)의 통체(31)내에 잠기었다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비록 통체(31)내의 도포 로울러(33)에 의해 도포재(9)가 전체에 걸쳐 골구루 묻혔다할지라도 그 두께가 일정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도포부(3)와 건조부(4) 사이(즉, 도포부(3)의 배출부 상방)에 한쌍의 가압 로울러(7)를 설치하여 상기 도포부(3)를 통과하면서 무작위로 묻어진 도포재(9)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는 방식을 통해 짜내어 섬유원단(8)의 상하면에서 도포재(9)가 일정두께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도포부(3)의 통체(31) 저면에 설치된 전자변식 노즐(32)들은 소정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제어부(1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개폐되므로 일정속도로 이동중인 섬유원단(8)의 상면에 상기 통체(31)에 담겨진 도포재(9)가 일정량씩 배출되어 점형태를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에 있어서 첫번째의 경우는 도포재(9)를 섬유원단(8)에 점 형태로 도포시키는 것이므로 섬유원단(8) 1야드당 필요한 도포재(9)의 양은 유성 접착제 10ℓ에 황토 30g, 솔잎 15g, 쑥 15g, 바이오세라믹 30g의 비율로 혼합하거나, 물 10ℓ에 수성 접착제 40g, 황토 30g, 솔잎 15g, 쑥 15g, 바이오세라믹 30g의 비율로 혼합한 양이면 되고, 두번째의 경우는 섬유원단(8) 전체에 도포하는 것이나 이 경우 가압 로울러(7)를 통해 무작위로 묻어진 도포재(9)를 짜내어 섬유원단(8)의 상하면에서 일정두께로 도포되게 한 것으로 통상 첫번째의 경우 보다 두배의 양이면 된다.
즉, 섬유원단(8) 전체에 도포재(9)를 도포시키는 경우 섬유원단(8) 1야드당 필요한 도포재(9)의 양은, 유성 접착제 20ℓ에 황토 60g, 솔잎 30g, 쑥 30g, 바이오세라믹 60g의 비율로 혼합하거나, 물 20ℓ에 수성 접착제 80g, 황토 60g, 솔잎 30g, 쑥 30g, 바이오세라믹 60g의 비율로 혼합한 양이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점 형태 또는 전체에 걸쳐 도포된 도포재(9)는 아직 점성을 지닌 상태이므로 이를 섬유원단(8)상에 고착시키기 위하여 건조부(4)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부(4)는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서 모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자를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킨 형상을 갖고 그 양단부에는 섬유원단(8)이 입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인입 및 배출구(42)(43)가 형성된 사각함체형 몸체부(41) 내부에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44)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몸체부(41)내에서 이송중인 섬유원단(8)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또 상기 아이들 로울러(44)의 저부에는 수개의 온기배출공(46)을 구비한 온기 분배판(45)을 설치하여 열풍 발생기(5)로 부터 불어오는 열풍이 상기 온기 분출판(45)의 온기배출공(46)을 통해 몸체부(41)내에 골구루 공급되어 섬유원단(8)상의 도포재(9)가 잘 건조될 수 있도록 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41)의 저부에는 관체 연결구(47)를 설치하여 열풍 발생기(5)의 온기 배출관(52)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열풍 발생기(5) 역시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서 모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흡입관(51)과,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부(4)로 보내기 위한 온기 배출관(52),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53)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블로워(54)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같은 열풍 발생기(5)에서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부(4)내로 강제 송풍시킬시의 열풍은 약 90℃ - 110℃를 갖도록 하여 섬유원단(8)에 도포된 도포재(9)의 응고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권취부(6) 역시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서 모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 완료된 섬유원단(8)을 롤 형태로 권취시키기 위하여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섬유원단(8)이 계속해서 감겨짐에 따라 변화되는 지름 및 이동중 탄력의 변화에 부응하여 자동으로 탄력이 변화되는 탄력조절수단과,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61) 및 권취로울러(62)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포재(9)의 제작시 사용되는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 중 황토와 세라믹의 효능은 전술한 바와 같고, 솔잎은 살균력이 강하고 말초신경을 확장시켜 호르몬 분비를 높여주며,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신경통과 류마치스의 치료 및 심장을 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쑥은 타박상과 신경통, 관절통, 피부병, 황달 및 간장병 등의 치료효과는 물론, 지혈효과가 갔고, 또 손발이 저리거나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적정량 혼합하여 도포재로 사용하므로써 이 도포재가 도포된 섬유원단을 통해 이들에서 발생되는 효능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와 솔잎, 쑥 및 바이오세라믹을 유성 또는 수성접착제에 적정량 혼합시킨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각종 의류나 방석 및 시트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 전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그 표면에 요철 형태로 도포시켜 주므로써,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생약이 지닌 냄새 및 산소공급의 원할함을 통해 항상 신선한 주변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갖는 롤 형태로 말려져 있는 섬유원단(8)을 회동 가능하게 재치시켜 선단부부터 차례로 공급시켜 주는 섬유원단 공급부(1)와;
    상기 섬유원단 공급부(1)로 부터 공급되어 오는 섬유원단(8)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소를 열가압을 통해 눕혀주는 히팅로울러(2)와;
    소정용적을 갖는 통체(31)와, 상기 통체(31)의 저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개폐되어 상기 통체(31)에 담겨진 도포재(9)를 일정량씩 배출시켜 주는 수개의 전자변식 노즐(32)을 구비하고 섬유원단 이송로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섬유원단(8)의 표면에 도포재(9)를 점형태로 배출시켜 주는 도포부(3)와;
    사각함체형 몸체부(41) 양단부에 섬유원단(8) 인입 및 인출구(42)(43)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는 섬유원단의 평평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44)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이들 로울러(44)의 저부에는 수개의 온기배출공(46)을 구비한 온기 분배판(45)을 설치하고 하방부에는 열풍 발생기(5)의 온기 배출관(52)과 연결되는 관체 연결구(47)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도포부(3)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열풍 발생기(5)로 부터 송풍되어 오는 열풍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를 건조시켜 섬유원단(8)에 고착화하는 건조부(4)와;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흡입관(51)과, 본체부와 상기 건조부(4)의 관체 연결구(47) 사이에 설치되는 온기 배출관(52),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53)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블로워(54)를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부(4)내로 강제 송풍시켜 주는 열풍 발생기(5)와;
    섬유원단(8)의 탄력조절수단과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61) 및 권취로울러(62)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부(4)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 완료된 섬유원단(8)을 권취시켜 주는 권취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2.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갖고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섬유원단(8)을 회동 가능하게 재치시켜 선단부부터 차례로 공급시켜 주는 섬유원단 공급부(1)와;
    소정용적의 도포재(9)가 수납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통체(31)와, 상기 통체(31)내의 저부에 설치되는 도포 로울러(33)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31)내로 공급되는 섬유원단(8)의 전체에 도포재를 골구루 묻혀주는 도포부(3)와;
    상기 도포부(3)를 통과하면서 무작위로 묻어진 도포재(9)가 섬유원단(8)의 상하면에서 일정두께를 갖도록 가압시키는 한쌍의 가압 로울러(7)와;
    사각함체형 몸체부(41) 양단부에 섬유원단(8) 인입 및 인출구(42)(43)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는 섬유원단의 평평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44)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이들 로울러(44)의 저부에는 수개의 온기배출공(46)을 구비한 온기 분배판(45)을 설치하고 하방부에는 열풍 발생기(5)의 온기 배출관(52)과 연결되는 관체 연결구(47)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도포부(3)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열풍 발생기(5)로 부터 송풍되어 오는 열풍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를 건조시켜 섬유원단(8)의 상하면 전체에 고착화시키는 건조부(4)와;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흡입관(51)과, 본체부와 상기 건조부(4)의 관체 연결구(47) 사이에 설치되는 온기 배출관(52),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53)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블로워(54)를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부(4)내로 강제 송풍시켜 주는 열풍 발생기(5)와;
    섬유원단(8)의 탄력조절수단과 수개의 아이들 로울러(61) 및 권취로울러(62)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부(4)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 완료된 섬유원단(8)을 롤 형태로 권취시켜 주는 권취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3. 섬유원단 공급부(1)로 부터 공급되는 섬유원단(8)상의 모소를 열 가압을 통해 눕혀주는 모소 눕힘공정과;
    모소들이 눕혀진 상태에서 일정한 이동속도를 갖고 이동중인 섬유원단의 상면에 도포재(9)를 점형태로 도포시켜 주는 도포재 도포공정과;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방식을 통해 섬유원단(8)상에 점 형태로 도포된 도포재(9)를 건조, 고착화시키는 건조공정과;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되어 배출되는 섬유원단(8)을 권취시키는 권취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9)는 섬유원단(8) 1야드당 유성 접착제 10ℓ에 황토 30g, 솔잎 15g, 쑥 15g, 바이오세라믹 30g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9)는 섬유원단(8) 1야드당 물 10ℓ에 수성 접착제 40g, 황토 30g, 솔잎 15g, 쑥 15g, 바이오세라믹 30g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방법.
  6. 섬유원단 공급부(1)로 부터 일정한 이동속도를 갖고 공급되는 섬유원단(8) 전체에 도포재(9)를 묻혀주는 도포공정과;
    섬유원단(8)상에 무작위로 묻어진 도포재(9)를 일정압력으로 가압시켜 섬유원단(8)의 상하면에서 일정두께를 갖도록 하는 도포량 가압공정과;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방식을 통해 섬유원단(8)의 전체에 도포된 도포재(9)를 건조, 고착화시키는 건조공정과;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9)가 도포 및 건조되어 배출되는 섬유원단(8)을 롤 형태로 권취시키는 권취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9)는 섬유원단(8) 1야드당 유성 접착제 20ℓ에 황토 60g, 솔잎 30g, 쑥 30g, 바이오세라믹 60g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9)는 섬유원단(8) 1야드당 물 20ℓ에 수성 접착제 80g, 황토 60g, 솔잎 30g, 쑥 30g, 바이오세라믹 60g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방법.
KR1019980058320A 1998-12-24 1998-12-24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029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320A KR100298046B1 (ko) 1998-12-24 1998-12-24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320A KR100298046B1 (ko) 1998-12-24 1998-12-24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210A true KR20000042210A (ko) 2000-07-15
KR100298046B1 KR100298046B1 (ko) 2001-08-07

Family

ID=1956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320A KR100298046B1 (ko) 1998-12-24 1998-12-24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0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161A (ko) * 2001-11-06 2001-12-20 송윤강 건강보조 위생매트의 제조방법
KR100391088B1 (ko) * 2000-06-22 2003-07-16 김준열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428245B1 (ko) * 2001-05-14 2004-04-27 김성기 직물원단의 광물질 코팅장치
KR101231535B1 (ko) * 2010-10-11 2013-02-07 박정호 소나무의 항균성분을 가지는 의류소재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088B1 (ko) * 2000-06-22 2003-07-16 김준열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428245B1 (ko) * 2001-05-14 2004-04-27 김성기 직물원단의 광물질 코팅장치
KR20010112161A (ko) * 2001-11-06 2001-12-20 송윤강 건강보조 위생매트의 제조방법
KR101231535B1 (ko) * 2010-10-11 2013-02-07 박정호 소나무의 항균성분을 가지는 의류소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8046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5370A (en) Air blanket
ES2372375T3 (es) Dispositivo para el procesamiento de tejidos no tejidos.
KR20030079387A (ko) 한방 오행 쑥뜸기
KR100298046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KR20010016498A (ko)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종이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876657A (zh) 一种中医妇科理疗热敷装置
EP0593484B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producing spunlace material, and material produced thereby
KR100304251B1 (ko)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KR100457320B1 (ko) 섬유 단면 발수기의 제조 방법
JPH0849161A (ja) 衣類処理装置と処理方法
JP3493069B2 (ja) 織布処理装置と処理方法
KR20140078240A (ko) 모발 손상 없이 건식 및 습식 퍼머시술이 가능하게 하는 헤어아이론
JPH02293466A (ja) 織物、編物のような帯状繊維物品を連続して耐久性蒸絨及び形態固定する方法
CN1085770A (zh) 高新半导体电凉(热)理疗、磁疗、药疗、阻燃型保健垫(毯)
KR200414195Y1 (ko) 쑥패드가 포함된 면상발열체패드
KR200411884Y1 (ko) 음이온호스를 갖는 스팀장치
JPS6342970A (ja) 繊維製品の製造方法
DE1635698A1 (de) Weicher,drapierfaehiger Noppenstoff un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KR20060022313A (ko) 기능성 팬티의 제조방법
KR102651633B1 (ko) 하이브리드 다운 패딩 제조방법
CN108251994A (zh) 水刺无纺布及其产品的软化方法
JP3219962B2 (ja) ベッドパッド
KR100550053B1 (ko) 천연유지를 이용한 자동코팅방법
KR100446449B1 (ko) 섬유의 바이오세라믹 첨가장치와 그 방법
KR20050081304A (ko) 광물질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열전사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