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251B1 -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251B1
KR100304251B1 KR1019990031546A KR19990031546A KR100304251B1 KR 100304251 B1 KR100304251 B1 KR 100304251B1 KR 1019990031546 A KR1019990031546 A KR 1019990031546A KR 19990031546 A KR19990031546 A KR 19990031546A KR 100304251 B1 KR100304251 B1 KR 10030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fiber fabric
far
fib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929A (ko
Inventor
권병복
Original Assignee
권병복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복,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권병복
Priority to KR101999003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2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6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돌을 약 400메시 정도로 분쇄시킨 옥분과, 유성접착제, 물, 유상액 및 안료를 전체 중량 100g으로 볼 때 약 15-25g : 15-25g : 15-25g : 34-40g : 1-5g 비율로 희석하여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로 형성하고, 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도포할시 로울러 인쇄장치(2)를 통해 섬유원단의 일면 전체에 소정두께로 도포시키도록 하거나, 수개의 스크린 인쇄기(3)를 통해 소정형상을 갖는 무늬들을 다양한 칼라 형태로 날염하듯 도포시켜 의류나 침장 또는 모자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지를 형성시키므로써, 옥분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고, 유해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또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성인병 및 만성피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파와 수맥파 및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는 물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textiles containing jade powder}
본 발명은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곱게 파쇄시킨 온분과, 소정칼라를 갖는 안료 및 이들이 잘 희석되도록 하는 유상액을 각각 유성접착제와 물에 적정량을 희석 혼합시켜서 된 원적외선 방사도료를 각종 면직물 또는 화섬직물에 스크린 인쇄방식을 통한 날염 또는 로울러를 통해 도포시켜 섬유원단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섬유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각종 의류나 침장 및 모자 등과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되면 옥분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방사를 통해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촉진되도록 하므로써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해 인체에 존재하는 유해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 숙면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성인병 및 만성피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파와 수맥파 및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원단으로 사용되는 각종 직물지(면직물 및 화섬직물을 포함함)는 제사, 방사, 연사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직물가공한 것으로, 각종 의류의 제조에 이용되는 직물지는 그 대부분 기계적 성능, 내구적 성능, 위생적 성능, 장식적 성능 및 감각적 성능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섬유원단은 채색과 각종 디자인을 통해 미려함을 유지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정전기로 인한 알레르기 피부질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없어 그로 인한 피해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옥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이를 인체에 근접시킬 경우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촉진되고,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해 인체에 존재하는 유해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되며, 또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성인병 및 만성피로 현상이 방지되며, 또한 전자파와 수맥파 및 자외선을 차단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이란 빛으로써 일종의 전자파인데, 모든 물질은 절대온도 (-273℃=0℃K) 이상에서 열을 발생시키며 적외선을 방사한다.
또한, 원적외선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교하여 대기중의 미립자에 반사하거나 산란을 일으키는 일이 매우 적어 공기를 잘 투과하고 대상 물체에 흡수도 잘 되어 물체의 분자에 전기적 공진(共振)과 자기 발열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침투력 분자의 진동에 의한 공명흡수 현상등으로 에너지 발생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에 따라,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다.
또한, 정화력과 분해력이 뛰어나 독성을 중화하고, 수면효과를 높이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와같은 옥을 각종 의류나 침장 및 모자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으로써의 면직물이나 화섬직물 등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곱게 파쇄시킨 온분과, 소정칼라를 갖는 안료, 이들이 잘 희석되도록 하는 유상액, 유성접착제 및 물을 적정량을 희석 혼합시켜서 된 원적외선 방사도료를 각종 의류나 침장 및 모자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면직물 및 화섬직물(이하에서 섬유원단이라 약칭함) 전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여러칼라로 날염하는 형태로 도포시켜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인체에 존재하는 유해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성인병 및 만성피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자파와 수맥파 및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는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속도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에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도포하는 공정과; 열기를 가하여 섬유원단상에 소정형상을 갖도록 도포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건조 고작화시키는 건조공정과;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가 건조 완료된 섬유원단을 권취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도재는 약 400메시로 분쇄시킨 옥분과, 유성접착제, 물, 유상액 및 안료를 전체 중량을 100g으로 설정하였을시 약 15-25g : 15-25g : 15-25g : 34-40g : 1-5g 비율로 희석하여 형성하고, 상기 섬유원단에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로울러 인쇄방식을 통해 섬유원단의 일면 전체에 도포시키거나, 수개의 스크린 인쇄기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의 무늬들이 서로 다른 칼라로 날염되듯 도포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나 침장 또는 모자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에서 원적외선이 발생되므로,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고, 인체에 존재하는 유해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숙면을 통한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고, 성인병 및 만성피로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자파와 수맥파 및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고, 이밖에도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섬유원단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스크린 인쇄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로울러 인쇄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로울러 안쇄방식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지의 일부 사시도.
도 5는 스크린 인쇄방식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지의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섬유원단 2 : 로울러 인쇄장치
3 : 스크린 인쇄기 4 :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
5 : 실크판 10 : 도포 및 날염부
20 : 건조부 21,31 : 도포재 투입박스
22 : 로울러 23,32 : 전사로울러
24,33 : 원통형 로울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섬유원단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스크린 인쇄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로울러 인쇄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로울러 안쇄방식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지의 일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스크린 인쇄방식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지의 일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갖고 롤 형태로 말려져 있는 섬유원단(1)을 회동 가능하게 재치시켜 선단부 부터 차례로 공급시켜 주는 섬유원단 공급부와; 상기 섬유원단 공급부로 부터 공급되어 오는 섬유원단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소를 열가압하거나 불로 테워 제거하는 모소제거부와; 소정용적의 통체내에 담겨진 도포재 및 염료를 이송중인 섬유원단에 도포 또는 인쇄하는 도포 및 날염부(10)와; 섬유원단상에 도포 및 날염된 도포재 및 염료를 고착 및 건조시키는 건조부(20)와; 도포재 및 염료의 건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섬유원단을 권취시켜 주는 권취부로 구성된 직물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로는 옥돌을 약 400메시 정도로 분쇄시킨 옥분과, 유성접착제, 물, 유상액 및 안료를 전체 중량 100g으로 볼 때 약 15-25g : 15-25g : 15-25g : 34-40g : 1-5g 비율로 희석하여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로 형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면서, 상기 도포 및 날염부(10)에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도포함에 있어서 로울러 인쇄장치(2)를 통해 섬유원단의 일면 전체에 소정두께로 도포시키도록 하거나, 수개의 스크린 인쇄기(3)를 통해 소정형상을 갖는 무늬들을 다양한 칼라 형태로 날염하듯 도포시키도록 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 인쇄기(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칼라를 갖는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가 담겨지는 도포재 투입박스(31)와, 이 도포재를 묻혀 서로 다른 무늬를 갖는 실크판(5)을 통해 섬유원단(1)에 전사시키는 전사로울러(32)를 구비하고, 비교적 지름이 큰 원통형 로울러(33)의 외측에 각각 소정각도를 두고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또, 로울러 인쇄장치(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해진 칼라를 갖는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가 담겨지는 도포재 투입박스(21)의 일측에 도포재를 묻혀 전사로울러(23)로 전달하는 로울러(22)와, 상기 로울러에 묻은 도포재를 비교적 지름이 큰 원통형 로울러(24)의 외측에 전달시켜 이 원통형 로울러에 의해 이동되고 있는 섬유원단(1)의 일면에 도포재(4)를 소정두께로 도포시켜 주는 전사로울러(23)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부분의 섬유원단(1)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 소정무늬등이 여러가지 칼라로 날염되는데, 본 발명은 이와같은 날염을 실시할시 사용되는 도포재에 옥가루를 적정량 함침시켜 섬유원단 자체에서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섬유원단에 도포 또는 날염코자 하는 도포재는, 전체 중량을 100g으로 볼때 물 약 15-25g에 유성접착제인 바인더(Binder)를 약 15-25g 썩은 다음, 소정칼라의 염료 약 1-5g과 이들이 잘희석되도록 촉매제 역할을 수행하는 유상액(Emulsion)을 34-40g을 희석함과 동시에 옥돌을 약 400메시 정도로 분쇄시켜서 된 옥분 약 15-25g을 희석시켜 형성한다.
물론, 이와같이 옥분과 유성접착제, 물, 유상액 및 안료를 상기와 같은 분량으로 희석하여서 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는 로울러 인쇄장치(2) 또는 스크린 인쇄기(3)를 구비한 도포 및 날염부(10)의 통체내에 공급시켜 이송중인 섬유원단의 일측 표면에 도포 또는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도포 및 날염부(10)에 로울러 인쇄장치(2)가 설치된 경우는 정해진 칼라를 갖고 투입박스(21)내로 공급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를 로울러(22)를 통해 전사로울러(23)로 전달시켜 비교적 지름이 큰 원통형 로울러(24)의 외측을 감쌓는 상태로 이동중인 섬유원단(1)의 일면에 소정두께로 도포시키므로써, 도 4와 같이 섬유원단의 일면 전체에 도포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도포 및 날염부(10)에 수개의 스크린 인쇄기(3)가 설치된 경우는, 각각 서로 다른 칼라를 갖고 투입박스(31)내로 공급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가 각각의 투입박스(31)내에 설치된 전사로울러(32)에 의해 묻쳐저 서로 다른 무늬를 갖는 실크판(5)을 통해 섬유원단(1)에 전사되므로, 비교적 지름이 큰 원통형 로울러(33)의 외측을 감쌓는 상태로 이동중인 섬유원단(1)의 일면에 도 5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칼라로 무늬들이 형성되는 것이다(즉, 소정형상의 무늬들이 서로 다른 색상의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에 의해 도포되어 마치 날염을 실시한 것과 같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포 및 날염부(10)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가 도포 및 날염된 섬유원단(1)은 약 90℃ - 110℃의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부(20)를 통과하면서 건조되므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 중 물과 유상액을 증발되고 소정칼라의 안료에 의해 채색된 옥분과 유성접착제만 섬유원단에 완전히 도포 또는 날염된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4)내에는 유성접착제가 희석되어 있으므로 전술과 같이 섬유원단에 도포 및 날염형태로 도포된 후 건조공정을 거쳐을시 섬유원단 자체가 빳빳하지 않고 원래의 섬유원단 성질을 그데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포재의 건조가 완료된 섬유원단은 권취부를 통해 롤 형태로 감기어 의류나 침장 및 모자의 제조에 필요한 원단으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옥분과, 유성접착제, 물, 유상액 및 안료를 적정량 혼합시킨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각종 의류나 침장 및 모자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원단 전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무늬의 형상에 부응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날염하는 형태로 도포시켜 주므로써, 이 섬유원단으로 제조된 의류나 침장 또는 모자 등을 착용할 경우 옥분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인체에 존재하는 유해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성인병 및 만성피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자파와 수맥파 및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는 물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갖고 롤 형태로 말려져 있는 섬유원단(1)을 회동 가능하게 재치시켜 선단부 부터 차례로 공급시켜 주는 섬유원단 공급부와; 상기 섬유원단 공급부로 부터 공급되어 오는 섬유원단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소를 열가압하거나 불로 테워 제거하는 모소제거부와; 소정용적의 통체내에 담겨진 도포재 및 염료를 이송중인 섬유원단에 도포 또는 인쇄하는 도포 및 날염부(10)와; 섬유원단상에 도포 및 날염된 도포재 및 염료를 고착 및 건조시키는 건조부(20)와; 도포재 및 염료의 건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섬유원단을 권취시켜 주는 권취부로 구성된 직물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로는 옥돌을 약 400메시 정도로 분쇄시킨 옥분과, 유성접착제, 물, 유상액 및 안료를 전체 중량 100g으로 볼 때 약 15-25g : 15-25g : 15-25g : 34-40g : 1-5g 비율로 희석하여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 및 날염부(10)에서는 로울러 인쇄장치(2)를 통해 섬유원단의 일면 전체에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소정두께로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 및 날염부(10)에서는 수개의 스크린 인쇄기(3)를 통해 소정형상을 갖는 무늬들을 다양한 칼라 형태로 날염하듯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KR1019990031546A 1999-07-31 1999-07-31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KR10030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46A KR100304251B1 (ko) 1999-07-31 1999-07-31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46A KR100304251B1 (ko) 1999-07-31 1999-07-31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29A KR20010011929A (ko) 2001-02-15
KR100304251B1 true KR100304251B1 (ko) 2001-09-24

Family

ID=1960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546A KR100304251B1 (ko) 1999-07-31 1999-07-31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2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332A (ko) * 2000-08-29 2000-12-05 김삼경 미분화된 옥을 함유한 모시섬유와 그 제조방법
KR101347778B1 (ko) * 2013-04-26 2014-01-03 주식회사 대성나염 숯이 함유된 내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내의용 원단으로 제조된 내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44A (ko) * 1999-08-18 1999-12-06 이상호 상온 방출 페그마타이트 원적외선 의복 프린트 방법
KR100446449B1 (ko) * 2001-12-01 2004-09-01 김영옥 섬유의 바이오세라믹 첨가장치와 그 방법
KR20030047273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샛별 전자파차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섬유코팅액의제조방법 및 섬유코팅액을섬유원단에 도포방법
KR20030076158A (ko) * 2002-03-19 2003-09-26 제해중 옥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332A (ko) * 2000-08-29 2000-12-05 김삼경 미분화된 옥을 함유한 모시섬유와 그 제조방법
KR101347778B1 (ko) * 2013-04-26 2014-01-03 주식회사 대성나염 숯이 함유된 내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내의용 원단으로 제조된 내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29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32591B (zh) 一种负离子远红外功能性绒布面料及其加工方法
KR100304251B1 (ko)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US2890515A (en) Apparatus for ornamentation of fabrics
TW201200664A (en) Sun protection light cloth
KR100303381B1 (ko) 기능성직물및이의제조방법
CN101249772A (zh) 一种将夏布制作成中国书画载体的方法
KR101836895B1 (ko) 문양이 형성된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KR100298046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US20020124742A1 (en) Method of printing a textile material in sections
KR102301193B1 (ko) 감귤향 원단 제조방법
KR20220056503A (ko) 정전기방지용 복합기능성 섬유원단
JPH062982B2 (ja) セラミックスをコ−ティングした布又は紙製品
JPS6342970A (ja) 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200220366Y1 (ko) 원적외선 방사 나염의류
JP2000336573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の繊維製品とその製造法
JPH11323747A (ja) 布地のプリント方法
KR200234147Y1 (ko)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KR20130115707A (ko)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KR100590695B1 (ko) 광물질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열전사지의 제조방법
JPH0620501Y2 (ja) 衛生材料用表面材
KR20230032521A (ko) 그래핀이 함유된 섬유원단
KR101347778B1 (ko) 숯이 함유된 내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내의용 원단으로 제조된 내의
IT202000016534A1 (it) Procedimento di trattamento di un prodotto con una miscela di inchiostro alimentare e particelle di argento e prodotto così ottenuto
KR20010008396A (ko) 원적외선방사 망사
JPH03794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