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147Y1 -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147Y1
KR200234147Y1 KR2020010006568U KR20010006568U KR200234147Y1 KR 200234147 Y1 KR200234147 Y1 KR 200234147Y1 KR 2020010006568 U KR2020010006568 U KR 2020010006568U KR 20010006568 U KR20010006568 U KR 20010006568U KR 200234147 Y1 KR200234147 Y1 KR 200234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far
human body
lining
ceramic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미디어
Priority to KR2020010006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147Y1/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리콘용액 0.9-1.1Kg에 세라믹분말 350-450g, 안료 25-35g 비율로 희석 믹싱하여 냉장고에 소정시간(약 20-30분) 동안 넣어 둔 후 다시 꺼내어 접착 강화제와 경화제를 각각 5-15g 및 25-35g 비율로 희석 믹싱시킨 다음 냉암소에 소정시간(약 15-25분) 동안 보관하여서 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각종 의류의 안감으로 사용되는 섬유원단(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시켜 원적외선 방사층(2)을 구비시켜 주어, 인체의 혈액순환 촉진을 통한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또 의류와 의류 사이 및 의류와 인체사이에서 마찰력이 강화되어 상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Far infrared radiating lining cloth}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실리콘 용액과 세라믹분말, 안료, 접착 강화제 및 경화제를 각각 소정 중량비로 희석하여 형성시킨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이용하여 의류 안감의 일면에 원적외선 방상층을 형성시켜 원적외선 방사층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또 의류와 의류 사이 및 의류와 인체사이에서 마찰력이 강화되어 상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원단으로 사용되는 각종 직물지는 제사, 방사, 연사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직물가공한 것으로, 각종 의류의 제조에 이용되는 직물지는 그 대부분 기계적 성능, 내구적 성능, 위생적 성능, 장식적 성능 및 감각적 성능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섬유원단은 채색과 각종 디자인을 통해 미려함을 유지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정전기로 인한 알레르기 피부질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없어 그로 인한 피해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의 또는 바지 등에서 사용되는 안감의 경우, 대부분 비교적 부드러운 섬유원단 자체를 그데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최근들어 일부 의류 제조사에서는 의류와 의류 사이 및 의류와 인체 사이에서 상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의 허리 안감에 실리콘을 도포재로 사용하여 도포시킨 것이 있으나, 이 역시 전술한 문제점 자체를 해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의류의안감으로 사용될 섬유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원적외선 방사층을 형성시켜 인체의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고,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으며, 의류와 의류 사이 및 의류와 인체 사이에서의 미끄럼도 방지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의류의 안감으로 사용되는 섬유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에 원적외선 방사층(2)을 구비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안감 자체에서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고,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으며, 의류와 의류 사이 및 의류와 인체 사이에서의 미끄럼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부과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안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감이 사용된 의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섬유원단
2 : 원적외선 방사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안감의 사시도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안감이 사용된 의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각종 의류의 안감으로 사용되는 섬유원단(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원적외선 방사층(2)이 구비된 것을 특징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는 실리콘용액 0.9-1.1Kg에 세라믹분말 350-450g, 안료 25-35g 비율로 희석 믹싱하여 냉장고에 소정시간(약 20-30분) 동안 넣어 둔 후 다시 꺼내어 접착 강화제와 경화제를 각각 5-15g 및 25-35g 비율로 희석 믹싱시킨 다음 냉암소에 소정시간(약 15-25분) 동안 보관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서 주요 기술요지는 각종 의류의 안감용으로 사용될 섬유원단(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원적외선 방사층(2)을 구비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이란 빛으로써 일종의 전자파인데, 모든 물질은 절대온도 (-273℃=0℃K) 이상에서 열을 발생시키며 적외선을 방사한다.
한편, 원적외선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교하여 대기중의 미립자에 반사하거나 산란을 일으키는 일이 매우 적어 공기를 잘 투과하고 대상 물체에 흡수도 잘 되어 물체의 분자에 전기적 공진(共振)과 자기 발열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 세라믹분말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침투력 분자의 진동에 의한 공명흡수 현상등으로 에너지 발생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이미 알려진 것으로,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음은 물론 정화력과 분해력이 뛰어나 독성을 중화하고, 수면효과를 높이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층(2)이 형성되어 있는 섬유원단(1)을 안감으로 사용하여 의류를 제작하게 되면,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2)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에 조사되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고,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으며, 의류와 의류 사이 및 의류와 인체 사이에서의 미끄럼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2)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력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용액 약 0.9-1.1Kg에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세라믹분말 350-450g 정도 넣고, 이에 섬유원단의 칼라를 결정하기 위한 안료를 약 25-35g 정도 넣은 후 믹서를 이용하여 골고루 희석시켜 믹싱공정에서 묽어지는 실리콘용액에 세라믹분말과 안료가 잘 희석되도록 한 다음 냉장고에 약 20-30분 동안 냉장고에 넣어 두게 된다.
상기에서 희석액을 냉장고에 정해진 시간동안 넣어두는 이유는 상온에서 실리콘이 굳는 특성을 가졌으므로 이를 방지함과 동시에 희석공정에서 입자들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식히기도 하고, 특히 분산 촉매작용을 하는 안료가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어 희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냉장고에 넣어둔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이를 꺼낸 다음 상기 희석액에 접착 강화제 5-15g과 경화제 25-35g을 추가시켜 다시 믹싱을 실시한후 냉암소에 약 15-25분 동안 보관한 다음 실크인쇄기의 도포재 투입통에 투입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접착 강화제와 경화제를 실리콘용액과 세라믹분말 및 안료를 희석시킬시 동시에 넣지 않는 이유는 접착 강화제 및 경화제의 점도가 높아 세라믹분말 및 안료가 골고루 섞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이미 실리콘용액에 세라믹분말과 안료가 골고루 석여져 있는 희석액 자체에 소정량의 접착 강화제와 경화제를 넣고 다시 희석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리콘용액과, 세라믹분말 및 안료가 적절히 희석된 도포액에 다시 소정량의 접착 강화제와 경화제를 넣고 희석시킨 다음 냉암소에 약 15-25분 동안 보관하는 이유는 믹싱시 입자들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적절히 식혀 실크인쇄판시 최적의 점도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이와같은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이용하여 의류 안감 즉, 섬유원단에 소정형상으로 원적외선 방사층(2)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실크인쇄기의 도포재 투입통에 투입시킨 다음, 도포 시스템을 작동시키면 섬유원단 공급부에서 섬유원단을 모소가압부로 보내어져 섬유원단상의 모소들이 열 가압방식에 의해 눕혀지게 된다.
이와같이 모소 눕힘공정에 의해 모소가 눕혀진 섬유원단은 실크스크린 인쇄장치를 소정폭씩 통과하면서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소정모양의 도포층이 자동으로 프린팅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가 실크스크린 프린팅기에 의해 섬유원단의 일면에 자동 도포된다.
이와같이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도포시킨 섬유원단은 대략 250-300℃의 발열온도를 갖는 건조로를 약 30Cm 당 5-7초의 시간을 두고 통과하면서 섬유원단의 일면에 도포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가 자동 건조, 고착화되어 원적외선 방사층이 형성되며, 이와같은 건조공정을 마친 섬유원단은 권취기에 의해 롤 형태로 감겨진 후 의류제조 회사로 배송된다.
따라서, 의류제조 회사에서는 이와같이 일면에 원적외선 방사층이 구비된 섬유원단을 적절히 제단하여 의류용 안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실리콘 용액과 세라믹분말, 안료, 접착 강화제 및 경화제를 각각 소정 중량비로 희석하여서 된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를 이용하여 의류의 안감으로 사용될 섬유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원적외선 방사층을 구비시키므로써, 의류의 안감 자체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게 되므로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신경통, 관절통 및 요통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의 발생을 통한 인체에 존재하는 독을 제거할 수도 있고, 또 의류와 의류 사이 및 의류와 인체사이에서 마찰력이 강화되어 상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각종 의류의 안감으로 사용되는 섬유원단(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원적외선 방사층(2)이 구비된 것을 특징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KR2020010006568U 2001-03-12 2001-03-12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KR200234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568U KR200234147Y1 (ko) 2001-03-12 2001-03-12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568U KR200234147Y1 (ko) 2001-03-12 2001-03-12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147Y1 true KR200234147Y1 (ko) 2001-10-06

Family

ID=7309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568U KR200234147Y1 (ko) 2001-03-12 2001-03-12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1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07403A (ja) 健康衣類およびその製法
TWI400376B (zh) Sun light can cloth
KR200234147Y1 (ko) 원적외선 방사형 의류 안감
WO2013105007A1 (en) Light-emitting textile
CN102605624B (zh) 一种纺织物的多功能整理剂及其制备和后整理方法
JP2006274228A (ja) 温熱機能印刷剤並びに温熱機能材並びに温熱機能物品
KR20020072690A (ko) 원적외선 방사 도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1245B1 (ko) 온열치료용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스를 이용한 온열치료용 벨트
JPS6342970A (ja) 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20010011929A (ko) 옥가루가 함유된 섬유원단 제조방법
WO2010093362A1 (en) Ionized performance fabric with antimicrobial/antibacterial/antifungal properties
JPS63105107A (ja) 繊維製品の製造方法
WO2002101146A1 (fr) Papier lumineux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et d'utilisation
KR200220366Y1 (ko) 원적외선 방사 나염의류
KR20130115707A (ko)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KR100590695B1 (ko) 광물질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열전사지의 제조방법
JP4007497B2 (ja) 光発熱性肌着
KR101500650B1 (ko) 고신축성 가지는 광발열원단의 제조방법
KR102481238B1 (ko) 발바닥 부착용 기능성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15182A (ko)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직물지에 코팅하는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코팅직물
KR102459988B1 (ko) 항균성이 향상된 위생용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9506B1 (ko) 표면에 천연안료분말이 도트처리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484964B1 (ko) 세라믹물질의 심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10163A1 (ko) 전자파 흡수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
KR200259405Y1 (ko) 대나무 돗자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