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616A -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616A
KR20000041616A KR1019980057555A KR19980057555A KR20000041616A KR 20000041616 A KR20000041616 A KR 20000041616A KR 1019980057555 A KR1019980057555 A KR 1019980057555A KR 19980057555 A KR19980057555 A KR 19980057555A KR 20000041616 A KR20000041616 A KR 2000004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hydroxide
cooling water
odor
blast furnace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827B1 (ko
Inventor
정은주
김경태
고대권
사영삼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8-005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8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40Gas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to be recirculated or used in other metallurgical processes
    • C21B2100/42Sulphur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4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with the direct use of steam or liquid coolants, e.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5Apparatus features
    • C21B2400/066Receptacle features where the slag is treated
    • C21B2400/072Tanks to collect the slag, e.g. water tan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고로 드라이 피트(dry pit)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로 슬라그(B.F.SLAG)냉각시 냉각수에서 발생하는 H2S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냉각수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미리 원하는 농도로 혼합하여 분사하되, 수산화나트륨을 H2S발생농도 대비 5-45%범위에서 주입하여 분사하여 하기 식과 같은 반응에 의해
H2S + 2NaOH → Na2S + 2H2O (2)
Na2S + H2S → 2NaHS (3)
악취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나트륨dmf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본 발명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고로 드라이 피트(dry pit)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주입된 냉각수를 용융 슬라그에 분사함으로써 슬라그의 냉각과 함께 화학반응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용융슬라그(Blast Furnace Slag)를 냉각시키는 고로 드라이 피트는 제철소에서 대표적인 악취 오염원중의 하나로써, 고로 드라이 피트에서 배출되는 악취의 주성분은 계란썩는 냄새를 나타내는 H2S가스로서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최저감지농도 0.00047ppm)감지되기 때문에 제철소 주변 인근주민들의 주요민원대상이 되어왔다.
상기 고로 드라이 피트에서 발생하는 H2S는 냉각과정에서 용융 슬라그중의 황화합물과 냉각수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Bryant등에 다르면 슬라그중의 황성분은 주로 CaS형태로 존재하며, 따라서 H2S를 생성시키는 기본반응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Bryant, G.W.;Stuart, A.D.;Davila, C., "Emissions during Slag Quenching at RBPD BF4 and Trials of H2O2Additions during Intermediate Quenches",BHP Research Internal Report]
Cas + H2O →H2S + CaO (1)
용융 슬라그 냉각시 악취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에는 냉각수중에 화학약품을 주입하는 방법[US patent Application #3,758,292, US patent Application #3,761,243, US patent Application 33,823,010], HOOD시스템을 설치하여 FUME을 포집·처리하는 방법, 수재설비설치[US patent Application 34,209,313], 공냉시간연장[US patent Application 33,900,304]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중 냉각수에 화학약품을 주입하는 방법이 호주 BHP, 영국의 British Steel, 캐나다의 Dofasco 제철소등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포항제철에서도 연구된 바있다[산업과학기술연구원보고서, "고로 dry pit악취제거기술개발", 1995]
상기 고로 드라이 피트의 악취제거에 이용되는 화학약품으로 H2O2,KHSO5(상품명 Oxone), KMnO4등과 같은 산화제가 주로 연구되고 있으며, 그외 Na2Co3가 H2S발생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일본특허 60-221348]
그러나 H2O2의 악취저감 효과에 대하여 Australian Steel Mill Services(ASTM)은 H2O2를 사용하여 10-70%정도의 H2S저강효과를 보았다고 발표한 반면, 호주 BHP는 H2O2가 강력한 산화제이기는 하지만 고로 드라이 피트의 H2S억제효과는 크지 않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이는 H2O2와 H2S의 반응속도가 매우 늦거나 H2O2가 고온의 슬라그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산화제의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Bryant, G.W.;"Addroaches to Measuring Hydrogen Sulfide Emissions from 4BF, RPBD Slag Quenching Pits", BHP Research Internal Report].
KMnO4는 강산화제로서 저장 및 취급시 주의를 필요로 하고 KMnO4수용액은 부식성이 있어 재질이 일반 steel인 경우 20%이하의 KMnO4수용액에서 최대 0.508mm/year의 부식율(penetration rate)을 나타내며 상온에서 고형입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냉각수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에 용해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서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주입된 냉각수를 용융 슬라그에 분사함으로써 슬라그의 냉각과 함께 화학반응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고로 슬라그(B.F.SLAG)냉각시 냉각수에서 발생하는 H2S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냉각수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미리 원하는 농도로 혼합하여 분사하되, 수산화나트륨을 H2S발생농도 대비 5-45%범위에서 주입하여 분사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수산화나트륨 주입농도 19ppm의 H2S 저감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수산화나트륨 주입농도 37ppm의 H2S 저감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먼저 고로 슬라그(B.F.SLAG)냉각시 냉각수에서 발생하는 H2S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주입하여 분사하는데, 이는 먼저 수산화나트륨용액을 냉각수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미리 원하는 농도로 혼합한다.
이와같이 하여 혼합된 수산화나트륨을 H2S발생농도 대비 5-45%범위에서 주입하여 분사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반응식에 의해 악취를 제거한다.
H2S + 2NaOH → Na2S + 2H2O (2)
Na2S + H2S → 2NaHS (3)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고로dry pit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주입된 냉각수를 용융 슬라그에 분사함으로써 슬라그의 냉각과 함께 화학반응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악취의 주성분인 H2S를 제거하는 기본반응은 다음과 같이 두 단계로 나타난다.
H2S + 2NaOH → Na2S + 2H2O (2)
Na2S + H2S → 2NaHS (3)
수산화 나트륨가 존재하고 pH가 높을때는 상기 식(2)의 반응이 탁월하며 수산화 나트륨가 모두 소모되고 pH가 감소하면 상기 식(3)의 반응이 탁월해진다.
본 실험에서는 냉각수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약품저장탱크와 정량펌프를 설치하였으며, 드라이 피트에 슬라그 fillin g이 완료된 후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냉각수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일정량 주입하며 분사하기 시작하였다.
도 1 및 도 2는 고로 드라이 피트에서 실제로 냉각수중에 수산화나트륨을 주입하여 H2S발생저감효과를 테스트한 것이다.
도 1은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19ppm일 때 냉각시간에 따른 H2S발생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blank test #2는 수산화 나트륨에 의한 H2S저감실험에 앞서서 냉각수만 분사했을때의 H2S발생경향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수산화나트륨 주입에 앞서서 드라이 피트에서의 H2S 발생경향을 파악하고 수산화나트륨의 H2S발생저감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냉각수만 분사했을 때의(blank test)H2S발생농도를 총3회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드라이 피트에서의 슬라그 filling양, 냉각수 살수량, 측정지점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나타내지만 blank test #2와 같은 H2S발생경향을 얻을 수 있었다.
냉각수만 분사했을 때 최고 H2S 발생농도는 약 450ppm이었으며 약 70분동안 H2S발생이 지속되었다. 도 1에서 수산화나트륨 19ppm#1,#2는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19ppm일때의 H2S발생농도를 총2회에 걸쳐 측정한 것으로서, H2S최고농도가 약 450ppm에서 100ppm으로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발생지속시간도 약 10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는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37ppm일때의 H2S발생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H2S발생최고농도는 약 450ppm에서 25ppm으로 감소하였으며 발생지속시간도 약 20분 이상 감소하였다. H2S제거효율은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37ppm,19ppm일 때 각각 94%,76%이었다.
하기 표 1은 수산화나트륨 농도에 따른 H2S제거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수산화나트륨 농도에 따른 H2S 제거효율
NaOH 농도
10ppm 19ppm 34ppm 100ppm
H2S제거효율(%) 45 76 94 99
H2S제거효율은 수산화나트륨 농도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수산화나트륨 농도를 37ppm이상으로 증가시켰을 때 H2S제거효율 증가경향은 둔화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산화제 대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한 고로 드라이 피트 악취제어방법을 개발하고, 실제 고로 드라이 피트에서의 현장테스트를 통해 수산화나트륨이 고로 드라이 피트 악취제거에 효과적임은 물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액상으로 냉각수 주입이 용이하고, H2S제거효과가 탁월하며, 상용탈취제에 비해 약품구입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다.

Claims (1)

  1. 고로 슬라그(B.F.SLAG)냉각시 냉각수에서 발생하는 H2S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냉각수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미리 원하는 농도로 혼합하여 분사하되, 수산화나트륨을 H2S발생농도 대비 5-45%범위에서 주입하여 분사하여 하기 식과 같은 반응에 의해
    H2S + 2NaOH → Na2S + 2H2O (2)
    Na2S + H2S → 2NaHS (3)
    악취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KR10-1998-0057555A 1998-12-23 1998-12-23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KR10036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555A KR100368827B1 (ko) 1998-12-23 1998-12-23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555A KR100368827B1 (ko) 1998-12-23 1998-12-23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616A true KR20000041616A (ko) 2000-07-15
KR100368827B1 KR100368827B1 (ko) 2003-03-17

Family

ID=1956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555A KR100368827B1 (ko) 1998-12-23 1998-12-23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8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49B1 (ko) * 2006-07-24 2007-10-29 주식회사 포스렉 악취제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1429980B1 (ko) * 2013-08-19 2014-08-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로부터 발생되는 황화수소의 저감 방법 및 장치
KR101501647B1 (ko) * 2012-12-28 2015-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카바마이드퍼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로부터 배출되는 황화수소의 저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34B1 (ko) * 1999-12-23 2004-03-0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한 황화수소 제거 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장치
KR100419635B1 (ko) * 1999-12-23 2004-02-25 주식회사 포스코 가성 소다 수용액 분사에 의한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한황화수소 제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100432043B1 (ko) * 2000-12-22 2004-05-2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수재 제조 장치의 겔 응집 방지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41B2 (ja) * 1975-05-23 1983-01-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ダツリユウサイノシヨリホウホウ
JPS5216493A (en) * 1975-07-29 1977-02-07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for removal of bad smell from slag
KR19990051838A (ko) * 1997-12-20 1999-07-05 이구택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핏의 악취제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49B1 (ko) * 2006-07-24 2007-10-29 주식회사 포스렉 악취제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1501647B1 (ko) * 2012-12-28 2015-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카바마이드퍼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로부터 배출되는 황화수소의 저감 방법
KR101429980B1 (ko) * 2013-08-19 2014-08-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로부터 발생되는 황화수소의 저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827B1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46976A1 (en) Oxygen scavenger and boiler water treatment chemical
KR100300501B1 (ko) 수성시스템에서의부식방지방법
CN101195919B (zh) 一种成膜缓蚀剂及其应用
KR100368827B1 (ko)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KR20020050742A (ko) 화학 오염 제거 방법, 화학 오염 제거 용액의 처리 방법및 장치
CA1173334A (en) Method for removing iron sulfide scale from metal surfaces
CN108193206B (zh) 一种退镍剂、制备方法及使用方法
CN105369266A (zh) 一种基于Fenton氧化反应的钢材酸洗液及酸洗工艺
CN102908888B (zh) 硫化亚铁及含硫化氢气体清洗钝化装置、方法及应用
KR19990051838A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핏의 악취제거방법
CA2350214C (en) Process for the decontamination of a surface of a component
CN113102917B (zh) 一种用于制酸装置的在线堵漏方法
KR100936348B1 (ko) 저 크롬계 스테인레스강의 고내식성 표면처리용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레스강의 부동태 처리방법
Tanthapanichakoon et al. Polarization behavior and performance of inorganic corrosion inhibitors in monoethanolamine solution containing carbon dioxide and heat-stable salts
JPH08225966A (ja) 金属用化学研磨液および化学研磨方法
CN102877069B (zh) 铝铁复合金属缓蚀剂及其制备方法
KR100626268B1 (ko) 보일러용 난방수 조성물
KR101008403B1 (ko) 저검화가 압연유용 탈지제
Carvalho et al. The Chemistry and Crystall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ssive Magnetite Film Formation
JPS5538909A (en) Preventing method for corrosion of metal
KR102457605B1 (ko) 산세척 과정에서 구조물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한 부식억제제 조성물
KR100704024B1 (ko) 증기 발생기 2차측 화학세정을 위한 화학 세정액
Radulescu New Solution With Syntheses Inhibitors for the Chemical Cleaning of Organic Pollutants From the Water Supply System Of Generators
KR20070086028A (ko) 발전소의 압력 용기로부터 마그네타이트 함유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화 방법
KR100376507B1 (ko) 산성 전로가스 배관의 부식억제방법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