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246A -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246A
KR20000041246A KR1019980057078A KR19980057078A KR20000041246A KR 20000041246 A KR20000041246 A KR 20000041246A KR 1019980057078 A KR1019980057078 A KR 1019980057078A KR 19980057078 A KR19980057078 A KR 19980057078A KR 20000041246 A KR20000041246 A KR 2000004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resin
weight
parts
textur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흥조
Original Assignee
안흥조
주식회사 삼흥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흥조, 주식회사 삼흥산업 filed Critical 안흥조
Priority to KR1019980057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246A/ko
Publication of KR2000004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암석분말, 황토분말, 조개껍질분말 및 동물회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과립 20∼30중량부 및 발포제 0.1∼0.4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조성물은 소망하는 형상으로 성형후에 천연의 종이 또는 목재와 같은 질감을 나타내며,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성형이 용이하므로 환경호르몬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식품 용기나 스틱으로 유용할 뿐만아니라 건축내외장재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합성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광물성 또는 동물성 과립, 발포제 및 안료를 적정량으로 투입하여 이를 성형한 제품이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나타내도록 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열에 의한 열변형 작업성으로 말미암아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건축자재나 벽지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데 제한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지를 상기한 용도로 사용하게 위해서는 무늬를 인쇄한 종이나 필름 등을 붙여 사용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이와 같이 하면 제품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원가도 높게 된다.
또한, 최근에 식품의 포장 용기로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스트렌 계통의 제품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을 방출하는 것으로 밝혀져 그 사용에 대한 규제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소제를 배합하지 않아도 성형성이 우수하고, 성형하면 천연의 종이 또는 목재와 같은 질감을 나타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암석분말, 황토분말, 조개껍질분말 및 동물회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과립 20∼30중량부 및 발포제 0.1∼0.4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또는 목재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암석분말, 황토분말, 조개껍질분말 및 동물회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과립 및 발포제를 필수 구성요소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 단분자를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머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본 조성물에서 과립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30중량부가 적합하다. 만일 과립의 함량이 상기한 하한에 못미치는 경우 목적하는 천연소재의 질감을 나타내기에 미흡하며,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 질감, 외관 등이 불량하게 된다. 상기 과립은 암석분말, 황토분말, 조개껍질분말 및 동물회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과립화한 것으로서, 본 조성물을 성형할 때 풀어져서 미립자로 수지중에 분산되며, 이러한 분산은 발포제에 의해 균일하게 된다. 상기 과립화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분야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본 조성물중 발포제는 본 조성물로 제품을 성형한 후에 발포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 이외에 과립이 풀어져서 생긴 미립자들이 수지중에 균일한 간격으로 분산되게 하는 작용을 하며, 또한 수지조성물중 발포제의 함량은 성형품의 질감을 결정하는 인자가 된다. 본 조성물중 발포제의 함량은 합성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0.4중량부가 적당하다.
본 수지조성물에서 발포제의 함량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2 중량부인 경우에는 종이와 같은 터치감을 나타내며, 0.2∼0.4중량부의 경우에는 목재와 같은 터치감을 나타낸다. 한편, 발포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에 못미치면 질감이 불량하게 되고,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본 조성물에서 발포제는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분야에 잘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는 황산알루미늄과 중탄산나트륨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황산알루미늄과 중탄산나트륨을 함께 수지에 혼입하고 수지조성물을 성형하면 황산알루미늄과 중탄산나트륨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서 발포체를 형성하게 된다.
본 조성물에는 상기한 필수 성분이외에도 기타 통상의 첨가제를 적당량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백색안료(예:알지당), 착색안료 등과 같은 안료, 자외선차단제, 착색제, 난연제 등이 있다. 이때 안료는 가급적이면 마스터뱃지(masterbatch)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본 조성물중 안료의 배함량은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1 중량부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제품을 성형할 때에 특별히 주의하여야 할 점이 있다. 그 것은 본 조성물을 예를 들어 사출성형기의 호퍼에 투입할 때 수지와 과립은 별도의 급송라인을 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이들을 혼합한 상태에서 투입하면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상분리가 일어나 균일한 품질의 성형품을 얻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25㎏에 발포제 60g, 안료 마스터뱃지 100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것과 암석분말로 이루어진 과립 5㎏을 균등배분장치를 통하여 사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호퍼다이 온도 170℃, 중간제1다이 온도 195℃, 중간제2다이 온도 220℃ 및 헤드온도 240℃의 온도조건으로 성형하였다. 성형된 제품은 마치 목재와 같은 질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발포제의 배합량을 30g으로 하고 사출기 온도를 10℃ 낮춘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성형된 제품은 마치 종이와 같은 질감을 나타내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소망하는 형상으로 성형후에 천연의 종이 또는 목재와 같은 질감을 나타내며,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성형이 용이하므로 환경호르몬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식품 용기나 스틱으로 유용할 뿐만아니라 건축내외장재로 유용하다.

Claims (1)

  1.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암석분말, 황토분말, 조개껍질분말 및 동물회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과립 20∼30중량부 및 발포제 0.1∼0.4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또는 목재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KR1019980057078A 1998-12-22 1998-12-22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KR20000041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078A KR20000041246A (ko) 1998-12-22 1998-12-22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078A KR20000041246A (ko) 1998-12-22 1998-12-22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246A true KR20000041246A (ko) 2000-07-15

Family

ID=1956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078A KR20000041246A (ko) 1998-12-22 1998-12-22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2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09A (ko) * 2001-10-09 2001-11-23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100552606B1 (ko) * 2002-04-16 2006-02-20 김봉헌 옥석 및 조개피 또는 굴껍질을 이용한 신소재의 제조방법
KR100860652B1 (ko) * 2007-04-13 2008-09-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제품 치입불 감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09A (ko) * 2001-10-09 2001-11-23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100552606B1 (ko) * 2002-04-16 2006-02-20 김봉헌 옥석 및 조개피 또는 굴껍질을 이용한 신소재의 제조방법
KR100860652B1 (ko) * 2007-04-13 2008-09-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제품 치입불 감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5097B2 (ja) ネンリンモヨウオ ユウスルハツポウタイセイゾウホウ
US5269991A (en) Process for obtaining mouldings with the appearance of natural stones
US6312639B1 (en) Processing aid 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EP0335613A3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porous articles from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BR9916087A (pt) Composição e processo para moldagem rotativa,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a composição de micropelotas para moldagem rotativa, uso de uma composição de micropelotas, artigo polimérico moldado rotativamente e aparelho para a produção de pelotas de poliolefina para moldagem rotativa
CA1266867A (en) Process for making lightweight body suitable for use as an additive in an article of manufacture, such lightweight body itself, and composite containing same
US5151324A (en) Pattern coloring material for synthetic resin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ynthetic resin molded products using same
US5686515A (en) Color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and process of its manufacture
US4183822A (en) Blowing agent composition
KR20010032763A (ko) 조형물 제작방법과 조형물 제작을 위한 혼합장치
US5232644A (en) Process for colored polyethylene moldings
US5187202A (en) Concentrates for imparting a simulated stone effect to thermoplastic substrates
JP2512353B2 (ja) 自然石の外観をもつ成形品を得る方法及び得られた成形品
KR20000041246A (ko)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JP2002194223A (ja) 木目模様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製造法
US4810675A (en) Process for making lightweight body suitable for use as an additive in an article of manufacture
EP0614418B2 (en) Mineral-like plastics
JPS5679131A (en) Preparation of resin foam highly loaded with inorganic material
US4296055A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thermoplastic resinous products substantially free from sink marks, swirls and related blemishes
WO2017131364A1 (ko) 난각분말 수지 조성물
JP3566622B2 (ja) 特殊模様形成用着色剤の製造方法及びその着色剤
RU248308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полненного химически сшитого пенополиолефина и композиция наполненного химически сшитого пенополиолефина
JP2001059025A (ja) 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品の模様発現用着色剤組成物及び合成樹脂成形品
JPH0258298B2 (ko)
JPS5812137B2 (ja) マダラモヨウオユウスル セイケイヒンノ セイゾウホウホ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