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266A -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266A
KR20000037266A KR1020000019780A KR20000019780A KR20000037266A KR 20000037266 A KR20000037266 A KR 20000037266A KR 1020000019780 A KR1020000019780 A KR 1020000019780A KR 20000019780 A KR20000019780 A KR 20000019780A KR 20000037266 A KR20000037266 A KR 2000003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synthetic rubber
main body
saliva secretion
se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온
Original Assignee
조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온 filed Critical 조주온
Priority to KR102000001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266A/ko
Publication of KR2000003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치아 사이에 끼워 침샘을 자극함으로서 침분비를 촉진하는 침 분비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고무소재로서 폭과 높이를 갖는 타원형 본체(1)를 형성하고, 본체의 바닥부로부터 내측으로 아래 치아의 전치부에 해당하는 6-8개의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홈(2)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 상하악(6)(7)사이의 아래 치아(8) 전치부에 끼워 사용함으로서 교합고경을 높여 침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분비 촉진장치와, 액상의 합성고무에 활성액을 넣고 혼합하여서 된 젤리상의 합성고무를 손으로 다듬어 아래 치골과 유사한 형태의 타원형체를 형성하고, 이를 아래 치아 전치부에 6-8개의 치아가 감싸도록 대고 눌러 본체을 형성하고, 본체의 바닥부에 치아홈이 형성되게 한 후 합성고무가 굳은 상태에서 이를 빼내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치아형태나 턱관절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침분비장애를 인위적으로 해소시켜 줌으로서 요통이나 투통, 불면증, 불안증, 월경불순, 목.어깨걸림, 만성피로등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SPITTLE SECRETING DEVICE AND IT'S FORMING PROCESS}
본 발명은 상하 치아 사이에 끼워 침샘을 자극함으로서 침분비를 촉진하는 침 분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침은 옥천(玉泉)이라 일컫으며 신체의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 있고, 현대의학에서도 침이 소화작용과 면역력 강화에 의한 내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이 밝혀주고 있다.
즉, 침에는 다량의 소화효소가 포함되어 음식을 섭취한 후 소화를 돕고, 침속의 면역글로브린(Ig,G,Lg,M,IgA)이 칼슘, 인을 체내에 축적시켜 면역력을 증가시키며, 뼈와 치아를 강하게 하고, 침을 분비함으로서 두통이 사라지고, 어깨의 통증이 없어 지며, 호르몬 분비가 좋아져 생체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코골이도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침의 분비량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치아와 턱뼈가 불균형을 이루는 부정교합(不整咬合)이 있을 경우 턱관절 근육의 긴장에 의해 침샘 활동이 억제되어 침분비량의 저하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교합관련 증후군(ORS)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즉, 부정교합의 경우 요통이나 투통의 원인이 되고, 불면, 불안, 월경불순, 목.어깨걸림, 만성피로등을 초래하며, 골격의 균형관계나 신경계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부정교합에 따른 증후군의 상당부분이 침분비량의 부족에 기인되는 것이다.
따라서 침분비량은 부정교합의 치료에 의해 개선될 수 있고, 인위적으로는 비정상적인 치아의 형태나 턱관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일지라도 교합고경(상하악골의 높이)을 높여 턱관절 근육의 긴장감을 해소시켜 줌으로서 침분비량이 증가한다고 알려지고 있다(치과가 종합병원, 황영구저).
본 발명은 침분비량의 부족으로 기인된 각종 질병이나 통증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정상적인 치아의 형태나 턱관절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대하여 교합고경을 높여 줌으로서 인위적으로 침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침분비 촉진 장치를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고합고경을 높여줄수 있는 침분비 촉진장치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개인적 특성에 맞게 간단히 침분비 촉진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침 분비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침분비장치의 제작과정도
도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주요 부호의 설명
1. 본체 2.치아홈 3.합성고무
4.활성액 5.타원형체
본 발명에 의한 침분비 촉진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고무소재로서 폭과 높이를 갖는 타원형 본체(1)를 형성하고, 본체의 바닥부로부터 내측으로 아래 치아의 전치부에 해당하는 6-8개의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홈(2)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합성고무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구성되며, 부드러운 소재에 의해 착용시 이물감과 딱딱한 느낌을 가지지 않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치아홈은 아래 치아의 전치부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각 개인의 치형에 맞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대량 생산할 경우 이를 반영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연속된 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치아홈의 상단으로 부터 표면까지의 두께는 대략 5-10mm내외가 되도록 하고,측면 두께는 가능한 얇게 하여 착용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침분비 촉진 장치는 표준형태로 대량 생산방식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고, 개인적인 치아형에 맞게 독립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적인 치아형에 맞게 제작함으로서 사용 및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제조방법을 아울러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분비 촉진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2에 도시된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즉, 액상의 합성고무(3)에 활성액(4)을 넣고 혼합하여서 된 젤리상의 합성고무를 손으로 다듬어 아래 치골과 유사한 형태의 타원형체(5)를 형성하고, 이를 아래 치아 전치부에 6-8개의 치아가 감싸도록 대고 눌러 본체(1)을 형성하고, 본체의 바닥부에 치아홈(2)이 형성되게 하고, 합성고무가 굳은 상태에서 이를 빼내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한 제조 방법은 치과 병원이나 개인적으로 각 개인의 치형에 맞게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 실시례는 다음과 같다.
실시례 1.
먼저, 합성고무로서 치과재료로 활용되고 안전성이 검증된 합성고무(상표명 Optsil)을 사용하며, 합성고무 10g에 활성액(Activator)을 1㎖를 섞어 손으로 반죽한다.
반죽이 어느정도 이루어 지면, 타원형태로 변형시켜 이를 아래 치아 전치부 6-8개를 감싸도록 되고 상하면과 양측면을 충분히 눌러 형을 뜬다.
그 상태에서 약 2분 정도 지나면 어느정도 굳어지며, 입에서 빼내면 내부에 치아홈이 형성되는 침분비 촉진 장치가 완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침분비 촉진장치의 사용상태는 도3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즉, 침분비 촉진장치를 상하악(6)(7)사이의 아래 치아(8) 전치부에 끼워 입을 다물면 본체내부의 치아홈과 그 표면 사이의 두께 만큼 턱관절이 벌어지고 교합고경이 높아 지게 된다.
따라서, 비정상 치아구조나 턱관절장애에 의해 발생되는 줄어든 교합고경이 인위적으로 벌어지며, 턱관절 근육의 긴장감이 해소되고, 침분비량이 정상으로 회복되거나 더 많아 지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침분비 촉진장치는 취침시에 착용하거나 평상시에 착용함으로서 침분비를 촉진 시키며, 그에 따라 부정교합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증후군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합성고무와 활성액의 혼합을 위한 용기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정상적인 치아형태나 턱관절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침분비장애를 인위적으로 해소시켜 줌으로서 요통이나 투통, 불면증, 불안증, 월경불순, 목.어깨걸림, 만성피로등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부정교합에 따르는 턱관절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골격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신경계의 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합성고무소재로서 폭과 높이를 갖는 타원형 본체(1)를 형성하고, 본체의 바닥부로부터 내측으로 아래 치아의 전치부에 해당하는 6-8개의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홈(2)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 상하악(6)(7)사이의 아래 치아(8) 전치부에 끼워 사용함으로서 교합고경을 높여 침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분비 촉진장치.
  2. 액상의 합성고무에 활성액을 넣고 혼합하여서 된 젤리상의 합성고무를 손으로 다듬어 아래 치골과 유사한 형태의 타원형체를 형성하고, 이를 아래 치아 전치부에 6-8개의 치아가 감싸도록 대고 눌러 본체을 형성하고, 본체의 바닥부에 치아홈이 형성되게 한 후 합성고무가 굳은 상태에서 이를 빼내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침분비 촉진장치 제조방법.
KR1020000019780A 2000-04-15 2000-04-15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37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780A KR20000037266A (ko) 2000-04-15 2000-04-15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780A KR20000037266A (ko) 2000-04-15 2000-04-15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266A true KR20000037266A (ko) 2000-07-05

Family

ID=1966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780A KR20000037266A (ko) 2000-04-15 2000-04-15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61A2 (ko) * 2010-07-21 2012-01-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분비 촉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61A2 (ko) * 2010-07-21 2012-01-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분비 촉진 장치
WO2012011661A3 (ko) * 2010-07-21 2012-05-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분비 촉진 장치
KR101224522B1 (ko) * 2010-07-21 2013-01-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분비 촉진 장치
US9498403B2 (en) 2010-07-21 2016-11-2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utomatic salivation facilit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gan et al. The effect of ibuprofen on the level of discomfort inpatients undergoing orthodontic treatment
Cooper et al. Establishment of a temporomandibular physiological state with neuromuscular orthosis treatment affects reduction of TMD symptoms in 313 patients
Hussein et al. The management of drooling in children and patients with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CA2293811C (en) Prosthesis for alleviating tmj discomfort
KR20100089823A (ko) 안면 근육 및 입 근육 자극장치
JP2013530767A (ja) 赤外線放射治療補助具および医療品
Colquitt The sleep-wear syndrome
JP3202980B2 (ja) 口内刺激具
KR20000037266A (ko) 침 분비 촉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344188A (zh) 一种基于牙合学理论制作的牙合垫
Hotta et al. Combination therapies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clinical report
BAYLES et al.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rheumatoid arthritis
Minagi et al. Effect of a thick palatal appliance on muscular symptoms in craniomandibular disorders: a preliminary study
TWI563983B (zh) Method of making unilateral bite braces
Matsumoto et al. Tooth wear: use of overlays with metallic structures
RU2802784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строй травмы верхних резцов у детей с дистальной окклюзией и протрузией верхних резцов
RU2812821C1 (ru)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Комплекса миорелаксацио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при парафункциях жевательных мышц
Shapira et al. The management of drooling problem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dysfunction: a review and case report
Abdallah Hard occlusal splints made by vaccum machine versus 3D digital printed splints in Treatment of Muscle Pain (Electromyogram)
RU1792675C (ru) Способ лечени дистального прикуса
Jonck The temporomandibular pain-dysfunction syndrome
Marshall Neck injuries
Peter et al.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with tens guided complete denture: A case report
Kunin Methocarbamol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WAITE Disorder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