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584A - 광픽업 - Google Patents
광픽업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35584A KR20000035584A KR1019990051544A KR19990051544A KR20000035584A KR 20000035584 A KR20000035584 A KR 20000035584A KR 1019990051544 A KR1019990051544 A KR 1019990051544A KR 19990051544 A KR19990051544 A KR 19990051544A KR 20000035584 A KR20000035584 A KR 200000355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elastic piece
- damper
- optical pickup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on during external perturbations not related to the carrier or servo beam, e.g. vibr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픽업의 렌즈액츄에이터의 고정부를 높은 정밀도로 조립 가능한 구조로 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공진을 방지한 구조로 한다.
베이스 (11) 와 이 베이스 (11) 에 복수의 와이어 (35) 를 통해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렌즈홀더 (12) 를 구비하고, 베이스 (11) 에 1 쌍의 측벽부 (11a) 를 갖고, 탄성력을 구비한 탄성편 (22) 을 상기 측벽부 (11a) 와 일체가 되도록 입설하고, 상기 탄성편 (22) 에 와이어 (35) 를 고착하고, 또한 이 고착 부분을 댐퍼제 (90) 로 덮은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을 사용한 광디스크 장치에 적합한 광픽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픽업의 렌즈액츄에이터의 고정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은 금속제의 캐리지와, 캐리지에 부착되며 대물렌즈를 갖는 렌즈액츄에이터, 및 대물렌즈에 레이저광을 출사하고 또 대물렌즈로부터의 복귀광을 입사하는 투수광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액츄에이터는 고정부인 베이스와, 베이스에 4 줄의 와이어를 통해 가동이 자유롭게 유지되며 대물렌즈를 갖는 렌즈홀더와, 렌즈홀더를 소정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자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수광부는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레이저광의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이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제어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광집적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광픽업을 광디스크 장치에 부착하여, 광디스크면에 대향시켜 왕복이동시킴과 동시에, 베이스와 렌즈홀더에 가늘고 긴 4 줄의 외이어의 단부를 각각 접착제로 연결하고, 요크, 자석 및 코일로 이루어진 전자구동기구에 발생하는 자기에 의해, 렌즈홀더를 포커스 방향 (대물렌즈를 광디스크에 대해 접리하는 방향), 트래킹 방향 (광디스크의 지름방향) 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대물렌즈를 투과한 레이저광이 광디스크의 디스크면에 촛점을 맞추고, 이 디스크면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디스크면상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에는 종래의 광픽업의 렌즈액츄에이터의 고정부의 일례가 나타나 있는데, 이 고정부 (50) 는 コ 자형을 한 단단한 수지제의 하우징 (51) 을 갖고 있고, 이 하우징 (51) 은 베이스부 (51a) 와 이 베이스부 (51a) 의 양단에 튀어나오게 설치된 암부 (51b) 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 (50) 는 마찬가지로 コ 자형을 한 수지제의 평판부 (55) 를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 (51) 의 암부 (51b) 가 평판부 (55) 의 선단부에 겹쳐 부착 고정되어 있어, 그 결과로서,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한 개구부 (53) 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 (51) 에는 양 암부 (51b) 의 전면에서 후면에 걸쳐 관통한 사각의 공동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60) 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을 갖는 얇은 1 장의 평판이며, 이 플레이트 (60) 에는 작은 구멍이 2 개씩 계 4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60) 는 하우징 (51) 의 베이스부 (51a) 의 후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 플레이트 (60) 및 베이스부 (51a) 의 윗가장자리부에 접착제 (100) 를 도포하여 상호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51) 의 공동부 (56) 내, 및 베이스부 (51a) 와 플레이트 (60) 의 간격부분에는, 겔 상태의 댐퍼제 (90) 가 충전되어 있다.
와이어 (65) 는 수십 ㎛ 정도의 매우 가느다란 금속선재로 이루어지고, 일단을 고정부 (50) 에, 타단을 도시하지 않은 가동 렌즈홀더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4 줄의 와이어 (65) 의 일단을 플레이트 (60) 의 각 구멍에 끼워 통과시켜, 납땜 또는 접착제로 부착 고정시키고, 와이어 (65) 의 타단을 2 개의 공동부 (56) 내에 2 줄씩 끼워 통과시켜, 렌즈홀더에 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 (FPC) (62) 은 복수줄의 띠 모양을 한 회로패턴 (도시 생략) 과, 회로패턴을 양면에서 끼고 있는 절연 시이트로 이루어지고, 회로패턴 및 절연 시이트를 관통하는 4 개의 구멍을 갖고 있어, 상기 플레이트에 점착되어 4 개의 구멍에 상술한 플레이트 (60) 의 구멍과 함께 와이어 (65) 를 통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51) 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플레이트 (60) 와 가요성 기판 (62) 을 겹쳐서, 와이어 (65) 의 일단을 플레이트 (60) 및 가요성 기판 (62) 의 각 구멍에 통과시켜, 와이어 (65) 를 플레이트 (60) 및 가요성 기판 (62) 에 납땜, 혹은 접착제로 부착 고정한다.
하우징 (51) 을 도시하지 않은 캐리지에 얹어놓고 부착 고정한 후에, 하우징 (51) 의 베이스부 (51a) 의 후면에 상술한 와이어 (65) 의 일단을 부착한 플레이트 (60) 를 일정한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한다. 이 때, 하우징 (51) 의 공동부 (56) 내에는 자유단인 각 와이어 (65) 의 타단을 통과시켜 둔다. 이들 4 줄의 와이어 (65) 의 타단을 도시하지 않은 렌즈홀더에 부착 고정하여, 하우징 (51) 과 렌즈홀더와의 위치를 조정한 후, 하우징 (51) 및 플레이트 (60) 의 윗가장자리부에 접착제 (100) 를 도포하여 하우징 (51) 과 플레이트 (60) 를 일정한 간격을 둔 상태로 고착시킨다.
다음으로, 하우징 (51) 의 공동부 (56) 내, 및 베이스부 (51a) 와 플레이트 (60) 의 사이에 댐퍼제 (90) 를 충전한다.
하우징 (51) 과 일체화된 평판부 (55) 에는 도시하지 않은 코어부 및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전자구동기구가 놓여져 부착 고정되어, 이 전자구동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 (51) 과는 반대측에 상기 렌즈홀더가 움직일 수 있게 부착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 및 조립된 렌즈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광픽업은, 투수광부로부터 출사한 레이저광을 대물렌즈로 광디스크에 반사시키고, 렌즈홀더를 코어부와 자석에 의한 자기에 의해 포커스방향, 트래킹방향으로 움직여, 광디스크면에 촛점을 맞추도록 구동제어된다.
이 때, 하우징 (51) 내, 및 하우징 (51) 과 플레이트 (60) 의 사이에 댐퍼제 (90) 를 충전함으로써, 렌즈홀더의 피칭 (광디스크의 포커스축 주위의 회전공진) 또는 요잉 (광디스크의 트래킹축 주위의 회전공진) 등의 불필요한 진동,나아가서는 트래킹 방향 및 포커스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탄젠셜 방향) 으로의 세로진동모드의 불필요한 공진진동을 저감시킨다.
그런데, 플레이트 (60) 에 와이어 (65) 를 고정시킬 때, 플레이트 (60) 는 하우징 (51) 과 별개의 부재이며, 하우징 (51) 의 베이스부 (51a) 와 플레이트 (60) 를 접착제 (100) 로 고착시킬 경우에, 플레이트 (60) 가 얇은 탄성 평판으로 이루어지므로 휘어져 버려, 와이어 (65) 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여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와이어 (60) 가 하우징 (51) 과 별개의 부재로 부품점수가 많아져, 조립시에 정확하게 위치결정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또 그를 위한 조립공수가 필요해지므로, 비용상승의 요인이 된다.
또, 하우징 (51) 의 베이스부 (51a) 에 플레이트 (60) 를 부착할 때, 탄젠셜 방향 (와이어 (65) 의 축방향) 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박판의 플레이트 (60) 가 필요이상으로 변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의 원형상으로 돌아가지 않을 위험이 있었다. 그 때문에, 플레이트 (60) 가 변형하면, 와이어 (65) 의 일단에 부착고정된 렌즈홀더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렌즈홀더에 유지된 대물렌즈의 위치도 어긋나서, 대물렌즈를 통과한 레이저광이 정확하게 광디스크의 디스크면에 출사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또, 1 장의 플레이트 (60) 에 와이어 (65) 를 4 줄 일체로 고정하므로, 플레이트 (60) 를 하우징 (51) 의 플레이트부 (51a) 의 후면과 거의 같은 크기로 할 필요가 있으며, 온도 ·습도의 영향을 받아 변형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와이어 (65) 의 위치어긋남이 발생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대물렌즈의 위치어긋남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픽업의 고정부를 정밀도 높게 조립가능한 구조로 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공진을 방지하여, 주파수 특성이 좋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광픽업의 렌즈액츄에이터 (댐퍼제를 도시 생략)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 렌즈액츄에이터 (댐퍼제를 도시 생략) 의 요부확대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 렌즈액츄에이터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있어서 렌즈액츄에이터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광픽업의 렌즈액츄에이터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있어서 선 6 - 6 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고정부 (베이스)
11a …측벽부
12 …가동부 (렌즈홀더)
20 …오목부
22 …탄성편
35 …와이어
23 …벽부 (제 1 스토퍼)
24 …벽부 (제 2 스토퍼)
25 …가이드부
25a …홈부
90 …댐퍼제
상기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복수의 와이어를 통하여 움직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부를 구비하고, 고정부에 댐퍼제를 충전하기 위한 댐퍼제 충전부를 오목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제 충전부내에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와이어의 일단을 고착하고, 또한 댐퍼제 충전부내에 댐퍼제를 충전하여 탄성편을 매설한 것이다.
또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탄성편은 선단을 노칭한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최심부에는 와이어를 유지 ·고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측벽부에는 탄성편과 와이어의 축방향에 대향배치한 벽부가 입설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광픽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픽업의 일부를 구성하는 렌즈액츄에이터 (10) 는 고정부인 베이스 (11) 를 구비하고 있고, 이 베이스 (11) 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수지제로 이루어지며, 대향하는 1 쌍의 측벽부 (11a) 와, 이 측벽부 (11a) 를 잇는 전벽부 (11b) (도면에서 앞측) 및 후벽부 (11c) (도면에서 안측) 와, 천판부 (11d) 와 저판부 (11e) 로 구성되고, 또한 천판부 (11d) 와 평행으로 저판부 (11e) 로부터 신장한 신장부 (11f) 를 형성하고, 전벽부 (11b) 의 중앙부분을 노칭하고, 그 남은 부분에 전면부 (11g) 를 형성하고 있다.
각 측벽부 (11a) 에는 댐퍼 충전부인 오목부 (20)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20) 내에는 평탄형의 저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저부 (21) 에는 얇은 판모양의 탄성편 (22) 이 상하에 2 개씩 나란히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편 (22) 은 저부 (21)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외력 (진동) 이 작용했을 때 외력 (진동) 에 저항하여 원상태로 돌아가려 하는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벽부로서 두꺼운 판모양을 한 제 1 스토퍼 (23) 와, 상자 모양을 한 제 2 스토퍼 (24) 가, 전후로 나란히 마찬가지로 각 저부 (21) 로부터 외측으로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어, 각 탄성편 (22) 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 1 및 제 2 스토퍼 (23, 24) 가 각각 대향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스토퍼 (23) 는 탄성편 (22) 이 전방측으로 탄성변형했을 때의 스토퍼가 되며, 제 2 스토퍼 (24) 는 탄성편 (22) 이 후방측으로 탄성변형했을 때의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있어, 필요이상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 (22) 에는 선단을 V 자형으로 노칭한 가이드부 (25) 가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부 (25) 내의 최심부에는 반원모양을 한 홈부 (25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할 와이어를 조립할 때, 가이드부 (25) 를 가이드로 하여 삽입되어 홈부 (25a) 내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11) 의 전면부 (11g) 및 후벽부 (11c) 에는, 내측을 향해 V 자형으로 노칭한 절단홈 (26a, 26b) 이 상하에 2 개씩 나란히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면부 (11g) 의 절단홈 (26a) 내의 최심부분에는 반원모양을 한 제 2 홈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인 수지제의 렌즈홀더 (12) 는 원통모양을 한 렌즈유지부 (12a) 와, 이 렌즈유지부 (12a) 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된 네모모양을 한 요크유지부 (12b) 로 구성되어 있고, 렌즈유지부 (12a) 에는 대물렌즈 (13) 가 유지되어 있다. 이 요크유지부 (12b) 의 대향하는 각 측벽면에는 상하에 2 개 나란히 V 자형으로 노칭한 부착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구동기구 (30) 는, 금속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링 모양을 한 요크 (31a) 와, 요크 (31a) 의 내벽을 따라 부착 고정된 자석 (도시 생략) 과, 자석과 대향하여 요크 (31a) 와 교차하도록 렌즈액츄에이터 (10) 의 신장부 (11f) 에 부착 고정된 대략 원통모양을 한 포커스코일 (31b) 과, 도시하지 않은 트래킹코일로 구성되어, 하나의 자기회로를 만들고 있다.
그리고, 요크 (31a) 가 렌즈홀더 (12) 의 요크유지부 (12b) 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 (12) 의 요크유지부 (12b) 의 뒷면과, 베이스 (11) 의 전벽부 (11b) 는, 요크 (31a) 와 자속이 쇄교하는 위치에 부착한 포커스코일 (31b) 을 사이에 개재시켜, 캐리지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35) 는, 수십 ㎛ 정도의 매우 가느다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그 한쪽의 단부 (35a) 는 렌즈홀더 (12) 의 부착부 (14) 에 결합하고, 다른쪽의 단부 (35b) 는 베이스 (11) 의 제 2 홈부 (27) 를 통해 탄성편 (22) 의 가이드부 (25) 내의 홈부 (25a) 에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 (12) 는 이들 4 줄의 와이어 (35) 에 의해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 (14) 및 가이드부 (25) 에는 각 와이어 (35) 가 결합되어 있어, 부착부 (14) 에는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00) 로 강하게 고착하고, 가이드부 (25) 에도 마찬가지로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00) 로 강하게 고착되어 있다.
이렇게 각 와이어 (35) 는 베이스 (11) 와 렌즈홀더 (12) 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이어주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20) 내에는 댐퍼제 (90) 가 도포 ·충전되어 있다. 이 댐퍼제 (90) 는 점성이 높은 실리콘계 겔 상태의 댐퍼제로 이루어지며, 댐핑작용 (감쇠작용) 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 (11) 에 와이어 (35) 의 일단을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치구 등을 사용하여 베이스 (11) 및 렌즈홀더 (12) 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한 상태로, 4 줄의 와이어 (35) 를 각각 렌즈홀더 (12) 의 부착부 (14) 와 탄성편 (22) 의 가이드부 (25) 내의 홈부 (25a) 에 각각 결합한다. 이 때, 각 와이어 (35) 는 가이드부 (25) 및 V 자형의 부착부 (14) 를 가이드로하여 삽입되어, 부착부 (14) 와 홈부 (25a) 사이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각 와이어 (35) 와 베이스 (11) 및 렌즈홀더 (12) 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한 상태로, 각 홈부 (25a) 내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00) 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단단하게 고착한다. 여기서, 탄성편 (22) 은 베이스 (11) 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35) 를 높은 정확도로 간단히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홀더 (12) 의 부착부 (14) 에 와이어 (35) 의 단부 (35b) 를 같은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00) 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단단하게 고착시킨다. 고착시킨 후에, 오목부 (20) 전체를 덮도록 댐퍼제 (90) 를 충전한다. 이렇게 하여, 댐퍼제 (90) 는 탄성편 (22) 과 제 1 및 제 2 스토퍼 (23, 24) 사이에 충전된다.
이렇게 구성된 광픽업에서는, 전자구동기구 (30) 의 포커스코일 (31b)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렌즈홀더 (12) 가 대물렌즈 (13) 의 포커스방향으로 구동되어, 트래킹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렌즈홀더 (12) 가 대물렌즈 (13) 의 트래킹방향으로 구동된다.
대물렌즈 (13) 를 유지하는 렌즈홀더 (12) 의 가동중에 불필요한 공진이 발생할 때, 이 공진이 와이어 (35) 의 일단과 결합하는 홈부 (25a) 를 통하여 탄성편 (22)에 전달된다.
와이어 (35) 는 홈부 (25a) 에 고착되어, 탄성편 (22) 및 제 1, 제 2 스토퍼 (23, 24) 와 함께 댐퍼제 (90) 로 덮혀 있으므로, 탄성편 (22) 은 그 탄성에 의해, 도 4 에 나타낸 탄젠셜 방향 (와이어 (35) 의 축방향) 으로 조금 변형이동하는데, 바로 탄성편 (22) 의 댐핑작용 (감쇠작용) 이 발생한다. 즉, 탄성편 (22) 자신의 탄성, 및 탄성편 (22) 과 제 1, 제 2 스토퍼 (23, 24) 사이에 충전한 댐퍼제 (90) 의 점성에 의해, 와이어 (35) 의 움직임을 보다 한층 제동하기 쉽게 하여, 강한 댐핑작용 (감쇠작용) 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요잉 또는 피칭, 특히 탄젠셜 방향 (4 줄의 와이어 (35) 에 있어서의 세로진동모도) 의 고주파수 대역의 불필요한 공진이 저감된다.
따라서, 와이어 (35) 가 가이드부 (25) 의 홈부 (25a) 내에 고착되어, 탄성편 (22) 및 제 1, 제 2 스토퍼 (23, 24) 와 함께 댐퍼제 (90) 로 덮혀, 매설하고 있으므로, 와이어 (35) 가 탄성편 (22) 의 탄성에 의해, 탄젠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탄성편과 제 1, 제 2 스토퍼 (23, 24) 사이에 충전된 댐퍼제 (90) 의 점성력에 의해, 와이어 (35) 의 움직임을 보다 한층 제동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오목부 (20) 전체에 댐퍼제 (90) 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35) 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공진진동을 감쇠시켜 주파수특성을 향상시키므로, 포커스서보 또는 트래킹서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스토퍼 (23, 24) 는 탄성편 (22) 근방에 와이어 (35) 의 축방향이 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탄성편 (22) 이 외력에 의해 변형했을 때, 탄성편 (22) 과 맞닿아서, 필요 이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탄성편 (22) 이 베이스 (11) 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35) 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져, 대물렌즈 (14) 의 위치어긋남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가령, 고온 ·다습에서의 환경하에 있었다 하더라도, 탄성편 (22) 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으며 그 변형도 작으므로, 대물렌즈 (14) 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베이스 (11) 의 측벽부 (11a) 내에 가이드부 (25) 의 홈부 (25a) 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11) 의 후벽부 (11c) 에 있는 것과 달리, 필요 이상으로 와이어 (35) 를 길게 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픽업은 고정부에 댐퍼제를 충전하기 위한 댐퍼제 충전부를 오목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제 충전부내에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와이어의 일단을 고착하고, 또한 댐퍼제 충전부내에 댐퍼제를 충전하여 탄성편을 매설함으로써, 탄성편이 고정부의 댐퍼제 충전부내에 일체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편의 위치결정 조정을 필요로 하지않고, 와이어와 고정부의 위치결정을 높은 정밀도로 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 또, 부품점수가 적으지므로, 조립공수가 줄어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 탄성편은 선단을 노칭한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최심부에는 와이어를 유지 ·고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와이어와 홈부의 위치결정을 정밀도 높게 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 또, 와이어가 홈부에 강하게 고착되어, 와이어의 불필요한 공진진동에 대해, 탄성편이 확실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다.
또, 측벽부에는 탄성편과 와이어의 축방향에 대향배치한 벽부가 입설되어 있음으로써, 가동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와이어가 움직여, 탄성편이 휘어도 벽부가 필요 이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탄성편의 탄성력과 함께, 탄성편과 벽부간에 배치된 댐퍼제의 댐핑작용에 의해, 보다 한층 불필요한 공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복수의 와이어를 통해 움직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부를 구비한 광픽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댐퍼제를 충전하기 위한 댐퍼제 충전부를 오목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제 충전부내에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착시키고, 또한 상기 댐퍼제 충전부내에 상기 댐퍼제를 충전하여 상기 탄성편을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선단을 노칭한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최심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유지 ·고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탄성편과 상기 와이어의 축방향에 대향 배치한 벽부가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8-332184 | 1998-11-24 | ||
JP33218498A JP3639132B2 (ja) | 1998-11-24 | 1998-11-24 | 光ピックアップ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5584A true KR20000035584A (ko) | 2000-06-26 |
KR100316984B1 KR100316984B1 (ko) | 2001-12-24 |
Family
ID=1825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1544A KR100316984B1 (ko) | 1998-11-24 | 1999-11-19 | 광픽업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639132B2 (ko) |
KR (1) | KR100316984B1 (ko) |
TW (1) | TW45418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5644B1 (ko) * | 2002-10-16 | 2005-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4453A (ko) * | 1996-06-18 | 1998-03-30 | 김광호 | 광픽업 구동장치의 완충구조 |
KR980004495A (ko) * | 1996-06-27 | 1998-03-30 | 배순훈 | 서스펜션 와이어 삽입 장치의 와이어 안내 구조 |
JPH1196572A (ja) * | 1997-09-26 | 1999-04-09 | Fujitsu Ten Ltd |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の支持構造 |
JPH11232670A (ja) * | 1998-02-17 | 1999-08-27 | Alps Electric Co Ltd | 光学式ピックアップ |
-
1998
- 1998-11-24 JP JP33218498A patent/JP363913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
- 1999-10-25 TW TW088118408A patent/TW45418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11-19 KR KR1019990051544A patent/KR1003169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5644B1 (ko) * | 2002-10-16 | 2005-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639132B2 (ja) | 2005-04-20 |
TW454181B (en) | 2001-09-11 |
KR100316984B1 (ko) | 2001-12-24 |
JP2000163768A (ja) | 2000-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06707B2 (ja) | 光ディスク装置の2軸装置 | |
EP1887574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 objective lens actuator and an optical pickup device | |
KR100316984B1 (ko) | 광픽업 | |
JPH11211956A (ja) | 光学素子または光学要素の支持装置 | |
US20050068642A1 (en) | Optical hea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3694914B2 (ja) |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 |
JP3306197B2 (ja) | 対物レンズ駆動装置 | |
JP3465976B2 (ja) | 光学系支持装置 | |
KR100357919B1 (ko) | 광픽업 및 그 조립방법 | |
JP2003317284A (ja) | 光学ヘッド装置 | |
JP3837323B2 (ja) | アクチュエータのサスペンション架設装置 | |
JPH0452815Y2 (ko) | ||
JP3234061B2 (ja) | 光学系駆動装置 | |
KR19990077684A (ko) | 광학식 픽업 | |
KR19990088403A (ko) | 광픽업장치및그의조립방법 | |
JPH05314511A (ja) | 対物レンズ駆動装置 | |
JP4377555B2 (ja) | 光学系駆動装置 | |
WO1998053449A1 (en) | A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its damping device | |
KR19980077772A (ko) | 렌즈접착부를 개선한 엑츄에이터 | |
JPH04258818A (ja) | 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学系駆動装置 | |
JPH02134733A (ja) |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 |
JPS62164233A (ja) | 3次元光ピツクアツプの対物レンズ支持装置 | |
JPH08147733A (ja) | 二軸アクチュエータ | |
JPH10334485A (ja) | 光ピックアップ | |
JP2000315329A (ja) |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の支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01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