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166A - 등속유니버설조인트 - Google Patents

등속유니버설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166A
KR20000035166A KR1019990048178A KR19990048178A KR20000035166A KR 20000035166 A KR20000035166 A KR 20000035166A KR 1019990048178 A KR1019990048178 A KR 1019990048178A KR 19990048178 A KR19990048178 A KR 19990048178A KR 20000035166 A KR20000035166 A KR 2000003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ircumferential surface
axis
center
constant velo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구로시게요시
테라다켄지
우시오다요시마사
사카구찌아키오
쿠라히사아키
수주키카쯔히로
코마쯔마사루
Original Assignee
이토오 도요아키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232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368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106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79565A/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오 도요아키,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오 도요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3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16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16D3/205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having three pins, i.e. true tripod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64/00Rotary shafts, gudgeons, housings, and flexible couplings for rotary shafts
    • Y10S464/904Homokinetic coupling
    • Y10S464/905Torque transmitted via radially extendin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중심(O3)을 포함하며, 다리축(2a)의 축선(Z)과 직교하는 중심선(L1)과 조인트 중심(O)과의 사이의 수직거리(PCR1)와, 내측롤러(3)가 다리축 기단축에 눌려진 상태로,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의 중심(O1)을 포함하며, 다리축(2a)의 축선(Z)과 직교하는 중심선(L2)과 조인트 중심(O)와의 사이의 수직거리(PCR2)는, ΔH(=PCR1-PCR2)정도 어긋나 있다. 최적의 상태로는, PCR2가 PC R1보다도 최적량 ΔH정도 다리축 기단축으로 어긋나고, 외측롤러(4)의 내주면(4a)과 내측롤러(3)의 외주면(3b)과의 접촉위치(S)가,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중심선(L1)상(PCR1상)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등속유니버설조인트{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본 발명은, 자동차나 각종 산업기계 등의 동력전달장치에 사용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에 관하여, 특히 트리포드형 등속유니버설조인트(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에 관한 것이다.
트리포드형 등속유니버설조인트로서,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구조를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등속유니버설조인트는, 내주부에 축방향인 세개의 트랙홈(22)이 형성되고, 각 트랙홈(22)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의 롤러 안내면( 22a)를 보유하는 외측조인트부재(21)와,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세 개의 다리축(trun nion) (25)을 보유하고, 각 다리축(25)의 원통형상외주면에 각각 바늘형상롤러(26)를 끼워서 롤러(20)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트리포드부재(24)로서 구성되어진다. 트리포드부재(24)의 각 롤러(20)는, 외측조인트부재(21)의 트랙홈(22)의 롤러안내면(22a)에 각각 적합하게 수용되어 있다. 각 롤러(20)가 다리축(25)의 축심주위에 회전하면서 롤러 안내면(22a) 위를 전동하는 것에 의해, 외측 조인트부재(21)와 트리포드부재(24)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변위가 원활하게 안내되어 짐과 동시에, 외측 조인트부재(21)와 트리포드부재(24)가 소정의 작동각(operating angle)을 취하면서 회전토크를 전달할 때의, 회전방향위상의 변화에 따라서, 각 다리축(25)의 롤러 안내면(22a)에 대응하는 축방향변위가 원활하게 안내되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조인트부재(21)와 트리포드부재(24)가 작동각(θ)를 취하면서 회전토크를 전달할 때, 다리축(25)의 기울어짐에 따라서, 각 롤러(20)와 롤러 안내면(22a)이 서로 기울게 교차한 관계가 되고, 각 롤러(20)의 원활한 전동이 지장을 받아버리는 결과가 된다. 즉, 롤러(20)은, 도 8에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다리축(25)의 축선주위)으로 회전하도록하는 것에 대하여, 롤러 안내면(22a)은 단면원호형상면으로 또한 외측조인트부재(21)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20)는, 롤러 안내면(22a) 위를 뒤틀린 것과 같은 상태로 전동하면서 축방향이동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롤러(20)의 외주면과 롤러 안내면(22a)과의 접촉부분에 미끄러짐이 생겨서 마찰저항(미끄럼저항)이 커지게 되고, 이것이 유기스러스트를 증대시키는 하나의 이유이다. 유기스러스트(induced thrust)는 조인트부분의 진동유기원인이 되고, 예컨데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로는, 조이트부분의 유기스러스트가 크면, 이것이 동력전달계로를 경유해서 차체에 전하여 증폭됨과 동시에, 차체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고, 소음을 증대시켜서, 승차한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사정때문에, 롤러와 롤러안내면과이 기울어진 교차상태를 해소해서, 유기스러스트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가 제안되어지고(일본 특허공고 평3-1529호 공보 등), 진동이나 소음의 저감에 기여하고 있다. 이 등속유니버설조인트는, 트리포드부재(24)의 다리축(25)에 장착되는 롤러를 외측롤러(23)과 내측롤러(27)의 두 종류의 롤러로 구성하고, 외측롤러(23)와 다리축(25)(및 내측롤러(27))과의 사이의 경사짐을 허용한 것이다(경사기구). 외측롤러(23)는 롤러안내면(22a)과 접촉하고, 롤러안내면(22 a)위를 전동한다. 내측롤러(27)는 구면형상외주면(27b)를 보유하고, 외측롤러(23)의 원통형상내주면 (23a)에 끼워 맞춰진다. 내측롤러(27)의 내주면은, 바늘형상 롤러(26)를 끼워서 다리축(25)의 원통형상외주면에 끼워 맞춰진다.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조인트부재(21)와 트리포드부재(24)가 작동각(θ)을 취하면서 회전토크를 전달할 때, 다리축(25)의 기울어짐에 따라서, 내측롤러(27)는 롤러안내면(22a)에 대하여 경사지지만, 외측롤러(23)는 다리축(25) 및 내측롤러(27)에 대응하는 기울어짐이 허용되어 지기 때문에, 롤러안내면(22a)에 대응하는 평행자세를 유지하면서, 롤러안내면(22a)위를 전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외측롤러(23)의 원활한 전동이 확보되어, 롤러안내면(23a)과의 미끄럼저항이 저감되고, 유기스러스트가 억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로는, 그 이전의 것에 비하여 유기스러스트가 저감되어지지만, 유기스러스트를 더욱 저감하도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로는, 외측롤러의 롤러안내면에 대응하는 평행자세가 경사기구에 의한 정도로 유지되지만, 외측롤러와 내측롤러와의 접촉부분의 마찰력의 영향이나, 외측롤러와 내측롤러와의 접촉부분, 및, 외측롤러와 롤러안내면과의 접촉부분에 작용하는 조인트하중의 밸런스 등에 의해, 외측롤러가 외측조인트부재의 종단면방향(외측조인트부재의 축선을 포함한 단면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거나, 또는, 외측롤러가 외측조인트부재의 횡단면방향(외측조인트부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방향)으로 약간 경사져서, 롤러안내면에 대응하는 자세가 안정하게 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때문에, 본 출원인은, 유기스러스트의 한층더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 5에 예시되는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관해서 이미 출원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9-14280호). 동 도에 있어서, 트리포드부재(2')의 다리축(2a ')의 외주에 복수의 바늘형상 롤러(7')를 끼워서 내측롤러(3')가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다리축(2a')의 선단부에 장착된 빠짐방지링크(8')(및 정지륜(9'))와 다리축(2a')의 기단부에 장착된 와셔(10')에 의해서 다리축(2a')이 축선(Z)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진다. 실제로는, 바늘형상 롤러(7') 및 내측롤러(3')와, 빠짐방지링크(8') 및 와셔(10')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축방향간극(δ')이 있다(간극(δ' )의 크기는 실제보다도 매우 과장해서 도시되어 있다). 내측롤러(3')의 내주면( 3a')는 원통형상면이고, 외주면(3b')는 볼록구형상면이다. 외주면(3b')의 모선은, 내측롤러(3')의 반경중심(O2')로부터 소정량정도 외측으로 오프세트된 점(O1')을 중심으로하는 반경(R1)의 원호이다.
외측롤러(4')는,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동 도에 나타내는 예로는, 외측롤러(4')의 내주면(4a')은 다리축(2a')의 선단측에 향해서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다. 내주면(4a')의 경사각(' )(도 4 참조)은 예를 들면 0.1°~ 3°정도의 조금인 것이지만, 도면에는 경사의 도합이 매우 과장되어 있다. 외주면(4b')의 모선은, 점(O3')을 중심으로하는 반경(R3 )의 원호이다. 외주면(4b')는, 외측조인트부재(1')의 롤러안내면(1a')와 두 점(p') , (q')로 앵귤러콘택트한다.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중심(O3')을 포함하며, 다리축(2a')의 축선(Z)와 직교하는 중심선(L1)과, 내측롤러(3')의 외주면( 3b')의 중심(O1')을 포함하며, 다리축(2a')의 축선(Z)과 직교하는 중심선(L2)은, 설계상 일치하도록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롤러(4')의 내주면(4a')가 다리축 선단축(동 도에 상측)으로 향해서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롤러(3')의 외주면(3b')과의 접촉위치(S')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F )가 발생한다. 이 부하분력(F)는, 외측롤러(4')를 다리축 선단축에 눌러 올리도록 작용하여, 비부하측의 롤러안내면(1a')에 있는 (B)부(도 5a 참조)의 접촉면압을 저감한다. 또한, 접촉위치(S')에는, 부하분력(F)의 반력으로서 다리축 기단축(동 도에 하측)에 향한 힘(F')이 발생한다. 이 반력(F')은, 내측롤러(3')를 다리축 기단축에 눌러 내리도록 작용하여, 내측롤러(3') 및 바늘형상 롤러(7')의 다리축(2a')에 대응하는 축방향 이동을 억제한다. 그 결과,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롤러(3') 및 바늘형상 롤러(7')는 평상시 하측이 와셔(10')에 눌러 붙여진 상태로 되고, 축방향간극(δ')에 기인하는 접촉위치(S')의 변동이 억제된다.
상기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는, 비부하측의 롤러안내면(1a')에 있는 (B)부의 접촉면압저감과, 접촉위치(S')의 안정화와 더불어, 유기스러스트의 한층더한 저감에 기여하는 것이지만, 많은 실험의 과정에서, 유기스러스트가 목표치를 넘는 시험품이 여기 저기에 보여졌다. 그 원인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인트가 작동각을 취하면서 회전토크를 전달할 때, 다리축(2a')의 회전방향의 위상변화에 따라, 접촉위치(S')는 작동각이 0°일 때의 위치(도 4에서 나타내는 위치)를 기점으로해서, 그 곳에서부터 다리축 기단축(동 도에 하측) 및 다리축 선단축(동 도에 상측)의 소정의 영역내로 왕복이동하게 된다(작동각이 0°일 때의 위치에서 다리축 기단축으로의 이동량쪽이 다리축선단축으로의 이동량보다도 크다.). 그러나, 상기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로는, 작동각이 0°일 때의 접촉위치(S')가,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중심선(L1)(중심선(L1)은 앵귤러콘택트점 (p'), (q') 사이의 이등분위치가 된다.)보다도 다리축 선단축(동 도에 상측)에 ΔH'정도 어긋나 있고(외측로라(4')의 내주면(4a')이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하학적인 관계에서 그렇게 된다. 단, 경사각(')은 아주 작은 것으로, ΔH'는 실제로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크기는 아니고, 극소한 것이다.). 게다가 접촉위치(S')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F)이 작용하는 것이므로, 조인트가 작동각(θ)을 얻으면서 회전할 때의 조인트하중이 다리축 선단축의 접촉점 (p'), (q') 사이의 하중발란스에 변동이 생긴다. 그리고, 접촉점(p'), (q') 사이의 하중발란스의 변동에 의해서 외측롤러(4')의 기울어짐(흔들림)이 크게 되어, 유기스러스트 증대요인이 되고 있음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이러한 등속유니버설조인트로는, 일반적으로, 조인트의 백래시(backla sh)를 억제하기 때문에, 외측롤러의 외주면과 롤러안내면과의 사이의 안내간극을 가능한 작게 해 두고, 그 때문에, 외측롤러(4')의 약간의 경사짐에 대해서, 비부하측의 롤러안내면(1a')과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이 비교적 강하게 접촉하며, 그 결과로서, 부하측의 롤러안내면(1a')에 있는 접촉면압도 비교적 높게 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이와 같이, 외측롤러의 롤러안내면에 대한 경사의 정도와 안내간극의 크기를 걸맞게 함에 의하여, 양자의 접촉부분의 면압이 높게 되고, 미끄럼저항이 증대해서, 외측롤러의 원활한 전동이 방해되어, 유기스러스트를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된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외측롤러와 내측롤러와의 접촉위치는 최적관리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유기스러스트를 보다 한층더 저감시키고, 그 것에 의해서 보다 저진동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안내면과 외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안내간극을 최적관리하는 것에 의해, 유기스러스트를 보다 한층더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그것에 의해서 보다 저진동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주부에 축방향인 세개의 트랙홈이 형성되고, 각 트랙홈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의 롤러안내면을 보유하는 외측조인트부재와,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세 개의 다리축을 보유하고, 각 다리축에 각각 내측롤러와 외측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트리포드부재를 구비하고, 외측롤러는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에 안내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구비하고, 내측롤러는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선접촉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을 보유하고,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상기 접촉위치가,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했다.
또한, 내주부에 축방향인 세개의 트랙홈이 형성되고, 각 트랙홈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의 롤러안내면을 보유하는 외측조인트부재와,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세 개의 다리축을 보유하고, 각 다리축에 각각 내측롤러와 외축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트리포드부재를 구비하고, 외측롤러는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에 안내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보유하고, 내측롤러는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선접촉하는 구면형상을 보유하고,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1) 즉, 외측조인트부재의 트랙홈의 PCR과,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2), 즉, 내측롤러를 외측롤러에 의해서 다리축 기단측에 누룰 때의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정점위치의 PCR과의 차Δ h(=PCR1-PCR2)가, -0.2㎜Δh0.33㎜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0.1㎜Δh0.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Δh0.27㎜의 범위내로 이루어지도록 관리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킨다」외측롤러의 내주면의 형상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평9-14280호에 나타낸 여러가지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외측롤러의 내주면의 형상으로서,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모선중심에 대해서 다리축 선단축에 오프세트된 점을 모선중심으로 하는 오목구면(일본 특허공개 평9-14280호, 제 3 도의 형상),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모선중심에 대해서 다리축 선단축에 오프세트된 점을 모선중심으로 하는 볼록구면(일본 특허공개 평9-14280호, 제 4 도의 형상),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해서 직경이 축소된 원추탭면과 볼록구면과의 합성면(일본 특허공개 평9-14280호, 제 5 도의 형상), 원통면과 볼록구면과의 합성면 (일본 특허공개 평9-14280호, 제 6 도의 형상) 등, 여러가지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외측롤러의 내주면은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해서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주부에 축방향의 세개의 트랙홈이 형성되고, 각 트랙홈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의 롤러안내면을 보유하는 외측조인트부재와,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세 개의 다리축을 보유하고, 각 다리축에 각각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트리포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가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에 안내되는 외주면을 보유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트랙홈의 양측의 롤러안내면과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안내간극을, 유기스러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소정량으로 관리했다.
상기 롤러는,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에 안내되는 외주면을 보유하는 외측롤러와,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선접촉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을 보유하는 내측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외측롤러의 내주면은,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부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외측롤러의 내주면의 형상으로서, 일본 특허공개 평9-14280호에 나타내어진 여러가지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외측롤러의 외주면과 롤러안내면이, 두 점에서 앵귤러콘택트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롤러안내면과 외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안내간극의 크기(t)는,
0.080㎜t0.110㎜ 의 범위내로 할 때에 적당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작동각이 0°일 때의,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이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1)과,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2)와의 차Δh(=PCR1-PCR2)는, -0.2㎜Δh0.33㎜ 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0.1㎜Δh0.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Δh0.27㎜의 범위내일 때에 적당한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인트가 작동각을 취하면서 회전토크를 전달할 때의 유기스러스트를 종래구성 이상으로 한층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는 진동특징이 우수하고, 이것을 예컨데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차체의 진동ㆍ소음의 한층더한 저감으로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등속유니버설조인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Δh와 유기스러스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는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5에 나타내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는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내측롤러의 외주면 사이의 접촉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다른 등속유니버설조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종래 조인트가 작동각을 취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작동각을 취했을 때의 롤러와 롤러 안내면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다른 등속유니버설조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 조인트가 작동각을 취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롤러 안내면과 외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안내간극을 나타내는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안내간극과 유기스러스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도 1 및 도 3은, 모두 조인트의 작동각이 0°일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는, 연결된 모든 두 축의 한 쪽으로 결합되는 외측조인트부재(1)와,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는 트리포드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조인트부재(1)는 대개 컵형상의 외관을 이루고, 축방향에 연이은 세 개의 트랙홈(1a)이 내주부의 원주등배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트랙홈(1a)의 양측에는, 각각 롤러안내면(1a1)이 설치되어 있다. 각 다리축(2a)의 원통형상인 외주면에는, 복수의 바늘형상롤러(7)를 끼워서 내측롤러(3)가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고, 게다가 이 외측에 외측롤러(4)가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도 1(b)에서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형상롤러(7) 및 내측롤러(3)는, 그것의 한 끝이 다리축(2a)의 선단부에 장착된 빠짐방지링크(8)와 지륜(9)에 의해서 걸리고, 다른 끝이 다리축(2a)의 기단부에 장착된 와셔(10)에 의해서 걸리며, 다리축(2a)의 축선(Z)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실제로는, 바늘형상롤러(7 ) 및 내측롤러(3)와, 빠짐방지링크(8) 및 와셔(10)와의 사이에는 조금의 축방향간극(δ)이 있다. 도면에는, 축방향간극(δ)의 크기가 실제보다도 매우 과장되어 있다. 또한, 다리축(2a)의 외주면 및 내측롤러(3)의 내주면(3a)과 바늘형상롤러(7)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레이디얼간극이 있다. 내측롤러(3)의 내주면(3a)은 원통형상면이고, 외주면(3b)은 볼록구면형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주면(3b)의 모선은, 내측롤러(3)의 반경중심(O2)에서 소정량정도 외측에 오프세트된 점(O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1)의 원호이다. 반경(R1)은, 외주면(3b)의 최대반경(R2)보다도 작다.
외측롤러(4)는,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에 회전가능하게 걸려진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롤러(4)의 내주면(4a)은 다리축(2a)의 선단측으로 향하여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으로, 내측롤러(3)의 외주면(3b)과 선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외측롤러(4)와 내측롤러(3)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기울어짐변위가 허용된다(경사구조).
내주면(4a)의 도 3에 나타내어지는 경사각()은 예컨데 0.1° 내지 3°로 조금이고, 이 실시형태로는= 0.3° 내지 0.7°로 설정하고 있다. 도면으로는, 내주면(4a)의 경사가 매우 과장되어 있다.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모선은, 점 (O1)보다도 더욱 외측에 오프세트된 점(O3)을 중심으로하는 반경(R3)의 원호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조인트부재(1)의 롤러안내면(1a1)의 단면형상은, 두 원호형상(고딕아치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롤러안내면(1a1)과 외측롤러(4)의 내주면(4b)과는 두 점(p), (q)에서 앵귤러콘택트한다. 앵귤러콘택트점(p), (q)은,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중심(O3)을 포함하며, 다리축(2a)의 축선(Z)과 직교하는 중심선(L1)에 대해서, 축선(Z)방향으로 등거리정도 반대측에 떨어진 위치에 있다. 또, 롤러안내면(1a1)의 단면형상은, V자형상 또는 포물선형상 등으로도 좋다.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중심(O3)을 포함하며, 다리축(2a)의 축선(Z)과 직교하는 중심선(L1)과 조인트중심(O)과의 사이의 수직거리(PCR1)와,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의 중심(O1)을 포함하며, 다리축(2a)의 축선(Z)과 직교하는 중심선(L 2)과 조인트중심(O)과의 사이의 수직거리(PCR2)는, ΔH(=PCR1-PCR2)정도 어긋나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최적인 상태로는, (PCR2)가 (PCR1)보다도 최적량ΔH정도 다리축 기단축(동 도에 하측)으로 어긋나고, 외측롤러(4)의 내주면(4a)와 내측롤러 (3)의 외주면(3b)과의 접촉위치(S)가,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중심선(L1)상 (PCR1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ΔH의 크기는, 도 4에 나타내는 ΔH'의 크기에 대응하는 것이다.
외측롤러(4)의 내주면(4a)이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하여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롤러(3)의 외주면(3b)과의 접촉위치(S)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F)이 발생한다. 또한, 이 부하분력(F)의 반력으로서, 다리축 기단축으로 향한 힘(F')이 발생한다. 이 부하분력(F), 반력(F')의 작용에 관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구성과 변함이 없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것은,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의 (PCR2)를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PCR1)보다도 다리축 기단축(동 도에 하측)에 소정량 ΔH정도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 외측롤러(4)의 내주면(4a)과 내측롤러(3)의 외주면( 3b)과의 접촉위치(S)가 (PCR1)상에 위치하도록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 비해서, 유기스러스트의 한층더한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즉, 이 조인트가 작동각을 취하면서 회전토크를 전달할 때, 다리축(2a)의 회전방향의 위상변화에 따라서, 접촉위치( S)는 작동각이 0°일 때의 위치(도 3에 나타내는 (PCR1)상의 위치: 앵귤러콘택트점 (p), (q) 사이의 이등분위치로 이룬다.)를 기점으로해서, 그곳에서 다리축 기단축(동 도에 하측) 및 다리축 선단축(동 도에 상측)의 소정영역내(작동각이 0°일 때의 위치에서 다리축 기단축으로의 이동량쪽이 다리축 선단축으로의 이동량보다도 크다.), 요컨데 앵귤러콘택트점(q)에 가까운 영역내로 왕복이동하는 것이 되지만, 그 접촉위치(S)의 앵귤러콘택트점(q)측으로의 이동에 의한 영향과,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F)에 의한 영향이 서로 상쇄해서, 앵귤러콘택트점(p), (q)이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작동각(O°)일 때의 접촉위치(S)를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PCR1)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유기스러스트를 보다 한층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각 부품의 치수ㆍ형상으로는 제조상의 오차가 불가피하고, 모든 실제품에 관해서 상기 최적구성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조인트를 조립한 상태로 접촉위치(S)를 정확하게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다. 그래서, 조립전의 단계에서,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PCR1),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의 (PCR2 )를 측정하고, 그것의 상호차 ΔH(=PCR1-PCR2)를 관리하여, 조립후의 접촉위치(S)(ΔH)를 예측하는 것이 있다. 또, (PCR1)의 분산요인으로서는, 외측조인트부재(1)의 롤러안내면(1a1)의 치수ㆍ형상의 오차,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치수ㆍ형상의 오차 등이 고려되어진다. 또한, (PCR2)의 분산요인으로서는, 내측롤러(3)의 외주면 (3b)의 치수ㆍ형상의 오차, 다리축(2a)의 끝면에서 조인트중심(O)까지의 치수오차 등이 고려되어진다.
상기 상호차 Δh(=PCR1-PCR2)를 정밀도가 좋게끔(예를 들면 소정치로) 관리하는 것에 의해, 실제품을 상기 최적구성에 가급적 가깝게 부착할 수 있다. 그 한 쪽으로, 상호차Δh를 고정밀도로 관리한다고 하면, 부품의 불량율이 높아지고, 또는 부품의 고정밀도한 가공이 필요로 되며, 이 경우에는 제조비용의 상승이 계속된다. 따라서, 상호차Δh의 관리는, 유기스러스트의 저감과 제조비용과의 걸맞게 배려하여, 최적인 관리폭으로 행하는 것이 좋다. 이 상호차Δh의 최적인 관리폭을 구하기 위하여, 실험을 행했다. 실험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 (경사각=0.3°~0.7°)에 관해서, 상호차Δh가 다른 여러가지의 시험조인트를 제작하고, 각 시험조인트를 소정의 작동각, 회전토크, 회전수 하에서 회전시켜, 유기스러스트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했다. 이 결과를 도 2에 통합해서 나타낸다. 또, 도 2에 있어서, 상방의 점선은 유기스러스트(삼차성분)의 최대치를 플로트한 것이고, 하방의 실선은 유기스러스트(삼차성분)의 최소치를 플로트한 것이다.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2㎜Δh0.33㎜ 의 범위에서 유기스러스트의 저감효과가 확인되고, 특히 -0.1㎜Δh0.3㎜ 의 범위, 더욱이 -0.01㎜Δh0.27㎜ 의 범위로 유기스러스트의 현저한 저감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Δh의 관리폭을, 상기 범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실제품에 있어서 유기스러스트의 목표치를 클리어하고, 양호한 저진동특징을 얻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조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 부품개수의 삭감을 위해, 도 1에 있는 와셔(10)를 없애고, 내측롤러(3) 및 바늘형상롤러(6)의 타단을 다리축(2a)의 기단부의 어깨면에 접촉시킨 구성으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내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롤러안내면(1a1)과 외측롤러(4)의 외주면(4b)과의 사이의 안내간극(11)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간극(11)의 크기는 t이다. 안내간극(11)의 크기(t)는, 유기스러스트를 저감하는 관점에서 최적으로 설정되어진다. 또, 동 도에는, 외측롤러(4)가 롤러안내면(1a1)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여, 안내간극(11)이 외주면(4b)의 양측에 각각 t/2씩 배분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토크전달 시는, 외주면(4b)이 부하측의 롤러안내면 (1a1)에 접촉해서, 비부하측의 롤러안내면(1a1)과 외주면(4b)과의 사이에 크기(t)의 안내간극(11)이 가능하다.(외측롤러(4)의 경사짐이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의 특징으로하는 것은,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의 (PCR2)를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PCR1보다도 다리축 기단축에 소정량 ΔH정도 어긋나게 하고, 그 것에 의해서 외측롤러(4)의 내주면(4a)과 내측롤러(3)의 외주면 (3b)과의 접촉위치(S)가 PCR1상에 위치하도록한 점, 롤러안내면(1a1)과 외측롤러( 4)의 외주면(4b)과의 사이의 안내간극(11)의 크기(t)를 유기스러스트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값으로 최적설정한 점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 비교하여, 유기스러스트의 한층더한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즉, 이 조인트가 작동각을 취하면서 회전토크를 전달할 때, 다리축(2a)의 회전방향의 위상변화에 따라서, 접촉위치(S)는 작동각이 0°일 때의 위치(도 3에 나타내는 PCR1상의 위치 : 앵귤러콘택트점(p), (q) 사이의 이등분위치로 된다.)를 기점으로하여, 그 곳에서부터 다리축 기단축(동 도에 하측) 및 다리축 선단축(동 도에 상측)의 소정영역내(작동각이 0°일 때의 위치에서 다리축 기단축으로의 이동량쪽이 다리축 선단축으로의 이동량보다도 크다.), 요컨데 앵귤러콘택트점(q)에 가까운 영역내로 왕복이동하는 것이 되지만, 그 접촉위치(S)의 앵귤러콘택트점(q)측으로의 이동에 의한 영향과,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F)에 의한 영향이 서로 상쇄해서, 앵귤러콘택트점(p), (q) 사이의 하중 발란스가 유지하고, 이것에 의해 외측롤러(4)의 경사짐(흔들림)이 억제된다. 또한, 안내간극(11)의 크기(t)가 최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롤러(4)의 경상짐이 있는 경우에도, 비부하측의 롤러안내면(1a1)이 외주면(4b)에 알맞은 정도로 가볍게 접촉해서, 외측롤러(4)의 그 이상의 경사짐을 억제하고, 게다가 그 때의 접촉면압의 상승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안내간극(11)이 작아져 버리면, 외측롤러(4)의 약간의 경사짐에 대해서 비부하측의 롤러안내면(1a1)과 외주면(4b)가 비교적 강하게 접촉해서 접촉면압이 높아지고, 역으로 안내간극(11)이 커져 버리면, 외측롤러(4)의 경사짐에 대응하는 자유도가 커지고, 외측롤러(4)와 롤러안내면(1a1)과의 경사져서 움직이는 상태가 조장되는 효과가 된다. 이와 같이, 접촉위치(S)의 최적설정에 의한 외측롤러(4)의 경사짐억제효과와, 안내간극(11)의 최적설정에 의한 외측롤러(4)의 경사짐억제효과 및 접촉면압의 억제효과와 더불어, 유기스러스트가 보다 저감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립전의 단계에서, 외측롤러(4)의 외주면(4b)의 PCR1, 내측롤러(3)의 외주면(3b)의 PCR2를 측정하고, 그것의 상호차Δh(=PCR1-PCR2)를 관리해서, 조립후의 접촉위치(S)(ΔH)를 예측하는 것으로 한다. 상호차Δh (=PCR1-PCR2)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0.2㎜Δh0.33㎜, 바람직하게는 -0.1㎜Δh0.3㎜, 더욱 바람직하게는 -0.1㎜Δh0.27㎜ 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Δh의 관리폭을 더욱 좁혀서, -0.05㎜Δh0.15㎜ 로 하고 있다.
안내간극(11)의 크기(t)의 최적범위를 구하기 위해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경사각=0.5°)에 관해서, PCR상호차Δh를 71㎛로 하고, 안내간극(11)의 크기(t)가 다른 여러가지의 시험조인트를 제작하고, 각 시험조인트에 작동각θ=6°, 8°, 10°, 12.5°를 주어서, 소정의 회전토크, 회전수 하에서 각각 회전시켜서, 유기스러스트를 측정하는 것으로 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에 통합해서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작동각θ=6°, 8°, 10°, 12.5°의 어느 하나를 준 경우에도, 0.08㎜t0.110㎜의 범위내에서 유기스러스트가 저감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통상적으로, 승용차에는 최대작동각이 9°정도이지만, 발진 시에는 중량의 이동에 의하여 최대 12°정도로 되는 것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용작동각 범위로는, 0.08㎜t0.110㎜가 안내간극의 크기의 최적치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안내간극의 크기의 최적설정에 관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롤러의 다리축 선단축의 단면을 롤러안내면의 어깨면으로 안내하는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안내간극의 크기의 최적설정에 관한 본 발명은, 다리축에 장착한 롤러의 외주면을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에 안내시키는 구성인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대해서 확대해서 적용가능하고, 롤러의 구성, 형상, 안내모양, 다리축에 대응하는 장착모양 등은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된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외측롤러와 내측롤러와의 접촉위치는 최적관리하여, 유기스러스트를 보다 한층더 저감시키고, 그 것에 의해서 보다 저진동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를 제공하는 것과, 롤러안내면과 외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안내간극을 최적관리하는 것에 의해, 유기스러스트를 보다 한층더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그것에 의해서 보다 저진동의 등속유니버설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7)

  1. 내주부에 축방향의 세 개의 트랙홈이 형성되고, 각 트랙홈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의 롤러안내면을 보유하는 외측조인트부재와,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세 개의 다리축을 보유하고, 각 다리축에 각각 내측롤러와 외측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트리포드부재를 구비하고, 외측롤러는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으로 안내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보유하고, 내측롤러는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선접촉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을 보유하고,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상기 접촉위치가,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해서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과 롤러안내면이 두 점에서 앵귤러콘택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4. 내주부에 축방향의 세개의 트랙홈이 형성되고, 각 트랙홈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의 롤러안내면을 보유하는 외측조인트부재와,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세 개의 다리축을 보유하고, 각 다리축에 각각 내측롤러와 외측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트리포드부재를 구비하고, 외측롤러는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에 안내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보유하고, 내측롤러는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선접촉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을 보유하고,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내측롤러의 외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1)과, 상기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2)와의 차Δh(=PCR1-PCR2)가,
    -0.2㎜Δh0.33㎜의 범위내로 되도록 관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해서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과 롤러안내면이 두 점에서 앵귤러콘택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7. 내주부에 축방향의 세개의 트랙홈이 형성되고, 각 트랙홈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의 롤러안내면을 보유하는 외측조인트부재와,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세 개의 다리축을 보유하고, 각 다리축에 각각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트리포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가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에 안내되는 외주면을 보유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트랙홈의 양측의 롤러안내면과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안내간극이, 유기스러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소정량으로 관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트랙홈의 롤러안내면으로 안내되는 외주면을 보유하는 외측롤러와, 외측롤러의 내주면과 선접촉하는 구면형상의 외주면을 보유하는 내측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내측롤러의 내주면과의 접촉위치에 다리축 선단측으로 향한 부하분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롤러의 내주면이, 다리축 선단축으로 향해서 점차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 롤러안내면이 두 점에서 앵귤러콘택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간극의 크기(t)가 0.080㎜t0.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간극의 크기(t)가 0.080㎜t0.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4.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1)와, 상기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2)와의 차Δh(=PCR1-PCR2)가, -0.2㎜Δh0.3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5. 제 11 항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 CR1)와, 상기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2)와의 차Δh(=PCR1-PCR2)가, -0.2㎜Δh0.3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6. 제 12 항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 CR1)와, 상기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2)와의 차Δh(=PCR1-PCR2)가, -0.2㎜Δh0.3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17. 제 13 항에 있어서, 작동각이 0°일 때의, 상기 외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 CR1)와, 상기 내측롤러의 외주면의 중심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과 조인트중심 사이의 수직거리(PCR2)와의 차Δh(=PCR1-PCR2)가, -0.2㎜Δh0.3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유니버설조인트.
KR1019990048178A 1998-11-02 1999-11-02 등속유니버설조인트 KR20000035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12321 1998-11-02
JP31232198A JP2000136830A (ja) 1998-11-02 1998-11-02 等速自在継手
JP98-361062 1998-12-18
JP36106298A JP2000179565A (ja) 1998-12-18 1998-12-18 等速自在継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166A true KR20000035166A (ko) 2000-06-26

Family

ID=2656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178A KR20000035166A (ko) 1998-11-02 1999-11-02 등속유니버설조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22453B1 (ko)
KR (1) KR20000035166A (ko)
FR (1) FR2785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8774A1 (en) * 1999-07-01 2004-12-23 Thompson Ronald J. Method of using a compound of menthol and L-arginine as a preparation for the topical delivery of a 5-phosphodiaesteras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JP2002054649A (ja) * 2000-08-11 2002-02-20 Ntn Corp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4184185B2 (ja) * 2003-07-31 2008-11-19 Ntn株式会社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US20090197687A1 (en) * 2003-12-22 2009-08-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4147179B2 (ja) * 2003-12-22 2008-09-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
US8029372B2 (en) * 2003-12-22 2011-10-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WO2005083283A1 (ja) * 2004-03-02 2005-09-09 Honda Motor Co., Ltd. 等速ジョイント
DE502004010280D1 (de) * 2004-08-06 2009-12-03 Ifa Technologies Gmbh Gleichlaufdrehgelenk
US20070179958A1 (en) * 2005-06-29 2007-08-02 Weidong Ch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arching and categorizing messages within a network system
US7435181B2 (en) 2005-10-25 2008-10-14 Delphi Technologies, Inc. Tripot ball with two point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5167B (en) * 1986-09-17 1990-03-21 Ntn Toyo Bearing Co Ltd Homokinetic universal joint
GB8829530D0 (en) * 1988-12-17 1989-02-01 Spicer Hardy Ltd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DE4130183C2 (de) * 1991-09-11 1994-01-20 Gkn Automotive Ag Tripodegelenk
DE4130956C2 (de) * 1991-09-18 1995-01-05 Gkn Automotive Ag Tripodegelenk
GB2268789B (en) * 1992-07-14 1995-05-17 Loehr & Bromkamp Gmbh Tripode type constant velocity ratio joints
DE4343096C1 (de) * 1993-12-17 1995-07-06 Gkn Automotive Ag Tripodegelenk mit Rollensicherung
GB2324354B (en) * 1995-02-27 1999-04-14 Ntn Toyo Bearing Co Ltd Homokinetic universal joint
JP3212070B2 (ja) * 1995-02-27 2001-09-25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
JP2957121B2 (ja) * 1996-02-01 1999-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
EP1008777B1 (en) * 1996-02-05 2007-04-25 Ntn Corporation 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H09273566A (ja) * 1996-04-01 1997-10-21 Nippon Seiko Kk トリポッド型等速ジョイ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85342B1 (fr) 2002-05-10
US6322453B1 (en) 2001-11-27
FR2785342A1 (fr) 200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347B2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KR930001571B1 (ko) 트리포트식 정속 유니버설 조인트
JP3859295B2 (ja) 摺動型等速自在継手
KR101024883B1 (ko)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EP1252453B1 (en) Tripode constant velocity joint
US8814712B2 (en) Sliding ball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for vehicle
KR19980703608A (ko) 트리포오드형 등속자재조인트
KR20000035166A (ko) 등속유니버설조인트
KR20020013754A (ko) 트라이포드형 등속 유니버설 조인트
US20030040365A1 (en) Tripod joint
EP1505308B1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GB2161581A (en) Drive assembly coupling
JPH0232492B2 (ko)
US6264565B1 (en) 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CN100395461C (zh) 等速万向节
US20090197687A1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20030040367A1 (en) Tripod joint
US6200224B1 (en) Slidabl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8029372B2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2000136830A (ja) 等速自在継手
JPH10246241A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JP2009014179A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2006258255A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2000154832A (ja) 等速自在継手
KR100706080B1 (ko) 볼베어링을 갖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