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705A - 구획 현상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구획 현상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705A
KR20000033705A KR1019980050689A KR19980050689A KR20000033705A KR 20000033705 A KR20000033705 A KR 20000033705A KR 1019980050689 A KR1019980050689 A KR 1019980050689A KR 19980050689 A KR19980050689 A KR 19980050689A KR 20000033705 A KR20000033705 A KR 20000033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ixels
boundary
decoded image
corr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6643B1 (ko
Inventor
장준호
김정권
이충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643B1/ko
Priority to US09/353,058 priority patent/US6728414B1/en
Publication of KR2000003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입력 복호 영상에 대해 평탄부 또는 비평탄부인지 분류하고,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화소에 대해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제공하고, 구획 경계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구획내의 화소를 이중 선형 보간하여 구획 경계의 화소와 구획내 화소에 대한 제1 보정치를 제공한다. 복호 영상이 비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화소들에 대해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에 대한 제2 보정치를 제공하여 평탄부이면 제1 보정치를 이용하고, 비평탄부이면 제2 보정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을 보정함으로써 에지와 텍스쳐는 유지하면서 구획 기반 부호화된 복호 영상의 경계간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구획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획 현상 제거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화질 개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획 기반 부호화시에 발생하는 구획 현상(blocking artifact)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하거나 이를 다시 복호화하는 장치에서, 구획 기반 변환 부호화(block-based transform coding)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구획 기반 변환 부호화 방법은 영상의 압축율이 커짐에 따라 구획 현상을 발생시켜 화질의 열화를 초래한다. 이것은 복호화시 각 구획의 독립적인 양자화 과정에서 변환 계수들의 손실을 정확하게 보상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종래의 구획 현상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 도 1에 있어서, 구획 기반 부호화된 복호 영상을 입력해서(S101 단계), 입력 복호 영상에 대해 구획 경계에 있는 화소들을 이용하여 구획 현상이 나타나는 정도(degree)를 추정한다(S102 단계). 이때, 통상적인 구획 현상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구획 경계에서의 화소값들의 차이를 제곱한 값을 구획 경계를 따라 평균한 값이 이용된다. S102 단계에서 구획 현상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추정된 값을 이용하여 복호 영상을 보정하여 구획 현상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보정된 영상을 제공한다(S103 단계). 보정된 영상에 대해 구획 현상의 제거 정도를 판단하여(S104 단계), 만족스럽게 구획 현상이 제거되었으면 구획 현상이 제거된 복호 영상을 출력하고(S105 단계), 그렇지 않으면 S102 단계로 진행하여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현상 제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과 비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원영상의 완만한 특성과 계수 범위에 관한 사전 지식을 후처리에 활용하여 반복적으로 복호 영상을 컨벡스 세트(Convex Set)에 투사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는 POCS(Projection onto convex sets) 방법, 부호화 및 복호화시 블록간의 약간의 중복을 허용함으로써 블록 경계에서의 불연속성을 줄이는 중복 변환 방법 등의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은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성능은 우수하지만 계산량이 매우 커서 이를 실시간 응용에 사용하거나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블록 경계의 불연속성이 국부적으로 계단파와 유사한 파형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주파수 영역에서 고주파 성분이 많이 발생됨을 의미하므로 블록 경계의 화소들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고주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블록화 현상을 줄이는 경계상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low-pass filtering on boundaries) 방법과 같은 비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은 매우 간단하지만 구획 현상 제거 성능은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 응용이 가능하면서 성능이 우수한 비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지와 텍스쳐는 유지하면서 구획 기반 부호화된 복호 영상의 경계간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획 현상 제거 방법은 구획 기반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해서 얻어진 복호 영상의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 화소들을 필터링하여 제1 보정치를 구하는 단계, 복호 영상이 비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 화소들을 필터링하여 제2 보정치를 구하는 단계 및 평탄부이면 제1 보정치를 이용하고, 비평탄부이면 제2 보정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을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획 현상 제거 장치는 구획 기반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해서 얻어진 복호 영상의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 복호 영상에 대해 평탄부 또는 비평탄부인지 분류하는 구획 분류기,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화소에 대해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제공하는 제1 보정치 계산기, 구획 경계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구획내의 화소를 이중 선형 보간하여 구획 경계의 화소와 구획내 화소에 대한 제1 보정치를 제공하는 보간기, 복호 영상이 비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화소들에 대해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에 대한 제2 보정치를 제공하는 제2 보정치 계산기 및 구획 분류기의 결과가 평탄부이면 제1 보정치를 이용하고, 비평탄부이면 제2 보정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을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을 제공하는 보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획 현상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획 현상 제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은 블록 경계에서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2개의 직선을 보정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획 현상 제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획 현상 제거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획 현상 제거 장치의 일 실시에에 따른 블록도인 도 2에 있어서, 구획 분류기(202), 제1 보정치 계산기(204), 2차원(2-D) 보간기(206), 제2 보정치 계산기(208), 선택기(210) 및 보정기(212)로 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 분류기(block classifier: 202)는 현재 입력되는 복호 영상의 구획이 평탄부(planar surface)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제1 보정치 계산기(204)는 입력되는 복호 영상을 평탄부를 위한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해서 구획 경계의 구획 현상을 제거하고, 2차원 보간기(206)는 평탄부의 구획내의 화소에 대해서도 구획 현상을 제거하고, 제2 보정치 계산기(208)는 입력되는 복호 영상을 비평탄부(complex surface)를 위한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의 구획 현상을 제거하고, 선택기(210)는 구획 분류기(210)에서 분류된 현재 복호 영상이 평탄부이면 2차원 보간기(206)의 출력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 보정치 계산기(208)의 출력을 선택해서 보정기(212)에 제공하고, 보정기(212)는 선택기(210)에 의해 선택된 보정치를 실제 화소값에 적용하여 구획 현상을 보정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도 3을 결부시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획 분류기(202)는 구획 기반 부호화된 복호 영상을 입력해서 현재 처리하고 있는 복호 영상 구획의 2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DCT) 계수를 이용하여 구획을 구분한다. 즉, DCT 계수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를 갖는 3개의 계수, 즉 DC 계수와 DCT 구획상에서 (0,1) 위치와 (1,0) 위치의 AC 계수를 제외한 위치의 계수에서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면 비평탄부로, 그렇지 않으면 평탄부로 분류해서 분류 제어 신호를 선택기(210)에 제공한다.
2개의 구획에 걸친 수평 방향의 화소들을 A7, A6, A5, A4, A3, A2, A1, A0, B0, B1, B2, B3, B4, B5, B6, B7로 해서 A0와 BO 사이에 구획의 경계가 위치하고, 이렇게 수평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계 상의 16개의 화소들(일반적으로 8 × 8 크기의 구획이 DCT에 사용되므로 16개로 가정)을 가정하고, 제1 보정치 계산기(20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획 경계에 해당하는 화소 A0와 B0의 보정치를 평탄부를 위한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해서 얻는다. 즉, 경계 위치에 있는 4개의 화소(A1,A0,B0,B1)에 대해서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해서 경계 화소 AO와 BO의 보정치를 계산한다. 평탄부를 위한 제1 필터 계수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A0/B0에 대한 필터 계수:-/+ [1/4,-3/4,-1/4,3/4]
여기서, 계산된 A0에 대한 보정치에는 네가티브 부호(-)를 부여하고, 계산된 B0에 대한 보정치에는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한다. 즉,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한 필터링 결과는 도 3의 구획 경계에서의 불연속( )을 나타낸다. 입력 복호 영상의 화소 A0에 를 감산하고, 입력 복호 영상의 화소 BO에는 를 가산하면 불연속 경계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한 필터링 결과에 의해 얻어진 는 A0와 A1, B0와 B1을 각각 직선으로 가정하고 2개의 직선이 구획 경계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이다.
평탄부인 경우에는 1 구획의 수평 라인 경계 상에는 2개의 경계가 존재하는 데 즉, 위의 16 화소의 경우에는 A0와 B0 사이가 하나의 구획 경계에 해당하고, A8 또는 B8에 또 다른 경계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2차원 보간기(206)는 제1 보정치 계산기(204)에서 계산된 경계 화소의 보정치를 이용하여 이중 선형 보간(bilinear interpolation)하여 구획 내부의 화소에 대해서도 구획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평탄부에 대해서는 제1 보정치 계산기(204)에서 구획 경계의 화소에 대해서 보정하고 2차원 보간기(206)에서 구획 내부의 화소에 대해서 보정한다.
제2 보정치 계산기(208)는 입력되는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예로서, A1,AO,B0,B1)에 대해 비평탄부를 위한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한다. 제2 필터 계수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A0/B0에 대한 필터 계수:-/+[1/8,-3/8,-1/8,3/8],
A1/B1에 대한 필터 계수:+/-[1/24,-1/8,-1/24,1/8]
즉, 비평탄부를 위한 A0와 B0의 보정치는 평탄부를 위한 제1 필터 계수보다는 작은(여기서는 1/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계산된 A0에 대한 보정치는 네가티브 부호(-), 계산된 B0에 대한 보정치는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한다. A1와 B1의 보정치는 A0와 B0에 대한 필터 계수보다도 작은(여기서는 1/3)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치를 계산해서, 계산된 A1에 대한 보정치는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하고, 계산된 B1에 대한 보정치는 네가티브 부호(-)를 부여한다. 이렇게 평탄부를 위한 제1 필터 계수와 비평탄부를 위한 제2 필터 계수 모두가 산술적인 정수이므로 계산이 간단해지고, 제1 및 제2 보정치 계산기(204,208)의 루프 필터 구성이 간단해진다.
선택기(210)는 구획 분류기(202)에서 분류된 복호 영상이 평탄부이면 2차원 보간기(206)로부터 출력되는 구획 경계와 구획 내부에 대해서 모두 보정한 각 화소의 보정치를 보정기(212)에 제공하고, 비평탄부이면 제2 보정치 계산기(208)로부터 출력되는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보정기(212)에 제공한다. 보정기(212)는 입력되는 복호 영상에 대해 선택기(210)에 의해 선택된 보정치를 가산해서 보정된 영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보정치 계산기(204)와 제2 보정치 계산기(208)에서는 보정치만을 계산하고, 계산된 보정치의 부호는 보정기(212)에서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획 현상 제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인 도 4에 있어서, 블록 기반 부호화된 복호 영상을 입력해서(S201 단계), 입력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지 비평탄부인지를 분류한다(S202 단계). 복호 영상이 평탄부이면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구획 경계의 화소를 필터링해서 구획 경계의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계산한다(S203 단계). 평탄부이면 구획내의 화소에 대해서는 이중 선형 보간을 이용하여 2차원적으로 보간해서(S204 단계), 구획 경계와 구획내의 화소들에 대한 보정치를 제공한다.
한편, S202 단계에서 복호 영상이 비평탄부로 분류되면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를 필터링해서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계산한다(S205 단계). 이렇게 계산된 보정치를 복호 영상에 가산해서 보정된 영상을 제공한다(S206 단계).
따라서, 본 발명은 DCT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구획 기반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대해서 적용가능하다. 즉,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에서 권고하는 H.26x 등의 영상 압축 표준들을 사용하는 부호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송 채널의 제한된 대역으로 인해서 매우 높은 압축율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영상 부호 시스템에서 그 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인터넷상에서 JPEG 형태로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 전화선의 제한된 대역 때문에 화질의 열화가 많이 나타나는 화상 전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게 되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에서는 수신된 영상 화질을 개선하고, 화상 전화에서는 제한된 대역내에서 만족할 만한 수신 화질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미래에 그 응용 분야가 매우 광대할 것으로 기대되는 저전송율(low bit rate) 부호화 시스템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간 적용이 가능하고, 비반복적이고 간단한 정수 산술 연산을 이용하여 구획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하드웨어의 구현이 용이한 효과와 에지와 텍스쳐는 유지하면서 구획 기반 부호화된 복호 영상의 경계간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구획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8)

  1. 구획 기반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해서 얻어진 복호 영상의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 화소들을 필터링하여 제1 보정치를 구하는 단계;
    (b) 상기 복호 영상이 비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 화소들을 필터링하여 제2 보정치를 구하는 단계; 및
    (c) 평탄부이면 제1 보정치를 이용하고, 비평탄부이면 제2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을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의 경계 화소들을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의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구획에 걸친 수평 방향의 화소들을 A7, A6,..., A1, A0, B0, B1,...,B6, B7로 해서 A0와 B0 사이에 구획의 경계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에 있는 2 화소(AO,B0)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상기 제1 필터 계수는 [1/4,-3/4,-1/4,3/4]이고, 얻어진 A0와 B0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네가티브와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구획 경계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획 내부의 화소들을 이중 선형 보간하여 상기 구획 내부의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2개의 구획에 걸친 수평 방향의 화소들을 A7, A6,..., A1, A0, B0, B1,...,B6, B7로 해서 A0와 B0 사이에 구획의 경계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의 보정치를 계산하되, 경계 화소(AO,B0)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상기 제2 필터 계수는 상기 제1 필터 계수보다는 작고, 다른 경계 화소(A1,B1)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제2 필터 계수는 경계 화소(AO,B0)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필터 계수들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화소(AO,B0)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제2 필터 계수는 [1/8, -3/8,-1/8,3/8]이고, 얻어진 A0와 B0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네가티브와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하고, 상기 경계 화소(A1,B1)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제2 필터 계수는 [1/24,-1/8,-1/24,1/8]이고, 얻어진 A1과 B1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포지티브와 네가티브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지 아니면 비평탄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는 복호 영상 구획의 이산 코사인 변환 계수의 DC 계수와 일부의 저주파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지 비평탄부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9. 구획 기반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해서 얻어진 복호 영상의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입력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단계;
    (b)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이 평탄부이면 구획 경계의 화소를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구획 내부의 화소를 이중 선형 보간하여 구획 경계와 구획 내부의 화소를 위한 보정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을 상기 보정치를 이용하여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 복호 영상 구획의 이산 코사인 변환 계수의 DC 계수와 일부의 저주파 계수 이외에 "0" 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면 비평탄부, 그렇지 않으면 평탄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2개의 구획에 걸친 수평 방향의 화소들을 A7, A6,..., A1, A0, B0, B1,...,B6, B7로 해서 A0와 B0 사이에 구획의 경계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구획 경계에 있는 화소(AO,A1)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상기 제1 필터 계수는 [1/4,-3/4,-1/4,3/4]이고, 얻어진 A0와 B0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네가티브와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d)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이 평탄부가 아니면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화소들을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구한 후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2개의 구획에 걸친 수평 방향의 화소들을 A7, A6,..., A1, A0, B0, B1,...,B6, B7로 해서 A0와 B0 사이에 구획의 경계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에 있는 일부 화소의 보정치를 계산하되, 경계 화소(AO,B0)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상기 제2 필터 계수는 [1/8, -3/8,-1/8,3/8]이고, 얻어진 A0와 B0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네가티브와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경계 화소(A1,B1)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제2 필터 계수는 [1/24, -1/8,-1/24,1/8]이고, 얻어진 A1와 B1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포지티브와 네가티브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방법.
  14. 구획 기반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해서 얻어진 복호 영상의 구획 현상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 복호 영상에 대해 평탄부인지 비평탄부인지를 분류하는 구획 분류기;
    상기 복호 영상이 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화소에 대해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제공하는 제1 보정치 계산기;
    상기 구획 경계 화소에 대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구획내의 화소를 이중 선형 보간하여 구획 경계의 화소와 구획내 화소에 대한 제1 보정치를 제공하는 보간기;
    상기 복호 영상이 비평탄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복호 영상의 구획 경계의 화소들에 대해 필터링하여 구획 경계의 일부 화소에 대한 제2 보정치를 제공하는 제2 보정치 계산기; 및
    상기 구획 분류기의 결과가 평탄부이면 제1 보정치를 이용하고, 비평탄부이면 제2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을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을 제공하는 보정기를 포함하는 구획 현상 제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분류기는 상기 복호 영상 구획의 이산 코사인 변환 계수의 DC 계수와 일부의 저주파 계수 이외에 "0" 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면 비평탄부, 그렇지 않으면 평탄부로 분류하는 구획 분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분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복호 영상이 평탄부이면 상기 제1 보정치를 상기 보정기에 제공하고, 비평탄부이면 상기 제2 보정치를 상기 보정기에 제공하는 선택기를 더 포함하는 구획 현상 제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치 계산기는 2개의 구획에 걸친 수평 방향의 화소들을 A7, A6,..., A1, A0, B0, B1,...,B6, B7로 해서 A0와 B0 사이에 구획의 경계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구획 경계에 있는 화소(AO,A1)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상기 제1 필터 계수는 [1/4,-3/4,-1/4,3/4]이고, 얻어진 A0와 B0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네가티브와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치 계산기는 2개의 구획에 걸친 수평 방향의 화소들을 A7, A6,..., A1, A0, B0, B1,...,B6, B7로 해서 A0와 B0 사이에 구획의 경계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구획 경계에 있는 일부 화소의 보정치를 계산하되, 경계 화소(AO,B0)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상기 제2 필터 계수는 [1/8, -3/8,-1/8,3/8]이고, 얻어진 A0와 B0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네가티브와 포지티브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경계 화소(A1,B1)의 보정치를 얻기 위한 제2 필터 계수는 [1/24, -1/8,-1/24,1/8]이고, 얻어진 A1와 B1에 대한 보정치는 각각 포지티브와 네가티브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현상 제거 장치.
KR10-1998-0050689A 1998-11-25 1998-11-25 구획현상제거방법및장치 KR10036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689A KR100366643B1 (ko) 1998-11-25 1998-11-25 구획현상제거방법및장치
US09/353,058 US6728414B1 (en) 1998-11-25 1999-07-13 De-block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689A KR100366643B1 (ko) 1998-11-25 1998-11-25 구획현상제거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05A true KR20000033705A (ko) 2000-06-15
KR100366643B1 KR100366643B1 (ko) 2003-02-19

Family

ID=1955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689A KR100366643B1 (ko) 1998-11-25 1998-11-25 구획현상제거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28414B1 (ko)
KR (1) KR100366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849B1 (ko) * 2004-07-22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에서의 블록킹 현상 필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669905B1 (ko) * 2004-12-02 2007-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 경계 영역 특성을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 및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055B1 (ko) * 1999-12-08 2002-05-02 구자홍 압축 영상신호의 블럭현상 및 링현상 제거방법
FR2818862A1 (fr) * 2000-12-26 2002-06-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cede de traitement de donnees
US7003174B2 (en) * 2001-07-02 2006-02-21 Corel Corporation Removal of block encoding artifacts
CN101448162B (zh) * 2001-12-17 2013-01-02 微软公司 处理视频图像的方法
US6944771B2 (en) * 2001-12-20 2005-09-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coming a watermark security system
US7543326B2 (en) * 2002-06-10 2009-06-0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ate control
JP2005535010A (ja) * 2002-06-12 2005-11-17 シリコン オプ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異常の電子補正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30235250A1 (en) * 2002-06-24 2003-12-25 Ankur Varma Video deblocking
JP2005535204A (ja) * 2002-07-31 2005-11-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ブロッキングアーチファクトの動的な検出
US7254275B2 (en) * 2002-12-17 2007-08-07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age compression using image symmetry
US6922492B2 (en) * 2002-12-27 2005-07-26 Motorola, Inc. Video deblocking method and apparatus
US7218794B2 (en) * 2003-04-10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cting grid in block-based compressed video
US10554985B2 (en) 2003-07-18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C coefficient signaling at small quantization step sizes
US7471845B2 (en) * 2004-01-06 2008-12-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ringing filter
US7315661B2 (en) * 2004-04-01 2008-01-01 Mediatek Inc. Directional interpolation method using DCT information and related device
US7778480B2 (en) * 2004-11-23 2010-08-17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Block filtering system for reducing artifacts and method
KR100672592B1 (ko) * 2005-01-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CN100438629C (zh) * 2005-09-19 2008-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编码处理中的环路滤波方法
US20080025390A1 (en) * 2006-07-25 2008-01-31 Fang Shi Adaptive video frame interpolation
JP5270573B2 (ja) * 2006-12-28 2013-08-21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ブロックアーチファクト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WO2008134482A1 (en) 2007-04-26 2008-11-06 Polycom, Inc. De-blocking filter arrangements
US20100245672A1 (en) * 2009-03-03 2010-09-3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and video processing
EP2226760A1 (en) * 2009-03-03 2010-09-0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mpression artifacts in video signals
KR101749897B1 (ko) * 2009-09-04 2017-06-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스케일러블 이미지 코딩 및 디코딩
CN107659820B (zh) * 2011-09-22 2020-03-10 Lg 电子株式会社 用信号发送图像信息的方法和装置,以及使用其的解码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367B1 (ko) * 1991-06-04 1999-03-20 하비 피. 화이트 적응블록크기 영상압축방법 및 시스템
US5479211A (en) * 1992-04-30 1995-12-26 Olympus Optical Co., Ltd. Image-signal decoding apparatus
JPH05316494A (ja) * 1992-05-06 1993-11-26 Ikegami Tsushinki Co Ltd 画像データ符号化装置
US5367385A (en) * 1992-05-07 1994-11-22 Picture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lock coded image data to reduce boundary artifacts between adjacent image blocks
JPH06176144A (ja) * 1992-12-07 1994-06-24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3161172B2 (ja) * 1993-08-06 2001-04-25 ミノルタ株式会社 符号化装置
US5729631A (en) * 1993-11-30 1998-03-17 Polaroid Corporation Image noise reduction system using a wiener variant filter in a pyramid image representation
US6222881B1 (en) * 1994-10-18 2001-04-24 Intel Corporation Using numbers of non-zero quantized transform signals and signal differences to determine when to encode video signals using inter-frame or intra-frame encoding
US6064776A (en) * 1995-10-27 2000-05-1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850294A (en) * 1995-12-18 1998-12-1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t-processing images
JPH09261677A (ja) 1996-03-26 1997-10-03 Toshiba Corp 背面投写型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US5737451A (en) * 1996-04-10 1998-04-0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blocking artifacts in block-transform coded images
US5796875A (en) * 1996-08-13 1998-08-18 Sony Electronics, Inc. Selective de-blocking filter for DCT compressed images
US6057882A (en) * 1996-10-29 2000-05-02 Hewlett-Packard Company Testing architecture for digital video transmission system
US5828848A (en) * 1996-10-31 1998-10-27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video data streams
JPH1132333A (ja) * 1997-06-30 1999-02-02 Texas Instr Inc <Ti> 圧縮画像の処理装置
KR100281099B1 (ko) * 1997-07-30 2001-04-02 구자홍 동영상의부호화에따른블록화현상제거방법
KR100269125B1 (ko) * 1997-10-25 2000-10-16 윤덕용 양자화효과감소를위한영상데이터후처리방법및장치
US5887084A (en) * 1997-11-07 1999-03-23 Polaroid Corporation Structuring a digital image into a DCT pyramid image representation
JP2000295615A (ja) * 1999-04-08 2000-10-20 Sharp Corp ビデオフォン端末用表示装置
JP2000299860A (ja) * 1999-04-13 2000-10-24 Japan Radio Co Ltd 画像復号化装置
JP3489735B2 (ja) * 2000-08-16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演算装置
JP4086520B2 (ja) * 2001-03-19 2008-05-14 株式会社リコー 多値画像の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849B1 (ko) * 2004-07-22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에서의 블록킹 현상 필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669905B1 (ko) * 2004-12-02 2007-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 경계 영역 특성을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6643B1 (ko) 2003-02-19
US6728414B1 (en) 200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643B1 (ko) 구획현상제거방법및장치
KR0165497B1 (ko) 블럭화현상 제거를 위한 후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RE42660E1 (en) Method of removing blocking artifacts in a coding system of a moving picture
KR1006725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JPH07231450A (ja) 動画画像信号系列中のアーティファクトを削減するためのフィルタ装置及び方法
CN111213380B (zh) 一种帧间预测装置、方法、编解码装置和可读介质
KR100308016B1 (ko) 압축 부호화된 영상에 나타나는 블럭현상 및 링현상 제거방법및 영상 복호화기
JP2006513633A (ja) エラー隠蔽中に生成されるアーチファクトをスムージングするデコーダ装置及び方法
JPH07236140A (ja) 動画像の復号化における雑音低減装置
JPH1051775A (ja) 動映像復号化器のブロック化現象除去方法及び装置
EP0680219A2 (en) Improved post-processing method for use in an image signal decoding system
JP3792837B2 (ja) デ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
JPH06113147A (ja) ノイズ除去装置
JPH11187400A (ja) 歪除去方法および歪除去フィルタ
CN111903132B (zh) 图像处理装置和方法
JP3176270B2 (ja) 画像復号化処理方法
JP2650734B2 (ja) 画像符号化処理方法
JPH11298898A (ja) ブロック歪低減回路
JPH07307942A (ja) 画像雑音除去装置
JPH09149417A (ja) 動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389792A (ja) 画像符号化装置
JP2001352546A (ja) 高能率符号化における前処理装置
US20080187237A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reducing image block noise
JPH0434088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2962815B2 (ja) 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