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457A -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 Google Patents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457A
KR20000032457A KR1019980048911A KR19980048911A KR20000032457A KR 20000032457 A KR20000032457 A KR 20000032457A KR 1019980048911 A KR1019980048911 A KR 1019980048911A KR 19980048911 A KR19980048911 A KR 19980048911A KR 20000032457 A KR20000032457 A KR 20000032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ing
reception
conveyor
p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577B1 (ko
Inventor
한길수
손재용
윤진하
최홍기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8004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5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2Automatic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접식 자동접목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11)의 상부면에 구동원에 의해 각기 연동되는 접수, 접목 및 대목컨베이어(1-3)를 설치하고, 트레이 형태로 접수 및 대목 플러그묘를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에 제공하여 대목 플러그묘의 대목잎과 상단부를 제거한 한 상부에 접목핀(P)을 꽂아 준비하고, 접수 플러그묘의 하부를 절단하여 플러그묘와 분리하여 준비된 대목과 접합하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의 자동화함으로써, 종래 최소 3인 1조 되어 시간당 345주의 접목이 가능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구조는 1인 작업자에 의해 시간당 1600주를 접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최소 10배 이상의 작업능률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본 발명은 접수 및 대목을 트레이 상태로 공급하여 자동절단하고 접목후 배출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한 핀접식 자동접목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활수준의 향상과 현대화된 식사패턴에 대응하여 과채류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94년도 기준 과채류 재배면적을 살펴보면, 재배면적은 78,030ha로서 재배에 필요한 소요 묘수는, 대략 7.9억 본에 해당되는데, 이중 약 70%인 5.5억 본의 접목 묘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과채류의 접목작업은 국내의 경우 대부분이 수작업에 의해 일련의 작업이 행하여지는데, 이러한 접목작업은 세밀한 조작과 숙련성이 요구되는 한편, 작업강도가 높아 접목묘 단가 대비 인건비의 비중이 매우 높다. 현재, 접목묘는 인건비 상승으로 단가가 상승되어, 과채류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과채류 재배농가의 수익감소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과채류의 접수 및 대목을 트레이 상태로 공급하여 자동절단하고, 접목후 배출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접목작업의 편의성과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핀접식 자동접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대목잎제거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대목가공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접목핀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접수가공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수컨베이어, 2 :접목컨베이어, 3 : 대목컨베이어, 4 : 접목핀공급수단
5 : 대목가공수단, 6 : 접수가공수단, 7 : 제어수단, 8 : 대목잎제거수단
11 : 프레임부, 12 : 이동바퀴, 16 : 접수센서, 17 : 접목센서
18 : 대목센서, 22 : 접수가이드, 23 : 접목가이드, 24 : 대목가이드
25 : 접수브러쉬, 26 : 접목브러쉬, 27 : 대목브러쉬, 28 : 높이조절대
31 : 대목유도가이드, 32 : 대목잎제거 센서, 33 : 실린더
34 : 절단날, 35 : 잎수거가이드, 36 : 수거함, 37 : 고정구
38 : 대목잎제거 고정대, 41 : 대목가공프레임, 42 : 대목실린더
43 : 대목상하실린더, 44 : 위치고정구, 45 : 대목연결대
47 : 대목조리개, 48 : 대목평행척 센서, 49 : 대목평행척, 50 : 대목절단날
51 : 접목핀공급프레임, 52 : 홀러실린더, 53 : 홀더실린더고정구
54 : 홀더, 55 : 홀더덮개, 56 : 핀받이실린더, 57 : 핀받이
58 : 핀받이센서, 59: 핀받이고정구, 61 : 접수가공프레임, 62 : 접수실린더
63 : 접수상하실린더, 64 : 위치고정구, 65 : 접수연결대
66 : 조리개실린더, 67 : 접수조리개, 68 : 접수평행척 센서
69 : 접수평행척, 70 : 접수절단날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병렬로 제공되어 있되, 구동원에 의해 각기 연동된 접수, 접목 및 대목컨베이어와; 상기 대목컨베이어에 공급되는 대목 플러그묘의 대목잎을 제거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대목컨베이어의 상부측에 배치된 대목잎제거수단과; 상기 대목잎이 제거된 대목 플러그묘의 상단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되, 적어도 상기 대목컨베이어에서 상기 접목컨베이어까지 왕복자재하게 상기 대목컨베이어의 구동방향에 대해 상기 대목잎제거수단의 후단에 배치된 대목가공수단과; 상기 대목가공된 대목의 상부에 접목핀을 꽂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대목잎제거수단과 상기 대목가공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접목핀공급수단과; 상기 접수컨베이어에 공급되는 접수 플러그묘의 접수 하단부를 절단하여 플러그묘판과 접수를 분리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되, 적어도 상기 접수컨베이어에서 상기 접목컨베이어까지 왕복자재하게 상기 접수컨베이어의 상부측에 배치된 접수가공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수단 등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목에 관한 일련의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핀접식 자동접목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핀접식 자동접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핀접식 자동접목장치는 트레이에 플러그묘 형태로 각기 다수의 접수와 대목을 프레임부(11)에 설치된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에 제공하되, 대목은 대목잎제거수단(8)에 의해 대목의 상단부가 절단되어 대목잎이 제거되고 이어서, 대목가공수단(5)에 의해 대목가공이 완료된 후 접목핀공급수단(4)에 의해 대목의 상부에 접목핀(P)이 박힌 상태로 대목이 준비되고, 접수는 접수가공수단(6)에 의해 하단부가 절단되어 플러그묘와 분리되어 준비된 대목과 각기 대응접목되어 접목 컨베이어(2)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1)는 금속재질의 바를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하부에는 이동바퀴(12)가 다수 설치되어 이동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각기 다른 구동원(도시 안됨)에 의해 연동된 접수, 접목 및 대목컨베이어(1-3)가 3조 병렬식으로 제공되어 있다. 또한, 각 컨베이어(1-3)의 벨트 상부면에는 플러그묘가 일정하게 공급 및 배출되도록 벨트의 폭방향 양단에 구동방향으로 길게 접수, 접목 및 대목가이드(22-24)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각 컨베이어(1-3)의 단부에는 각기 브러쉬(25-27)가 제공되어 접수, 대목 및 접목가공시 컨베이어 밸트의 상부면에 떨어진 상토나 기타 접목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25-27)가 제공되어 있다.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로 제공되는 트레이의 접수 및 대목은 각기 대목잎제거수단(8)이나 접수 및 대목가공수단(6,5)에 의해 가공된 후 원하는 접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전술된 수단(6,4,5)을 제어하는 센서(16- 18)가 프레임부(11)의 대응된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수, 접목 및 대목센서(16-18)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1)의 측부에 제공된 제어수단(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리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일련의 작업이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수단(7)은 후술되는 모든 실린더나 기타 제어가 요하는 모든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일련이 작업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1)의 상부와 각 컨베이어(1-3)의 하부에는 높이조절대(28)가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공되어 컨베이어(1-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대목잎제거수단(8)을 설명하면, 대목잎제거수단(8)은 인접된 접목 및 대목컨베이어(2,3)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대목잎 제거고정대(38)가 대목컨베이어(2,3)의 폭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으며, 대목잎 제거고정대(38)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실린더(33)가 고정구(37)에 의해 대목잎 제거고정대(38)의 양단 칼럼부에 제공하되 그 단부에 절단날(34)을 부설하여 이송되는 대목의 상단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대목잎 제거고정대(38)의 일단부에 설치된 대목잎 제거센서(32)는 대목 플러그묘를 감지하여 절단날(34)에 의해 대목의 상단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대목컨베이어(3)의 상부면에 대응된 대목잎 제거고정대(38)의 크로스빔에는 대목의 수에 대응된 톱니형상의 대목유도가이드(31)가 제공되어, 대목의 줄기부분이 톱니형상의 요부사이에 각기 유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목의 상단부가 절단날(34)에 의해 수평하게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대목의 상단부를 절단함과 동시에 대목잎을 제거하기 위해 잎수거가이드(35)가 절단날(34)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잎수거가이드(35)에 의해 수거된 대목잎을 투기될 수 있도록 수거함(36)이 대목잎 제거고정대(38)의 칼럼부에 제공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대목가공수단(5)을 설명하면, 대목가공수단(5)은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의 폭을 가로질러 대목가공프레임(41)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목가공프레임(41)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대목실린더(42)가 대목가공프레임(41)의 양단 칼럼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목실린더(42)의 측부에는 상하왕복 운동하는 대목상하실린더(43)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대목상하실린더(43)의 하단부에는 대목잎제거수단(8)으로부터 제공된 대목을 가공하도록 대목가공부재(A)가 제공되어 구성된다.
전술된 대목잎제거수단(8)에 의해 대목 상단부와 대목잎이 제거된 대목 플러그묘를 가공하는 대목가공부재(A)는 대목평행척(49), 대목절단날(50) 및 대목조리개(47)가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대목연결대(45)에 제공되어 있는데, 가공되는 대목의 열에 대응하여 복수조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대목평행척(49), 대목절단날(50) 및 대목조리개(47)는 각기 대응된 실린더(49a,50a,47a)에 의해 연결되어 원하는 대목가공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목잎제거수단(8)으로부터 대목의 상단부와 대목잎이 제거된 대목이 대목컨베이어(3)를 통해 이송되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목가공프레임(41)의 일측에 제공된 대목센서(28)에 의해 대목 플러그묘가 정지되는데, 이 때 대목조리개실린더(47a)가 제어수단(7)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어서, 대목조리개(47)가 작동되어 셀의 중심으로 대목 플러그묘의 대응된 각 대목이 유도된다. 대목조리개(47)에 의해 내부에 각기 유도된 대목은 대목평행척(48)에 제공된 각 대목평행척센서(48)가 작동되어 대목평행척실린더(49a)에 의해 대목평행척(49)이 대목의 하부를 클램핑하게 되고 이어서, 제어수단(7)의 프로그램에 따라 대목절단날실린더(50a)가 구동되고 대목절단날(50)에 의해 대목이 절단가공된다. 이와 같이 대목가공이 완료되면, 제어수단(7)의 프로그램에 따라 조리개실린더(47a)는 후퇴되고 이어 대목조리개(47)는 열린 상태로 다음 접목핀(P) 공급이 수행될 까지 대기된다.
그리고, 대목가공프레임(41)의 크로스빔에 설치된 위치고정구(44)는 대목가공수단(5)이 완료된 대목을 후술되는 접수와 접목시키기 위해 대목실린더(42)의 행정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즉, 위치고정구(44)는 일종의 리미트스위치로서 대목실린더(42)가 위치고정구(44)에 의해 이동저지되면 제어수단(7)에 따라 후속 작업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접목핀공급수단(4)을 설명하면, 접목핀공급수단(4)은 가공된 대목에 접목핀(P)을 꽂아주는 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목잎제거수단(8)과 대목가공수단(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되 인접된 접목 및 대목컨베이어(2,3)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접목핀공급프레임(51)이 대목컨베이어(3)의 폭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으며, 대목에 접목핀(P)을 꽂기 위하여 접목핀공급프레임(51)의 크로스빔에는 다수의 홀더(54)가 설치된 홀더실린더고정구(53)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홀더(54)에 각기 대응된 핀받이(57)는 핀받이고정구(59)에 의해 지지되어 있되 핀받이실린더(56)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되며, 여기서 핀받이실린더(56)는 접목핀공급프레임(51)의 칼럼부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접목핀(P)이 하부에 제공되는 홀더(54)는 전술된 바와 같이 대목가공수단(5)에 의해 대목가공이 완료되고 조리개실린더(47a)가 후퇴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음이 제어수단(7)에 의해 확인되면, 각기 연결된 홀더실린더(52)가 하강함에 따라 홀더(54)는 대응된 핀받이(57)까지 하강되면 홀더(54) 내부에 제공되어 있던 접목핀(P)이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핀받이(57)의 측부에 각기 설치된 핀받이센서(58)는 홀더(54)가 핀받이(57)까지 하강하게 되면 제어수단(7)에 의해 홀더실린더(52)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핀받이실린더(56)를 원위치로 후퇴(복귀)시키도록 제공된 것이다. 또한, 홀더(54) 상부에 여분의 접목핀(P)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부(도시 안됨)와 이를 보지하는 홀더덮개(55)가 제공되어 있어, 홀더(54)의 내부에 접목핀(P)이 없는 경우 접목핀(P)을 홀더(54) 내부에 채워줄 수 있도록 작업의 편의성을 기하였다.
이렇게 접목핀(P)이 제공된 홀더(54)가 상승되고 핀받이실린더(56)가 후퇴된 상태로 준비되면, 제어수단(7)의 프로그램에 따라 전술된 대목가공수단(5)의 대목상하실린더(43)가 상승함과 동시에 접목핀공급수단(4)의 홀더실린더(52)가 하강되면서 각각의 대목의 상부에 접목핀(P)이 꽂혀지는 일련의 작업이 완료된다. 그런 다음, 대목가공수단(5)의 대목상하실린더(43)는 계속해서 상승한 다음, 대목실린더(42)가 작동하여 대목 플러그묘에 접목핀(P)이 꽂혀진 대목이 위치고정구(44)에 설치된 접목컨베이어(2) 측으로 이동된 후 접수가공수단(6)에 의한 접수와 접합될 때까지 대기되며 접목핀공급수단(4)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도 1은 대목가공수단(5)과 접목핀공급수단(4)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대목가공수단(5)을 조금 비틀어서 도시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을 명료하게 나타낸 것뿐이며, 실제적으로는 전술된 설명이 구현될 수 있도록 수단등(4-6)이 인접되게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접목핀공급수단(4)의 핀받이실린더(56)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낮게 도시된 것으로 보이나 실제적으로는, 대목컨베이어(3)에 제공된 대목 플러그묘가 충분히 통과될 수 있는 높이에 제공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접수가공수단(6)을 설명하면, 접수가공수단(6)은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의 폭을 가로질러 접수가공프레임(6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접수가공프레임(61)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접수실린더(62)가 접수가공프레임(61)의 양단 칼럼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접수실린더(62)의 측부에는 상하왕복 운동하는 접수상하실린더(63)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접수상하실린더(63)의 하단부에는 접수 플러그묘 형태로 접수컨베이어(1)로부터 제공된 접수를 플러그묘판과 분리하도록 접수가공부재(B)가 제공되어 구성된다.
접수가공부재(B)는 접수절단날(70), 접목평행척(69) 및 접수조리개(67)가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접수연결대(65)에 제공되어 있는데, 가공되는 접수의 열에 대응하여 복수조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접수평행척(69), 접수절단날(70) 및 접수조리개(67)는 각기 대응된 실린더(70a,69a,67a)에 의해 연결되어 원하는 접수가공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수컨베이어(1)를 통해 접수 플러그묘가 이송되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수가공프레임(61)의 일측에 제공된 접수센서(26)에 의해 접수 플러그묘가 정지되는데, 이 때 접수조리개실린더(67a)가 제어수단(7)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어서, 접수조리개(67)가 작동되어 셀의 중심으로 접수 플러그묘가 유도된다. 접수조리개(67)에 의해 내부에 각기 유도된 접수는 접수평행척(68)에 제공된 각 접수평행척센서(68)가 작동되어 접수평행척실린더(69a)에 의해 접수평행척(69)이 접수의 상부를 클램핑하게 되고 이어서, 제어수단(7)의 프로그램에 따라 접수절단날실린더(70a)가 구동되어 접수절단날(70)에 의해 접수가 절단가공된다. 이와 같이 접수가공이 완료되면, 접수 트레이는 접수컨베이어(1)를 따라 배출되고 가공된 접수는 접수실린더(62)에 의해 접목컨베이어(2)의 상부면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접수가공프레임(61)의 크로스빔에 설치된 위치고정구(64)는 접수가공수단(6)이 완료된 접수를 전술된 대목과 접목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접수실린더(62)의 행정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즉, 위치고정구(64)는 일종의 리미트스위치로서 접수실린더(62)가 위치고정구(64)에 의해 이동저지되면 제어수단(7)에 따라 후속 작업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가공된 대목과 접수가 각기 위치고정구(44,64)에 의해 위치조정이 완료되면, 대목은 대목상하실린더(43)에 의해 하강되는 동시에 대목평행척실린더(48a)가 전진한 다음 다시 상승하여, 접수상하실린더(63)에 물려있는 접수와 접합이 되어 접목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접목작업이 완료되면, 접수조리개(67)와 접수평행척(69)이 동시에 열리고 대목평행척실린더(48a)가 후진하며 이때, 접수상하실리더(63)는 접수실린더(62)에 의해 접수컨베이어(1)측으로 복귀된다. 그런 다음, 접목묘는 대목상하실린더(43)에 의해 하강되면서 대목평행척실린더(48a)와 함께 전진되고 이어 대목평행척(48)의 열림에 의해 접목컨베이어(2)의 상부면에 내려져 배출된다. 이후, 대목평행척실린더(48a)가 후진되는 동시에 대목상하실린더(43)는 대목실린더(42)에 의해 대목컨베이어(3)측으로 복귀되어 전술된 일련의 접목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대목컨베이어(3)는 접수 및 접목컨베이어(1,2)의 구동방향과는 반대로 구동되는데, 만약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을 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대목가공수단(5)이나 접수가공수단(6) 중의 어느 한 수단이 180°회전되어야 접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불필요한 조작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핀접식 자동접목장치는 접목량을 계수할 수 있는 계수기와 사용자의 안전상 문제가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여 제어수단(7)에 안전프로그램을 부가하거나 또는, 제어수단(7)에 의해 제어되는 안전벨이나 경광등을 부설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수단(7)은 자동과 수동조작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이 작업신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각기 컨베이어에 트레이 형태의 접수와 대목 플러그묘를 제공하여 접목에 바람직한 접수 및 대목으로 가공한 후 접합하여 접목묘를 만드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종래 접목작업에 있어, 최소 3인 1조 되어 시간당 345주의 접목이 가능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구조는 1인 작업자에 의해 시간당 1600주를 접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최소 10배 이상의 작업능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과채류의 접목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어 과채류 재배농가의 경쟁력 강화 및 농가소득 증가에 조력할 것이라 기대된다.

Claims (8)

  1. 프레임부(11)와; 상기 프레임부(11)의 상부에 병렬로 제공되어 있되, 구동원에 의해 각기 연동된 접수, 접목 및 대목컨베이어(1-3)와; 상기 대목컨베이어(3)에 공급되는 대목 플러그묘의 대목잎을 제거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1)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대목컨베이어(3)의 상부측에 배치된 대목잎제거수단(8)과; 상기 대목잎이 제거된 대목 플러그묘의 상단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되, 적어도 상기 대목컨베이어(3)에서 상기 접목컨베이어(2)까지 왕복자재하게 상기 대목컨베이어(3)의 구동방향에 대해 상기 대목잎제거수단(8)의 후단에 배치된 대목가공수단(5)과; 상기 대목가공된 대목의 상부에 접목핀(P)을 꽂도록 상기 프레임부(11)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대목잎제거수단(8)과 상기 대목가공수단(5)의 사이에 배치된 접목핀공급수단(4)과; 상기 접수컨베이어(1)에 공급되는 접수 플러그묘의 접수 하단부를 절단하여 플러그묘판과 접수를 분리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1)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되, 적어도 상기 접수컨베이어(1)에서 상기 접목컨베이어(2)까지 왕복자재하게 상기 접수컨베이어(1)의 상부측에 배치된 접수가공수단(6)과; 상기 컨베이어(1-3)와 상기 수단(4-6,8)등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목에 관한 일련의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3)의 벨트 상부면에는 플러그묘 트레이가 일정하게 공급 및 배출되도록 벨트 폭방향 양단에 구동방향으로 길게 각기 대응된 접수, 접목 및 대목가이드(22-24)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3)의 단부에는 접수, 대목 및 접목가공시 밸트의 상부면에 떨어진 상토나 기타 접목 부산물을 제거하도록 각기 접수, 접목 및 대목브러쉬(25-27)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11)의 상부와 상기 컨베이어(1-3)의 하부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1-3)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높이조절대(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목잎제거수단(8)은 상기 대목컨베이어(3)의 상부측에 설치된 대목잎제거고정대(38)와, 상기 대목잎제거고정대(38)의 크로스빔에 설치된 톱니형상의 대목유도가이드(31)와, 상기 대목잎제거고정대(38)의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움직이되 단부에 절단날(34)과 잎수거가이드(35)가 제공된 실린더(33)와, 제거된 대목의 상부와 대목잎이 투기되도록 상기 대목잎제거고정대(38)의 단부에 설치된 수거함(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목가공수단(5)은 상기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의 폭을 가로질러 상부측에 설치된 대목가공프레임(41)과, 상기 대목가공프레임(41)의 폭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실린더(42,43)와, 대목 플러그묘를 유도하여 하부를 클램핑한 후 대목 플러그묘의 상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실린더(43)의 하부에 제공된 대목절단부재(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목핀공급수단(4)은 상기 대목컨베이어(3)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대목잎제거수단(8)과 상기 대목가공수단(5) 사이에 제공된 접목핀공급프레임(51)과, 상기 접목핀공급프레임(51)의 크로스빔에 승강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되 다수의 접목핀(P)이 내장된 홀더(54)와, 상기 홀더(54)가 하강하여 접촉됨으로써 상기 홀더(54)의 하부에 접목핀(P)이 공급되도록 상기 홀더(54)의 수직하부에 위치되어 있되 상기 접목핀공급프레임(51)의 칼럼부에 설치된 다수의 핀받이(57)와, 상기 홀더(54)에 접목핀(P)이 공급되면 상기 홀더(54)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핀받이(57)의 측부에 제공된 핀받이센서(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가공수단(6)은 상기 접수 및 대목컨베이어(1,3)의 폭을 가로질러 상부측에 설치된 접수가공프레임(61)과, 상기 접수가공프레임(61)의 폭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실린더(62,63)와, 접수 플러그묘를 유도하여 상부를 클램핑한 후 대목 플러그묘의 하부를 절단하여 플러그묘판과 접수를 분리하도록 상기 실린더(63)의 하부에 제공된 접수절단부재(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목절단부재(A)는 대목연결대(45)와, 대목 플러그묘의 대목을 유도하도록 상기 대목연결대(45)에 제공된 대목조리개(47)와, 상기 대목의 상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대목연결대(45)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대목조리개(47)의 하부에 배치된 대목절단날(50)과, 상기 대목의 하부를 클램핑하도록 상기 대목연결대(45)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대목절단날(50)의 하부에 배치된 대목평행척(49)을 포함하고,
    상기 접수절단부재(B)는 접수연결대(65)와, 접수 플러그묘의 접수를 유도하도록 상기 접수연결대(65)에 제공된 접수조리개(67)와, 상기 접수의 상부를 클램핑하도록 상기 접수연결대(65)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접수조리개(67)의 하부에 배치된 접수평행척(69)과, 상기 접수의 하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접수연결대(65)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접수평행척(69)의 하부에 배치된 접수절단날(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KR1019980048911A 1998-11-14 1998-11-14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KR10029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911A KR100291577B1 (ko) 1998-11-14 1998-11-14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911A KR100291577B1 (ko) 1998-11-14 1998-11-14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457A true KR20000032457A (ko) 2000-06-15
KR100291577B1 KR100291577B1 (ko) 2001-06-01

Family

ID=1955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911A KR100291577B1 (ko) 1998-11-14 1998-11-14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5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9342A (zh) * 2013-11-26 2014-03-05 浙江大学 穴盘蔬菜自动针接式嫁接装置
CN108901419A (zh) * 2018-08-03 2018-11-30 山东安信种苗股份有限公司 一种嫁接砧木切割机
CN109691313A (zh) * 2019-01-31 2019-04-30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种蔬菜嫁接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271B1 (ko) * 2001-06-21 2004-05-31 대한민국 토마토용 접목 로봇
CN110432018A (zh) * 2019-08-22 2019-11-12 河南农业大学 一种烟苗接穗制备装置
CN110432020A (zh) * 2019-08-22 2019-11-12 河南农业大学 一种烟苗砧木制备装置
CN110432021A (zh) * 2019-08-22 2019-11-12 河南农业大学 一种无菌处理的烟苗嫁接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9342A (zh) * 2013-11-26 2014-03-05 浙江大学 穴盘蔬菜自动针接式嫁接装置
CN108901419A (zh) * 2018-08-03 2018-11-30 山东安信种苗股份有限公司 一种嫁接砧木切割机
CN109691313A (zh) * 2019-01-31 2019-04-30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种蔬菜嫁接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1577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43594B (zh) 全自动甜瓜贴接嫁接机
CN113243218B (zh) 一种茄果蔬菜劈接嫁接装置
KR102542589B1 (ko)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KR100291577B1 (ko) 핀접식 자동접목장치
CA2443692C (en) Device for the mechanical separation of cuttings from a plant branch
CN1939162A (zh) 冬瓜削皮机
CN208439504U (zh) 一种生鲜加工生产线
JP2938044B1 (ja) 水耕苗の自動定植方法及びその自動定植装置
JPH0823776A (ja) 接ぎ木苗製造装置
KR100433271B1 (ko) 토마토용 접목 로봇
EP0335181B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Rollen von auf Dornen gewickelter band- oder folienförmiger Ware, vorzugsweise Papier
EP0654212A1 (en) Apparatus for Grafting Seedlings
DE3910230C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mushrooms
US6435228B1 (en) Drilling apparatus for filled pots during movement
CN212916647U (zh) 一种工作位错位排布的筛选台
CN112449895B (zh) 一种半自动化嫁接机器人
CN220068314U (zh) 一种葡萄苗木嫁接机用穗木上苗装置
JPH08322408A (ja) 葉物野菜の下葉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20211102U (zh) 一种苗木嫁接装置
US20230263090A1 (en) Method for harvesting and harvesting machine
CN220654254U (zh) 瓶栽食用菌自动采收削根机
CN220044396U (zh) 一种菌类收获装置
CN2847875Y (zh) 冬瓜削皮机
CN114788461A (zh) 一种种苗嫁接输送线及嫁接方法
EP1031290B1 (en) Automatic device for slicing cooked artichoke he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