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524A -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524A
KR20000031524A KR1019980047605A KR19980047605A KR20000031524A KR 20000031524 A KR20000031524 A KR 20000031524A KR 1019980047605 A KR1019980047605 A KR 1019980047605A KR 19980047605 A KR19980047605 A KR 19980047605A KR 20000031524 A KR20000031524 A KR 2000003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link
link bar
test tray
coupl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104B1 (ko
Inventor
함철호
Original Assignee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문술
Priority to KR1019980047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1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2Chambers or ovens;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4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시 용이하게 수직으로 승, 하강 이동시킬 수 있는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되는 테스트 트레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라드와, 다수의 라드 중 테스트 트레이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1복수의 라드와 결합되는 제1승강블럭과, 다수의 라드 중 테스트 트레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복수의 라드와 결합되는 제2승강블럭과, 제1승강블럭과 상측 양단이 결합되어 제1승강블럭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 수축되는 제1교차 링크 바(cross link bar)와, 제2승강블럭의 상측 양단이 결합되어 제2승강블럭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 수축되는 제2교차 링크 바와, 제1교차 링크 바의 하측 양단에 결합되어 제1교차 링크 바를 신장, 수축시키기는 제1모터 구동부와, 제2교차 링크 바의 하측 양단에 결합되어 제2교차 링크 바를 신장, 수축시키기 제2모터 구동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본 발명은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러의 챔버에서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하여 이송되는 테스트 트레이를 용이하게 승, 하강 이송시킬 수 있는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키지(package)가 완료된 반도체 소자는 출하전 테스트되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 별로 분류 적재되며,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공급하거나 테스트가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분류 적재하기 위해 핸들러가 사용된다. 핸들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핸들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패키지가 완료된 반도체 소자들은 픽업장치(1)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2)에 장착된다. 반도체 소자가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2)는 수평 상태로 이동되어 입구(3a)를 통해 가열챔버(3)로 진입된다. 가열챔버(12)로 진입된 테스트 트레이(2)는 가열챔버(3)의 승강기(3b)에 의해 순차적으로 한 스텝(step)씩 하강된다. 가열챔버(3)의 승강기(3b)에 의해 한 스텝씩 하강되는 과정에서 반도체 소자는 테스트 온도 조건에 맞도록 가열된다. 테스트 온도 조건은 반도체 소자가 제품에 적용되어 정상적인 동작시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온도로 설정되며, 테스트 트레이(2)는 가열챔버(3)의 출구(3c)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가열된다.
출구(3c)를 통해 배출된 테스트 트레이(2)는 테스트 사이트(test site)(4)로 이송된다. 테스트 사이트(4)로 이송된 테스트 트레이(2)는 테스트 장치(5)에 도달된다. 테스트 장치(5)는 수직으로 하강하여 테스트 트레이(2)를 소정의 힘으로 눌러 테스트 트레이(2)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 테스트 트레이(2)는 고정장치(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테스트 장치(5)와 접속된다. 테스트 트레이(2)가 테스트 장치(5)에 접속되어 테스트되고 테스트 장치(5)에서 그 결과를 피드백(feedback) 받아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판별한다.
성능이 판별된 반도체 소자를 장착한 테스트 트레이(2)는 테스트 사이트(4)를 통과해 냉각챔버(7)의 입구(7a)로 진입한다. 진입된 테스트 트레이(2)는 냉각챔버(7)의 승강기(7b)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승한다. 상승 과정에서 테스트 트레이(2)는 상온으로 냉각된다. 반도체 소자가 상온으로 냉각된 상태에서 테스트 트레이(2)는 출구(7c)를 통해 배출되어 픽업장치(1)에 의해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 적재된다.
양산된 반도체 소자를 대량으로 테스트 하기 위해 테스트 트레이가 사용된다. 테스트 트레이에 테스트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가 장착되면, 테스트 트레이는 가열챔버, 테스트 사이트 및 냉각챔버로 순착 이송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과정에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되며, 테스트 트레이의 승, 하강시 승, 하강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파손 등을 보호하기 위해 보다 안정적으로 테스트 트레이를 승, 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챔버를 순환하는 테스트 트레이 승강시 테스트 트레이를 용이하게 수직 승, 하강시킬 수있는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되는 테스트 트레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라드와, 다수의 라드 중 테스트 트레이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1복수의 라드와 결합되는 제1승강블럭과, 다수의 라드 중 테스트 트레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복수의 라드와 결합되는 제2승강블럭과, 제1승강블럭과 상측 양단이 결합되어 제1승강블럭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 수축되는 제1교차 링크 바(cross link bar)와, 제2승강블럭의 상측 양단이 결합되어 제2승강블럭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 수축되는 제2교차 링크 바와, 제1교차 링크 바의 하측 양단에 결합되어 제1교차 링크 바를 신장, 수축시키기는 제1모터 구동부와, 제2교차 링크 바의 하측 양단에 결합되어 제2교차 링크 바를 신장, 수축시키기 제2모터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핸들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핸들러의 챔버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교차 링크 바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승강블럭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조립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챔버 110: 챔버
121,122,123,124: 다수의 라드 130: 제1승강블럭
140: 제2승강블럭 151: 제1교차 링크 바
152: 제2교차 링크 바 160: 제1모터 구동부
170: 제2모터 구동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핸들러의 챔버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의 내부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되는 테스트 트레이(101)를 승, 하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라드(121)(122)(123)(124)와, 다수의 라드(rod)(121)(122)(123)(124) 중 테스트 트레이(101)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1복수의 라드(121)(122)와 결합되는 제1승강블럭(130)과, 다수의 라드(121)(122)(123)(124) 중 테스트 트레이(101)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복수의 라드(123)(124)와 결합되는 제2승강블럭(140)과, 제1승강블럭(130)과 상측 양단(151a)(151b)이 결합되어 제1승강블럭(130)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과 수축되는 제1교차 링크 바(cross link bar)(151)와, 제2승강블럭(140)과 상측 양단(152a)(152b)이 결합되어 제2승강블럭(140)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과 수축되는 제2교차 링크 바(152)와, 제1교차 링크 바(151)의 하측 양단(151c)(151d)에 결합되어 제1교차 링크 바(151)의 신장, 수축시키는 제1모터 구동부(160)와, 제2교차 링크 바(152)의 하측 양단(152c)(152d)에 결합되어 제2교차 링크 바(152)의 신장, 수축시키는 제2모터 구동부(1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 트레이(101)에 장착된 후 챔버(100)를 수직으로 승, 하강 이송되어 테스트가 실시된다. 챔버(100)는 가열챔버(100a)의 직하방에 테스트 사이트(test site)(100b)가 형성되고, 테스트 사이트(100b)의 직하방에 냉각챔버(100c)가 직하방 구조로 순차 형성된다. 직하방 구조로 형성된 챔버(100)에서 테스트 트레이(101)는 수직으로 세워 승, 하강시킨다. 테스트 트레이(101)를 수직으로 세워 이송시키기 위해 핸들러의 지지구조물(100d) 내측에 승강 장치가 장착된다.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트레이(101)의 승, 하강시 이를 다수의 라드(121)(122)(123)(124)에 의해 지지된다. 테스트 트레이(101)의 승, 하강시 이를 지지하는 다수의 라드(121)(122)(123)(124) 중 가열챔버(100a), 테스트 사이트(100b) 및 냉각챔버(100c)로 수직 하강되는 테스트 트레이(101)는 제1복수의 라드(121)(122)에 의해 지지된다.
제1복수의 라드(121)(122)는 제1승강블럭(1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며, 테스트 트레이(101)의 하강시 테스트 트레이(101)는 제1복수의 라드(121)(122)의 각각의 선단에 결합되어 장착된 안착편(121a)(121b)에 안착된다. 안착편(121a)(121b)에 테스트 트레이(101)가 안착된 후 제1복수의 라드(121)(122)가 하강하여 테스트 트레이(101)를 하강시킨다. 테스트 트레이(101)의 하강시 이를 각각 제1복수의 가이드봉(125a)(125b)에 의해 안내하여 하강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제1복수의 라드(121)(122)의 하강에 의해 연동되어 하강되는 제1승강블럭(130)은 제1교차 링크 바(151)에 의해 하강된다. 제1교차 링크 바(151)의 상측 양단(151a)(151b)은 제1승강블럭(130)에 결합되며, 이 결합에 의해 제1교차 링크 바(151)의 수축에 의해 제1승강블럭(130)이 하강 동작한다. 제1승강블럭(130)의 하강을 위해 수축되는 제1교차 링크 바(151)는 제1모터 구동부(16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수축된다.
제1교차 링크 바(151)의 하측 양단(151c)(151d)은 제1모터 구동부(160)의 회전에 의해 이격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제1모터 구동부(160)의 양측면에 결합 장착된다. 이 이격 거리의 조정에 의해 제1교차 링크 바(151)가 좁아지거나 넓어지고, 이 작동에 의해 제1승강블럭(130)과 이에 결합된 제1복수의 라드(121)(122)가 승, 하강하여 테스트 트레이(101)를 수직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테스트 트레이(101)를 수직으로 하강시켜 구동하기 위한 제1모터 구동부(160)는 제1교차 링크 바(151)를 여러 단계로 승, 하강 동작시킨다. 즉, 제1모터 구동부(160)는 가열챔버(100a)에서 테스트 사이트(100b)로, 테스트 사이트(100b)에서 다시 냉각챔버(100c)로 테스트 트레이(101)를 수직 하강시키기 위해 동작한다. 제1모터 구동부(160)에 의해 냉각챔버(100c)로 수직 하강된 테스트 트레이(101)는 제1승강블럭(13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봉(127a)(127b)에 의해 안내된다.
복수의 가이드봉(127a)(127b)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 하강 이동한 테스트 트레이(101)는 챔버(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테스트 트레이(101)의 배출시 테스트 트레이(101)를 승강시키기 위해 다수의 라드(121)(122)(123)(124) 중 제2복수의 라드(123)(124)에 의해 지지된다. 제2복수의 라드(123)(124)는 제2승강블럭(140)에 결합되며, 제1승강블럭(13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제1모터 구동부(170)에 의해 제2교차 링크 바(152)를 신장시켜 테스트 트레이(101)를 배출한다.
테스트 트레이(101) 배출시 제2승강블럭(140)의 양단에 설치된 제2복수의 가이드봉(126a)(126b)에 의해 안내되며, 테스트 트레이(101)를 가열챔버(100a)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2복수의 라드(123)(124)의 중간에 각각 안착봉(123a)(124a)이 형성되며, 안착봉(123a)(124a)은 새롭게 챔버(100)로 공급된 테스트 트레이(101)를 안착시켜, 안착된 테스트 트레이(101)는 제2복수의 라드(123)(124)의 선단에 의해 가열챔버(100a)로 승강하여 공급된다.
제2교차 링크 바(152)의 신장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101)를 배출 또는 가열챔버(100a)로 공급하기 위해 제2교차 링크 바(152)의 상측 양단(152a)(152b)은 제2승강블럭(140)의 양단에 결합되며, 하측 양단(152c)(152d)는 제2모터 구동부(170)에 결합된다.
제1교차 링크 바(151) 및 제2교차 링크 바(152)를 수축, 신장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모터 구동부(160) 및 제2모터 구동부(170)를 첨부된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 구동부(160)와 제2모터 구동부(170)는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모터 구동부(160)와 제2모터 구동부(170)는 각각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모터 구동부(160)와 제2모터 구동부(170)는 각각 가이드(161)(171)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161)(171)에 인접되도록 모터(162)(172)가 프레임(110)에 고정 장착되며, 각 모터(162)(172)는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공급받고 이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한다. 각 모터(162)(17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각 모터(162)(172)에는 스크류(163)(173)이 형성된다.
각 스크류(163)(173)의 양단에는 스크류(163)(173)의 지지부재(164)(174)가 형성되며, 스크류(163)(17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블럭(165)(175)이 결합된다. 이동블럭(165)(175)은 가이드(161)(171) 위를 슬라이딩 이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161)(171)와 결합된 가이드 블럭(166)(176)에 고정 결합된다.
가이드 블럭(166)(176)에 고정 결합된 각 이동블럭(165)(175)에 제1교차 링크 바(151) 및 제2교차 링크 바(152)의 각 하측 양단(151c)(151d)(152c)(152d) 중 일단(151d)(152d)이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제1교차 링크 바(151) 및 제2교차 링크 바(152)의 하측 타단(151c)(152c)은 각 지지부재(164)(174)에 고정 결합시켜, 각 이동블럭(165)(175)이 각 스크류(163)(173)를 따라 이동시 제1교차 링크 바(151) 및 제2교차 링크 바(152)는 수축, 신장을 하게 된다.
제1모터 구동부(160)와 제2모터 구동부(170)에 의해 수축, 신장되는 제1교차 링크 바(151) 및 제2교차 링크 바(152)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교차 링크 바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로 제1교차 링크 바(15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차 링크 바(151)는 스트라이프 바(strip bar)(151e)(151f)
(151g)(151h)가 서로 "X" 형상으로 구성된다.
"X" 형상을 한 제1교차 링크 바(151)는 스트라이프 바(151e)(151f)에 의해 하나의 교차 링크 바를 형성하며, 스트라이프 바(151g)(151h)에 의해 형성된 교차 링크 바가 스트라이프 바(151e)(151f)의 하단에 결합된다. 즉, 교차 링크 바를 2단으로 형성하며, 필요한 경우 다수의 교차 링크 바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각 스트라이프 바(151e)(151f)(151g)(151h)는 힌지(151i)에 의해 결합되며, 제2교차 링크 바(152) 또한 제1교차 링크 바(151)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제1교차 링크 바(151) 및 제2교차 링크 바(152)의 상측 양단(151a)(151b)(152a)(152b)에는 각각 제1승강블럭(130) 및 제2승강블럭(140)이 힌지 결합된다.
제1교차 링크 바(151) 및 제2교차 링크 바(152)에 힌지 결합되는 각 제1승강블럭(130) 및 제2승강블럭(140)은 도 6에서와 같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승강블럭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조립 사시도로 제1승강블럭(130)을 나타낸다.
제1승강블럭(130)은 일면(130a)에 제1교차 링크 바(151)의 상측 양단(151a)(151b) 중 일측단(151a)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부재(131)가 형성된다. 일면(130a)에 형성된 힌지부재(131)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가이드(132)가 설치되고, 가이드(132)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132)에 슬라이딩 블럭(133)이 결합된다.
슬라이딩 블럭(133) 위에는 제1교차 링크 바(151)의 상측 양단(151a)(151b) 중 일단(151b)의 힌지 결합을 위해 관통홈이 형성된 결합부재(134)가 고정 설치된다. 제1교차 링크 바(151)의 상측 일단(151b)과 힌지 결합된 결합부재(134)는 제1모터 구동부(160)에 의해 수축되거나 신장되는 제1교차 링크 바(151)에 의해 이동되어 테스트 트레이(101)를 승, 하강시킨다.
또한 제2승강블럭(140)은 제1승강블럭(13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와 같이 챔버(100)에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테스트 트레이(101)를 제1교차 링크 바(151) 와 제2교차 링크 바(152) 및 모터(162)(172)를 이용하여 승, 하강시킴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1)를 용이하게 제어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챔버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하는 테스트 트레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 속도를 향상시켜 테스트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가열챔버와 테스트 사이트(test site)와 냉각챔버가 직하방 구조로 순차 형성된 핸들러의 챔버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되는 테스트 트레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라드;
    상기 다수의 라드 중 테스트 트레이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1복수의 라드와 결합되는 제1승강블럭;
    상기 다수의 라드 중 테스트 트레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복수의 라드와 결합되는 제2승강블럭;
    상기 제1승강블럭과 상측 양단이 결합되어 제1승강블럭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 수축되는 제1교차 링크 바(cross link bar);
    상기 제2승강블럭의 상측 양단이 결합되어 제2승강블럭을 승, 하강시키기 위해 신장, 수축되는 제2교차 링크 바;
    상기 제1교차 링크 바의 하측 양단에 결합되어 제1교차 링크 바를 신장, 수축시키기는 제1모터 구동부;
    상기 제2교차 링크 바의 하측 양단에 결합되어 제2교차 링크 바를 신장, 수축시키기 제2모터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블럭과 제2승강블럭은 각각 일면에 상기 제1교차 링크 바의 상측 양단 중 일측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럭; 및
    상기 슬라이딩 블럭 위에 고정 설치되어 제1교차 링크 바의 상측 양단 중 타측단을 결합하기 위해 관통홈이 형성된 결합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 링크 바와 제2교차 링크 바는 각각 다수의 교차 링크 바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 링크 바와 제2교차 링크 바는 각각 2단 교차 링크 바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 구동부와 제2모터 구동부는 각각 프레임 위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과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위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와 결합되는 가이드 블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KR1019980047605A 1998-11-06 1998-11-06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KR10029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605A KR100299104B1 (ko) 1998-11-06 1998-11-06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605A KR100299104B1 (ko) 1998-11-06 1998-11-06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524A true KR20000031524A (ko) 2000-06-05
KR100299104B1 KR100299104B1 (ko) 2001-11-30

Family

ID=1955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605A KR100299104B1 (ko) 1998-11-06 1998-11-06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1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89Y1 (ko) * 2007-10-23 2009-10-27 (주)경동솔라 승강식 태양전지 모듈의 검사 테이블
KR20160077868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포트롤 안전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005B2 (ja) * 1994-09-21 2004-09-02 株式会社スギヤス Xリンク式昇降装置
JPH08306765A (ja) * 1995-04-28 1996-11-22 Advantest Corp ハンドラ装置用トレイ装着台
KR960040249A (ko) * 1996-10-02 1996-12-17 김형석 투영기를 내장한 자동개폐방식의 교육용테이블
KR19980072303A (ko) * 1997-03-04 1998-11-05 김문식 반도체 트레이스 적층 엘리베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89Y1 (ko) * 2007-10-23 2009-10-27 (주)경동솔라 승강식 태양전지 모듈의 검사 테이블
KR20160077868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포트롤 안전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104B1 (ko) 200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09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ed slot-level burn-in
JP3232071B2 (ja) ハンドラーのマルチスタッカ
US8159252B2 (en) Test hand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JP2004071909A (ja) 載置台の駆動装置及びプローブ装置
CN106769422B (zh) 圆周分布式高通量持久蠕变试验机
KR20210019193A (ko) 그룹 프로버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CN106443312A (zh) 检测插线板的直线测试机
KR100299104B1 (ko) 핸들러의 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승강장치
KR100911337B1 (ko) 테스트핸들러용 캐리어보드 이송장치 및 테스트핸들러
CN219097900U (zh) 一种交替上下料装置
US73393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ed slot-level burn-in
KR101032417B1 (ko) 트레이 이송장치
US4116619A (en) Multiple beam furnace
CN104142232B (zh) 一种滚轮寿命试验机
KR100472984B1 (ko) 박막 디스플레이 에이징테스트 장치
US8555487B2 (en) Imaging device production system
KR100287556B1 (ko) 수평식핸들러의 테스트 소켓과 소자의 콘택트장치
US1094823A (en) Gymnasium apparatus.
KR100448644B1 (ko) 휴대폰 에이징 장치
KR102399511B1 (ko) 제품 자동 조립 시스템
KR102673207B1 (ko) 차량용 oled 계기판모듈 에이징 방법 및 에이징장치
KR102397987B1 (ko) 온도 제어기 통합 출력 지그 어셈블리
KR101880227B1 (ko) 테스트핸들러용 트랜스퍼 모듈
CN220611385U (zh) 一种焊接质量检测装置
KR20220149899A (ko) 랙, 보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번인챔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