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346A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346A
KR20000030346A KR1020000008846A KR20000008846A KR20000030346A KR 20000030346 A KR20000030346 A KR 20000030346A KR 1020000008846 A KR1020000008846 A KR 1020000008846A KR 20000008846 A KR20000008846 A KR 20000008846A KR 20000030346 A KR20000030346 A KR 2000003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sealant
joint
construction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기
Original Assignee
장문기
한일종합실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기, 한일종합실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문기
Priority to KR102000000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346A/ko
Publication of KR2000003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and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구조물에 형성된 줄눈 및 구체조인트에 실란트를 시공하여 콘크리투구조물에 시공된 실란트의 품질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 등을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줄눈 조인트 내에 존재하는 잔여물을 콤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1차 제거한 다음, 정밀수분 측정계로 1차 수분을 측정하여 줄눈 조인트 내를 산소 또는 토치를 사용하여 하절기에는 40~50℃로 건조하고, 동절기에는 80~90℃로 건조한 다음, 정밀수분 측정계로 2차 수분측정을 하여 기준 측정치에 의한 수분을 7%이하가 되도록 건조가 되었는지 확인 한 후, 조인트 내에 존재하는 잔여물을 브러쉬 또는 콤프레셔로 2차 잔여물 제거작업을 마친 다음, 백업제를 삽입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실란트를 충진하여 일정기간동안 양생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The method of sealant construction for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구조물에 형성된 줄눈 및 구체조인트에 실란트를 시공하여 콘크리투구조물에 시공된 실란트의 품질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 등을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벽면이나 도로 등의 콘크리트로 형성된 표면에 생성되는 실금은 기반의 평형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시멘트 배합이 잘못되었거나 시공상에 혼합상의 문제로 혼합물이 균일하지 못한 관계로 시멘트 양생시에 실금이 형성되어 품질을 떨어뜨려 상품가치를 잃게 하는 현상을 방지코자 여러 가지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또한 벽면 균열은 실금이 너무 좁아 종래의 코킹제로는 실금속에 충진시키기가 어렵거나 시공 후에는 거미줄 같은 표시가 남아 보기 흉해 페인트로 덧칠을 하거나 벽지로 감추는 등이 고작이었다.
또 시멘트는 성질상 공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그로 인한 수화작용으로 생성된 수산화칼슘이 대기중의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탄산석회를 만들게 되며 이때 시멘트입자는 탄산석회화합물의 피막으로 피복되는 현상이 생기면서 이것은 변색, 퇴색의 가중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뿐 아니라, 골재의 알칼리반응도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색상의 퇴화가 점진적으로 심화되고 건물의 강도도 저하되면서 손쉽게 파손되는 빈도가 높으며 나아가, 약품에 대한 내성도 약해져 산이나 알칼리, 염, 물, 일광 등에 지속적으로 견디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39169호는 옥상방수용 누름 콘크리트의 온도신축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방수층, 보호층, 단열층을 형성한 옥상신축 줄눈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79452호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유동 이음부 양단면을 절개한 표면에 방수제를 도포하고 이 도표면에 지수용 철판을 콘크리트 못, 앙카로서 고정하며 지수용 철판 위에 다시 방수제를 도포한 후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최초 콘크리트 표면과 같이 마감하고 유동 이음부 표면 공간부분에 고무성 코킹재를 채와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 유동이음부 마감공법과 지수용 철판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종래의 실란트시공 공정>
1. 줄눈 조인트 내 잔여물 제거
2. 조인트 내 레이턴스 제거(콤프레셔)
3. Back-Up제 삽입
4. 프라이머 도포
5. 실란트 충진
6. 양 생
상기 종래의 실란트 시공은 평소 실란트 공사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의 차이와 과거로부터 지속되어온 통상적인 시공관례에 따라 필요한 공정(정밀수분측정, 건조작업, 레이턴스 브러쉬 작업)들의 검증과 개선이 없었던 관계로 시공상에 실란트 재료의 특성 ·물성에 부합, 결합이 되지 않는 사항이 표출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포장면의 탈락, 균열, 실란트 재료의 노출, 끊김 등 기후, 온도, 습도의 변화에 따른 장기적인 문제점들이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며 이와 동시에 내수성, 내후성, 방염성을 향상시키고자 새로운 시공방법을 도입하여 기후·온도·습도 등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와 실란트재의 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건설시공으로 장기적인 효과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 본 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대비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줄눈 소지면의 수분을 정밀 측정하여 수분의 높고, 낮음을 파악하여 수분 함유율 데이터에 따른 줄눈 소지면을 기건화(건조작업)시키고, 소지면을 클리닝(cleaning)(레이턴스 제거 브러쉬작업, 에어콤프작업)하며, 실란트 재료의 특성, 물성에 부합, 결합되는 시공의 적합한 수치를 산출 개선 ·시공함으로써, 기후 ·온도 ·습도 등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와 실란트재의 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건설시공으로 장기적인 효과와 품질개선향상에 기대가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조인트는 완전 양생 후에도 높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바로 실란트 재료의 부착 특성상 시공이 불가하므로 콘크리트 양생 수분을 7% 이내로 내부 수분을 저하시켜야만 실란트와 피착제의 접착도가 이상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실상으로도 상기와 같은 상태라야만 시공상의 제문제 및 추후하자 발생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금 또는 줄눈의 레이턴스(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그 이유는 조인트 내의 먼지, 때, 기름 등 느슨한 입자 등은 실란트의 부착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완전하게 제거해야 하여야 한다.
백업제의 삽입공정은 실란트의 삼면접착을 방지하고 이면접착이 되도록 하여 실란트 및 콘크리트가 수축 팽창하였을 때 실란트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고,
프라이머 도포작업공정은 실란트의 부착율을 높이기 위한 통상의 공정인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도는 다음과 같다.
1. 줄눈조인트 내 잔여물 제거
2. 조인트 내 레이턴스 제거 1차공정(콤프레셔)
3. 정밀수분 측정계지에 의한 조인트 내 1차 수분 측정
4. 조인트 내 건조작업(산소 또는 토치사용)(하절기 40∼50℃로 건조, 동절기 80∼90℃열로 건조작업)
5. 정밀수분 측정계지에 의한 조인트 내 실란트 작업시공적정치 산출 2차 수분측정(기준 측정치에 의한 수분 7%이내 확인)
6. 조인트 내 건조 후 레이턴스 제거작업(브러쉬 작업, 에어콤프)
7. Back-Up제 삽입
8. 프라이머 도포
9. 실란트 충진
10. 양 생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줄눈 조인트 내에 존재하는 잔여물을 콤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1차로 제거한 다음, 정밀수분 측정계로 1차 수분을 측정한 후, 측정결과 수분이 7%이상 함유한 경우에는 줄눈 조인트 내를 산소 또는 토치를 사용하여 하절기에는 40~50℃로 건조하고, 동절기에는 80~90℃로 건조한 다음, 정밀수분 측정계로 2차 수분측정을 하여 또 수분함유율이 7%이상일 경우 재 건조작업을 하여 최종 수분함유율을 7%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조인트 내에 존재하는 잔여물을 브러쉬 또는 콤프레셔로 2차 잔여물 제거작업을 마친 후 백업제를 삽입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실란트를 충진하여 일정기간동안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공정에서 사용되는 백업제, 프라이머 및 실란트 충진제는 통상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밀수분 측정계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수분 측정계는 측정 방법이 콘크리트 구조물 소지면의 부산물이나 기타 잔여물을 이용해 수분측정을 하므로 표면의 공기, 온도 및 기타 외부작용으로 정밀한 측정수치가 산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조인트 내부에 삽입형 센서를 사용하는 정밀수분 측정기를 도입하여 시공상의 제문제를 해결코자 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정밀 수분 측정계의 모델은 모이스튜어메터(Moisture Meter)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용 joint&Mortar Moisrure MODEL HI - 800)인 것이고 일본에서 제작된 것으로 그 사양은 본체와 SENSOR부를 분리시킨 HAND TYPE의 전기 저항식 정밀 수분계로서, JOINT 내부에 감지측정기를 삽입하여 가볍게 누르면 곧 수분치를 표시하여 정밀 측정되며, 내장된 마이콤(Micom)이 자동적으로 수분을 측정할 수가 있어 표면과 내부의 수분차의 측정에대한 오차등의 문제가 되지 않고, 표면에서 깊이 40㎜까지의 수분을 측정할 수가 있어 표면과 내부의 수분차에 따른 측정에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기타 수분에 따른 경보(Alarm)기능 및 부착(Hold)기능 등의 편리한 기능이 갖추어 있으므로 시공에 따른 적정치의 수분을 정밀측정하므로써 시공상의 제문제 및 하자를 줄일 수 있는 정밀 수분 측정계인 것이다.
실험 예
시험 의뢰처 : 한일종합실란트주식회사
시 험 기 관 : 한국건자재 시험 연구원(국가공인 시험연구기관)
시험 시료명 :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줄눈재
(수분 및 레이턴스 함량에 관한 부착율 시험)
시험검사방법 : KS F 4918 ~ 98
시험(검사)결과
시 료 명 내 역 (N/㎠)부착강도 기준율(0%)비교편차 비 고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줄눈재 시편 ·수분함량 7%이상·레이턴스 미제거 10 0% 종래의 시공 공정콘크리트재령 28일 양생
·수분함량 7%미만·레이턴스 제거 18 80% 본 발명의 공정 콘크리트재령 28일 양생
상기 실험결과와 같이 종래의 기술보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기준율 편차가 80% 상승되므로 시공 후 하자 및 제문제가 현저히 감소되며 시공개선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줄눈 소지면의 수분을 정밀측정하여 수분에 따라, 줄눈 소지면을 기건화(건조작업)시키고, 소지면을 클리닝(cleaning)(레이턴스제거 브러쉬작업, 에어콤프작업)하며, 실란트재료의 특성, 물성에 부합, 결합되는 시공의 적합한 수치를 산출 개선 ·시공함으로써, 기후 ·온도 ·습도 등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와 실란트재의 제 기능성을 활성화시켜 콘크리트구조물의 수명을 장기간 연장하는 새로운 건설시공으로 장기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줄눈 조인트 내에 존재하는 잔여물을 콤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1차 제거한 다음, 정밀수분 측정계로 1차 수분을 측정하여 줄눈 조인트 내를 산소 또는 토치를 사용하여 하절기에는 40~50℃로 건조하고, 동절기에는 80~90℃로 건조한 다음, 정밀수분 측정계로 2차 수분측정을 하여 기준 측정치에 의한 수분을 7%이하가 되도록 건조가 되었는지 확인 한 후, 조인트 내에 존재하는 잔여물을 브러쉬 또는 콤프레셔로 2차 잔여물 제거작업을 마친 다음, 백업제를 삽입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실란트를 충진하여 일정기간동안 양생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KR1020000008846A 2000-02-23 2000-02-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KR20000030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46A KR20000030346A (ko) 2000-02-23 2000-02-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46A KR20000030346A (ko) 2000-02-23 2000-02-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346A true KR20000030346A (ko) 2000-06-05

Family

ID=1964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846A KR20000030346A (ko) 2000-02-23 2000-02-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3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19B1 (ko) * 2000-02-24 2003-05-09 한일종합실란트 주식회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실란트 급조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19B1 (ko) * 2000-02-24 2003-05-09 한일종합실란트 주식회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실란트 급조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160B1 (ko) 친환경 표면 보호 마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방법
CN102701662B (zh) 一种双组份水泥基聚合物刚性防水灰浆
CN110128946A (zh) 双组分橡胶改性沥青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12503119A (ja) 外部断熱用途のためのコンポジット構造体
RU2601074C2 (ru) Соединения эфиров целлюлозы для улучшенных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ых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створов систем внешнего изоляционного покрытия (eifs)
US10184061B2 (en) Efficient waterborne nano-silicon rubber sealing waterproof agent
CN102757196B (zh) 一种水泥防水添加剂及含有该添加剂的水泥
PT790370E (pt) Elemento semi-fabricado para o revestimento de superficies.
CN105347760A (zh) 具有自修复功能和二次抗渗性的缓凝型防水砂浆及其制备方法
KR20090102983A (ko) 건물 외벽의 단열방수 시공방법
KR101669093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용 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1363B1 (ko)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382819B1 (ko)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실란트 급조 시공방법
KR20000030346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란트 시공방법
KR100961004B1 (ko) 재분산성 폴리머 분산제 및 폐타이어를 이용한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40044613A (ko) 규산질계 침투성 방수재와 단열 및 결로 방지 도료를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095872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열화방지 및 중성화 방지용 하이브리드 표면처리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열화방지 및 중성화 방지용 하이브리드 표면처리재
CN114477847A (zh) 一种混凝土增强抗裂剂及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CN108643050B (zh) 一种穿墙拉杆孔的封堵方法
Fantucci et al. Laboratory Vs field performance of innovative thermal insulating plasters
KR10213047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Blanco Urruchurtu Durability of building envelope materials
KR20190020208A (ko)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CN110105027A (zh) 一种背水面和迎水面均可施工的背水涂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201864B1 (ko) 무균열 방수몰탈의 제조방법 및 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