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363B1 -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363B1
KR101991363B1 KR1020180011455A KR20180011455A KR101991363B1 KR 101991363 B1 KR101991363 B1 KR 101991363B1 KR 1020180011455 A KR1020180011455 A KR 1020180011455A KR 20180011455 A KR20180011455 A KR 20180011455A KR 101991363 B1 KR101991363 B1 KR 10199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ven fabric
mixed
inorganic elastic
agent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업
Original Assignee
시온산업 주식회사
두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온산업 주식회사, 두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 및 신축성이 향상되어 균열 및 파단을 방지하고, 내황변성, 난연성 및 방수성이 향상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는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제1주제와 시멘트와 몰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제2주제가 중량비 8 : 2 ~ 4 : 6으로 혼합된 주제와 물이 3 : 7 ~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표면을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바탕면을 샌딩하되, 부직포 이음부분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1 ~ 2mm 정도 바탕면이 파이도록 샌딩하는 단계, 그라인더로 샌딩한 후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가 슬러리 형태를 이루도록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하도(프라이머)를 형성하는 단계, 하도 후 바탕면이 파이도록 샌딩한 부위에 부칙포를 덮는 단계, 바탕면에 펼쳐놓은 부직포가 보이지 않도록 상도를 도포하는 단계, 상도 후 일정시간 양생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Inorganic elastic liq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er and method of waterproofing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이나 노출부위에 시공하여 우수한 탄성 및 방수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크랙(crack)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균열 및 파단, 부풀음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변형과 진동에도 방수층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내구성 및 압축강도가 우수하여 반영구적인 구조재로 인식되어 왔으며,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양한 혼화재의 도입으로 매우 조밀한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여러 가지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화가 촉진되어 구조물의 성능과 내구성이 저하되어 구조물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켜 보수되어야 할 콘크리트 구조물은 결국 파괴되고 새로운 구조물로 대체하여야 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이나 주차장 및 지하 내외벽, 교량교면과 같은 노출부위는 물의 침투방지, 탄산화 방지, 염화물의 침투방지를 목적으로 방수시공하게 된다.
콘크리트 노출부위의 방수시공은 방수제에 의한 방수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다른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고 기온변화 및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건축물의 거동 또는 미세균열 등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콘크리트의 방수에는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 도막 방수와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가 1980년대 후반 이후부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로울러나 붓을 사용하는 간편한 시공 방법이고, 방수층의 신장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미세 균열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도막방수재를 수차례 도포해야 하기 때문에 도막 방수층의 균등한 두께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방수층의 부분적인 기포 발생에 의해 방수층의 결함부위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 도막 방수와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는 화재시 유독 가스를 다량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개발된 폴리머 시멘트(Polymer Cement) 방수제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 혼합 사용되는 물성 개량제로써 EVA(Ethylene Vinyl Acetate)Emulsion, PAE(Polyacrylic Ester)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머는 혼화용 분산제, 접착 결합제, 침투 코팅제 등으로 활용되었으나 계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일반적인 시멘트 물성 개량제와 다른 변성 고분자를 이용한 시멘트계 폴리머 방수제가 본격적으로 현장에 적용되게 되었다.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는 시멘트, 규사, 세라믹광물 등이 혼합된 특수 변성고분자 분산제로 구성된 시멘트 혼합 도포용 슬러리 방수제로서 폴리머 시멘트 무기질 복합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든 후, 습윤 콘크리트에 2~3회 도포함으로써 기능성 도막이 형성된다. 슬러리 도포 후 수분이 증발되면, 고분자 물질은 균열부위 및 취약부위에 질긴 탄성막을 형성하며, 내부의 수증기 확산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콘크리트를 양생시킴으로써 우수한 도막 방수제가 된다.
또한 도막속의 무기질 세라믹과 활성 실리카 성분은 미세한 균열부위에 침투한 후, 콘크리트 내부에 잔존하는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결정성 물질인 규산칼슘으로 변화됨으로써 공극을 충진한다. 도막은 염화물 침투 등 내화학적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간의 노출상태에서도 내후성이 뛰어난 탄성 도막을 유지한다.
무기질 탄성 도막은 뛰어난 내수성과 모체에 대한 접착력과 침투성, 내마모성, 균열자폐성, 수증기 투과성, 내염성, 내후성 등 시멘트 구조물에 요구되는 제반물성을 만족시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 노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구조의 건축물이나, 토목 구조물의 보호제, 방수와 보수제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무기질 도막방수제는 도료성 방수제에 가깝지만 시멘트가 첨가되기 때문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시멘트 혼합 도포용 슬러리 방수제로 구성되어 시멘트와 물에 의해 경화된 후 시멘트의 수화시 칼슘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염이 발생되며, 또한 실리카 성분이 시멘트 수화시 발생한 염과 반응하여 Cao·와 같은 불용성 결정체 즉 불용성 결정물이 시멘트 공극 사이를 채우게 되어 수밀성이 제공되어 방수되는 것이다.
하지만 과수압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우수한 방수성이 제공되지만 수압이 강하게 작용하는 지하실과 같은 구조물 방수 공사시 접착력이 약하고 물 흡수비와 투수비가 높아 수압에 견디지 못하므로 누수가 발생되고 박리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계 분말형 방수제는 판유리 분말의 점도가 높아 시멘트 중의 칼슘과 급속히 반응하게 되고 이에 단시간에 시멘트와 함께 겔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극의 표면에만 침투가 된 상태에서 결정이 형성되어 용탈, 내구성저하, 차수성능저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다양한 형태의 공극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공극에는 콘크리트의 배합과정에서 포함된 물과 강우, 강설 등에 의해 흡수된 수분, 공기 등이 포함되어 있어 비록 표면이 건조된 상태로 방수를 시공하여도 사용 환경에 따른 습도차에 의해 도막 방수층 계면에 수증기압이 발생되거나 기포가 팽창하여 핀홀 현상 및 부풀음 등이 발생되어 방수 공사의 하자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계절이 반복되는 국내의 기후 환경에서 제품의 내구성과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 예를 들어, 탄성도막의 재료에 있어 폴리머계 방수재는 경화시간(24시간)이 길어 보수공사에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신장률이 계절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문제로 인하여 균열부의 열적 신축 거동이 불일치하여 갈라짐 현상(찢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유지 관리 분야인 방수시장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경쟁 또한 치열해짐에 따라 품질 경쟁보다는 업계간 과다 경쟁에 매달리면서 시공 현장에서 품질관리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하자 발생률이 높아짐은 물론, 제품의 품질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기도 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습성이 우수하여 기포, 핀홀 또는 부풀음을 방지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적 신축거동시 균열 대응능력이 우수한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 및 신축성이 향상되어 균열 및 파단을 방지하고, 현장에서 요구되는 내황변성, 난연성 및 방수성이 향상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해결수단은,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제1주제와, 시멘트와 몰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제2주제가 중량비 8 : 2 ~ 4 : 6으로 혼합된 주제와 물이 3 : 7 ~ 4 : 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제공한다. 상기 몰탈은 규사와 포틀랜트시멘트에 분산제, 크랙방지제, 유동화제, 유화제 등을 혼합한 분말이 0.1 ~ 0.5 중량%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몰탈, 석재 등의 표면을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바탕면을 샌딩하되, 부직포 이음 부분을 200 mm정도 길이방향으로 길게 약1 ~ 2mm 정도 바탕면이 파이도록 샌딩하는 단계, 그라인더로 샌딩한 후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제1주제와 시멘트와 몰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제2주제가 중량비 8 : 2 ~ 4 : 6으로 혼합된 주제와 물이 3 : 7 ~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슬러리 형태로 이루어 지도록 전동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하여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하도(프라이머)를 형성하는 단계, 하도 후 1차 도포된 방수제가 완전히 경화되었거나, 도막 형성이 완료된 후 바탕면이 파이도록 샌딩한 부위에 부직포의 양쪽 선단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펼친 다음, 상기 부직포와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틈새 부위에 폭이 작고 길이가 긴 부직포가 포개어지도록 덮는 단계, 바탕면에 펼쳐놓은 부직포에 또 다시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롤러나 미장칼을 이용하여 부직포가 보이지 않도록 균일한 두께로 다시 상도를 도포하는 단계, 상도 후 일정시간 양생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의하면, 핀홀 및 부풀음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 또는 크랙에 대한 대응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황변성, 난연성, 내식성 등이 현저히 우수하여 제품성, 신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게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통기성과 건조수축 및 미세 크랙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고, 신축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붓, 스프레이, 로라등을 사용하여 쉽게 시공할 수 있는 방수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무기질 재료가 다량 사용됨에 따라 내연성이 향상되어 화재시에도 유독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는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제1주제와 시멘트와 몰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제2주제가 중량비 8 : 2 ~ 4 : 6으로 혼합된 주제와 물이 3 : 7 ~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단량체와 부타디엔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합성된 공중합체이고 스티렌 또는 부타디엔의 적은 부분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수지로서, 카르복실기는 중성형태의 -COOH 또는 유리 카르복실기 (-COOH) 혹은 카르복실염(-COOM : M은 금속)을 포함하며,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는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에 대하여 0.05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셀룰로오스, 검, 로진, 테르펜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물질로서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여제의 사용량이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방수제의 점착성이 미약한 단점이 있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형성되는 도막의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제1주제와 시멘트와 몰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제2주제가 중량비 8 : 2 ~ 4 : 6으로 혼합된 주제와 물이 3 : 7 ~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제조한다.
상기 제1주제와 제2주제의 사용 비율 및 주제와 물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주를 벗어날 경우에는 방수제로서의 기능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몰탈은 규사와 포틀랜트시멘트에 분산제, 크랙방지제, 유동화제, 유화제 등을 혼합한 분말이 0.1 ~ 0.5 중량%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분산제는 수용성이며, 증발 수분은 슬러리 배합시 분말혼화재의 시멘트 수화물로 소비된다.
유동화제(superplasticizer, superplasticizing admixture)는 배합이나 경화된 콘크리트의 품질을 변경시키는 일 없이 유동성을 대폭적으로 개선시키는 혼화제로서 비교적 된 반죽의 베이스 콘크리트에 고성능 감수제를 첨가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해치는 일 없이 유동성만을 증대시켜 시공성을 개선하는 혼화재로 사용된다.
시멘트 입자의 분산을 위하여 사용하는 유동화제(superplasticizer)는 콘크리트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혼합제로써 입자 사이에 윤활막을 형성하여 각 성분들 사이의 상호 부착력을 저감시켜 배합이나 경화된 콘크리트의 품질을 변경시키는 일 없이 유동성을 대폭적으로 개선되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고강도의 콘크리트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슬럼프 로스(slump loss)가 거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시공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몰탈, 석재 등의 구조물(100)의 바탕면(110)은 기름이나 먼지 등이 없도록 사전에 깨끗이 정리되어야 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0)의 바탕면(110)은 녹이나 기름이 없도록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바탕면(110)을 샌딩하되, 바탕면(110) 위에 펼치지는 부직포 이음부(120)는 200 mm정도 길이방향으로 길게 약1 ~ 2mm 정도 깊이만큼 파이도록 바탕면(110)을 샌딩(S)한다.
구조물(100)의 바탕면(110)을 그라인더로 샌딩한 후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가 슬러리 형태로 이루도록 전동 믹서(RPM 500 정도)를 이용하여 완전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골고루 혼합(3~5분)하고, 반죽 질기는 작업 용도에 맞게 조절한다.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는 바탕면에 흙손, 솔, 또는 빳빳한 방수용 비를 이용하여 2-3회 반복하여 도포하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포두께는 1회 1㎜ 정도로써 총 두께가 2㎜ - 3㎜ 균일하게 도포하여 하도(200,프라이머)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하도)를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이 모두가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포용 롤러를 사용하였다.
도포 방향은 서로 엇갈리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포시 바탕면(110)은 습윤 상태를 유지시키고, 매우 건조하거나 강력한 직사광선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또한 5℃ 이하에서는 시공을 삼가한다.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도(200) 후 1차 도포된 방수제가 완전히 경화되었거나, 도막 형성이 완료된 2 ~ 6시간 후 바탕면(110)이 파이도록 샌딩한 부직포 이음부(120)에 부직포(300)의 양쪽 선단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펼친 다음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300)와 부직포(300)가 서로 이격되는 틈새 부위에 폭이 작고 길이(폭 200 mm이하)가 긴 부직포(310)를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덮는다.
하도(200)가 도포된 바탕면(110)에 전체적으로 펼쳐놓은 부직포(300)에 도 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시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롤러나 미장칼을 이용하여 부직포(300)가 보이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다시 상도(400)를 도포한다. 이때 상도(400)의 도포방향은 서로 엇갈리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도 즉, 슬러리가 두껍게 도포되면 표면 수분이 먼저 증발하여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탈수작용이 저하되고, 내부의 도막 형성은 잔존 수분에 의해 다량의 공극을 갖는 불량 도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건조 속도도 매우 느리므로 슬러리의 도포는 되도록 얇게 1mm 정도로써 수회 도포되어야 한다.
상도(400) 후 일정시간(2 ~ 6시간)이 경과하여 완전히 경화시켜 도막 형성을 완료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배합된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는 단시간(1시간이내)에 모두 사용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공 후 몇 시간 또는 24시간 동안 비나 지나친 직사광선의 노출을 억제해야 하며, 동결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시공장비는 건조되기 전에 즉시 물로 세척하고, 완성된 도막은 무독성이지만 시멘트가 포함된 알칼리성 제품이므로 보호장구를 필히 착용해야 하며, 장시간 노출된 피부는 작업 후 비눗물 등으로 깨끗이 세척한다.
본 발명의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는 충분한 수분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미수화된 시멘트가 도막이 경화된 후에도 수화작용을 진행하여 매우 단단하고 질긴 내수성 도막을 형성하게 되고, 도막의 양생기간이 오래될수록 노출기간이 길수록 강도는 증가하고, 장기간 물에 침적된 도막의 신율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슬러리에 함유된 시멘트의 수화반응 진행 정도에 따라 단단한 도막으로 전환되는 성질이 있으며, 균열 부위에 대한 도막의 도포는 균열에도 다른 조치없이 도포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하면 도막내의 시멘트는 서서히 수화반응을 일으켜 치밀한 조직과 마모성이 우수한 도막으로 전환된다.
도막은 매우 단단하고 유연한 형태로 유지되며 모체 콘크리트내에 물 또는 염화물이나 황산염의 침투를 방지한다. 또, 도막 내부에 존재하는 물은 수증기로써 밖으로 배출되며 유연성있는 무기질 탄성도막으로 피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핀홀 및 부풀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신축성 및 인장강도의 향상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변형 또는 크랙에 대한 대응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황변성, 난연성, 내식성 등이 현저히 우수하여 제품성, 신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 바닥시공, 옥상 방수공사, 공장라인 코팅작업 등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구조물
110: 바탕면
120: 부직포 이음부
200: 하도
300,310: 부직포
400: 상도
S: 센딩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몰탈, 석재 등의 표면을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바탕면을 샌딩하되, 부직포 이음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1 ~ 2mm 정도 바탕면이 파이도록 샌딩하는 단계,
    그라인더로 샌딩한 후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제1주제와, 시멘트와 몰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제2주제가 중량비 8 : 2 ~ 4 : 6으로 혼합된 주제와 물이 3 : 7 ~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단량체와 부타디엔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합성된 공중합체이고 스티렌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수지로서, 카르복실기는 중성형태의 -COOH 또는 유리 카르복실기 (-COOH) 혹은 카르복실염(-COOM : M은 금속)을 포함하며,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는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에 대하여 0.05중량% 내지 10중량% 혼합되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셀룰로오스, 검, 로진, 테르펜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물질로서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지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 혼합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가 슬러리 형태를 이루도록 전동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하도(프라이머)를 형성하는 단계,
    하도 후 1차 도포된 방수제가 완전히 경화된 후 바탕면이 파이도록 샌딩한 부위에 부직포의 양쪽 선단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펼친 다음 상기 부직포와 부직포가 서로 이격되는 틈새 부위에 폭이 작고 길이가 긴 부직포가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덮는 단계,
    바탕면에 펼쳐놓은 부직포에 다시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부직포가 보이지 않도록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여 상도를 형성하는 단계,
    상도 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180011455A 2018-01-30 2018-01-30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99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55A KR101991363B1 (ko) 2018-01-30 2018-01-30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55A KR101991363B1 (ko) 2018-01-30 2018-01-30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363B1 true KR101991363B1 (ko) 2019-06-19

Family

ID=6710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455A KR101991363B1 (ko) 2018-01-30 2018-01-30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3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648B1 (ko) * 2020-04-09 2020-11-30 김소중 아스팔트 슁글 탈락 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공법
KR102634307B1 (ko) * 2023-10-11 2024-02-05 김진솔 실리콘 네온사인용 분무형 방수제 조성물
KR102658332B1 (ko) * 2023-12-18 2024-04-17 심재업 탄성 도막 방수제의 제조 방법 및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시공 공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397A (ja) * 2000-04-03 2001-10-16 Mitsuboshi Belting Ltd 発泡ポリスチレン用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防水構造
KR20020083338A (ko) * 2001-04-27 2002-11-02 임기채 옥상방수 공법
KR100881772B1 (ko) * 2007-08-23 2009-02-09 고삼석 방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포장방법
KR101107629B1 (ko) * 2011-04-01 2012-01-25 이경아 다층구조 복합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30033706A (ko) * 2011-09-27 2013-04-04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도장성과 점접착성을 갖는 고분자 다층복합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40068420A (ko) *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수처리 시스템의 방수방식 도막 및 그 도막의 도포 방법
KR20160123847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한수나텍 콘크리트 포장 보수용 고내구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397A (ja) * 2000-04-03 2001-10-16 Mitsuboshi Belting Ltd 発泡ポリスチレン用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防水構造
KR20020083338A (ko) * 2001-04-27 2002-11-02 임기채 옥상방수 공법
KR100881772B1 (ko) * 2007-08-23 2009-02-09 고삼석 방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포장방법
KR101107629B1 (ko) * 2011-04-01 2012-01-25 이경아 다층구조 복합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30033706A (ko) * 2011-09-27 2013-04-04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도장성과 점접착성을 갖는 고분자 다층복합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40068420A (ko) *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수처리 시스템의 방수방식 도막 및 그 도막의 도포 방법
KR20160123847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한수나텍 콘크리트 포장 보수용 고내구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648B1 (ko) * 2020-04-09 2020-11-30 김소중 아스팔트 슁글 탈락 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공법
KR102634307B1 (ko) * 2023-10-11 2024-02-05 김진솔 실리콘 네온사인용 분무형 방수제 조성물
KR102658332B1 (ko) * 2023-12-18 2024-04-17 심재업 탄성 도막 방수제의 제조 방법 및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0258A (en) Dry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portland cement, methyl cellulose, and polyvinyl alcohol, and method of installing tile with same
CN101311456B (zh) 屋面保温防水集成一体化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341123B (zh) 一种抗海水腐蚀的瓷砖粘结剂及其生产方法
CN102159774B (zh) 用于外墙外保温应用的复合结构体
KR101991363B1 (ko)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CN108290788B (zh) 具有固体填料组分的接触层
US20110033625A1 (en) Use of flexible sealing slurries for the aftertreatment of fresh concrete slabs
CN103306385A (zh) 一种无机防火建筑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230689B1 (ko)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CN101109207A (zh) 一种防水保温一体保护层屋面工法
WO2012038302A1 (de) Beschichtungsmittel zur herstellung von wasserdichten infrastrukturbeschichtungen
JP2005314220A (ja) タイル接着用張り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
Nair et al. Commercially available waterproofing agents in India: A review
CN107540314B (zh) 一种后浇带基面处理剂及其施工方法
KR102532742B1 (ko) 친환경 무기질계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Jalal et al. Effect of waterproofing systems and materials on environment
AU2001272205B2 (en) Mortar composition and method
JPS6215502B2 (ko)
JPH029638B2 (ko)
JPS643833B2 (ko)
KR102153343B1 (ko) 친환경 고무아스팔트와 이지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RU2724838C1 (ru) Гидроизоляционный состав для защиты 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AU2001272205A1 (en) Mortar composition and method
CN101109208A (zh) 防水保温一体保护层屋面工法
KR20020053898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구접착 프라이머, 보수 및단면증설재,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단면증설방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증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