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200A -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200A
KR20000030200A KR1020000005540A KR20000005540A KR20000030200A KR 20000030200 A KR20000030200 A KR 20000030200A KR 1020000005540 A KR1020000005540 A KR 1020000005540A KR 20000005540 A KR20000005540 A KR 20000005540A KR 20000030200 A KR20000030200 A KR 20000030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me
remote control
wa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건
노형남
안병식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심건
노형남
박병진
안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건, 노형남, 박병진, 안병식 filed Critical 심건
Priority to KR1020000005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200A/ko
Publication of KR2000003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전기기구 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므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원적외선을 이용함으로 가정내의 장애물(가구, 벽, 철근, 콘크리트 등)에 의해 사용환경에 제약을 받아 리모콘은 장애물이 없는 단거리에서 데이터 송신용(제어용)으로만 그 이용이 제한되었다. 또, 가정전기기구의 설정 및 진행상태를 보려면 이용자가 직접 가정전기기구 앞으로 이동하여야만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체와의 송수신도 가능하도록 창안한 것으로 무선전파를 이용하는 쌍방향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리모콘과 가정전기기구 본체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리모콘은
- 무선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신 RF(Radio Frequency) 모듈과 수신 RF 모듈과;
- 상기 모듈의 송수신 데이터 형태를 규정하고 만들며 판단하는 Link Controller부와;
- 상기 Link Controller부의 데이터를 인식하고 처리하며 전체 무선리모콘의 기능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와;
- 무선리모콘 주위의 온. 습도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 제어할 가정전기기구를 선택하고 구동조건을 입력하며 식별자(ID)를 부여하는 설정부와;
- 상기 식별자(ID)를 기억하는 플래쉬 메모리와;
- 가정전기기구의 구동상태 및 무선리모콘의 위치식별을 알리기 위한 경보부와;
- 가정전기기구의 구동입력 및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구성되고 가정전기기구 본체 제어기는
- 상기 리모콘과 같은 용도로 송신 RF 모듈과 수신 RF 모듈;
- Link Controller부와;
- 무선리모콘의 위치를 경보하고 식별자(ID)를 본체에 기억시키기 위한 설정부와;
- 상기 송수신을 주관하는 송수신용 제어기(본체 MCU와 합쳐질 수도 있음)와;
- 가정전기기구의 본체기능을 주관하며 송수신용 제어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본체 MCU와;
- 상기 식별자(ID)를 기억하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어
가정 내에서 무선리모콘이 있는 곳에서 자유자재로 가정전기기구를 제어하며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밧데리의 에너지가 있는 한 무선리모콘에서 경보를 하여 쉽게 무선리모콘을 찾을 수 있으며, 같은 제품이라도 식별자(ID)를 부여하여 가정내부 및 외부에서 상호 간섭 영향을 없애며, 무선리모콘 주위의 온. 습도 정보를 가정전기기구 본체에 전달하여 보다 정확한 제어를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Wireless two way transmission and Receive System for Home Appliance}
본 발명의 가정전기기구용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전파를 이용하여 종래의 원적외선 형태에 비해 가정 내 장애물 등 사용환경에 제약을 없애고, 쌍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가 직접 가정전기기구 앞으로 이동하지 않고 가정전기기구의 설정 및 진행 상태를 볼 수 있는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원적외선 형태의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리모콘 부 및 수신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리모콘 부는 송신키를 선택하는 설정부[101]와; 송신 data를 만들어주는 송신IC[100]와; 원적외선을 발성하는 원적외선 LED[102]와; 상기 원적외선 LED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103]와; 전류제한 저항[102]으로 구성되고 수신 본체 부는 송신 리모콘 부의 원적외선 LED[102]에서 발광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04]와;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가정전기기구 본체를 제어하는 본체 MCU[105]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 리모콘 부의 설정부[101]에서 선택된 키내용을 송신IC[100]에서 알맞은 데이터 형태로 만들어주고, 상기 데이터에 맞게 transistor[103]를 ON/OFF하여 송신 원적외선 LED[102]를 ON/OFF한다. 수신부[104]는 ON/OFF pulse를 감지하여 본체 MCU[105]로 전송하면, 본체 MCU[105]는 그 데이터를 판단하여 송신 리모콘에서 입력된 키내용이 어떤 내용인지를 판단하고, 그 키입력에 맞는 본체(가정전기기구)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송. 수신하기 위하여 원적외선을 사용함으로써 가정내의 장애물(가구, 벽, 철근, 콘크리트)등 사용환경에 제약을 받아서, 장애물이 없는 단거리에서만 사용 가능했고, 가정전기기구(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MWO, AV System 등)의 설정 및 진행상태를 보려면, 이용자가 가정전기기구 앞으로 이동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무선전파를 이용하는 쌍방향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리모콘과 가정전기기구 본체 제어기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서 사용환경의 제약 없이 송신리모콘을 통하여 가정전기기구의 설정 및 진행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원적외선 type의 송수신 System을 보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쌍방향 무선리모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 Controller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송신용IC 104
101 : 설정부 105 : 본체 MCU
102 : 적외선 LED 111 : 저항
103 : 구동 트랜지스터
207, 301 : 송신 RF 모듈 203 : 감지부
208, 302 : 수신 RF 모듈 204, 306 : 플래쉬 메모리
206, 303 : Link Controller부 205 : 표시부
200, 305 : MCU
201 : 경보부
202, 304 : 설정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2 쌍방향 무선리모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와 같은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신 RF 모듈[207]과 수신 RF 모듈[208]과; 상기 모듈의 송수신 데이터 형태를 만들고 판단하는 Link controller부와[206]; 상기 Link Controller부의 데이터를 인식하고 처리하면서, 전체 무선리모콘의 기능을 제어하는 MCU[200]와; 무선리모콘 주위의 온도 습도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203] 와; 제어할 가정전기기구를 선택하고 구동조건을 입력하며 식별자(ID)를 부여하는 설정부와[202]; 상기 식별자(ID)를 기억하는 플래쉬 메모리와; 가정전기기구의 구동입력 및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5]와 가정전기기구의 구동상태 및 무선리모콘의 위치를 알리게 하기 위한 경보부[201]로 구성하고, 도3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 제어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와 같이 상기 무선리모콘과 같은 용도로 송신 RF 모듈[301]과 수신 RF 모듈[302] 및 Link Controller부[303]와; 무선리모콘 위치를 경보하거나 식별자(ID)를 본체에 기억시키기 위한 설정부[304]와; 상기 송수신을 주관하는 송수신용 제어기[300](본체MCU와 합쳐질 수도 있음)와; 가정전기기구의 본체기능을 주관하며, 송수신용 제어기용 데이터를 주고받는 본체 MCU[305]와 상기 식별자(ID)를 기억하는 플래쉬 메모리[30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쌍방향 송수신 동작은 송신 RF 모듈[207,301]에서 송신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 RF 모[208,302]에서 수신데이터를 수신하며, Link Controller부[206,303]에서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 수신될 송수신 데이터의 형태를 만들고 판단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부[202]에서는 제어할 가정전기기구를 선택하고 구동조건을 입력하며, 식별자(ID)를 가정전기기구마다 선택하도록 한다.
- 감지부[203]는 무선리모콘 주위의 온도 및 습도정보를 감지하여 가정전기기구에 전달함으로 보다 정확한 제어를 하게 한다.
- 경보부[201]는 가정전기기구의 구동상태 및 필요시 무선리모콘의 위치를 외부 알리도록 경보한다.
- 플래쉬 메모리[204]는 상기 식별자(ID)가 Power가 off되어도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 표시부[205]는 가정전기기구 본체에 최소한의 표시를 배치할 수 있도록 가정전기기구의 구동입력 및 구동상태를 설정부[202]에서 선택한 기기에 따라 표시한다.
- MCU[200]는 상기 Link Controller부[206]의 데이터를 인식하고 처리하면서, 전체 무선리모콘의 기능을 제어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부[304]는 무선리모콘의 위치를 경보부[201]에서 경보하도록 하거나, 쌍방향 무선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식별자를 본체에 기억시키도록 하고, 송수신용 제어기[300] 및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 제어기에서 쌍방향 무선리모콘과의 송수신을 주관하며 설정부[304] 및 플래쉬 메모리[306]를 제어한다 . 본체 MCU[305]는 가정전기기구의 본체기능을 주관하는데 송수신용 제어기[300] 및 설정부[304], 플래쉬 메모리[306] 제어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MCU기능은 본 고안의 범위와 관계가 없으므로 생략한다.
플래쉬 메모리[306]는 쌍방향 무선 리모콘과 같이 입력된 식별자(ID)가 Power가 off되어도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정전기기구 본체의 동작 및 경보내용을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 제어기[300혹은 305]에서 Link controller부[303] 및 송신 RF 모듈[301]에서 송신하면 쌍방향 무선리모콘에서는 수신 RF 모듈 [208] 및 Link controller부[206]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MCU[200]에서 판단하여 표시부[205]에서 표시한다. 또한 쌍방향 무선 리모콘의 설정부[202] 및 감지부[203]의 내용은 Link controller부[206] 및 송신 RF 모듈[207]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가정전기기구 본체에서는 수신 RF 모듈[302] 및 Link controller부[303]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수신용 제어기[300](혹은 본체MCU[305])에서 판단하여 본체MCU(305)를 통하여 가정전기기구 본체를 구동한다.
식별자(ID)는 같은 제품이라도 각각 부여되는 것으로 쌍방향 무선리모콘과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에 같은 내용으로 기억되어 상호 간섭에 의해 가정전기기구가 오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식별자(ID)는 쌍방향 무선리모콘,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에 각각 저장될 수 있고 어느 한쪽이 저장되면 식별자(ID)가 저장된 쪽의 식별자(ID) 송출 키를 누르면 데이터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식별자(ID)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정전기기구 용 쌍방향 송수신시스템은 다음의 효과를 실현한다.
1) 가정 내에서 무선리모콘이 있는 곳에서 자유자재로 가정전기기구를 제어하고 상태를 알 수 있다.
2) 밧데리의 에너지가 있는 한 쌍방향 무선리모콘이 현재위치에서 경보하게 하여 쉽게 무선리모콘을 찾도록 한다.
3) 가정내부 및 외부의 같은 제품간이라도 상호 간섭을 없애기 위하여 각 제품마다 식별ID(Identifier)를 설정할 수 있다. (쌍방향 무선리모콘 및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에 각각 같은 식별자(ID)를 기록할 수 있다.)
4) 무선리모콘이 있는 장소의 온. 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가습기 및 공조기 등 쌍방향 가정전기기구의 제어가 가능하여 이용자에게 쾌적한 조건을 만들어준다.

Claims (2)

  1. 무선전파를 이용하는 쌍방향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리모콘과 가정전기기구 본체 제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전기기구 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2. 1) 제 1 항에 있어서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 앞에 가지 않고도 쌍방향 무선 리모콘만으로 가정전기기구를 제어하거나 가정전기기구의 진행상황을 알 수 있는 것
    2) 제 1 항에 있어서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의 키입력으로 쌍방향 무선리모콘으로 경보하여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한 것
    3) 제 1 항에 있어서 쌍방향 무선리모콘과 쌍방향 가정전기기구 본체에 같은 식별자(ID)를 각각 입력하여 같은 제품이라도 상호 간섭영향을 배제하여 오 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한 것
    4) 제 1 항에 있어서 쌍방향 무선리모콘이 있는 장소의 온. 습도 정보를 가정전기기구 본체에 전송하여 가정전기기구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
KR1020000005540A 2000-02-03 2000-02-03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00030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540A KR20000030200A (ko) 2000-02-03 2000-02-03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540A KR20000030200A (ko) 2000-02-03 2000-02-03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200A true KR20000030200A (ko) 2000-06-05

Family

ID=1964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40A KR20000030200A (ko) 2000-02-03 2000-02-03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2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91A (ko) * 2002-03-25 2003-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KR20040006731A (ko) * 2002-07-15 2004-01-24 이어진 실내기기 점검장치
KR100455322B1 (ko) * 2001-03-13 2004-11-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및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322B1 (ko) * 2001-03-13 2004-11-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및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6990315B2 (en) 2001-03-13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US7286796B2 (en) 2001-03-13 2007-10-2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30077191A (ko) * 2002-03-25 2003-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KR20040006731A (ko) * 2002-07-15 2004-01-24 이어진 실내기기 점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45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CA2634180C (en) An improved remote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AU2002245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WO2019227413A1 (zh) 遥控设备及遥控方法
US20110112692A1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and heaters with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s
US8487748B2 (en) System for the remote control of at least one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JP2004309121A (ja) 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
KR20000030200A (ko)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30050407A (ko)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원격 제어 스위치 장치
GB2256515A (en) Interactive remote control
JP7330547B2 (ja) リモコン通信を用いた節電制御システム
US20060198637A1 (en) Non-directional infrared remote-control transmitter for infrared remote control system
JPH01260255A (ja) 空気調和機
JPH0323419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9980043014A (ko) 리모콘 위치확인 장치
KR20020031469A (ko)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장치
JP2003250186A (ja) 制御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家電製品
TWI667855B (zh) 主動回報運轉狀態之智慧設備監控系統及其狀態感知器
KR100489960B1 (ko) 리모트 콘트롤을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온수 선택장치 및그 방법
US20060208679A1 (en) Temperature sensor-actuated infrared type load control system
JPS5920589Y2 (ja)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JPS62210343A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050011926A (ko) 객실 관리 시스템
JPH01300150A (ja) 空気調和機
JP2768245B2 (ja) ワイヤレス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