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191A -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191A
KR20030077191A KR1020020016140A KR20020016140A KR20030077191A KR 20030077191 A KR20030077191 A KR 20030077191A KR 1020020016140 A KR1020020016140 A KR 1020020016140A KR 20020016140 A KR20020016140 A KR 20020016140A KR 20030077191 A KR20030077191 A KR 2003007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iving
base station
automatic notification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191A/ko
Publication of KR2003007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1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운전 중 상태일 때 발신자에게 차량 운전 중임을 알리는 발명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핸즈프리 키트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장착될 시 발신자에게 차량 운전 중임을 알리어 차량 운전자의 주행 중 통화 시에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이 선택되고,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될 시에 수신측 기지국으로 운전 중 상태임을 알리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 시에 상기 수신측 기지국이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을 보내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선택 입력하여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전송 받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선택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운전 중 상태일 때 발신자에게 차량 운전중임을 알릴 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METHODE FOR AUTOMATICALLY NOTIFYING A CALLING PARTY OF DRIVING STATE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차량 운전 알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운전 중 상태일 때 발신자에게 차량 운전중임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 디지털 셀룰라 폰 등과 같은 개인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측 착신자와 통화할 수 있는 각종 단말기가 상용화되어 있다. 현재 이동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가입자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차량 보유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유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수 확대에 따른 부작용으로 차량 운전자의 이동 통신 사용이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는 사고 유발의 주원인으로 대두되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각 국가에서 주행 중 이동 전화를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것을 법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차량 내부에 핸즈프리 키트(HANDSFREE KIT)를 설치 연결하여 차량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전화를 받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어잭을 연결하여 전화를 받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주행 중에 핸즈프리 키트 또는 이어잭을 사용하여 이동 전화를 받게 되면, 이를 조작함에 따른 주의 산만으로 인해 사고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즈프리 키트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장착될 시 발신자에게 차량 운전중임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운전자의 주행 중 통화 시에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운전자의 주행 중 긴급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신측 단말기, 수신측 기지국, 발신측 단말기를 적어도 구비하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이 선택되고,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될 시에 수신측 기지국으로 운전 중 상태임을 알리는 제 1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 시에 상기 수신측 기지국이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을 보내는 제 2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선택 입력하여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전송 받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선택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 운전 자동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기, 수신측 기지국, 발신측 단말기 사이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키트에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차량 운전 알림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핸즈프리 키트에 이동 통신 단말기 장착 시에 발신자에게 수신자가 차량 운전중임을 자동으로 알림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 운전 자동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발신측 이동 단말기(100)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이 선택되어 있고, 핸즈프리 키트(110)에 장착이 되어 있는 경우에 발신측 단말기(130)에 의해 통화 요청이 있으면,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100)에 해당하는 기지국(121)에서 운전중임을 알리는 안내 방송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 및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211)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211)는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이 선택되고, 핸즈프리 키트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장착이 됨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운전 중 상태임을 알리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무선부(212)는 상기 제어부(211)에 의해 제어되어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어부(211)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21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부(212)로부터 상기 제어부(211)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신호 등이 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처리부(215)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상기 무선부(212)는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 처리부(215)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소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메모리부(213)는 롬과 램 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11)의 제어 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과 사용자에 의해 저장되는 영역 및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영역 등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 메모리부(213)는 임의 접근이 가능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가 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상기 제어 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데이터가 저장이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부(213)에는 긴급 통화 요청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키 입력부(214)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44)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211)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 입력부(214)는 운전 자동 알림 기능 선택을 위한 키 등을 구비한다.
음성 처리부(215)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을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음성 처리부(215)는 상기 무선부(212)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스피커(SPK)는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215)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부(212)로 출력한다.
표시부(216)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진행 상태 등을 문자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는 장치와, 진동 모터 및 알람을 표시하는 알람 램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216)의 액정표시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시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문자 데이터 또는 아이콘 및 캐릭터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기, 수신측 기지국, 발신측 단말기 사이의 신호 흐름도이다.
수신측 단말기(300)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을 선택하고, 핸즈프리 키트(110)에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를 장착 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수신측 기지국(310)은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가 속하는 기지국을 말한다.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은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로부터 상태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로부터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로 호 설정을 요청이 있을 시에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을 한다.
발신측 단말기(320)는 본 발명에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로 통화 요청을 하는 단말기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수신측 단말기, 수신측 기지국, 발신측 단말기 사이의 신호의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을 선택한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가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이 되면, 301 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기지국(31)으로 운전 자동 알림 기능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운전 자동 알림 기능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은 상기 수신측(300) 사용자가 운전 중 상태임을 알게 된다.
302 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으로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로부터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와 통화를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이 되면, 303 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신호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로 전송한다.
상기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의 예로서, "지금 011-111-1111 사용자는 운전 중이므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긴급 통화를 원하시면 1번, 운전 후 사용자가 전화 걸기를 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남기시려면 2번, 문자 메시지를 남기시려면 3번, 음성을 남기시려면 4번을 누르세요."와 같은 방송을 한다.
304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의 사용자는 상기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에 따라 발신측 단말기(320)로 상기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선택 입력을 한다.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는 상기 선택 입력된 것을 305 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으로 선택 입력 신호로 전송한다.
상기 선택 입력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은 상기 305 단계에서 전송 받은 상기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측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307 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는 상기 306 단계에서 전송 받은 선택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예로, 선택 입력 신호가 긴급 통화를 원하는 1번일 경우에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는 메모리부(213)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 음성을 내보낸다. 저장된 안내 음성의 예로서, "외부에서 긴급 통화를 요청했습니다. 받기를 원하시면 '예'를, 받기를 원하지 않으시면 '아니오'를 말하세요"와 같은 음성 안내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예'를 말하면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는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으로 발신측 단말기(320)와 호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어 통화로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음성 안내 후 상기의 사용자가 '아니오'를 말하게 되면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는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으로 통화가 거부됨을 알린다. 상기 통화 거부 신호를 받은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은 발신측 단말기(320)로 통화 거부 알림 방송을 한다.
상기 통화 거부 알림 방송의 예로, "지금 011-111-1111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운전 후 사용자가 전화 걸기를 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남기시려면 2번, 문자 메시지를 남기시려면 3번, 음성을 남기시려면 4번을 누르세요."와 같은 방송을 한다.
상기 306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가 전화 번호를 남기기를 원하는 2번을 선택한 입력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수신측 핸즈프리 키트 단말기(300)의 메모리부(213)에 저장한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가 핸즈프리 키트(110)에서 분리되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프(BEEF)소리 또는 링(RING)소리에 의해 알리고 화면에 나타내게 된다.
상기 306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가 문자 메세지를 남기기를 원하는 3번을 선택 입력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입력된 문자 메세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의 메모리부(213)에 저장한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가 핸즈프리 키트(110)에서 분리되면, 상기 저장된 문자 메세지를 비프(BEEF)소리 또는 링(RING)소리에 의해 알리고 화면에 나타낸다.
상기 306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320)가 음성을 남기기를 원하는 4번에 해당하는 선택 입력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음성을 수신측 기지국(310)에 저장한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300)가 핸즈프리 키트(110)에서 분리되면, 상기 수신측 기지국(310)에 음성이 저장되어 있음을 비프(BEEF)소리 또는 링(RING)소리에 의해 알린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키트에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차량 운전 알림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핸즈프리 키트에 연결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차량 운전 알림의 흐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4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 상태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벤트가 일어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401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이 선택되어 있으면 40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2 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일반 모드란 일반적인 통화를 위한 해당 과정을 수행함을 말한다.
403 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키트에 장착이 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이 되었으면 4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0 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을 선택하고,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이 되어 있는 경우에 진행한 404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모드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11)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운전 중 상태임을 알리는 과정이다. 상기의 404 단계의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모드를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302 단계, 303 단계, 304 단계, 305 단계, 306 단계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다.
406 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11)는 긴급 통화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으면 메모리부(213)에서 긴급 통화 메시지를 읽어 와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린다. 이에 대한 예는 상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408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를 원하는 음성이 입력이 되면 410 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2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0 단계에서의 통화 모드는 발신측 단말기(320)와 통화로가 연결이 되어 통화 가능한 모드를 말한다.
한편 412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전화번호 또는 문자/음성 메시지가 수신이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전화번호 또는 문자/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41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8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전화번호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한다.
414 단계와 416에서 진행한 418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핸즈프리 키트와 분리가 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분리가 되었으면 4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4 단계로 진행하여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키트와 분리가 되어 진행한 4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412 단계와 416 단계에서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저장됨을 알린다. 상기에서 알리는 방법은 비프(BEEF) 소리 또는 링(RING)소리 등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운전 중일 시에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측 단말기로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을 하여 주행 중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 운전자의 주행 중이더라도 긴급 전화는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수신측 단말기, 수신측 기지국, 발신측 단말기를 적어도 구비하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기능이 선택되고,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될 시에 수신측 기지국으로 운전 중 상태임을 알리는 제 1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 시에 상기 수신측 기지국이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을 보내는 제 2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다수의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에 선택 입력되는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을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전송 받은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선택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은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운전중임을 알리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긴급 통화 요청 또는 문자 메시지, 음성 메시지, 전화번호를 남길 수 있도록 하는 방송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 운전자동 알림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선택 입력이 긴급 통화 요청 시에 상기 수신측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송 중 문자 메시지, 음성 메시지, 전화번호를 남기는 것을 선택 입력했을 시에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핸즈프리 키트와 분리되면 상기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측 기지국에 저장이 되어 있고, 상기 문자 메시지와 전화번호가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이 되어 있음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KR1020020016140A 2002-03-25 2002-03-25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KR20030077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140A KR20030077191A (ko) 2002-03-25 2002-03-25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140A KR20030077191A (ko) 2002-03-25 2002-03-25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191A true KR20030077191A (ko) 2003-10-01

Family

ID=3237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140A KR20030077191A (ko) 2002-03-25 2002-03-25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89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알림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200A (ko) * 2000-02-03 2000-06-05 심건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00074760A (ko) * 1999-05-25 2000-12-15 이형찬 휴대 전화 자동 통화 대기 방법
KR20020054719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이동단말기에서 수신시 동작모드 선택방법
KR20020069924A (ko)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운전자를 위한 자동 수신 방법
KR20030046926A (ko) * 2001-12-07 200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호 신호 송수신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60A (ko) * 1999-05-25 2000-12-15 이형찬 휴대 전화 자동 통화 대기 방법
KR20000030200A (ko) * 2000-02-03 2000-06-05 심건 가정전기기구용 쌍방향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20054719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이동단말기에서 수신시 동작모드 선택방법
KR20020069924A (ko)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운전자를 위한 자동 수신 방법
KR20030046926A (ko) * 2001-12-07 200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호 신호 송수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89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알림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EP0319210A2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CA2733023C (en) In-call, audible call waiting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JP2002209011A (ja) 携帯端末
KR100288357B1 (ko) 휴대용전화단말기에서착신시안내방법
KR20030077191A (ko) 차량 운전 자동 알림 방법
KR2003005647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US7146173B2 (en) Method and network for answering calls to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user-defined response modes
KR2002006506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너 지역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7001031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통화 방법
JPWO2006043482A1 (ja) ハンズフリー機能付き電子機器
KR100373061B1 (ko) 운전중 수신거부 기능을 갖는 핸드폰 및 그 제어방법
KR10061779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거부 방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20010088553A (ko) 휴대폰의 착신음 발생시 무음으로 전환
KR100698292B1 (ko) 휴대폰 통화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30056068A (ko) 착발신시 통화 상대방 음성 알림 방법
JP2987800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703520B1 (ko)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서비스방법
KR100251556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JP3981995B2 (ja) 通信端末装置
KR200209961Y1 (ko) 무선수신정보의 음성출력이 가능한 핸드프리
KR20020019695A (ko) 차량의 고속 이동중 휴대폰의 통화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