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7550A -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회로 - Google Patents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7550A
KR20000027550A KR1019980045502A KR19980045502A KR20000027550A KR 20000027550 A KR20000027550 A KR 20000027550A KR 1019980045502 A KR1019980045502 A KR 1019980045502A KR 19980045502 A KR19980045502 A KR 19980045502A KR 20000027550 A KR20000027550 A KR 20000027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ell
fuse
fuse cel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풍엽
최종광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4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7550A/ko
Publication of KR2000002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5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785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ndancy programming schemes
    • G11C29/787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ndancy programming schemes using a fuse hierarchy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던던시 셀을 갖는 플래쉬 메모리셀에서 스위칭 수단을 사용하여 불량난 어드레스를 기억시키기 위한 퓨즈 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차단시켜 줌으로써, 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퓨즈 셀과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출력노드를 갖는 래치 회로와, 상기 제 1 퓨즈 셀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간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 회로의 제 2 출력노드의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퓨즈 셀 및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간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 회로의 제 1 출력노드의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
본 발명은 래치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던던시 셀(Redundancy cell)을 갖는 플래쉬 메모리셀에서 스위칭 수단을 사용하여 불량난 어드레스(Failed address)를 기억시키기 위한 퓨즈 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Stress)를 차단시켜 줌으로써, 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던던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메모리셀 블록은 메인 메모리셀 블록(1)과 리던던시 메모리셀 블록(2)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메인 메모리셀 블록(1)의 어느 한 메모리셀이 불량(Fail)인 경우, 기억(memory) 회로(3)에 상기 불량난 메모리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래치하게 된다. 리던던시 회로(4)는 상기 기억 회로(3)에 래치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리던던시 메모리셀 블록(2)의 해당 메모리셀 데이터를 입출력 회로(5)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메인 메모리셀 블록(1)의 불량난 메모리셀 대신에 상기 리던던시 메모리셀 블록(2) 메모리셀의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억 회로(3)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종래의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도이다. 래치 회로(10)는 콘트롤 전압(VCCR)을 입력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퓨즈 셀(11 및 12)과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1 및 P2)로 구성된다. 두 개의 셀(C1 및 C2)이 병렬 접속된 제 1 퓨즈 셀(11)의 출력인 제 1 노드(K1)와, 하나의 셀(C3)로 구성된 제 2 퓨즈 셀(12)의 출력인 제 2 노드(K2)의 각 전위는 상기 제 1 및 제 2 퓨즈 셀(11 및 12)로 흐르는 전류 비율(IL및 IR)에 따라 초기(initial) 상태로 래치(latch) 된다.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퓨즈 셀(11 및 12)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K1) 및 제 2 노드(K2)는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상태로 래치된다. 상기 제 2 노드(K2)에 래치된 데이터는 인버터(13)를 통해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 1 퓨즈 셀(11)로 흐르는 전류(IL)가 제 2 퓨즈 셀(12)로 흐르는 전류(IR)보다 작을 경우(제 1 퓨즈 셀은 프로그램 상태, 제 2 퓨즈 셀은 소거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퓨즈 셀(11)로 흐르는 전류(IL)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K1)는 하이 상태로 된다. 또한, 제 2 퓨즈 셀(12)로 흐르는 전류(IR)에 의해 제 2 노드(K2)는 로우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제 1 노드(K1)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P2)는 턴오프(Turn off) 되고, 상기 제 2 노드(K2)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온(Turn on) 된다.
이때, 상기 제 2 노드(K2) 및 접지단자(Vss)간에는 상기 제 2 퓨즈 셀(12)을 통해 전류 패스(Pass)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노드(K2)에는 상기 제 2 퓨즈 셀(12)을 통해 접지단자(Vss)로부터 접지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 1 노드(K1) 및 전원단자(Vcc)간에는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노드(K1)에는 전원단자(Vcc)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K1 및 K2)는 각각 하이 및 로우 상태로 래치된다.
반대로, 제 1 퓨즈 셀(11)은 소거 상태, 제 2 퓨즈 셀(12)은 프로그램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 노드(K2) 및 전원단자(Vcc)간에는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P2)를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노드(K2)에는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P2)를 통해 전원단자(Vcc)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 1 노드(K1) 및 접지단자(Vss)간에는 상기 제 1 퓨즈 셀(11)을 통해 전류 패스(Pass)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노드(K1)에는 상기 제 1 퓨즈 셀(11)을 통해 접지단자(Vss)로 부터 접지전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K1 및 K2)는 각각 로우 및 하이 상태로 래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퓨즈 셀(11 및 12)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K1) 및 제 2 노드(K2)의 전위가 결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억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K1 및 K2)의 전위가 완전한 접지전압(Vss) 또는 전원전압(Vcc)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퓨즈 셀(11)의 소스(Source)로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전원전압(Vcc)이 높을 경우 소스 접합(Source side junction)에서의 브레이크다운(Breakdown) 발생으로 인해 소모 전력이 커지게 되고, 전원전압(Vcc)이 불안정한 조건에서는 셀의 특성을 변형시키게 되어 셀의 신뢰성의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던던시 셀을 갖는 플래쉬 메모리셀에서 스위칭 수단을 사용하여 불량난 어드레스를 기억시키기 위한 퓨즈 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차단시켜 줌으로써, 상술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퓨즈 셀과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출력노드를 갖는 래치 회로와, 상기 제 1 퓨즈 셀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간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 회로의 제 2 출력노드의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퓨즈 셀 및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간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 회로의 제 1 출력노드의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던던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래치 회로 21, 22: 퓨즈 셀
23: 인버터 N11, N12: NMOS 트랜지스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도이다.
래치 회로(20)는 콘트롤 전압(VCCR)을 입력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퓨즈 셀(21 및 22)과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11 및 P12)로 구성된다. 또한, 두 개의 셀(C11 및 C12)이 병렬 접속된 상기 제 1 퓨즈 셀(21)의 출력 및 제 1 노드(K11)를 경유한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 간에는 제 2 노드(K12)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1 스위칭 수단인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가 접속된다. 또한, 하나의 셀(C13)로 구성된 제 2 퓨즈 셀(22)의 출력 및 제 2 노드(K12)를 경유한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 간에는 상기 제 1 노드(K11)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인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가 접속된다.
상기 제 1 노드(K11) 및 제 2 노드(K12)의 각 전위는 상기 제 1 및 제 2 퓨즈 셀(21 및 22)로 흐르는 전류 비율(IL및 IR)에 따라 초기(initial) 상태로 래치(latch)된다.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퓨즈 셀(21 및 22)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K11) 및 제 2 노드(K12)는 하이 또는 로우 상태로 래치된다. 상기 제 2 노드(K12)에 래치된 데이터는 인버터(23)를 통해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 1 퓨즈 셀(21)로 흐르는 전류(IL)가 제 2 퓨즈 셀(22)로 흐르는 전류(IR)보다 작을 경우(제 1 퓨즈 셀은 프로그램 상태, 제 2 퓨즈 셀은 소거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상기 제 1 퓨즈 셀(21)을 통해 흐르는 전류(IL)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K11)는 하이 상태로 된다. 또한, 제 2 퓨즈 셀(22)을 통해 흐르는 전류(IR)에 의해 제 2 노드(K12)는 로우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제 1 노드(K11)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는 턴오프 되고,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는 턴온 된다. 또한, 상기 제 2 노드(K12)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는 턴온 되고,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는 턴오프 된다.
이때, 상기 제 2 노드(K12) 및 접지단자(Vss)간에는 상기 제 2 퓨즈 셀(22)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를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노드(K12)에는 상기 제 2 퓨즈 셀(22)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를 통해 접지단자(Vss)로부터 접지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제 1 노드(K11) 및 전원단자(Vcc)간에는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를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노드(K11)에는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를 통해 전원단자(Vcc)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K11 및 K12)는 각각 하이 및 로우 상태로 래치된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Vcc)로부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를 통해 상기 제 1 퓨즈 셀(21)의 소스 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은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퓨즈 셀(21)의 소스는 전원전압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된다.
반대로, 제 1 퓨즈 셀(21)로 흐르는 전류(IL)가 제 2 퓨즈 셀(22)로 흐르는 전류(IR)보다 클 경우(제 1 퓨즈 셀은 소거 상태, 제 2 퓨즈 셀은 프로그램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상기 제 1 퓨즈 셀(21)을 통해 흐르는 전류(IL)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K11)는 로우 상태로 된다. 또한, 제 2 퓨즈 셀(22)을 통해 흐르는 전류(IR)에 의해 제 2 노드(K12)는 하이 상태로 래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노드(K11)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는 턴온 되고,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는 턴오프 된다. 또한, 상기 제 2 노드(K12)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는 턴오프 되고,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는 턴온 된다.
이때, 상기 제 1 노드(K11) 및 접지단자(Vss)간에는 상기 제 1 퓨즈 셀(21)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를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노드(K11)에는 상기 제 1 퓨즈 셀(21)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를 통해 접지단자(Vss)로부터 접지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제 2 노드(K12) 및 전원단자(Vcc)간에는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를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노드(K12)에는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를 통해 전원단자(Vcc)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K11 및 K12)는 각각 로우 및 하이 상태로 래치된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Vcc)로부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를 통해 상기 제 2 퓨즈 셀(22)의 소스 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은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퓨즈 셀(22)의 소스는 전원전압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던던시 셀을 갖는 플래쉬 메모리셀에서 스위칭 수단을 사용하여 불량난 어드레스를 기억시키기 위한 퓨즈 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차단시켜 줌으로써, 브레이크다운 발생을 방지하고, 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 1 및 제 2 퓨즈 셀과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출력노드를 갖는 래치 회로와,
    상기 제 1 퓨즈 셀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간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 회로의 제 2 출력노드의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퓨즈 셀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간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 회로의 제 1 출력노드의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
KR1019980045502A 1998-10-28 1998-10-28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회로 KR20000027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02A KR20000027550A (ko) 1998-10-28 1998-10-28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02A KR20000027550A (ko) 1998-10-28 1998-10-28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50A true KR20000027550A (ko) 2000-05-15

Family

ID=1955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502A KR20000027550A (ko) 1998-10-28 1998-10-28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75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7682B2 (en) Anti-fuse memory cell circuit, array circuit and reading and writing method thereof
US20180061495A1 (en) Level shifter circuit
US7525368B2 (en) Fuse circuit
US20020017943A1 (en) Voltage level converter circuit improved in operation reliability
KR100327506B1 (ko) 반도체 기억장치
US7116127B2 (en) Circuit with 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circuit
US650959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redundant block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US7098722B2 (en) Low power design for fuse control circuit
US5675536A (en) Flash memory device
EP1123556B1 (en) Fuse circuit having zero power draw for partially blown condition
US741141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000027550A (ko) 래치 구조를 갖는 기억회로
US6333876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02982845A (zh) 一种电子可编程熔丝电路
US6043637A (en) Voltage generator circuit
WO1998007161A1 (en) Programmable circuit having common access and/or programming switches
US6888216B2 (en) Circuit having make-link type 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KR100255146B1 (ko) 리페어 퓨즈 제어 회로
US20110050310A1 (en) Level shifter circuit
KR100255149B1 (ko) 래치구조를 갖는 기억 회로
US730789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301598B1 (ko) 리페어어드레스선택회로
KR100255701B1 (ko) 한 비트를 래칭하기 위한 회로와 이를 어드레스 래치로 이용하는 방법
KR100273219B1 (ko) 반도체메모리셀의결함구제회로
KR0138625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용 리던던시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