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5817A -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5817A
KR20000025817A KR1019980043047A KR19980043047A KR20000025817A KR 20000025817 A KR20000025817 A KR 20000025817A KR 1019980043047 A KR1019980043047 A KR 1019980043047A KR 19980043047 A KR19980043047 A KR 19980043047A KR 20000025817 A KR20000025817 A KR 2000002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tact
contact group
fixed
insulating bod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4164B1 (ko
Inventor
전명수
조걸훈
홍영표
이성준
정창호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8004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164B1/ko
Priority to US09/277,357 priority patent/US6270366B1/en
Publication of KR2000002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인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입형(projection-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속부재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대응하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형(receiving - 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속부재; 및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매개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이루는 각 전도성 콘택트들은 상기 매개접속부재(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되는 접합부(join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피 접속장치(said device to be connected)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개접속부재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과는 달리 인터페이스 장치의 타입과 인터페이스 하는 배치에 따라 교체접속부품(매개접속부재)만을 변경함으로써 변화하는 접속환경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본 발명은 플러그-인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러그-인(plug-in)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호 접속부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집적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지만, 고전력 시스템이나 기타 다른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전자 커넥터 시스템도 포함)은 전기, 전자시스템 및 전기, 전자부품을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도전성 빔과 같은 투입형 접속부품과 도전성 소켓과 같은 수용형 접속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적 상호접속은 상기 투입형 접속부품이 상기 수용형 접속부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삽입을 통해 상기 투입형 접속부품과 수용형 접속부품의 도전부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전기신호가 이들 접속부품을 통해 전송된다.
종래의 상호접속 시스템에 있어서(예를들어, 아래에 상세히 논의될 도 1의 핀그리드 어레이(pin grid array)), 복수의 개별 도전성핀(11)은 그리드 구조물(12)에 배치되고, 복수의 개별 도전성 소켓(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개별 핀(11)을 수용할 수 있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핀과 소켓 쌍은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전송한다.
고집적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은 작은 면적내에 대단히 많은 상호접속 콘택트(Contact)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당연히, 고집적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은 저집적화된 상호접속 시스템 보다는 더 짧은 신호경로를 포함하고,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고집적 상호 접속시스템에 관한 짧은 신호경로는 고속으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고집적화는 시스템을 보다 향상시킨다.
종래로 부터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고집적화를 위한 많은 시도가 행해졌다.
이렇게 하여 제안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관한 일례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a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은 기둥형 및 상자형 상호접속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도 2a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입형 상호접속 부품(21)은 도전성 빔 또는 도전성 기둥이고, 상기 수용형 상호접속 부품(22)은 박스 형상을 갖는 도전성 소켓이다.
도 2b는 상기 도 2a의 소켓 내에 수용된 기둥을 도시한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2)의 내벽에는 소켓내에 기둥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안쪽으로 뻗어 나온 섹션(23) 및 (24)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또 다른 형태의 전기 상호 접속시스템이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a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은 단일빔 상호접속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도 3a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입형 상호접속 부품은 도전성 핀이나 기둥(31)이고, 수용형 상호접속 부품은 도전성 플렉시블 빔(32)이다.
도 3b는 상기 도 3a의 평면도이다. 상기 플렉시블 빔(32)은 기둥(31)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31)을 향해 휘어져 있다.
제안되는 세 번째의 종래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이 도 4a에 도시된다. 상기 도 4a에 도시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은 에지 커넥터 시스템(edge connector system)으로서 알려져 있다.
상기 에지 커넥터 시스템의 투입형 상호접속 부품은 절연 인쇄회로기판(4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 하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지 커넥터 시스템의 수용형 상호접속 부품은 그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1)이 끼워지는 한 세트의 상부 및 하부 도전성 핑거(42)로 구성된다.
도 4b는 인쇄회로기판(41)이 상기 상, 하부 도전성 핑거(42)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4a의 측면도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이 상기 도전성 핑거(42) 사이에 삽입되면, 각 도전성 패턴(43)이 이와 대응하는 도전성 핑거(42)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기신호가 상기 도전성 패턴(43)과 도전성 핑거(42) 사이로 전송된다.
제안되는 네 번째의 종래의 상호접속 시스템이 도 5에 도시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은 핀과 소켓 상호접속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도 5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입형 상호접속 부품은 도전성 스탬프 핀(stamped pin)(51)이고, 상기 수용형 상호접속 부품은 도전성 홈형 소켓(slotted socket)(52)이다.
상기 소켓(52)은 전형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관통홀(through hole)내에 장착된다. 상기 핀(51)은 소켓(52)내에 형성되는 공간에 비해 사이즈가 더 크다. 이와 같이 소켓(52)내의 공간과 핀(51) 사이의 사이즈를 서로 다르게 한 것은 소켓(52)내에 핀(51)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상호접속 시스템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불완전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이들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호접속 부품은 투입형과 수용형 부품 사이에 충분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상에 도금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금은 전형적으로 금이나 다른 비싼 금속을 통해 성취되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5의 시스템은 그 제조를 위한 비용이 비싸다.
도 4의 에지 커넥터시스템은 용량문제와 전자기적 간섭을 받기 쉽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의 핀 및 소켓 시스템은 홈형 소켓 내에 핀을 삽입하기 위해 높은 삽입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공차(in the absence of nearperfect tolerancing)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 적절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렵다.
도 2 및 도 3(도 1과 같이 배치될 때)의 시스템, 도 4의 시스템(일렬로 배치될 때) 및 도 5의 시스템(도 4a와 같이 배치될 때)에 관한 중요한 문제점은 이들 시스템들이 미래의 반도체 및 컴퓨터 기술에서 필요로 하는 집적화에 있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집적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미국특허 제 5,575,688 호의 고밀도 상호접속 시스템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고밀도 상호접속 시스템에 대한 구성이 도 6a에 도시된다. 미국특허 제 5,575,688 호의 고밀도 상호접속 시스템은 투입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1)와,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2)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1)는 절연기판(63)과, 도전성 말뚝(65) 및 이 도전성 말뚝을 지지하는 절연 지지대(67)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성 말뚝(65)은 지지대(67) 주위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2)의 도전성 빔(64)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말뚝(65)의 다리부(65A)는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도 6a에 도시된 도전성 말뚝(65)은 그 다리부(65A)가 직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속에 유용하다.
또한, 상기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2)는 절연기판(66)과, 상기 절연기판(66)에 부착되는 복수의 도전성 빔(64)으로 구성되어 상기 투입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1)를 수용함으로써 전기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2)의 도전성 빔(64)은 도 6b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도전성 빔(64)은 크게 접촉부(64A), 고정부(64B), 다리부(64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64A)는 대응하는 투입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1)의 도전성 말뚝(65)을 수용하기 위해 도전성 말뚝(65)을 안내하는 유도부(64AA)와, 도전성 말뚝의 전도부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인터페이스부(64AB)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64B)는 절연기판(66)에 도전성 빔(64)이 고정,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다리부(64C)는 도전성 빔(64)을 인터페이스 장치와 결합시키는 부분으로서 그 형상은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 6a에 도시된 다리부(64C)는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이고, 도 6c는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2)의 도전성 빔(64)과 와이어 또는 케이블(68)을 상호 결합시킬 때의 다리부(64C)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종래의 고밀도 상호접속 시스템은 투입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1)와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2)에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예를들어, 반도체 칩, 인쇄회로기판, 와이어, 라운드 케이블,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등)의 종류에 따라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2) 및 투입형 상호접속 콤포넌트(61)를 따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고,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이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board to board type)을 접속시키는가 혹은 인쇄회로기판과 와이어(board to wire type)를 접속시키는가, 케이블과 케이블(cable to cable type)을 접속시키는가에 따라 투입형 및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를 각각 다르게 제조하여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고밀도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문제점이 피 접속장치(a device to be connected)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품들이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있어 접속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접속하고자 하는 피 접속장치가 달라지더라도 투입형 및 수용형 상호접속 콤포넌트의 기본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접속환경의 변화에 쉽게 적응시킬 수 있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고정된 형상을 갖는 고정접속수단과, 이 고정접속수단과 피 접속장치를 매개하기 위해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매개접속수단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접속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쉽고,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환경에 따른 설계변경이 용이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입형(projection-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속부재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대응하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형(receiving - 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속부재와; 및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매개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이루는 각 전도성 콘택트들은 상기 매개접속부재(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되는 접합부(join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되어 체결되고, 상기 매개접속부재가 제 2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격리된 피 접속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피 접속장치(said device to be connected)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개접속부재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기접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고정, 부착되어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입형(projection-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속부재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고정, 부착되어 대응하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형(receiving- 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속부재; 및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매개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이루는 각 전도성 콘택트들은 상기 매개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되어 체결되고, 상기 매개접속부재가 제 1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격리된 피 접속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피 접속장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개접속부재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기접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입형(projection-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속부재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대응하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형(receiving- 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제 1 매개접속부재; 및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제 2 매개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이루는 각 전도성 콘택트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와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가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격리된 피 접속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피 접속장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기접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될수 있다.
명세서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핀 그리드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둥형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2b는 상기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단일 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3b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에지 커넥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핀과 소켓형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종래의 고밀도 상호접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고밀도 상호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도전성 빔의 일 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c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고밀도 상호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도전성 빔의 다른 일 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 1 고정접속부재를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다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전도성 포스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를 화살표 B 방향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를 D-D선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에 적용되는 플렉시블 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a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매개접속부재를 C-C선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b 및 도 14c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매개접속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와 매개접속부재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도 14a에 도시된 전도성 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도 17에 도시된 제 1 고정접속부재에 적용되는 전도성 포스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상기 도 17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에 적용되는 플렉시블 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도 20에 도시된 제 1 고정접속부재에 적용되는 전도성 포스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도 20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에 적용되는 플렉시블 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301: 고정접속부재 150: 매개접속부재
110, 310: 제 1 고정접속부재 120, 320: 제 2 고정접속부재
350: 제 1 매개접속부재 450: 제 2 매개접속부재
114, 314: 전도성 포스트 114C, 314F: 전도성 포스트의 접합부
123, 323: 플렉시블 빔 123C, 323F: 플렉시블 빔의 접합부
112: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
121: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
162, 362, 462: 매개접속부품
152, 352, 452: 가이드 접속커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고정접속부재(101)와 매개접속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접속부재(101)는 다시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제 2 고정접속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매개접속부재(150)는 다시 가이드 접속커버(152)와 매개접속부품(162)을 포함한다.
상기 매개접속부재(150)는 제 2 고정접속부재(120)와 피 접속장치(예를들어, 인쇄회로기판, 와이어, 반도체 칩, 라운드 케이블,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등)(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속하고자 하는 피 접속장치 사이에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제 2 고정접속부재(120) 및 매개접속부재(150)가 순서대로 적절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120)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구조를 갖는다. 반면에, 제 1 고정접속부재(110)는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그 결합부의 형상을 변경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고정접속부재(110)에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는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120)에 접속하는 피 접속장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고정접속부재(110)에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가 인쇄회로기판일 경우, 제 2 고정접속부재(120)에 접속되는 매개접속부재(150)의 형상을 도 14a와 같이 설계하면 버티칼 타입(vertical type)의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 매개접속부재(150)의 형상을 도 14b와 같이 설계하면 호리존탈 타입(horizontal type)의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 매개접속부재(150)의 형상을 도 14c와 같이 설계하면 보드 대 와이어(board to wire)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상기 매개접속부재(150)는 제 2 고정접속부재(120)에 근접한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 1 고정접속부재(110)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고정접속부재(110)는 절연몸체(111)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형 콘택트 그룹(112)은 도 8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 콘택트 그룹(112) 사이의 절연간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행과 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을 통해 고집적화된 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고밀도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은 본 실시예에 따른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투입형 콘택트 그룹(112)은 그 중심부에 위치하는 절연지지대(113)와 이 절연지지대의 둘레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도성 포스트(114)를 포함한다.
절연몸체(111)와 절연지지대(113)는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각 전도성 포스트(114)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전도성 포스트(114)를 서로로부터 절연시킨다.
전도성 포스트(114)와 절연지지대(113)는 절연몸체(111)에 부착된다. 상기 전도성 포스트(114)는 절연지지대(113)와 절연몸체(1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된다.
절연지지대(113)와 절연몸체(111)는 단일한 절연물질에 의해 전체적으로 몰드되어 있다. 절연지지대(113)와 절연몸체(111)를 형성하는 물질은 몰드할 때, 수축되지 않는 절연물질인 액정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포스트(114)는 절연몸체(111)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 절연몸체(111)내에 삽입된다.
또한,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지지대(113)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신장부(113A)와 이 신장부의 꼭대기에 위치하는 팁부(113B)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성 포스트(114)가 절연지지대(113)의 둘레부에 부착되어 하나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을 형성한다. 각 전도성 포스트(114)는 절연지지대(113)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절연지지대(113)의 경우에는 인접하는 전도성 포스트(114)가 서로 직각으로 어긋나 있다.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각의 전도성 포스트(114)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가지 부분, 즉 접촉부(114A), 고정부 (114B)및 다리부(114C)를 포함한다.
각 전도성 포스트(114)의 접촉부(114A)는 절연지지대(113)에 인접한 위치에 도시된 것이다.(도 9 참조) 상기 고정부(114B)는 절연몸체(111)에 대해 고정되는 각 전도성 포스트 부분이다. 상기 다리부(114C)는 상기 접촉부(114A)의 반대편에 위치해서 절연몸체(111)의 아래에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다리부(114C)는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전도성 포스트(114)는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가 인쇄회로기판이고, 이 인쇄회로기판과 제 1 고정접속부재(11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전도성 포스트(114)가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크림솔더링되는 경우이다.
도 10b에 도시된 전도성 포스트(114)는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가 인쇄회로기판이고, 이 인쇄회로기판과 제 1 고정접속부재(11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전도성 포스트(114)가 인쇄회로기판의 관통홀(through hole)에 삽입되는 경우이다.
도 10c에 도시된 전도성 포스트(114)는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가 와이어나 라운드 케이블인 경우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14B)는 절연몸체(111)에 고정되는 것이다. 각 전도성 포스트의 고정부(114B)는 핸들링, 결합 및 제조시 전도성 포스트가 뒤틀리거나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114B)는 인접한 전도성 포스트 사이에 적절한 절연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절연몸체(111)내에 전도성 포스트를 잠그는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포스트(114)는 직사각형 단면 또는 삼각형 단면, 반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진다.
도 7에서 제 1 고정접속부재(110)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이 대응하는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내에 수용되면, 전기신호는 전도성 포스트(114)의 접촉부(114A)와 고정부(114B) 및 다리부(114C)를 거쳐 피 접속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
상기 각 전도성 포스트(114)는 베릴륨 구리, 인동, 황동, 또는 구리합금으로 형성되고, 주석, 금, 팔라듐 또는 주석, 금 및 팔라듐중 적어도 두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결합으로부터 도금된다. 각 전도성 포스트의 전체 표면을 도금시키거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이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내에 수용될 때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의 전도성 콘택트와 접촉하는 도전성 포스트의 선택부만을 도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110)에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이고, 이 인쇄회로기판과 제 1 고정접속부재(110)는 평행되게 배치되며, 전도성 포스트(114)는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크림솔더링 되는 것으로 본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 2 고정접속부재(12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 2 고정접속부재(120)는 절연몸체(122)와, 이 절연몸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은 복수의 전도성 플렉시블 빔(123)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은 복수의 전도성 플렉시블 빔(123) 사이의 공간내에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을 수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은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전도성 플렉시블 빔(123)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인접하는 전도성 플렉시블 빔(123)은 서로 일정한 각도로 어긋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전도성 플렉시블 빔(123)은 일정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4개의 빔이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인접하는 빔은 서로 직각으로 어긋나 있다.
상기 절연몸체(122)는 서로 다른 전기신호가 각 빔에 전송될 수 있도록 도전성 빔(123)을 서로로부터 절연시킨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120)를 화살표 B방향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은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의 배치를 가진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고정접속부재를 D-D선에서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플렉시블 빔(123)은 절연몸체(12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4)을 통해 실질적으로 절연몸체(122)에 대해 직각으로 삽입, 고정된다.
도 13은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플렉시블 빔(123)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각 플렉시블 빔(123)은 세가지 부분, 즉 접촉부(123A), 고정부(123B) 및 접합부(123C)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123A)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이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내에 수용될 때, 전도성 포스트(114)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123A)는 인터페이스부(123AA)와 도입부(123AB)(lead-in portion)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3AA)는 투입형 및 수용형 콘택트 그룹(112, 121)이 서로 체결될 때 투입형 전도성 포스트(114)의 접촉부(114A)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도입부(123AB)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의 절연지지대의 팁부(113B)가 접촉하기 위해 삽입될 때(또는 지지대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투입형 전도성 포스트(114)가 접촉하기 위해 삽입될 때) 플렉시블 빔(123)의 분리를 초기화하는 경사면(sloped surface)(125)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입부(123AB)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이 수용형 콘택트 그룹(121)에 수용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고정부(123B)는 절연몸체(122)에 고정되는 것이다. 각 플렉시블 빔(123)의 고정부(123B)는 핸들링, 결합 및 제조시 빔이 뒤틀리거나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부(123B)는 인접한 빔 사이에 적절한 절연간격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절연몸체(122)내에 빔이 잠기는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상기 접합부(123C)는 후술하는 매개접속부재(150)의 연결부(170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합부(123C)는 매개접속부재(150)의 연결부(170A)와 크림솔더링을 통해 접속된다. 즉, 상기 접합부(123C)는 납땜 이음을 위한 땜납용 접합부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각 플렉시블 빔(123)은 일정한 공간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대향 빔을 향해 구부려져 있다. 이것은 투입형 콘택트 그룹(112)이 대응하는 수용형 콘택트 그룹(121)내에 수용되기 전의 구조이다.
반면에, 투입형 콘택트 그룹(112)이 대응하는 수용형 콘택트 그룹(121)내에 수용되면, 상기 수용형 콘택트 그룹(121)을 형성하는 각 플렉시블 빔(114)은 서로로부터 떨어져 구부려지면서 펼쳐진다.
상기 절연몸체(122)를 이루는 물질은 몰드될 때, 수축하지 않는 절연물질인 액정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플렉시블 빔(123)은 베릴륨 구리, 인동, 황동 또는 구리합금으로 형성되고, 그 접촉부는 주석, 금, 팔리듐으로 도금된다. 또한, 접합부(123C)는 납땜 재료로서 사용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14a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매개접속부재(150)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매개접속부재(150)는 매개접속부품(162)과 이 매개접속부품(162)에 고정, 설치된 전도성 핀(170)을 덮는 가이드 접속커버(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개접속부품(162)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전도성 핀(17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몸체에는 전도성 핀(170)을 직각으로 구부리기 위한 굽힘서포트(172)가 구비된다. 상기 굽힘서포트(172)는 전도성 핀(170)을 균일하게 구부리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 굽힘서포트(172)는 전도성 핀(170)의 위치에 따른 절곡지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굽힘서포트(172)는 절연몸체와 일체로 몰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도성 핀(170)은 매개접속부품(162)의 절연몸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된 후 굽힘서포트(172)에서 직각으로 구부려진다. 도 14a는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경우에 사용되는 매개접속부재(150)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4b나 14c와 같이 피 접속장치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전도성 핀(170)을 구부리기 위한 굽힘서포트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접속커버(152)는 전도성 핀(170)이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플렉시블 빔(123)의 접합부(123C)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접속커버(152)에는 전도성 핀(170)의 연결부(170A)와 플렉시블 빔(123)의 접합부(123C)를 정확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가이드 구멍(153)이 구비되어 있다.
매개접속부품(162)의 절연몸체(163)에 삽입, 고정된 각각의 전도성 핀(170)은 도 16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편의상, 도 14a에 도시된 매개접속부품(162)에 삽입된 전도성 핀(17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각의 전도성 핀(170)은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전도성 핀은 연결부(170A), 고정부(170B) 및 다리부(170C)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70A)는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플렉시블 빔의 접합부(123C)와 크림솔더링 되어 제 2 고정접속부재(120)와 매개접속부재(15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부(170B)는 연결부(170A)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163)내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14a와 같은 예에서는 상기 고정부(170B)가 절연몸체(163)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상의 굽힘서포트(172)에서 직각으로 구부려진다. 따라서, 도 14a와 같은 매개접속부재(150)에 설치되는 전도성 핀(170)의 고정부(170B)에는 굽힘포인트(170D)가 존재한다.
굽힘포인트(170D)가 존재하는 전도성 핀(170)에서는 굽힘포인트(170D) 아래부분은 고정부(170B)로 굽힘포인트 윗부분은 연결부(170A)로 분류한다.
상기 다리부(170C)는 매개접속부재(150)에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즉, 도 14a는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14b는 두 개의 인쇄회기판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14c는 인쇄회로기판과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매개접속부재(150)에 설치되는 전도성 핀(170)의 다리부(170A)는 결합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변화된다.
이와같이, 매개접속부재(150)는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120)와 피 접속장치(예를들어, 인쇄회로기판, 반도체 칩, 와이어, 라운드 케이블,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등)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2 고정접속부재(120)를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120)는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 접속장치의 종류가 바뀌면 제 2 고정접속부재(120)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개재되는 매개접속부재(150)의 형상만을 새롭게 설계 변경하면 된다.
예를들어, 종래에는 제 2 고정접속부재에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가 변화될 경우 제 2 고정접속부재(120) 자체의 형상을 변화시켜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 2 고정접속부재(120)는 그대로 두고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은 매개접속부재(150)를 선택하여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매개접속부재가 도 14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특히, 종래에는 두 개의 피 접속장치(특히, 인쇄회로기판)가 직각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절연몸체에 플렉시블 빔을 삽입할 때 그 플렉시블 빔을 직각으로 구부리고 동시에 각 빔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어긋나게 배치해야 하므로 절연몸체 아래에 연장되는 다리부를 평탄하게 조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매개접속부재(150)를 개재하게 되면,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플렉시블 빔(123)은 직각으로 구부릴 필요가 없어 접합부(123C)의 평탄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매개접속부재(150) 역시 각 전도성 핀(170)을 서로를 향해 직각으로 어긋나게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하다.
특히, 매개접속부재(150)에 있어 도 14a와 같이 그 전도성 핀(170)을 직각으로 구부릴 때 굽힘서포트(172)의 지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리부(170C)를 균일하고, 평탄하게 배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체결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표면을 갖는 피 접속장치(예를들어, 인쇄회로기판)에 제 1 고정접속부재(110)의 전도성 포스트(114)의 다리부(114C)가 크림솔더링에 의해 접속된다.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내에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110)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12)이 수용된다. 이때,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121)의 각 전도성 플렉시블 빔(123)은 서로로 부터 구부려지면서 펼쳐진다.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플렉시블 빔(123)의 접합부(123C)가 매개접속부재(150)의 가이드 접속커버(152)의 가이드구멍(153)에 안내되어 매개접속부재(150)의 전도성 핀(170)의 연결부(170A)와 크림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핀(170)의 다리부(170C)에는 그 다리부(170C)의 형상에 대응하는 피 접속장치가 접속된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격리된 두 개 이상의 피 접속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매개접속부재(150)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버티칼 타입의 보드 대 보드 접속과, 호리존탈 타입의 보드 대 보드 접속 및 보드 대 와이어 접속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참조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기본적인 기술적 원리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2 고정접속부재(120)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매개접속부재(150)를 개재하지만, 제 2 실시예는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매개접속부재(150)를 개재한다.
따라서, 매개접속부재(150)가 배치되는 위치만이 상이할 뿐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 1 고정접속부재(110)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매개접속부재(150)가 개재된다.
따라서, 제 1 고정접속부재(110)의 전도성 포스트(114)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전도성 포스트(114)는 세가지 부분, 즉 접촉부(114A), 고정부(114B) 및 접합부(114F)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114A)와 고정부(114B)는 제 1 실시예의 전도성 포스트(114)의 접촉부(114A) 및 고정부(114B)와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접합부(114F)는 매개접속부재(150)의 전도성 핀(170)의 연결부(170A)와 크림솔더링을 통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2 고정접속부재(120)의 플렉시블 빔(123)은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도 19a 내지 도 19c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빔(123)은 제 1 실시예의 전도성 포스트(114)와 같이 접촉부(123A), 고정부(123B) 및 다리부(123F)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123F)는 도 19a 내지 도 19c와 같이 제 2 고정접속부재(120)에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2 고정접속부재(120)에 표면을 갖는 피 접속장치를 크림솔더링에 의해 접속하고, 이 제 2 고정접속부재(120)에 제 1 고정접속부재(110)를 결합한다. 제 1 고정접속부재(110)에는 접속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매개접속부재(150)를 결합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도 버티칼 타입의 보드 대 보드 접속, 호리존탈 타입의 보드 대 보드 접속 및 보드 대 와이어 접속 등을 매개접속부재(150)를 적절히 교체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접속부재(310)와 피 접속장치 사이 및 제 2 고정접속부재(320)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350 및 450)가 개재된 경우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310 및 320)의 전도성 포스트(314)와 전도성 플렉시블 빔(323)은 도 21 및 도 22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도 21의 전도성 포스트(314)와 도 22의 플렉시블 빔(323)은 각각 접촉부(314A, 323A), 고정부(314B, 323B) 및 접합부(314F, 323F)를 갖는다. 상기 각 접합부(314F, 323F)는 크림솔더링에 의해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310, 320)와 접속된다.
제 3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310, 320)에 결합되는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310, 320)의 형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310, 320)와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350, 450)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버티칼 타입 보드 대 보드 접속, 호리존탈 타입 보드 대 보드 접속, 보드 대 와이어 접속, 및 와이어 대 와이어 접속 등을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과는 달리 인터페이스 장치의 타입과 인터페이스 하는 배치에 따라 교체접속부품(매개접속부재)만을 변경함으로써 변화하는 접속환경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다.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이 이 분야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광범한 양태에 있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 설명된 특정 상세 및 대표적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변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대등물에 의해 정의된 전반적 발명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을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고정부품과, 피 접속장치의 종류에 따라 그 타입을 적절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교체부품을 포함하는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일체형에 비해 변화하는 접속환경에 보다 능동적이고,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

Claims (41)

  1.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입형(projection-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속부재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대응하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형(receiving - 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속부재; 및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매개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이루는 각 전도성 콘택트들은 상기 매개접속부재(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되는 접합부(join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되어 체결되고, 상기 매개접속부재가 제 2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격리된 피 접속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피 접속장치(said device to be connected)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개접속부재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접속부재는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는 복수의 전도성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핀 각각은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의 접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connecting portion)와,
    상기 연결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stabilizing portion)와,
    피 접속장치와 결합하기 위해 피 접속장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연몸체 아래에 위치해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다리부(foot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와이어,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라운드 케이블 또는 면설치 인터페이스 표면 중의 하나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평평한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평판홀(plated hole)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곡면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가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각의 전도성 콘택트가 전도성 포스트(post)이고,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각의 전도성 콘택트가 전도성 플렉시블 빔(flexible be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은,
    그 중심부에 상기 절연몸체와 수직되게 배치되는 절연지지대(insulative buttress)와,
    상기 절연지지대의 둘레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전도성 콘택트 각각은,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될 때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콘택트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contact portion)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stabilizing portion)와,
    전기적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 아래에 위치해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며, 피 접속장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리부(foot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와이어,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라운드 케이블 또는 면설치 인터페이스 표면 중의 하나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평평한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평판홀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곡면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이와 대응하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하기 전에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구부려져(deflected toward one another)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이와 대응하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한 후에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구부려지는(deflected away from one anoth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내에 수용될 때 대응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전도성 콘택트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contact portion)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stabilizing portion)와,
    상기 매개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항상 일정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위치해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접합부(joining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joining portion)가 납땜 이음(solder joint)을 위한 땜납용 접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내에 수용될 때 삽입력(inserting force)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사면(slope surface)을 갖는 도입부(lead-in portion)와,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내에 수용될 때 대응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각 전도성 콘택트의 접촉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인터페이스부(interface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와 매개접속부재의 절연몸체가 전기절연물질인 액정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7.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고정, 부착되어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입형(projection-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속부재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고정, 부착되어 대응하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형(receiving- 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속부재; 및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매개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이루는 각 전도성 콘택트들은 상기 매개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되어 체결되고, 상기 매개접속부재가 제 1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격리된 피 접속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피 접속장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개접속부재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접속부재는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핀 각각은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의 접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피 접속장치와 결합하기 위해 이 피 접속장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연몸체 아래에 위치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와이어,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라운드 케이블 또는 면설치 인터페이스 표면중의 하나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평평한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평판홀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곡면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가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은,
    그 중심부에 상기 절연몸체와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배치되는 절연지지대와,
    상기 절연지지대의 둘레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상기 투입형전도성 콘택트 그툽이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내에 수용될 때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전도성 콘택트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매개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며, 피 접속장치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형상을 갖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납땜 이음을 위한 땜납용 접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대응하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하기 전에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대응하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한 후에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전도성 콘택트 각각은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될 때 대응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콘택트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전기적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피 접속장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연몸체 아래에 위치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와이어,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라운드 케이블 또는 면설치 인터페이스 표면중의 하나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평평한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평판홀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곡면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하는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내에 수용될 때 삽입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도입부와,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하는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될 때 대응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각 전도성 콘택트의 접촉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1.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입형(projection-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속부재와;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삽입ㆍ고정되어 대응하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콘택트 그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형(receiving- type) 전도성 콘택트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1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제 1 매개접속부재; 및
    피 접속장치와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피 접속장치와 제 2 고정접속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제 2 매개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이루는 각 전도성 콘택트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와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상기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가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와 피 접속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격리된 피 접속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피 접속장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는 절연몸체와 이 절연몸체에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핀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의 접합부와 각각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피 접속장치와 결합하기 위해 피 접속장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연몸체 아래에 위치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와이어,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라운드 케이블 또는 면설치 인터페이스 표면중의 하나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평평한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평판홀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곡면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속부재의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가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형 및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각의 전도성 콘택트는
    상기 투입형전도성 콘택트 그툽이 대응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내에 수용될 때 대응하는 전도성 콘택트끼리 서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몸체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항상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연몸체의 아래에 돌출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접합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납땜 이음을 위한 땜납용 접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대응하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하기 전에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각 전도성 콘택트는 대응하는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수용한 후에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을 형성하는 전도성 콘택트의 접촉부는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하는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내에 수용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도입부와,
    상기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이 대응하는 수용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에 수용될 때 대응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의 각 전도성 콘택트의 접촉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접속부재의 투입형 전도성 콘택트 그룹은
    그 중심부에 상기 절연몸체와 수직되게 배치되는 절연지지대와,
    상기 절연지지대의 둘레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KR1019980043047A 1998-10-14 1998-10-14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KR10028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047A KR100284164B1 (ko) 1998-10-14 1998-10-14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US09/277,357 US6270366B1 (en) 1998-10-14 1999-03-26 Adaptable high integrated electric interconnec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047A KR100284164B1 (ko) 1998-10-14 1998-10-14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817A true KR20000025817A (ko) 2000-05-06
KR100284164B1 KR100284164B1 (ko) 2001-07-12

Family

ID=1955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047A KR100284164B1 (ko) 1998-10-14 1998-10-14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70366B1 (ko)
KR (1) KR100284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367B2 (en) 2002-07-16 2005-06-14 Silicon Bandwidth, Inc. Modular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a modular frame and electrically shielded signal path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806443B1 (en) * 2016-05-24 2017-10-3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ress-fit circuit bo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1855A (en) * 1991-10-03 1993-01-26 Itt Corporation Simplified contact connector system
TW238431B (ko) 1992-12-01 1995-01-11 Stanford W Crane Jr
US5575686A (en) 1993-04-14 1996-11-19 Burndy Corporation Stacked printed circuit boards connected in s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0366B1 (en) 2001-08-07
KR100284164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4651B2 (en)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JP4098958B2 (ja) 電気コネクタ
JP4039808B2 (ja) 高密度の電気コネクタ
CN101901979B (zh) 具有引线的基片
JPH0636378B2 (ja) 導電接点
KR20120060840A (ko) 전기 캐리어 조립체 및 전기 캐리어 조립체들의 시스템
CN113491041B (zh) 小形状因数的内插器
US7448877B1 (en) High density flexible socket interconnect system
US7503769B2 (en) Connector and pushing jig
JP2003197299A (ja) 表面実装型直角電気コネクタ
US6379179B2 (en) Semiconductor signal connector
KR100284164B1 (ko) 전기 상호접속 시스템
JP3810134B2 (ja) コンタクト及びこ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icソケット
US4702706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including socket therefor
KR100599896B1 (ko) 인쇄 회로 기판 접속용 표면 장착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US701447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356995B1 (ko) 패드 결합 요홈이 형성된 회로기판
EP0137656B1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including socket therefor
KR200227954Y1 (ko) 패드 결합 요홈이 형성된 회로기판
JPH09270484A (ja) Icソケット
JPH0660946A (ja) 高密度型表面実装コネクタ
JPH11307212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