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275A -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275A
KR20000024275A KR1020000005118A KR20000005118A KR20000024275A KR 20000024275 A KR20000024275 A KR 20000024275A KR 1020000005118 A KR1020000005118 A KR 1020000005118A KR 20000005118 A KR20000005118 A KR 20000005118A KR 20000024275 A KR20000024275 A KR 2000002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internet
call
telepho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784B1 (ko
Inventor
장도호
Original Assignee
장도호
일레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도호, 일레자인 filed Critical 장도호
Priority to KR102000000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7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인터넷 폰, 일반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압축 및 복원, A/D 변환, D/A 변환, G.711 PCM 변환, 볼륨 조절, 아날로그 스위치 기능을 처리하는 코덱부(11); ITU-T표준 G.721, G.722, G.723.1, G.728, G.729의 기능을 지원하고, DTMF 인코딩/디코딩, 볼륨 조절, 음성 검출, 잡음 조절 기능을 처리하고, 음성 압축 및 복원기능을 가진 디지털 신호처리부(12); 데이터 입력을 처리하는 키입력부(14); 사용자가 미리 신청한 정보 및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 그래픽 출력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15); 인터넷과 PC(20)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다수 개의 이더넷부인 MAC부(16,17); 일반 전화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DAA부(19); 및 인터넷 통신망 접속, 음성 통신을 위해 전화 송신/수신 알고리즘의 수행 및 제어하도록 롬에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MCU부(13)로 구성된다. 따라서, 인터넷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다기능 전화기를 이용하면 PC없이 인터넷폰을 사용하여 전화비를 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및 인터넷 광고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Multiple function telephone comprising internet phone, gateway and normal telephone,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으로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 기능, 일반전화의 독립적 사용기능 및 일반전화(PSTN)와 인터넷의 연동기능을 한 장치 안에서 모두 처리하는 복합 다기능 전화기이다. 또한,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가 미리 주문한 정보 및 인터넷 광고를 제공하는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폰은 무료로 음성통화를 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분야로서 PC기반의 소프트웨어 인터넷폰과, 하드웨어 기반의 인터넷폰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PC기반의 소프트웨어 인터넷폰은 사운드카드와 이더넷카드 혹은 모뎀이 장착된 PC가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는 각각의 장치를 모두 구매해야 하고, PC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과 번거러움이 수반된다. 또한, 사운드카드의 경우도 일반적인 사운드카드는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해서 통화시 한 사람만이 말을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 하드웨어 기반의 인터넷폰은 다시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인터넷폰 기능 수행시 PC가 필요한 제품이 있고, PC없이 독립적으로 인터넷폰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네트워크 기능을 PC에 의존하는 경우이다. PC가 모든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장치는 아니다. PC를 사용해야 한다는 이유가 인터넷폰이 확산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후자는 PC없이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연동기능 및 일반전화 연동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부가적으로 일반전화를 이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폰이 존재하고 있고 또 인터넷폰을 사용하게되면 전화요금이 들지 않는다는 큰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자가 많지 않은 것은 사용 방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인터넷광고는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한정되어 이용되어지고 있다. 즉, 사용자가 어떠한 인터넷 사이트를 방문하여 그 홈페이지에 있는 광고를 보는 수동적인 방법의 광고나, 이메일 등을 이용한 적극적인 광고 방법이 존재해왔다. 이러한 모든 경우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PC를 소유한 사람들에 한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PC를 이용한 인터넷폰 및 일반 전화기를 하나의 장치 안에 밀집화시켜 하나의 장치로 인터넷폰, 일반전화, 원 채널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PC를 잘 알지 못하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일반전화를 이용하듯이 인터넷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손쉽게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인터넷으로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 기능, 일반전화의 독립적 사용기능 및 일반전화(PSTN)와 인터넷의 연동기능을 한 장치 안에서 모두 처리하는 복합 다기능 인터넷폰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광고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에 특히 적합한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폰, 일반 전화,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인터넷폰, 일반 전화, 게이트웨이의 사용예로서 다기능 전화기의 인터넷 국제전화 서비스 개념도.
도 3은 다기능 전화기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다기능 전화기의 MCU부의 롬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MCU부의 롬에 내장된 상세한 제어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다기능 전화기와 멀티미디어 PC의 연결되어 사용되는 개념도.
도 7a는 MCU부의 롬에서 실행하는 전화 수신시 흐름도.
도 7b는 MCU부의 롬에서 실행하는 전화 송신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7 : 핸드셋(헤드셋) 9 : 스피커폰
10 : 다기능 전화기 11 : 코덱(CODEC)부
12 : 디지털 신호처리(DSP)부 13 : MCU부
14 : 키입력부 15 : 디스플레이부
16, 17 : MAC부 19 : DAA부
20 : 컴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 폰, 일반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헤드셋)(7)과 스피커폰(9)을 통해 음성 압축 및 복원, A/D 변환, D/A 변환, G.711 (A law/μlaw)PCM 변환, 볼륨 조절(Volume Control), 아날로그 스위치 기능을 처리하는 코덱(CODEC)부(11); ITU-T표준 G.721, G.722, G.723.1, G.728, G.729의 기능을 지원하고, DTMF 인코딩/디코딩, 볼륨 조절, 음성 검출(Volume Activity Detection:VAD), 잡음 조절 기능을 처리하고, 음성 압축 및 복원기능을 가진 디지털 신호처리부(12); 데이터 입력을 처리하는 키입력부(14); 사용자가 미리 신청한 정보 및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 그래픽 출력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15); 인터넷과 PC(20)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다수 개의 이더넷부인 MAC부(16,17); 일반 전화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DAA부(19); 및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12), 상기 키입력부(14), 상기 MAC부(16,17) 및 상기 DAA부(19)를 제어하여 인터넷 통신망 접속, 음성 통신을 위해 전화 송신/수신 알고리즘의 수행 및 제어하도록 롬(ROM)에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MCU부(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MCU부의 롬에 내장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터넷 폰과 일반전화, 게이트웨이 기능을 사용하는 전화 수신 단계; 및 MCU부의 롬에 내장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터넷 폰과 일반전화, 게이트웨이 기능을 사용하는 전화 송신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의 하드웨어 시스템은 핸드셋(헤드셋)(7), 스피커폰(9), 다기능 전화기(10), 코덱(CODEC)부(11), 디지털 신호처리(DSP)부(12), MCU부(13), 키입력부(14), 디스플레이부(15), 2개의 MAC부(16, 17) 및 DAA부(19)로 구성된다.
인터넷 폰, 일반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코덱(CODEC)부(11)는 상기 핸드셋(헤드셋)(7)과 스피커폰(9)을 통해 음성 압축 및 복원, A/D 변환, D/A 변환, G.711 (A law/μlaw)PCM 변환, 볼륨 조절(Volume Control), 아날로그 스위치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DSP)부(12)는 ITU-T표준 G.721, G.722, G.723.1, G.728, G.729의 기능을 지원하고, DTMF 인코딩/디코딩, 볼륨 조절, 음성 검출(Volume Activity Detection:VAD), 잡음 조절(Comfort Noise Control:CNG) 기능을 처리하고, 음성 압축 및 복원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MCU부(13)는 롬(ROM)에 저장되어있는 소프트웨어를 가져와서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전화 송신 및 전화 수신 알고리즘을 수행 및 제어한다.
상기 키입력(keypad)부(14)는 기능 버튼에 의해 데이터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사용자가 미리 신청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 그래픽 출력을 처리한다.
상기 MAC부(16,17)는 두 개의 이더넷(Ethernet)부로써 인터넷 폰 기능을 갖춘 다기능 전화기(10)와 랜 카드가 설치된 PC와의 이더넷 접속을 처리한다.
상기 DAA부(19)는 일반 전화와의 접속을 처리한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상기 MCU부(13)의 롬(ROM)에 내장되고 자체적으로 개발한 RTOS부, TCP/IP부, H.32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넷폰, 일반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화기(10)는 평상시에는 인터넷폰과 일반전화로 동작하여서,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가 인터넷폰으로 전화가 올 경우 벨소리와 함께, 인터넷폰으로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정보와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알리게 되고, 일반전화로 전화가 왔을 경우는 벨소리와 함께 일반전화로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나타나게 한다. 상기 다기능 전화기(10)를 사용하여 전화를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터넷폰 모드, 일반전화 모드, 게이트웨이 모드 중 하나로 사용되어지게 된다. 인터넷폰 전화번호는 인터넷전화번호부 역할을 하는 디렉토리 서버(Directory Server)에 등록되어져서 있어서 사용자가 인터넷폰 사용시 전화번호를 누르면 장치 내부의 프로그램이 동작되어서 접속을 원하는 상대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디렉토리 서버에서 받아와 직접 상대방과 연결되어지게 된다. 인터넷폰의 전화번호도 일반전화부 체계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져서 사용자의 사용이 쉽도록 한다.
도 2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인터넷폰, 게이트웨이, 일반전화의 사용예로서 다기능 전화기의 인터넷 국제전화 서비스 개념도를 나타낸다.
인터넷폰의 경우는 인터넷을 통하여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므로 음성통화는 무료이고 상대방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화기(10)를 가지고 있거나, 일반적인 범용 인터넷폰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으면 국내 및 국외를 무료로 통화할 수 있다. 일반전화는 기존의 일반전화를 사용하듯이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기능을 이용하게 되면 최소한 시내전화요금으로 시외 및 국제전화를 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가 상기 다기능 전화기(10)를 가지고 국외에 사용자4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가정해보자. 사용자4는 출타중이고 사용자4의 상기 다기능 전화기를 게이트웨이 모드로 동작시켜 놓았다면, 사용자2의 통화는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4의 상기 다기능 전화기로 가게되고, 다시 사용자4가 지정한 이동전화나 혹은 일반전화로 통화가 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2는 통화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4는 시내전화요금만 지불하여 국제전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2가 외부에서 이동전화나 일반전화를 이용하여서 국제전화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일단 사용자2는 자신의 상기 다기능 전화기를 게이트웨이 모드로 전환시켜놓은 상태에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로 전화를 걸고 다시 자신이 접속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누르면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인터넷을 통하여서 사용자4에게 접속을 하게된다. 사용자4는 상기 다기능 전화기로 전화를 받게되므로 전화비가 들지 않고, 사용자2는 시내전화요금만으로 국제전화를 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4도 출타중 이었다면 사용자4의 상기 다기능 전화기를 통하여 사용자4가 지정한 전화로 다시 통화가 이동되어져서 사용자4 역시 시내전화요금만으로 국제전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2만 상기 다기능 전화기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3은 일반적인 PC 기반 인터넷폰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다기능 전화기(10)를 이용하여 직접통화를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통화료가 들지 않게 된다. 또한, 게이트웨이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2가 외부에서 일반전화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본인의 상기 다기능 전화기로 전화를 한 이후 인터넷을 통하여 다시 사용자3의 PC 기반 인터넷폰으로 전화를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2는 시내전화요금만을 부담하여서 국제전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다기능 전화기를 자동응답기로도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전화를 받지 못할 상황에서는 안내방송을 내보내고 전화를 건 상대방의 음성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전화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정보를 인터넷에서 받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자기의 신규전화번호를 디렉토리 서버에 등록시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정보를 신청하게 되면 디렉토리 서버는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새로운 정보를 사용자의 상기 다기능 전화기로 보내게 된다. 또한, 전화번호 등록시 파악된 사용자의 취향을 하여서 이에 맞는 광고를 보내게 된다. 광고를 보내는 경우는 평상시도 보내지만 전화 이용시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집중적으로 보낸다. 사용자는 무료로 전화를 이용하는 대신 광고를 보게 되고 디렉토리서버를 운영하는 측은 광고를 통하여 수익을 올리게 된다.
도 3은 다기능 전화기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춘 다기능 전화기(10)의 본체에는 PC용 LAN 포트(port1)와 인터넷용 LAN 포트(port2), PSTN라인 연결부, 핸드셋용 잭, 랜 port1 및 port2 상태표시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 0-9 버튼과 특수 문자(*, #) 기능 버튼, 통화 대기 버튼(H),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하는 버튼(S), 재다이얼 버튼(R), 각각 상하좌우 화살표 표시된 사용자 설정키 입력부 및 마이크(MIC)와 스피커(Speaker) 연결부를 포함한다.
도 4는 다기능 전화기의 MCU부의 롬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5는 상세한 제어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MCU(Micro Control Unit)부(13)의 롬(ROM)에 설치되어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전화송신 및 수신 알고리즘의 수행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는 RTOS부, TCP/IP부, H.323부 및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상기 RTOS부는 실시간 운영 체제(RealTime O.S.)로서 커널(Kernel), 타임과 프라이어티 근간의 스케쥴러(time & priority based Scheduler), 메모리 관리 모듈, 자원 관리 모듈(Resource Management module), 그래픽 모듈, 파일 시스템(File System), 디지털 오디오 제어 모듈(Digital audio control module), 아날로그 폰 제어 모듈(Analog phone control module), IP 주소 공유 모듈(IP address sharing module) 등으로 구성되어져 있고 일부 어셈블리어와 C언어로 짜여져 있다.
상기 TCP/IP부는 IP, ARP, ICMP, DHCP, TCP, UDP의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UDP/IP 프로토콜 위에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RTCP(RTP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음성 통신을 제공한다. 상기 TCP/IP부는 모두 C언어로 구성되어져 있다. 참고로, RTP는 두가지 프로토콜로 나누어지며, 데이터 전송에만 관계하는 RTP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RTP Data Transfer Protocol)과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세션(Session)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데 관계하는 RTCP(RTP Control Protocol)로 나누어지며 RTP는 UDP 위에서 운용되는 프로토콜로서 RTP 패킷 헤더에는 소스(source)에서의 시간을 회복하기 위한 시간 정보(time information)와 순차 번호(sequence number)가 포함된다.
상기 H.323부는 G.711, G.722, G.723.1, G.728, G.729의 표준을 지원하는 오디오 코덱(Audio Codec), H.245 콘트롤(Call Control), H.225(Call Signalling: Connect, Alerting, Setup, Reset)의 시스템 제어(System Control) 모듈, H.225 레이어(RAS Control) 모듈을 표준에 의하여 구현 처리한다. 상기 H.323부는 모두 C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은 메뉴와,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걸기 및 받기, 일반전화 걸기 및 받기, 광고 및 사용자 맞춤 정보(증권정보, 스포츠, 연예 등등)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 출력 표시 제어, 키 입력, 링 송수신 확인 등의 기능을 실행한다.
도 6은 다기능 전화기(10)와 LAN 카드와 TCP/IP가 설치되고 ITU-T H.323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인터넷 폰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PC(2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화기는 간단한 사용자 등록을 디렉토리 서버에 등록하면 인터넷 전화번호(일반 전화번호체계와 유사)로 편리하게 서로 통화를 할 수 있다. 디렉토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IP 주소로 직접 통화 할 수 있다.
전화 송신시 일반 전화 및 인터넷 폰을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며, 전화번호를 누르면 자동으로 일반전화와 인터넷 폰을 구분하여 통화가 이루어진다. 인터넷 폰 이용시에 인터넷 전화번호를 누르게 되면 디렉토리 서버로 자동으로 연결되어져 디렉토리 서버에서 상대방의 정보를 알아내어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한다. 또한 직접 IP 주소를 입력하면 디렉토리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상대방에게 전화가 가게 된다. 일반 전화는 기존의 일반 전화를 누르면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전화 수신시 일반 전화 및 인터넷 폰을 모두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부재중 본 발명품을 게이트웨이 모드로 동작시켜 놓으면 인터넷으로 걸려온 전화는 사용자가 지정한 일반전화 혹은 휴대폰 등으로 자동으로 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화기(10)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화 비용은 전혀 들지 않으며, 통화자 상호간 본 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통화자 쌍방은 전혀 전화 비용 없이 통화할 수 있으며, 한 쪽이나 혹은 쌍방 모두 외출시에 시내 전화 요금만으로 국제 및 시외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통화자 한 쪽만이 본 장치를 소유하고 있다면 본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은 쪽은 PC 기반의 인터넷 폰으로 본 장치와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역시 전혀 비용이 들지 않게 된다.
인터넷 폰으로 전화가 올 경우에 인터넷의 망 상태가 상당히 안좋거나 끊겨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 자동으로 일반전화로 전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7a는 MCU부의 롬에서 실행하는 전화 수신시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전화 수신 단계는 통화 대기(idle) 상태에서(단계 S1) 인터넷 전화나 일반 전화의 데이터 수신인지를 체크하여 인터넷 전화로 온 통화이면 게이트웨이 모드 설정에 의해 부재중일 때 일반전화로 전환할 것인지 체크하여(단계 S2) 재실이면 H.323 세션을 열고(단계 S3), 상대방 인터넷 전화로 수신한다는 메시지(H.225, H.245)를 보내고(단계 S4), RTP/RTCP모듈의 음성 데이터 채널을 열어(단계 S5) 인터넷으로 통화한(단계 S6) 다음 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S2 단계에서 부재중일 때 게이트웨이 모드로 전환하고(단계 S7), 일반전화번호를 입력한(단계 S8) 후 일반전화번호로 전화하여(단계 S9) 인터넷에서 일반 전화로 통화한(단계 S10) 다음 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통화대기(idle) 상태(단계 S1)에서 일반전화로 온 통화이면 일반 전화로 변환한(단계 S11) 다음 인터넷 전화로 전환할 것인지를 체크하여(단계 S12) 인터넷 전화의 전환이 아니면 일반 전화로 통화한다(단계 S13).
S12 단계에서 인터넷 전화로 전환되면 게이트웨이 모드로 전환하고(단계 S14) 인터넷 전화 번호를 입력한(단계 S15) 후 IP 주소가 아니면 디렉토리 서버에게 IP 주소를 질의하여(단계 S16) IP 주소로 H.323 세션을 연(단계 S17) 후, H.323부를 통해 상대방에게 콜 신호(Call Signal)를 보내어(단계 S18) 상대방이 안받으면 통화대기(idle)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방이 받으면 음성 데이터 채널을 열어(단계 S19) 인터넷으로 통화한(단계 S20) 후 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도 7b는 MCU부의 롬에서 실행하는 전화 송신시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전화 송신 단계는 통화 대기(idle) 상태에서(단계 S21) 일반전화나 인터넷폰으로 전화를 송신할 지를 체크하여 일반전화로 송신하려면 일반전화 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22) 상대방 전화가 통화중이거나 받지 않으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방 일반 전화를 받으면 전화를 통화하고(단계 S23) 전화 통화가 끝나면 대기(idle) 상태로 돌아간다.
인터넷 폰으로 전화 송신시 인터넷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24) 인터넷 전화번호이면 디렉토리 서버로 연결하여 상대방 IP 주소를 획득하고(단계 S25) IP주소이면 H.323 세션을 생성하고(단계 S26) H.323 통화를 호출하여(Call signaling, Call controlling)(단계 S27) 상대방이 통화중이거나 받지 않으면 대기(idle)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방 인터넷 폰이 응답하면 RTP/RTCP 모듈에 의해 음성 채널을 생성하여(단계 S28) 전화 통화를 한(단계 S29) 다음 전화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인터넷과 PSTN 연동을 시키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는 기존의 인터넷폰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PC가 필요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화기를 이용하면 PC없이 인터넷폰을 손쉽게 이용하여 전화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업체는 다기능 전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광고를 할 수 있어 광고 집중화의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다기능 전화기 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받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인터넷 폰, 일반전화 및 인터넷 및 일반전화(PSTN)을 연동시키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헤드셋)(7)과 스피커폰(9)을 통해 음성 압축 및 복원, A/D 변환, D/A 변환, G.711 (A law/μlaw)PCM 변환, 볼륨 조절, 아날로그 스위치 기능을 처리하는 코덱(CODEC)부(11);
    ITU-T표준 G.721, G.722, G.723.1, G.728, G.729의 기능을 지원하고, DTMF 인코딩/디코딩, 볼륨 조절, 음성 검출(Volume Activity Detection:VAD), 잡음 조절 기능을 처리하고, 음성 압축 및 복원기능을 가진 디지털 신호처리부(12);
    데이터 입력을 처리하는 키입력부(14);
    사용자가 미리 신청한 정보 및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 그래픽 출력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15);
    인터넷과 PC(20)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다수 개의 이더넷부인 MAC부(16,17);
    일반 전화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DAA부(19); 및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12), 상기 키입력부(14), 상기 MAC부(16,17) 및 상기 DAA부(19)를 제어하여 인터넷 통신망 접속, 음성 통신을 위해 전화 송신/수신 알고리즘의 수행 및 제어하도록 롬(ROM)에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MCU부(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Micro Control Unit)부(13)의 제어 소프트웨어는
    커널(Kernel), 시간(time)과 우선순위(priority) 근간의 스케쥴러(Scheduler), 메모리 관리 모듈, 자원 관리 모듈(Resource Management module), 그래픽 모듈, 파일 시스템(File System), 디지털 오디오 제어 모듈(Digital audio control), 아날로그 폰 제어 모듈(Analog phone control module), IP 주소 공유 모듈(IP address sharing module) 등의 구비하는 실시간 운영 체제(RealTime O.S.)인 RTOS부;
    LAN 드라이버 모듈이 설치되고, IP, ARP, ICMP, DHCP, TCP, UDP의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UDP/IP 프로토콜 위에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RTCP(RTP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음성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TCP/IP부;
    H.245 콘트롤(Call Control), H.225(Call Signalling: Connect, Alerting, Setup, reset)의 시스템 제어(System Control) 모듈, H.225 레이어(RAS Control) 모듈을 표준에 의하여 구현 처리하는 H.323부; 및
    메뉴와,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걸기 및 받기, 일반전화 걸기 및 받기, 광고 및 사용자 맞춤 정보(증권정보, 스포츠, 연예 등등)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 출력 표시 제어, 키 입력, 링 송수신 확인 등의 기능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자체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P Address)가 동적으로나 정적으로 할당되고 ITU-T H.323 표준을 지원하는 인터넷 폰 소프트웨어와 음성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인터넷폰 모드, 보통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전화 모드, 인터넷과 PSTN의 접속하여 착신 전환을 위한 원 채널 게이트웨이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4. MCU부의 롬에 내장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터넷 폰과 일반전화, 게이트웨이 기능을 사용하는 전화 수신 단계; 및
    MCU부의 롬에 내장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터넷 폰과 일반전화, 게이트웨이 기능을 사용하는 전화 송신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의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수신 단계는
    통화 대기(idle) 상태에서(S1) 인터넷 전화나 일반 전화의 데이터 수신인지를 체크하여 인터넷 전화로 온 통화이면 게이트웨이 모드 설정에 의해 부재중일 때 일반전화로 전환할 것인지 체크하여(S2) 재실이면 H.323 세션을 열고(S3), 상대방 인터넷 전화로 수신한다는 메시지(H.225, H.245)를 보내고(S4), RTP/RTCP모듈의 음성 데이터 채널을 열어(S5) 인터넷으로 통화한(S6) 다음 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S2 단계에서 부재중일 때 게이트웨이 모드로 전환하고(S7), 일반전화번호를 입력한(S8) 후 일반전화번호로 전화하여(S9) 인터넷에서 일반 전화로 통화한(S10) 다음 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통화대기(idle) 단계(S1)에서 일반전화로 온 통화이면 일반 전화로 변환한(S11) 다음 인터넷 전화로 전환할 것인지를 체크하여(S12) 인터넷 전화의 전환이 아니면 일반 전화로 통화하는(S13) 단계;
    S12 단계에서 인터넷 전화로 전환되면 게이트웨이 모드로 전환하고(S14) 인터넷 전화 번호를 입력한(S15) 후 IP 주소가 아니면 디렉토리 서버에게 IP 주소를 질의하여(S16) IP 주소로 H.323 세션을 연(S17) 후, H.323부를 통해 상대방에게 콜 신호(Call Signal)를 보내어(S18) 상대방이 안받으면 통화대기(idle)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방이 받으면 음성 데이터 채널을 열어(S19) 인터넷으로 통화한(S20) 후 통화가 끝나면 대기(idle)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인터넷 폰으로 전화가 올 경우에 있어서, 인터넷의 망 상태가 상당히 안 좋거나 끊겨져 있는 경우에 있어 자동으로 일반전화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송신 단계는
    통화 대기(idle) 상태에서(S21) 일반전화나 인터넷폰으로 전화를 송신할 지를 체크하여 일반전화로 송신하려면 일반전화 번호를 입력하고(S22) 상대방 전화가 통화중이거나 받지 않으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방이 일반 전화를 받으면 전화 통화를하고(S23) 전화 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로 돌아가는 단계; 및
    인터넷 폰으로 전화 송신시 인터넷 전화번호를 입력하고(S24) 인터넷 전화번호이면 디렉토리 서버로 연결하여 상대방 IP 주소를 획득하고(S25) IP주소이면 H.323 세션을 생성하고(S26) H.323 통화를 호출하여(Call signaling, Call controlling)(S27) 상대방이 통화중이거나 받지 않으면 대기(idle)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방 인터넷 폰이 응답하면 RTP/RTCP 모듈에 의해 음성 채널을 생성하여(S28) 전화 통화를 한(S29) 다음 전화통화가 끝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통합 다기능 전화기.
KR1020000005118A 2000-02-02 2000-02-02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KR10033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118A KR100331784B1 (ko) 2000-02-02 2000-02-02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118A KR100331784B1 (ko) 2000-02-02 2000-02-02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275A true KR20000024275A (ko) 2000-05-06
KR100331784B1 KR100331784B1 (ko) 2002-04-12

Family

ID=1964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118A KR100331784B1 (ko) 2000-02-02 2000-02-02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784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1946A1 (en) * 2000-02-19 2001-08-23 Moneyphone Co., Ltd Multi-functional telephone system using internet and pstn and method thereof
WO2001074018A1 (en) * 2000-03-25 2001-10-04 Intersoftphone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harge and/or free of charge phone using internet on website
KR20010090397A (ko) * 2000-03-25 2001-10-18 최성수 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0508A (ko) * 2000-10-18 2002-04-25 이덕원 유/무선 겸용 인터넷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40031A (ko) * 2000-11-23 2002-05-30 변봉덕 음성 전달용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화 교환 장치 및그 전화 송수신 방법
KR20020048173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 인터넷 전화, 키폰 연결을병행하는 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KR20020048457A (ko) * 2000-12-16 2002-06-24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KR100377989B1 (ko) * 2000-07-28 2003-03-29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30082722A (ko) * 2002-04-18 2003-10-23 이앤텔 주식회사 전용 단말기에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KR100405591B1 (ko) * 2000-03-24 2003-11-14 김성철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인터넷폰 교환장치
KR100415557B1 (ko) * 2000-09-08 2004-01-24 유니데이타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유무선 겸용의 통신 단말장치
KR20040031925A (ko) * 2002-10-07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tp채널을 통한 전화수신 알림음 송출방법
KR100469269B1 (ko) * 2002-07-24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전화기 및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686086B1 (ko) * 2000-06-21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5594B1 (ko) * 2006-01-26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폰 전화기 및 키폰 전화기의 ip 주소 입력 방법
KR101220033B1 (ko) * 2011-05-27 2013-01-09 지앤아이(주) 인터넷 전화기
KR101954072B1 (ko) 2018-08-23 2019-03-06 태성정밀공업 주식회사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KR20230174601A (ko) *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시코코퍼레이션 와이파이 게이트웨이가 탑재된 아이피 전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33B1 (ko) * 2000-11-10 2003-11-05 주식회사 카티정보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KR100449082B1 (ko) * 2000-12-01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범용 게이트웨이
KR100381314B1 (ko) * 2001-04-30 2003-04-26 다산 일렉트론 주식회사 국선전화 및 인터넷전화의 헤드세트 증폭기
KR20020089863A (ko) * 2001-05-25 2002-11-30 (주) 위즈네트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KR20030028617A (ko) * 2001-09-20 2003-04-10 권황섭 일반전화와 인터넷전화 겸용의 공중통신 단말기 및 그것의제어방법
KR100471498B1 (ko) * 2002-09-26 2005-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xDSL 및 VoIP 인터페이스를 갖는 홈 게이트웨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820B1 (ko) * 1996-12-07 1999-07-15 윤종용 근거리 통신망 전용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H11122388A (ja) * 1997-10-17 1999-04-30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と接続方法
KR100278599B1 (ko) * 1997-12-22 2001-01-15 이성룡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JPH11220549A (ja) * 1998-01-30 1999-08-10 Fuji Xerox Co Ltd 網切替装置および電話装置
KR19990083883A (ko) * 1999-08-25 1999-12-06 가현정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
KR20000018112A (ko) * 2000-01-12 2000-04-06 이정열 유.무선/공중회선교환전화망.인터넷망 겸용 인터넷 전화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1946A1 (en) * 2000-02-19 2001-08-23 Moneyphone Co., Ltd Multi-functional telephone system using internet and pstn and method thereof
KR100405591B1 (ko) * 2000-03-24 2003-11-14 김성철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인터넷폰 교환장치
WO2001074018A1 (en) * 2000-03-25 2001-10-04 Intersoftphone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harge and/or free of charge phone using internet on website
KR20010090397A (ko) * 2000-03-25 2001-10-18 최성수 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6086B1 (ko) * 2000-06-21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7989B1 (ko) * 2000-07-28 2003-03-29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415557B1 (ko) * 2000-09-08 2004-01-24 유니데이타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유무선 겸용의 통신 단말장치
KR20020030508A (ko) * 2000-10-18 2002-04-25 이덕원 유/무선 겸용 인터넷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40031A (ko) * 2000-11-23 2002-05-30 변봉덕 음성 전달용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화 교환 장치 및그 전화 송수신 방법
KR20020048173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 인터넷 전화, 키폰 연결을병행하는 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KR20020048457A (ko) * 2000-12-16 2002-06-24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KR20030082722A (ko) * 2002-04-18 2003-10-23 이앤텔 주식회사 전용 단말기에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KR100469269B1 (ko) * 2002-07-24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전화기 및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방법
KR20040031925A (ko) * 2002-10-07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tp채널을 통한 전화수신 알림음 송출방법
KR100705594B1 (ko) * 2006-01-26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폰 전화기 및 키폰 전화기의 ip 주소 입력 방법
KR101220033B1 (ko) * 2011-05-27 2013-01-09 지앤아이(주) 인터넷 전화기
KR101954072B1 (ko) 2018-08-23 2019-03-06 태성정밀공업 주식회사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KR20230174601A (ko) *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시코코퍼레이션 와이파이 게이트웨이가 탑재된 아이피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1784B1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784B1 (ko)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US6169734B1 (en) Internet phone set
JP3628962B2 (ja) インターネット通話待ち
US70166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e service using a wireless personal information device
JP2006050269A (ja) Ip電話システム、ip電話装置及び宛先ユーザ識別方法
JP2006050268A (ja) Ip電話システム、ip電話装置及び宛先ユーザ識別方法
KR2001008902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시스템
KR20000018112A (ko) 유.무선/공중회선교환전화망.인터넷망 겸용 인터넷 전화기
JP3809907B2 (ja) Ip構内交換システムおよびip電話機
JP4747237B2 (ja) 遠距離通信端末で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変更
CN100399821C (zh) 一种可视电话终端及其实现方法
KR20040022792A (ko)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전화 수신 시스템
WO2001058101A1 (en) An internet telephone implement method using internet telephone interface utility and ip
JP2006180104A (ja) Ip−pbx装置
KR20020009002A (ko) 인터넷 화상 폰
US90549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KR20020084783A (ko) 인터넷망과 브이오아이피 기능을 이용한 사내전화시스템및 방법
KR19990017429A (ko) 인터넷 접속 모드에서의 전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20003999A (ko) 전화기 장착용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JP2003348229A (ja) コンタクトセンタシステム
KR100371917B1 (ko)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356463B1 (ko) 자동 수신 기능을 구비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WO2004023769A1 (ja) 通信システム
KR100368179B1 (ko) 랜을 이용한 정보시스템용 스크린/ 아이피 폰
KR100406964B1 (ko) 사용자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인터넷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