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072B1 -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 Google Patents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072B1
KR101954072B1 KR1020180098299A KR20180098299A KR101954072B1 KR 101954072 B1 KR101954072 B1 KR 101954072B1 KR 1020180098299 A KR1020180098299 A KR 1020180098299A KR 20180098299 A KR20180098299 A KR 20180098299A KR 101954072 B1 KR101954072 B1 KR 10195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guide passage
neck
fix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우
Original Assignee
태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가 없는 기타의 넥(neck)에 스트링(string)을 고정하기 위한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헤드가 없는 기타의 넥(20)에 스트링(10)을 고정하기 위한 헤드리스 기타용 헤드 피스로서, 상기 넥(20)의 단부에 결합되는 받침 몸체(100)와; 상기 받침 몸체(100)의 내측으로 스트링(10)을 관통삽입하도록 구멍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200)와; 상기 받침 몸체(100)에 나선결합되면서 가이드 통로(200)에 삽입된 스트링(10)을 압박시켜 고정하는 고정부(300)와; 상기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이 삽입되도록 받침 몸체(100)의 일측에 가이드 통로(200)와 연결되어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을 상부로 들어올려 절단할 수 있게 하는 개구(410)를 갖고, 상기 개구(410)를 통해 절단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수용되면서 받침 몸체(100)의 외부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돌출되지 않게 하는 수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Headpiece for string fixing of headless guitar}
본 발명은 헤드가 없는 기타의 넥(neck)에 스트링(string)을 고정하기 위한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리스 기타는 헤드가 없고 튜닝을 위한 페그(헤드머신)가 바디의 브리지 측에 위치한 기타를 지칭하는 것이며, 헤드가 없는 특징으로 작고 가벼워 휴대성이 좋고 튜닝의 편의성이 증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헤드리스 기타는 넥에 스트링을 지지하는 페그가 바디에 위치함으로 스트링을 넥에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피스가 넥의 끝 부분에 설치되며, 스트링 지지를 위한 헤드 피스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국내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00-0024275호를 살펴보면,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로서, 헤드와 넥 및 바디로 크게 구성되고; 상기 바디에 장착된 테이피스를 통하여 넥을 경유하여 헤드 부분의 폴에 현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와 헤드 상간에 연결된 현이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딩 할 수 있도록 헤드와 넥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상현주를 가지는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상현주를 헤드와 넥 상간에 형성되는 단차 상에 안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현의 높이와 구면을 조절하는 구면조절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바디의 전방에는 구면조절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시켜 형성하는 조절판고정구와; 상기 바디의 후미하방에는 현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현안내홈과; 상기 바디의 후미상방에 구비되어 바디를 단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헤드리스 기타에 상현주를 적용하는 경우 스트링의 튜닝을 위한 페그가 바디에 위치함에 따라 넥의 상현주에 고정된 스트링의 나머지 부분이 번잡하지 않도록 절단하여 정리해야 하는데, 그렇게 절단된 부분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 사람이 다칠 수 있고, 옷 등이 걸려 연주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트링이 상현주의 하측으로 관통되면서 넥에 근접하고, 넥에 근접한 스트링이 상현주에 지지되어 넥으로부터 이격시키지 못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스트링의 절단 과정에서 절단기구가 넥에 닿아 절단이 번거롭고, 절단 작업 중 스트링을 사람이 직접 잡고 있어야 하여 절단 작업이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00-0024275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리스 기타에서 넥에 스트링을 지지하는 헤드 피스에서 스트링을 절단하면, 그 스트링의 절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옷 등이 걸려 연주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 피스에 고정되는 스트링을 넥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여 절단 도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스트링의 절단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헤드가 없는 기타의 넥에 스트링을 고정하기 위한 헤드리스 기타용 헤드 피스로서,
상기 넥의 단부에 결합되는 받침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의 내측으로 스트링을 관통삽입하도록 구멍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와;
상기 받침 몸체에 나선결합되면서 가이드 통로에 삽입된 스트링을 압박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 통로를 통과한 스트링이 삽입되도록 받침 몸체의 일측에 가이드 통로와 연결되어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통로를 통과한 스트링을 상부로 들어올려 절단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를 통해 절단된 스트링의 절단 부분이 수용되면서 받침 몸체의 외부로 스트링의 절단 부분이 돌출되지 않게 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링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아 절단면에 의해 사람이 다치는 것이 방지되고, 옷 등이 절단면에 걸리지 않아 연주에 불편함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 피스에 고정된 스트링을 넥으로부터 이격시켜 절단함으로 스트링의 절단 과정 중 절단 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절단이 용이하고, 절단 작업에서 사람이 직접 스트링을 파지 하지 않아 절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에 대한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헤드 피스의 사시도, 도 2는 헤드 피스의 측단면도이다.
이에 따른 헤드 피스(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넥(20)에 결합되는 받침 몸체(100); 스트링(10)을 관통삽입하게 하는 가이드 통로(200); 스트링(10)을 압박 고정하는 고정부(300); 스트링(10)의 절단면이 돌출되지 않게 하는 수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받침 몸체(100)는;
상기 넥(20)의 단부에 결합되며, 헤드가 없는 기타의 넥(20)에 스트링(10)을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 몸체(100)는; 기타의 넥(20) 끝단에 결합 가능한 크기로 사각 블록 형태로 넥(20)의 폭에 대응 제작되는데, 4현 ~ 8현 기타에 선택적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몸체(100)가 넥(20)에 결합된 측에는 넥(20)의 지판(21)에 임의 위치로 배열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스트링(10)을 다수의 가이드 통로(200)에 하나씩 삽입되도록 스트링(10)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돌부(110)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획돌부(110)는 스트링(10)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데, 지판(21)의 수평면 측으로 막대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스트링(10)을 가이드 통로(200)에 하나씩 구획하여 삽입되게 한다.
상기 받침 몸체(100)의 상부 중앙 측에는 고정부(300)가 가이드 통로(200) 측으로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통로(200)로 나사산을 갖으며 관통되는 나사구멍(12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120)은 가이드 통로(200)의 수에 대응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통로(200)는;
상기 받침 몸체(100)의 내측으로 스트링(10)을 관통삽입하도록 구멍으로 형성되며, 스트링(10)을 고정부(300)를 이용해 압박 가능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통로(200)는; 받침 몸체(100)의 내측으로 스트링(10)이 배열된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부(300)가 가압가능한 측으로 연결되는 관통 구멍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통로(200)는 받침 몸체(100)의 구획돌부(110)를 따라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서로 구획되면서 각각 형성되어 다수의 스트링(10)이 독립적으로 가이드 통로(200)에 삽입되게 하고, 가이드 통로(200)에 삽입되는 스트링(10)은 고정부(300)의 가압 위치를 지나 수용부(400) 측으로 관통되어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통로(200)는 구획돌부(110) 측에서부터 고정부(300)의 가압 위치 사이로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부(300)에 고정되는 스트링(10)이 하향으로 꺾여 고정시켜 고정성을 향상되게 하면서 넥(20)의 끝단에 스트링(10)이 지지됨으로 스트링(10)이 고정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받침 몸체(100)에 나선결합되면서 가이드 통로(200)에 삽압된 스트링(10)을 압박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300)는; 나선결합이 가능한 나사(볼트)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부(300)가 받침 몸체(100)의 나사구멍(120) 상단부에서 나선결합되면서 가이드 통로(200) 측으로 삽입되는데, 그 고정부(300)의 삽입과정에서 가이드 통로(200)에 삽입된 스트링(10) 측으로 고정부(300)의 하단부가 점진적 이동하면서 밀착되어 스트링(10)을 압박하여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고, 고정부(300)의 압박을 해제하면 스트링(10)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0)의 상단 머리 부분에는 별도 공그를 고정부(300)에 연결하여 고정부(300)를 나사구멍(120)에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공구 연결홈이 형성되거나, 사람이 직접 고정부(300)를 파지하여 조이거나 풀수 있는 파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00)는;
상기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이 삽입되도록 받침 몸체(100)의 일측에 가이드 통로(200)와 연결되어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을 상부로 들어올려 절단할 수 있게 하는 개구(410)를 갖고, 상기 개구(410)를 통해 절단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수용홈(430)에 수용되면서 받침 몸체(100)의 외부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부(400)는; 받침 몸체(100)의 일측으로 판 형태로 돌출되면서, 수용부(400)의 돌출형성된 내측에 스트링(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용홈(430)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30)은 가이트 통로(200)와 공간 적으로 통하는 홈 형태로 마련되어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을 수용홈(430)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수용홈(430)의 상부로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을 들어올려 휜 상태로 절단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된 개구(410)가 마련된다.
특징적으로, 상기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은 수용홈(430)의 내측에 삽입되고, 그 수용홈(430)의 내측에 삽입된 스트링(10)을 개구(410)를 통해 들어올려 휜 상태에서 절단하면, 스트링(10)의 자체 탄력에 의해 절단된 부분이 다시 수용홈(43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게 복귀되며, 스트링(10)의 절단된 부분이 수용홈(430)에 삽입됨으로 받침 몸체(100)의 외부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절단된 스트링(10)의 나머지 부분은 폐기하고,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은 수용홈(430)에 삽입되면서 노출되지 않아 헤드가 없는 헤드리스 기타에서 스트링(10)의 넥(20) 끝 부분에 대한 정리를 깔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수용부(400)를 부가함에 따라 헤드 리스 기타의 헤드 피스(1)에서 스트링(10)을 절단하면 그 절단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스트링(10)의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옷 등이 걸려 연주가 불편하던 것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400)는; 개구(410)의 상단 일측에 돌출형성된 부분을 이용해 개구(410)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진 스트링(10)을 측방으로 꺾어 지지하여 스트링(10)이 절단전에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돌기(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돌기(420)는 수용부(400)의 개구(410) 상단 일측 끝단부분에 판 형태로 상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420)의 돌출된 부분을 이용해 개구(410)로 들어올려진 스트링(10)을 지지돌기(420) 측방으로 꺾어 지지하는 작용으로 스트링(10)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42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로 고정된 스트링(10)을 별도 절단 도구로 절단한다.
예컨대 상기 지지돌기(42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스트링(10)을 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가능하여 스트링(10)의 절단 과정 중 절단 기구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절단이 용이하게 되고, 절단 작업에서 사람이 직접 스트링(10)을 들어올리지 않아 절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헤드 피스 10; 스트링
20; 넥 21; 지판
100; 받침 부재 110; 구획돌부
120; 나사구멍
200; 가이드 통로 300; 고정부
400; 수용부 410; 개구
420; 지지돌기

Claims (4)

  1. 헤드가 없는 기타의 넥(20)에 스트링(10)을 고정하기 위한 헤드리스 기타용 헤드 피스로서,
    상기 넥(20)의 단부에 결합되는 받침 몸체(100)와;
    상기 받침 몸체(100)의 내측으로 스트링(10)을 관통삽입하도록 구멍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200)와;
    상기 받침 몸체(100)에 나선결합되면서 가이드 통로(200)에 삽입된 스트링(10)을 압박시켜 고정하는 고정부(300)와;
    상기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이 삽입되도록 받침 몸체(100)의 일측에 가이드 통로(200)와 연결되어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을 상부로 들어올려 절단할 수 있게 하는 개구(410)를 갖고, 상기 개구(410)를 통해 절단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수용홈(430)에 수용되면서 받침 몸체(100)의 외부로 스트링(10)의 절단 부분이 돌출되지 않게 하는 수용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400)는 개구(410)의 상단 일측에 돌출형성된 부분을 이용해 개구(410)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진 스트링(10)을 측방으로 꺾어 지지하여 스트링(10)이 절단전에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되게 하는 지지돌기(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 몸체(100)는 넥(20)에 결합되는 측에 돌출형성되는데, 넥(20)의 지판(21)에 임의 위치로 배열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스트링(10)을 다수의 가이드 통로(200)에 하나씩 삽입되도록 스트링(10)을 구획하는 구획돌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통로(200)는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 몸체(100)는 고정부(300)를 가이드 통로(200) 측으로 나선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을 갖으며 관통형성되는 나사구멍(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나사구멍(120)에 나선결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통로(200)에 삽입된 스트링(10) 측으로 고정부(300)의 하단부가 점진적 이동하면서 밀착되어 스트링(10)을 직접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400)는 스트링(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수용홈(4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30)의 상부로 가이드 통로(200)를 통과한 스트링(10)을 들어올려 휜 상태로 절단할 수 있게 상향 개방된 개구(410)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한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98299A 2018-08-23 2018-08-23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KR10195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99A KR101954072B1 (ko) 2018-08-23 2018-08-23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99A KR101954072B1 (ko) 2018-08-23 2018-08-23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072B1 true KR101954072B1 (ko) 2019-03-06

Family

ID=6576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299A KR101954072B1 (ko) 2018-08-23 2018-08-23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2002615U1 (de) 2022-12-08 2023-02-07 Martin Epding Kopfstück eines gezupften oder gestrichenen Saiteninstru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275A (ko) 2000-02-02 2000-05-06 장도호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JP3174638U (ja) * 2012-01-19 2012-03-29 昭成 川村 折りたたみギター
US9837054B1 (en) * 2017-04-20 2017-12-05 Geoffrey Lee McCabe Headpiece and magnetic tu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275A (ko) 2000-02-02 2000-05-06 장도호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JP3174638U (ja) * 2012-01-19 2012-03-29 昭成 川村 折りたたみギター
US9837054B1 (en) * 2017-04-20 2017-12-05 Geoffrey Lee McCabe Headpiece and magnetic tu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2002615U1 (de) 2022-12-08 2023-02-07 Martin Epding Kopfstück eines gezupften oder gestrichenen Saiteninstru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4683A (en) Stringed electrical instrument
KR101954072B1 (ko) 헤드리스 기타의 스트링 고정용 헤드 피스
US9330638B2 (en) Tremolo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128033A (en) Tailpiece
PL368545A1 (en) Wall mounted clamp for at least one musical instrument with neck or similar contraction in area, particularly guitar or bass guitar
KR101033718B1 (ko) 악기용 커버
US6465722B2 (en) Bridge for a musical instrument
KR20120032462A (ko) 현악기용 자석 브리지와 줄걸이
SK287094B6 (sk) Držiak strún na hudobný nástroj
JPH04221891A (ja) 筐体のフロントパネル取り付け装置
US10733966B2 (en) Guitar tremolo
US5285710A (en) Adjustable bridg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H1069807A (ja) 電気スタンド用クランプ台
US20170032768A1 (en) Wraparound bridges or tailpieces for stringed instruments
US11164549B1 (en) Instrument string guide
GB2284501A (en) Height adjustable guitar nut
US5641924A (en) Pedal for bass drum
JPH0664455B2 (ja) ギター用ベースブリツジ装置
ITMI972451A1 (it) Sistema di fissaggio del manico sul corpo di strumenti a corda
CN106558297B (zh) 鼓用脚踏板设备
JPH11127978A (ja) 配線受け具
GB1471057A (en) Device for securing strings in musical instruments for example in pianos harpsichords zithers and the like
KR200166374Y1 (ko) 해사용 진동방지구
JPH10118310A (ja) パチンコ遊技台の設置装置
JP2001007562A (ja) 電気機器のコード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