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457A -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457A
KR20020048457A KR1020000077488A KR20000077488A KR20020048457A KR 20020048457 A KR20020048457 A KR 20020048457A KR 1020000077488 A KR1020000077488 A KR 1020000077488A KR 20000077488 A KR20000077488 A KR 20000077488A KR 20020048457 A KR20020048457 A KR 2002004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packet
interne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박원배
Priority to KR102000007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457A/ko
Publication of KR2002004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와 그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전화기 구조로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LAN 정합 기능을 둠으로써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을 통한 전화 호 송수신과 단말, 예컨대, PC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인터넷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전화 호 접속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선로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전화기 한 대로 일반 전화 기능과 인터넷 전화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바, 전화망의 종류에 따라 별개의 전화기 형태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과 낭비를 없앨 수 있으며, 가입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A CALL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INSTRUMENT IN PARALLEL WITH INTERNET TELEPHONE INSTRUMEN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화기 구조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이하, PSTN이라 칭함)과 인터넷 전화(Voice over Internet Phone : 이하, VoIP라 칭함) 기능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와 그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통신 분야의 발달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그의 모든 가정 및 직장에서는 인터넷이 생활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발달은 다양한 인터넷 생활 문화를 창출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VoIP를 들 수 있다.
VoIP는 일반 국선망이 아닌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 예컨대, PC상에서 전화 통화를 수행케 하는 장치로서, PSTN에 비해 통화 요금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널리 통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VoIP 전화 기술과 PSTN 전화 기술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였다.
즉, 일반 국선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장치, 즉, PSTN용 전화기와 VoIP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는 바, 사용상 불편함이 따를 뿐 아니라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PC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VoIP 전화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PSTN과 VoIP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호 처리를 수행하고,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인터넷 전화 통화를 수행케 함으로써, 사용하는 전화망에 따라 여러 가지 전화기를 사용하는 불편을 제거하도록 한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 및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STN과 인터넷망이 연결되는 전화기 구조로서, 상기 PSTN 또는 인터넷망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경로 제어부와; 형성되는 통화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되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 처리부와; 신호의 에코(echo) 음을 제거하고 전기적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에코 캔슬러(echo canceler)와; 에코 캔슬러와 통화 라인이 형성되며, 인터넷 프로토콜을 생성 또는 분석하는 프로토콜 처리부와; 프로토콜 처리부와 통화 라인이 형성되며, LAN과 연결 경로를 제공하고 단말과의 정합 기능을 담당하는 LAN/단말 정합부와; 인터넷 전화 착신에 필요한 톤을 제공하며, 프로토콜 처리부와 경로 제어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TN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STN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분석하고, 수신되는 패킷이 인터넷 전화 착신을 위한 호 설정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인터넷 전화 착신을 위한 호 설정 메시지인 경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제어부로 호 설정 메시지가 착신되었음을 통보하는 제 2 단계와; 제어부에서 초기 설정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단말의 전원 인가 상태와 무관하게 착신하는 경우인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착신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만 전화기에서 착신 처리하는 정보라면,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LAN/단말 정합부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제 4 단계의 수행 후, LAN/단말 정합부에서 수신된 패킷을 선로를 통해 단말로 송신한 후,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대기하고,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고,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패킷을 분석하는 제 5 단계와;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을 송신한 후, 소정 시간 내에 단말이 정상 동작하고 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 5 단계에서 분석된 호 설정 메시지를 LAN/단말 정합부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제 6 단계와; LAN/단말 정합부 및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호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기 이전의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인터넷 연결 선로와 단말이 연동되는 선로의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제 7 단계와;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제어부로부터 단말의 전원 온/오프 상태와 무관하게 전화기에서 착신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설정한 시간 동안 단말에서 프로토콜 처리부로 상태 확인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넷 호 착신 절차를 수행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전화기 구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준비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1의 전화기 구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1의 전화기 구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해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경로 제어부
120 : 전화 회로부
130 : 스피커
140 : 톤 제어부
150 : 키 입력부
200 : 제어부
210 : 수화기
220 : 코덱 처리부
230 : 에코 캔슬러
240 : 프로토콜 처리부
250 : LAN/단말 정합부
300 : PSTN
400 : 인터넷
500 : 단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화기는 전화 회로부, 스피커, 톤 제어부, 키 입력부, 수화기 등으로 구성되는 기존 전화기 구성에 VoIP 기능을 부가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존 전화기에 대한 기술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 그 기능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구성 블록도로서, 경로 제어부(210), 전화 회로부(120), 스피커(130), 톤 제어부(140), 키 입력부(150), 제어부(200), 수화기(110), 코덱 처리부(220), 에코 캔슬러(230), 프로토콜 처리부(240), LAN/단말 정합부(25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의 전화기 구조는 PSTN(300), 인터넷(400), 그리고 단말(500)과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인터넷 전화 착신에 필요한 톤을 제공하기 위해 톤 제어부(140)를 제어하는 한편, 후술하는 프로토콜 처리부(240)와 경로 제어부(210)를 각각 제어한다.
경로 제어부(210)는 상술한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PSTN(300) 또는 인터넷(400)을 통해 형성되는 통화 채널을 수화기(110)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덱 처리부(220)는 일반 전기적 음성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에코 캔슬러(230)는 통화 선로 상의 에코 음을 제거하고 전기적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기능을 각각 수행한다.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생성하거나 분석하여 그 의미를 인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LAN/단말 정합부(250)는 LAN과 연결 경로를 제공하고 단말, 즉, PC와의 정합 기능을 담당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에서 수행되는 착신 준비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흐름도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호 처리 동작은 연동되는 PC와 동일한 인터넷 주소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수행됨을 전제한다. 또한, 경로 제어부(210)는 수화기(110)와 전화 회로부(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동작되며, PSTN 기능에 대한 발신/착신 처리는 기존의 PSTN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특히, 전화기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동작을 하지만, 특별히 단말의 상태에 관계없이 모든 인터넷 전화 호를 착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선로를 통해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은 LAN/단말 정합부(250)에서 바이패스되어 LAN 선로를 통해 인터넷() 망으로 전달된다. 인터넷(400)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은 일반적으로 LAN/단말 정합부(250)에서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전달되어 분석된 후에 원래의 패킷을 변화시키지 않고 LAN/단말 정합부(250)를 경유하여 선로를 통해 단말(500)로 전달된다.
이때, 단계(S200)에서는 인터넷(400)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 분석하고, 단계(S202)로 진행하여 수신되는 패킷이 인터넷 전화 착신을 위한 호 설정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202)의 판단 결과, 인터넷 전화 착신을 위한 호 설정 메시지인 경우,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단계(S204)로 진행하여 제어부(200)로 호 설정 메시지가 착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이후, 단계(S206)에서 제어부(200)는 초기 설정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단말(500)의 전원 온/오프 상태에 따른 착신 여부를 판단한다(S208). 즉, 현재 단말(500)의 전원 인가 상태와 무관하게 착신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전달하는 것이다.
단계(S208)의 판단 결과,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 수신된 정보가 단말(500)의 전원 온/오프 상태와 무관하게 착신하는 경우라면 단계(S210)로 진행하나, 수신된 정보가 단말(5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만 전화기에서 착신 처리하는 정보라면, 단계(S214)로 진행한다.
단계(S214)에서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단말(5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LAN/단말 정합부(250)로 전달한다.
이후, 단계(S216)에서 LAN/단말 정합부(250)는 수신된 패킷을 선로를 통해 단말(500)로 송신하게 되고, 단말(500)로부터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이때, 단계(S218)에서는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전달하고,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는 이러한 패킷을 분석한다.
단계(S220)에서는,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을 송신한 후, 일정 시간 내에 단말(500)이 정상 동작하고 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응답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는 단계(S222)로 진행하여 상술한 단계(S206)에서 분석했던 호 설정 메시지를 LAN/단말 정합부(250)를 통해 단말(500)로 전송한다.
이후, LAN/단말 정합부(250) 및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호 설정 메시지가수신되기 이전의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인터넷(400) 연결 선로와 단말(500)이 연동되는 선로의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상술한 단계(S208)의 판단 결과, 제어부(200)로부터 단말(500)의 전원 온/오프 상태와 무관하게 전화기에서 착신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단계(S220)의 판단 결과,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 설정한 시간 동안 단말(500)에서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상태 확인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200)로 진행하여 하기의 도 3에서 기술하는 인터넷 호 착신 절차를 수행토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도 2의 단계(S200)에 의해 인터넷 전화 착신 처리가 결정되었다면,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단계(S300)로 진행하여 호 설정 메시지의 고유값(각 계층별 고유값)을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으로 저장해 두고, 호 처리 패킷을 생성하여 LAN/단말 정합부(250)를 경유하여 LAN 선로를 통해 인터넷(400)으로 전달함으로써 발신 단말까지 호 처리 패킷을 전달한다. 이와 함께,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제어부(200)로 착신호가 시도됨을 통보하고 단계(S302)로 진행한다.
단계(S302)에서 제어부(200)는 톤 제어부(140)의 링 신호 발생을 제어하여 스피커(130)에서 소정 링 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착신호가 연결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단계(S304)에서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한 수화기(110) 상태를 감지, 즉, 수화기(110)가 후크 업(hook up)되는지를 경로 제어부(210)에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통보한다. 즉, 사용자가 수화기(110)를 들면, 이를 감지한 경로 제어부(210)에서 현재 수화기(110)의 상태가 후크 업되었음을 제어부(200)로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착신 사용자가 수화기(110)를 들었음을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통보하는 한편, 단계(S306)로 진행하여 톤 제어부(140)에서 제공하는 링 신호를 차단토록 한다.
이후, 단계(S308)에서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호 접속 패킷을 생성하여 LAN/단말 정합부(250)를 경유하여 LAN 선로를 통해 인터넷(400)으로 전달함으로써 발신 단말까지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단계(S310)에서는 인터넷(400)을 통해 제공되는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호 접속 확인 패킷이 LAN/단말 정합부(250)에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310)의 판단 결과, 호 접속 확인 패킷이 LAN/단말 정합부(250)로 수신되면, LAN/단말 정합부(250)는 단계(S312)로 진행하여 수신된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전달하고,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는 이러한 패킷을 분석하여 호 접속 확인 패킷을 인지하고 단계(S314)로 진행한다.
단계(S314)에서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면 단계(S316)로 진행하여 음성 데이터 전달을 위한 채널을 연결하고자 하는 논리 채널 요구 패킷을 생성하여 LAN/단말 정합부(250)를 경유하여 LAN 선로를 통해 인터넷(400)으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단말까지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단계(S318)에서는 발신 단말로부터 음성 논리 채널 접속 패킷이 LAN 선로를 통하여 LAN/단말 정합부(250)에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음성 논리 채널 접속 패킷이 수신되면 LAN/단말 정합부(250)는 단계(S320)로 진행하여 수신된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전달한다.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는 이러한 수신 패킷을 분석하여 논리 채널 접속 패킷을 인지하고, 단계(S322)로 진행하여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322)의 판단 결과,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면,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단계(S324)로 진행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즉, 음성 전달을 위한 논리 채널 접속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음성 전달을 위한 논리 채널 접속 신호를 받은 제어부(200)는 단계(S326)로 진행하여 경로 제어부(210)를 통해 코덱 처리부(220)와 수화기(110)의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경로 제어부(210)는 전화 회로부(120)에서 통화중(busy) 상태를 감지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수화기(110)를 통해 송신되는 음성 데이터는 코덱 처리부(220)와 에코 캔슬러(230)를 통해 압축된 데이터로 전달되며, 압축된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 데이터 패킷으로 재 조합되어 LAN/단말 정합부(250)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달된다.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 패킷은 LAN/단말 정합부(250)를 통하여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전달되며, 프로토콜 처리부(240)에서 데이터 패킷 인지와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압축된 데이터만을 코덱처리부(220)와 에코 캔슬러(230)를 통해 수화기(110)로 전달한다.
한편, 도 4는 도 1의 전화기 구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해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상술한 도 3의 처리 과정에서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호 해제에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의 과정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400)에서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호 해제 메시지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호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해당 정보를 제어부(200)로 통보하고, 제어부(200)는 단계(S402)로 진행하여 경로 제어부(210)로 하여금 코덱 처리부(220)와 수화기(110)간의 연결 경로를 전화 회로부(120)와 수화기(110)간의 연결 경로로 변경 형성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단계(S404)로 진행하여 톤 제어부(140)로 통화 절단 신호음을 송출토록 하며, 이후,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발신 단말과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단계(S406)에서 경로 제어부(210)는 후크 온(hook on)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고, 후크 온 신호가 감지되면, 경로 제어부(210)는 단계(S408)로 진행하여 해당 내용을 제어부(200)로 전달하여 톤 제어부(140)에서 제공하는 신호음을 절단하도록 하는 한편, 단계(S410)로 진행하여 전화 회로부(120)에서 직접 후크 온 상태 감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전환한다(통화중 상태에서 후크 온 상태로 전환).
끝으로, 프로토콜 처리부(240)는 단계(S412)에서 호 해제 처리가 완료되는지를 판단하고, 호 해제 처리가 완료되면, 단계(S414)로 진행하여 상술한 도 3에서 언급한 바 있는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을 삭제하여 호 진행 상태를 종료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기술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에 기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대의 전화기로 PSTN과 VoIP를 병행할 수 있으므로 부가적인 장치 구입에 따른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PC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VoIP 연결을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바, 사용상 편리성이 극대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국가적으로 VoIP가 활성화된 호주, VoIP 기반의 망을 가지는 IDC 가입자, VoIP를 사용하고자 하는 일반 가정 등에 그 적용 효과가 탁월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과 인터넷망이 연결되는 전화기 구조로서,
    상기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 또는 상기 인터넷망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경로 제어부와;
    형성되는 통화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되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 처리부와;
    상기 신호의 에코(echo) 음을 제거하고 전기적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에코 캔슬러(echo canceler)와;
    상기 에코 캔슬러와 통화 라인이 형성되며, 인터넷 프로토콜을 생성 또는 분석하는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와 통화 라인이 형성되며, LAN과 연결 경로를 제공하고 단말과의 정합 기능을 담당하는 LAN/단말 정합부와;
    인터넷 전화 착신에 필요한 톤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경로 제어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수화기와 상기 전화 회로부가 연결된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여 일반 전화의 착/발신 처리가 상기 전화 회로부 자체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터넷 착신 경로 설정 신호 명령을 수신하여 인터넷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코덱 처리부와 상기 수화기의 경로를 설정하는 한편 상기 전화 회로부에서 통화중 상태를 감지하도록 모드를 변경하며, 인터넷 통화 종료 시점에 상기 수화기와 상기 전화 회로부가 연결된 상태로 동작하여 상기 전화 회로부에서 후크 온 및 후크 오프 상태를 직접 감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
  3.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경로 제어부, 형성되는 통화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되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 처리부, 신호의 에코 음을 제거하고 전기적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에코 캔슬러, 상기 에코 캔슬러와 통화 라인이 형성되며, 인터넷 프로토콜을 생성 또는 분석하는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와 통화 라인이 형성되며, LAN과 연결 경로를 제공하고 단말과의 정합 기능을 담당하는 LAN/단말 정합부, 인터넷 전화 착신에 필요한 톤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경로 제어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화기 구조의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분석하고, 수신되는 패킷이 인터넷 전화 착신을 위한 호 설정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인터넷 전화 착신을 위한 호 설정 메시지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호 설정 메시지가 착신되었음을 통보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초기 설정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전원 인가 상태와 무관하게 착신하는 경우인지, 상기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착신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상기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만 전화기에서 착신 처리하는 정보라면,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LAN/단말 정합부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수행 후, 상기 LAN/단말 정합부에서 수신된 패킷을 선로를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패킷을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상기 패킷을 분석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을 송신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단말이 정상 동작하고 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5 단계에서 분석된 호 설정 메시지를 상기 LAN/단말 정합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LAN/단말 정합부 및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호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기 이전의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상기 인터넷 연결 선로와 상기 단말이 연동되는 선로의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단말의 전원 온/오프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전화기에서 착신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설정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에서 프로토콜 처리부로 상태 확인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넷 호 착신 절차를 수행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호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호 설정 메시지의 각 계층별 고유값을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으로 저장해 두고, 호 처리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LAN/단말 정합부를 경유하여 상기 LAN을 통해 상기 인터넷으로 전달함으로써 발신 단말까지 호 처리 패킷을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로 착신호가 시도됨을 통보하는 제 8-1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톤 제어부의 링 신호 발생을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에서 소정 링 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착신호가 연결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제 8-2 단계와;
    상기 경로 제어부에서 상기 수화기가 후크 업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수화기가 후크 업되었으면 그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제 8-3 단계와;
    상기 제 8-3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톤 제어부를 통해 제공되는 링 신호를 차단토록 하는 제 8-4 단계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호 접속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LAN/단말 정합부를 경유하여 상기 LAN을 통해 상기 인터넷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패킷을 발신 단말까지 전달하는 제 8-5 단계와;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호 접속 확인 패킷이 상기 LAN/단말 정합부에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8-6 단계와;
    상기 제 8-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호 접속 확인 패킷이 상기 LAN/단말 정합부로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호 접속 확인 패킷을 인지하며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면 음성 데이터 전달을 위한 채널을 연결하고자 하는 논리 채널 요구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LAN/단말 정합부를 경유하여 상기 LAN을 통해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단말까지 상기 패킷이 전달되도록 하는 제 8-7 단계와;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음성 논리 채널 접속 패킷이 상기 LAN을 통하여 상기 LAN/단말 정합부에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음성 논리 채널 접속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LAN/단말 정합부에서 수신된 패킷을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 8-8단계와;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상기 수신 패킷을 분석하여 논리 채널 접속 패킷을 인지하고,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8-9 단계와;
    상기 제 8-9 단계의 판단 결과,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이 일치하면,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8-10 단계와;
    상기 음성 전달을 위한 논리 채널 접속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제공되면, 상기 경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코덱 처리부와 상기 수화기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 8-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호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11 단계는,
    상기 경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화 회로부에서 통화중(busy)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호 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로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로 호 해제에 관련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경로 제어부로하여금 상기 코덱 처리부와 상기 수화기간의 경로를 상기 전화 회로부와 상기 수화기간의 경로로 변경하고, 상기 톤 제어부로 통화 절단 신호음을 송출케 하는 제 8-12 단계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상기 발신 단말과의 호 해제 절차를 수행케 하고, 상기 경로 제어부로부터 후크 온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톤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음을 절단하며, 상기 전화 회로부에서 직접 후크 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모드를 전환하는 제 8-13 단계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호 해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호 처리 과정의 확인 값을 삭제하여 호 진행 상태를 종료시키는 제 8-14 단계를 포함하는 호 진행 상태 종료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 구조의 호 처리 방법.
KR1020000077488A 2000-12-16 2000-12-16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KR20020048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488A KR20020048457A (ko) 2000-12-16 2000-12-16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488A KR20020048457A (ko) 2000-12-16 2000-12-16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457A true KR20020048457A (ko) 2002-06-24

Family

ID=2768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488A KR20020048457A (ko) 2000-12-16 2000-12-16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4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263A (ko) * 2002-12-13 2003-01-14 김동준 피.에스.티.엔 망과 엑스.디.에스.엘 망을 각각 음성과 영상에 할당하는 동영상 전화기
KR100448026B1 (ko) * 2002-10-02 2004-09-08 네오웨이브주식회사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WO2008070252A1 (en) * 2006-12-05 2008-06-12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peripheral for alerting a computer of an incoming c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83A (ko) * 1999-08-25 1999-12-06 가현정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
KR20000018112A (ko) * 2000-01-12 2000-04-06 이정열 유.무선/공중회선교환전화망.인터넷망 겸용 인터넷 전화기
KR20000024275A (ko) * 2000-02-02 2000-05-06 장도호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KR20000037675A (ko) * 1998-12-01 2000-07-05 전주범 인터넷폰 스플리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675A (ko) * 1998-12-01 2000-07-05 전주범 인터넷폰 스플리터
KR19990083883A (ko) * 1999-08-25 1999-12-06 가현정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
KR20000018112A (ko) * 2000-01-12 2000-04-06 이정열 유.무선/공중회선교환전화망.인터넷망 겸용 인터넷 전화기
KR20000024275A (ko) * 2000-02-02 2000-05-06 장도호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26B1 (ko) * 2002-10-02 2004-09-08 네오웨이브주식회사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30004263A (ko) * 2002-12-13 2003-01-14 김동준 피.에스.티.엔 망과 엑스.디.에스.엘 망을 각각 음성과 영상에 할당하는 동영상 전화기
WO2008070252A1 (en) * 2006-12-05 2008-06-12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peripheral for alerting a computer of an incoming call
AU2007329839B2 (en) * 2006-12-05 2011-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xiliary peripheral for alerting a computer of an incoming call
US8102841B2 (en) 2006-12-05 2012-01-24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peripheral for alerting a computer of an incoming call
CN101548507B (zh) * 2006-12-05 2012-04-25 微软公司 用于向计算机警告传入呼叫的辅助外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6481B2 (en) Remote internet telephony device
RU227310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US20060268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Phone For Use In Network Voice Operations
RU2003102504A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EP1179945B1 (en) Answer detection for ip based telephones using passive detection
KR20020048173A (ko)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 인터넷 전화, 키폰 연결을병행하는 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KR20020048457A (ko)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KR100386930B1 (ko) 인터넷 전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A2345493C (en) Tone based answer detection for ip based telephones
JP4434107B2 (ja) 宅内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加入者宅内装置
US200402679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audio input/output and remote telephone conversation
KR20000030120A (ko) 다채널 훅 스위치가 장착된 인터넷전화장치 및 인터넷전화통화방법
RU2812338C1 (ru) Телефонный аппарат системы атс с защитой от параллельного подключения
EP146539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status information in a hybrid network
EP1892933B1 (en) Home gateway containing Voip, PSTN and POTS interfaces
JP4154184B2 (ja) 音声端末及び音声通信方法
KR20020048174A (ko)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에서의 호 절취 처리 방법
KR100334087B1 (ko) 인터넷 전화기 인터페이스장치 및 인터넷-국선-외부전화기간 통화 구현방법
KR20020048175A (ko)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구조 및 그 호 전환 방법
KR100377989B1 (ko)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10084183A (ko)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부가장치 및그 이용방법
JP4249932B2 (ja) 電話装置及びボタン電話装置
JP4323543B2 (ja) 音声端末
JP3809222B2 (ja) 通信端末装置
KR20020089863A (ko)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