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026B1 -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026B1
KR100448026B1 KR10-2002-0060087A KR20020060087A KR100448026B1 KR 100448026 B1 KR100448026 B1 KR 100448026B1 KR 20020060087 A KR20020060087 A KR 20020060087A KR 100448026 B1 KR100448026 B1 KR 10044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ncoming
outgoing
outgoing lin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704A (ko
Inventor
최두환
Original Assignee
네오웨이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웨이브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웨이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0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11Service processing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party before or during a call, e.g. information, tone or routing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서로 다른 통신 회사를 통해 착신과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로 다른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착신과 발신을 따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착신 선로에 연결되는 착신 전용 전화기와, 발신 선로에 연결되는 발신 전용 전화기를 따로 따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착신과 발신 시에 두 개의 전화기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의 상태를 감시하여 전화기를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착신과 발신을 서로 다른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따로 따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e/Send Line Selecting}
본 발명은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서로 다른 통신 회사를 통해 착신과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사업자 사이의 요금 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착신과 발신을 따로 따로 수행하는 가입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착신은 기존의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수행하고, 발신은 유선 전화망(PSTN)보다 훨씬 요금이 저렴한 인터넷을 이용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방식을 통해 수행하거나, 착신은 A라는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수행하고, 발신은 A라는 통신 회사보다 요금이 저렴한 B라는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수행하는 가입자가 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착신과 발신을 따로 따로 수행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신 전용으로 지정된 선로(이하, 착신 선로라 한다)에 연결되어 착신 선로를 통해 착신되는 전화 통화만을 수행하는 착신 전용 전화기(10)와, 발신 전용으로 지정된 선로(이하, 발신 선로라 한다)에 연결되어 발신 선로를 통해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 통화만을 수행하는 발신 전용 전화기(20)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착신 전용 전화기(10)를 이용하여 착신 선로를 통해 착신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고, 발신 전용 전화기(20)를 이용하여 발신 선로를 통해 발신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서로 다른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착신과 발신을 따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착신 선로에 연결되는 착신 전용 전화기(10)와, 발신 선로에 연결되는 발신 전용 전화기(20)를 따로 따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착신과 발신 시에 두 개의 전화기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의 상태 감시하여 전화기를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착신과 발신을 서로 다른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따로 따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화기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의 외부 연결 상태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발신 선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110.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
120. 선로 선택 스위치, 200. 전화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는,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의 통화중 상태를 감시하는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와; 상기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의 제어 하에 전화기를 상기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는 선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는, 상기 발신 선로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여 상기 발신 선로의 통화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착신 선로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여 상기 발신 선로의 통화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착신 선로의 링 신호를검출하여 전화가 착신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착발신 선로 선택 방법은, 전화기가 발신 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 착신 신호가 들어오면, 발신 선로가 통화중 상태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신 선로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를 착신 선로에 연결시키는 과정과; 착신 통화 완료/착신 통화 시도 완료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전화기를 다시 상기 발신 선로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신 선로가 통화중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를 그대로 상기 발신 선로에 연결시켜 두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착신 신호가 계속 수신되고 있는 동안에, 발신 통화 완료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전화기를 상기 착신 선로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착발신 선로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의 외부 연결 상태를 보인 도로,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100)에 착신 선로의 팁(Tip) 및 링(Ring) 선과 발신 선로의 팁 및 링 선이 모두 연결되어 있고, 착신 선로 선택 장치(100)에 하나의 전화기(200)가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로,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와, 선로 선택 스위치(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는 발신 선로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여 발신 선로가 통화중 상태인 지를 감지하고, 착신 선로의 링 신호를 검출하여 전화가 착신되는 지를 감지하고, 착신 선로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여 착신 선로가 통화중 상태인 지를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 선로와 착신 선로의 상태를 감시한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는 감지된 착발신 선로의 상태에 따라 전화기(200)의 팁 및 링 선을 발신 선로 또는 착신 선로의 팁 및 링 선에 연결시키기 위해 선로 선택 스위치(120)를 제어한다.
한편, 선로 선택 스위치(120)는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의 제어 하에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을 발신 선로의 팁 선 과 링 선에 연결하거나, 착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한다.
여기서, 선로 선택 스위치(120)는 2 폴(2-Pole) 스위치, 2 포지션(2-Position) 스위치, 바이스테이블(Bistable) 스위치와 같은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릴레이(Re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발신 선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평상시에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은 선로 선택 스위치(120)를 통하여 발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되어 있다(S10).
전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이 발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되어 있는 이유는, 가입자가 원하는 때에 언제나 발신 선로를 제공해준 통신 회사를 통하여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이 발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에서 착신 선로를 통하여 착신 신호가 들어온 것을 감지하게 되면,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는 발신 선로의 상태를 감시하여 발신 통화중인 지를 판단한다(S12, S14).
상기한 과정 S14의 판단결과 발신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선로 선택 스위치(120)를 제어하여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을 착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하여, 착신 신호가 전화기(200)에 전달되도록 한다(S16).
상기한 과정 S16을 통해 착신 신호를 전해들은 가입자는 전화기(200)의 수화기를 들어(Off-hook) 착신 선로를 통하여 착신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가입자가 착신 통화를 끝내기 위해 수화기를 내려놓거나(On-hook), 가입자가 전화를 받지 않아 발신을 시도한 가입자가 전화를 끊게 되어,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에서 착신 통화 완료/착신 통화 시도 완료를 감지하게 되면(S18),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는 선로 선택 스위치(120)를 제어하여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을 다시 발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한다(S10).
한편, 상기한 과정 S14의 판단결과 발신 통화중인 경우에는,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을 착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시키지 않고, 그대로 발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시켜 둔다(S22).
이에 따라,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회사의 교환기에서는 해당 가입자에게 착신 신호는 수신되었으나, 가입자가 전화를 받지 않고 있는 상태로 인지된다.
이후, 착신 신호가 계속 수신되고 있는 동안에, 가입자가 발신 통화를 끝내기 위해 수화기를 내려놓게(On-hook) 되어,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에서 발신 통화 완료를 감지하게 되면(S24), 착신 선로 상태 감시부(110)는 상기한 과정 S16으로 진행하여 전화기(200)의 팁 선과 링 선이 착신 선로의 팁 선과 링 선에 연결되어 착신 신호가 전화기(2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선로 선택 스위치(12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의 상태를 감시하여 전화기를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착신과 발신을 서로 다른 통신 회사의 선로를 통해 따로 따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의 통화중 상태를 감시하는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와;
    상기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의 제어 하에 전화기를 상기 착신 선로와 발신 선로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는 선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선로 상태 감시부는,
    상기 발신 선로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여 상기 발신 선로의 통화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착신 선로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여 상기 발신 선로의 통화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착신 선로의 링 신호를 검출하여 전화가 착신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선택 스위치는,
    2 폴 스위치, 2 포지션 스위치, 바이스테이블 스위치, 릴레이 중에서 어느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4. 전화기가 발신 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 착신 신호가 들어오면, 발신 선로가 통화중 상태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신 선로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를 착신 선로에 연결시키는 과정과;
    착신 통화 완료/착신 통화 시도 완료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전화기를 다시 상기 발신 선로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발신 선로 선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신 선로가 통화중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를 그대로 상기 발신 선로에 연결시켜 두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발신 선로 선택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가 계속 수신되고 있는 동안에, 발신 통화 완료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전화기를 상기 착신 선로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발신 선로 선택 방법.
KR10-2002-0060087A 2002-10-02 2002-10-02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044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87A KR100448026B1 (ko) 2002-10-02 2002-10-02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87A KR100448026B1 (ko) 2002-10-02 2002-10-02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04A KR20040029704A (ko) 2004-04-08
KR100448026B1 true KR100448026B1 (ko) 2004-09-08

Family

ID=3733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087A KR100448026B1 (ko) 2002-10-02 2002-10-02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85Y1 (ko) 2016-02-12 2017-05-29 우대섭 보호가드가 구성되는 운동시설용 휀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7530U (ko) * 1985-10-21 1987-05-13 김성필 동시 착 · 발신 가능한 전화기 절환장치
KR880008605A (ko) * 1986-12-12 1988-08-31 아오이 죠이치 전화·팩시밀리 절환방식
KR960016310A (ko) * 1994-10-19 1996-05-22 김주용 투 라인 유/ 무선 복합 전화기 및 그 방법
KR960020275A (ko) * 1994-11-10 1996-06-17 박성규 다수의 국선 라인을 갖는 전화기의 선로 자동 선택 방법
KR19990087993A (ko) * 1998-05-05 1999-12-2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접속설정방법및그제어장치
KR20020048457A (ko) * 2000-12-16 2002-06-24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7530U (ko) * 1985-10-21 1987-05-13 김성필 동시 착 · 발신 가능한 전화기 절환장치
KR880008605A (ko) * 1986-12-12 1988-08-31 아오이 죠이치 전화·팩시밀리 절환방식
KR960016310A (ko) * 1994-10-19 1996-05-22 김주용 투 라인 유/ 무선 복합 전화기 및 그 방법
KR960020275A (ko) * 1994-11-10 1996-06-17 박성규 다수의 국선 라인을 갖는 전화기의 선로 자동 선택 방법
KR19990087993A (ko) * 1998-05-05 1999-12-2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접속설정방법및그제어장치
KR20020048457A (ko) * 2000-12-16 2002-06-24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 구조 및 그 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04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44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cellular fixed wireless terminal to the extension side of a PBX/PABX
US8873542B2 (en)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outing phone calls to a PSTN or a packet switched network based on called number
EP1814295B1 (en) Communication handoff between telephone devices
US8345838B2 (en) Universal linking gateway between telephonic devices
WO2005070124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oice communications between a telephone, a circuit switching network and/or a packet switching network
US8416929B2 (en) Sharing solutions for a universal linking gateway between telephonic devices
CN101651753B (zh) 一种支持电路域电话和网络电话的呼叫控制装置及方法
KR100408678B1 (ko)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회로를 통해 접속되는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장치
KR100448026B1 (ko)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20009002A (ko) 인터넷 화상 폰
US6628647B1 (en) Internet network based telephone call forwarding system and method
US20020118810A1 (en) System and method to effect telephone call barge-in without operator intervention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0184411A (ja) 交換機及び交換機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51773B2 (ja) 交換システムおよび着信電話制御方法
US6407995B1 (en) Independently switched voice and data calls using a single PSTN line connection
CN1093365C (zh) 能处理内部呼叫的远距离用户模件及其控制方法
JPH0738661A (ja) 電話交換機
CA2617555A1 (en) Universal linking gateway between telephonic devices
JP2982686B2 (ja) 構内交換機
KR20030027907A (ko) PSTN 전화번호를 이용한 PSTN 및 VoIP전화착신 서비스 방법
KR20040090883A (ko) Pstn-인터넷간 아날로그 호접속연동장치 및 제어절차
JPH05207146A (ja) 構内自動交換装置
JPH09289549A (ja) 電話交換装置
CA2669443A1 (en) Sharing solutions for a universal linking gateway between teleph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