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206A -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206A
KR20000024206A KR1020000004384A KR20000004384A KR20000024206A KR 20000024206 A KR20000024206 A KR 20000024206A KR 1020000004384 A KR1020000004384 A KR 1020000004384A KR 20000004384 A KR20000004384 A KR 20000004384A KR 20000024206 A KR20000024206 A KR 20000024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conveyor
barcode
conveyor belt
shopping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호
Original Assignee
윤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호 filed Critical 윤석호
Priority to KR102000000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4206A/ko
Publication of KR2000002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65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using several successive scans of the optic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화점, 식품매장, 대형 가전매장 등에서 쇼핑을 끝난 후 계산처리를 계산대에서 하지 않고 자동화 개념과 콘베이어 개념을 이용한 복합적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이 쇼핑을 마치고 대기 시킨 쇼핑 카(1)를 도그(DOG)장치(2)에 의하여 끌어주면 콘베이어(3)를 통하여 이동 및 다운시키며, 회전원판(4)에 쇼핑카(1)내의 물품들이 쏟아져 분산 처리되어 훼손 및 파손되기 쉬운 물품들은 별도로 콘베이어(5)를 통하면서 이송 및 바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계산 처리되고, 또한 훼손 및 파손되지 않는 물품들은 따로 콘베이어(7)를 통하여 이송되다가 바코드 인식기(9)에 의해 계산 처리되도록 한 것으로, 바코드 인식이 안될 경우에는 진동 모터의 진동에 의하여 물품의 위치를 수정한 상태에서 바코드 인식 및 계산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며, 계산이 완료된 물품들은 포장되어 계산대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고객은 계산대에서 자기의 물품임을 확인만 하면 되는 자동화 개념과 콘베이어 개념을 이용한 복합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고객이 계산대에서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System for caculating goods using bar code detector and conveyor}
본 발명은 백화점, 식품 매장, 대형 가전 매장 등에서 고객이 쇼핑을 끝난 후 계산처리를 계산대에서 하지 않고 자동화 개념과 콘베이어 개념을 이용한 복합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계산대에서 기다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바코드(bar code)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식품 매장, 대형 가전 제품 매장 등에서 고객이 쇼핑을 할 때 바구니 또는 쇼핑 카에 여러 가지 상품을 담아 계산대에서 계산을 하게 되는데 고객은 쇼핑한 상품을 일일이 콘베이어에 올려 놓아야 하며, 점원은 고객이 고른 상품의 바코드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계산해야 하므로 고객이 많을 경우에는 계산대 앞에서 줄을 서서 차례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쇼핑을 한 후 쇼핑 카에 담겨진 물품을 계산대에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콘베이어 이송수단과 바코드 인식 수단을 통하여 물품을 분리 계산 처리하고, 이를 포장 처리하여 계산대로 이송시킴으로써 고객은 계산대에서 자기의 물품을 확인만 하도록 하여 계산대에 서서 기다리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핑 카 2 : 도그(DOG)장치
3,5,7,8,10,11,13 : 콘베이어 4 : 회전 원판
6 : 바코드 위치 감시 카메라 9,15 : 바코드 인식기
12 : 진동 모터 13 : 턴 콘베이어
14 : 계산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품을 담아 대기 시킨 쇼핑 카를 끌어주는 도그(DOG)장치와, 쇼핑 카를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와, 상기 쇼핑 카의 내용물을 외부로 쏟아내어 분리하기 위해 45도 경사진 경사부 하단에 위치되는 회전 원판과, 상기 회전 원판 위의 물품들 중에서 훼손 및 파손되기 쉬운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와, 물품들을 실었던 쇼핑카를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와, 파손 및 훼손되지 않는 물품들을 계산하기 위한 상/하 바코드 인식기, 좌/우 바코드 인식기, 전/후 바코드 인식기들과, 상기 인식기들을 통과한 물품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와, 상기 인식기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 물품들의 위치를 수정하여 바코드를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한 진동 모터 및 턴 콘베이어와, 상기 인식기를 통과한 물품들을 계산대까지 업 이송시키기 위한 업 엘리베이터 콘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로, 물품을 담기 위한 쇼핑카(1)와, 대기시킨 상기 쇼핑 카(1)를 끌기 위한 도그(DOG)장치(2)와, 쇼핑 카(1)를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3)와, 상기 쇼핑 카(1)의 내용물을 외부로 쏟아내어 분리하기 위해 45도 경사진 경사부 하단에 위치되는 회전 원판(4)과, 상기 회전 원판(4)의 물품들 중에서 훼손 및 파손되기 쉬운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5)와, 상기 벨트 콘베이어(5)를 통하는 물품들의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상/하, 좌/우, 전/후 바코드 인식기(15)와, 물품들을 실었던 쇼핑카를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8)와, 파손 및 훼손되지 않는 물품들을 계산하기 위한 상/하, 좌/우, 전/후 바코드 인식기(9)들과, 상기 인식기(9)들을 통과한 물품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10)와, 상기 인식기(9)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 물품들을 수정하여 바코드를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한 진동 모터(12) 및 턴 콘베이어(13)와, 상기 인식기(9)를 통과한 물품들을 계산대(14)까지 업 이송시키기 위한 업 엘리베이터 콘베이어(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쇼핑한 물품이 담긴 쇼핑 카(1)를 대기 시키면 도그(DOG)장치(2)가 상기 쇼핑 카(1)를 끌어 주게 되고, 끌어 주는 과정에서 통제 인식 센서에 의해 순서대로 쇼핑 카(1)를 콘베이어(3)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쇼핑카(1)가 다운(DOWN)위치에 도착하면 쇼핑 카(1)를 다운시킨다.
다음에 이와 같이 다운된 쇼핑 카(1)는 약 45도의 개폐 경사를 통하여 쇼핑 카안의 내용물이 외부의 회전식 원판(4) 위로 쏟아져 나오게 되므로 이렇게 쏟아진 내용물들을 분리하는데 이때, 감시원이 파손되거나 훼손되기 쉬운 물품들(예를 들어, 계란, 두부, 과일류 등)만 따로 분리해 낸다.
이렇게 분리된 파손되기 쉬운 물품들은 별도의 벨트 콘베이어(BELT CONVYOR)(5)를 통하여 이송되는데, 이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물품들이 벨트 콘베이어(5)에 위치되면 자동적으로 바 코드 위치 감시 카메라(6)의 감시에 의해 벨트 콘베이어(5)가 구동되어 물품이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손되기 쉬운 물품들은 상/하 바 코드 인식기, 좌/우 바코드 인식기, 전/후 바 코드 인식기(15)를 통하면서 중앙 통제 시스템에 의해 물품들의 값이 계산 처리된다.
또한, 파손되기 쉬운 물품이 아닌 것들은 콘베이어(7)를 통하여 다운 이송되어 상/하 바 코드 인식기, 좌/우 바코드 인식기, 전/후 바 코드 인식기(9)를 통하면서 중앙 통제 시스템에 의해 물품들의 값이 계산 처리된다.
이때, 물품들을 실었던 쇼핑 카(1)는 콘베이어(8)를 통하여 별도로 이송되어 소정 위치에서 대기된다.
이렇게 개별 분리되어 계산 처리된 물품들은 업 엘리베이터 콘베이어(11)를 통하여 수직 상승 이송된다.
한편, 바코드 인식기(9)로 바 코드 위치 미 확인시 진동 모터(12)로 물품의 위치를 수정한 후 턴 콘베이어(TURN CONVEYOR)(13)로 다시 상/하 바코드 인식기, 좌우 바코드 인식기, 전후 바코드 인식기(9)를 통과시켜 물품을 계산 처리하며 이와 같이 계산된 물품들은 업(UP) 엘리베이터 콘베이어(11)를 통하여 수직 상승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바 코드 인식기를 통과시키면서 물품을 계산한 후에는 수평 콘베이어(5)를 통하여 이송된 파손 및 훼손되기 쉬운 물품들을 포장 처리함과 함께 상기 업 엘리베이터 콘베이어(11)를 통하여 이송된 물품들도 마찬가지로 포장 처리한다.
또한, 상기 파손 및 훼손 되기 쉬운 물품과 파손 및 훼손되지 않는 물품들을 종합적으로 포장 처리한 후 이렇게 포장 처리된 물품을 쇼핑 카(1)에 다시 담아 업(UP) 상승시켜 수평 콘베이어로 이송 대기시킨다.
그리고 콘베이어(11)를 통하여 물품을 계산대(14)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고객이 일일이 계산대 앞에서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계산대의 로비(LOBBY)에서 자기 제품인 것을 확인하면 되는 것이어서 백화점이나 식품매장 등에서 고객위주의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쇼핑 물품 계산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로서, 고객이 쇼핑하는 단계(S1)와, 쇼핑 카를 대기시키는 단계(S2)와, 물품을 식별하는 단계(S3)와, 물품중 파손 및 훼손되기 쉬운 물품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파손 및 훼손되기 쉬운 물품이 없을 때 바코드 인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S5)를 수행한다.
상기 S5단계에서, 만일 바코드 인식 가능의 경우에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계산 처리하는 단계(S6)와, 바코드 인식 불가능의 경우에는 진동 모터를 사용하여 물품의 위치를 수정하고 다시 바코드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와, 바코드인식이 완료되면 업 엘리베이터 콘베이어로 이송하고 물품을 포장하는 단계(S8,S9)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S4단계에서 물품이 파손 및 훼손되기 쉬운 경우에는 별도로 분리하여 바코드를 인식 및 계산 처리하고 업 엘리베이터 콘베이어로 이송한 후 물품을 포장하는 단계(S11-S14)와, 상기 S9, S14단계 수행 후 포장된 물품들을 계산대로 이송하는 단계(S10)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화점, 식품 매장, 대형 가전 매장 등에서 고객이 쇼핑을 끝난 후 계산처리를 계산대에서 하지 않고 자동화 개념과 콘베이어 개념을 이용한 복합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은 계산대 앞에서 쇼핑한 물건을 일일이 벨트 콘베이어에 올려 놓지 않아도 되며, 점원은 물품마다 위치가 다르게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의 위치를 일일이 파악하여 바코드를 인식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한, 계산대에서 길게 줄을 서서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되므로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기시킨 쇼핑 카(1)를 끌기 위한 도그(DOG)장치(2)와,
    상기 쇼핑 카(1)를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3)와,
    상기 쇼핑 카(1)의 내용물을 외부로 쏟아내어 분리하기 위해 경사부 하단에 위치되는 회전 원판(4)과,
    상기 회전 원판(4)의 상부에 놓여진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5)와,
    상기 벨트콘베이어(5)를 통과하는 물품들의 바코드를 읽어 계산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기(15)와,
    물품들을 실었던 쇼핑 카(1)를 소정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7) 및 콘베이어(8)와,
    물품들을 계산하기 바코드 인식기(9)와,
    상기 인식기(9)를 통과한 물품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10)와,
    상기 인식기(9)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 물품들의 위치를 수정하여 바코드를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한 진동 모터(12) 및 턴 콘베이어(13)와,
    상기 인식기(9)를 통과한 물품들을 계산대(14)까지 업 이송시키기 위한 업 엘리베이터 콘베이어(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KR1020000004384A 2000-01-28 2000-01-28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KR20000024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384A KR20000024206A (ko) 2000-01-28 2000-01-28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384A KR20000024206A (ko) 2000-01-28 2000-01-28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206A true KR20000024206A (ko) 2000-05-06

Family

ID=1964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384A KR20000024206A (ko) 2000-01-28 2000-01-28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42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733A (ko) * 2004-08-12 2006-02-16 이영우 바코드 자동 인식 장치
WO2010075131A3 (en) * 2008-12-23 2010-10-07 Datalogic Scann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tallying objects
KR20200059375A (ko) * 2018-11-20 2020-05-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비자의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3054819A1 (ko) * 2021-09-28 2023-04-06 이현 바코드 자동 스캔을 이용한 상품 계산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733A (ko) * 2004-08-12 2006-02-16 이영우 바코드 자동 인식 장치
WO2010075131A3 (en) * 2008-12-23 2010-10-07 Datalogic Scann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tallying objects
CN102326187A (zh) * 2008-12-23 2012-01-18 数据逻辑扫描公司 识别和结算物体的方法和系统
US8571298B2 (en) 2008-12-23 2013-10-29 Datalogic AD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tallying objects
CN102326187B (zh) * 2008-12-23 2014-08-20 数据逻辑扫描公司 识别和结算物体的方法和系统
KR20200059375A (ko) * 2018-11-20 2020-05-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비자의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3054819A1 (ko) * 2021-09-28 2023-04-06 이현 바코드 자동 스캔을 이용한 상품 계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3845B2 (en) Cross-belt system and automated item diversion
US64912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register checkout
US20190241298A1 (en) Bagging system for store merchandise
KR910017311A (ko) 체크아웃장치
US7204346B2 (en) Self checkout system with automated transportation conveyor
KR20000024206A (ko) 바코드 인식기와 콘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계산 시스템
KR20220106450A (ko) 물품이 투입되면 자동으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캔 시스템
KR20100002283U (ko) 계산대용 바구니 승강장치
JPH1097681A (ja) チェックアウトカウンタ
JP2007233531A (ja) 値付け装置
US20230036947A1 (en) Shopping cart/basket reader systems and methods
JPH09216705A (ja) 自動倉庫の入庫管理システム
KR940009385B1 (ko) 체크아웃장치
JP2744544B2 (ja) 商品売上登録装置
JPH082789Y2 (ja) 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H07277478A (ja) チェックアウト装置
KR200230245Y1 (ko) 상품판매용 체크아웃 시스템의 도난 방지장치
JP7434314B2 (ja) 小売施設およびその商品処理方法
KR20210059878A (ko) 구매한 물품을 원하는 시기에 받을 수 있고 계산원과 쇼핑 카트가 없는 스마트 쇼핑 몰
KR200184964Y1 (ko)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계산대
JP2575913B2 (ja) 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2535495B2 (ja) 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H087507Y2 (ja) 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H03265996A (ja) 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2021051582A (ja) 商品情報読取装置、商品情報読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