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010A - 건축물용창틀조립체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용창틀조립체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010A
KR20000024010A KR1020000000991A KR20000000991A KR20000024010A KR 20000024010 A KR20000024010 A KR 20000024010A KR 1020000000991 A KR1020000000991 A KR 1020000000991A KR 20000000991 A KR20000000991 A KR 20000000991A KR 20000024010 A KR20000024010 A KR 20000024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crete wall
concrete
fixing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376B1 (ko
Inventor
김광식
김재관
Original Assignee
김광식
김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김재관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102000000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3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상에 사각틀체 형상의 프레임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을 통해 양측면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위치 시키는 단계와; 수평으로 위치된 프레임을 프레임 고정수단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상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상에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개방된 공간부상에 복수의 차단판을 고정 브라켓을 통해 고정하여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사이의 밀폐된 공간부상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응고시켜 상호간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고정 브라켓과 차단판 그리고 프레임 고정수단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프레임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소정의 단계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시공방법에 비하여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상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창틀조립체시공방법{executing method for window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어 창문(窓門)을 형성하는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건축물에서는 필연적으로 외부 조망과 내부 환경 창출을 위하여 창문이 마련되는 바, 이 창문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창틀 조립체를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하고, 이 창틀 조립체에 유리를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창문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창문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체(1)에는 창틀(2)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이때 직접 창틀(2)을 콘크리트 벽체(1)에 설치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창틀(2)과 콘크리트 벽체(1)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창틀(2)은 콘크리트 벽체(1) 상에 수평을 유지한채 견고히 위치 고정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하면에 벽돌(3)들의 받침구를 마련하여 수평을 맞춘후, 내측면에서 고정못(4)을 복수 체결하여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인 위치 고정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창틀(2)과 콘크리트 벽체(1) 사이의 틈새로 작업자가 콘크리트를 강제적으로 주입시킨후 건조시켜 상호간의 고정작업을 행한후, 고정못(4) 및 벽돌(3)들을 제거하여 하나의 창문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창틀 조립체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먼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1)와 창틀(2) 사이의 공간부로 콘크리트를 주입시켜 마무리 작업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깨끗한 뒷마무리 작업을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둘째, 창틀(2) 콘크리트 벽체(1)에 일시적으로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 복수의 고정못(4)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호간의 고정이 완료된후 고정못(4)의 분리가 매우 곤란하여 이 또한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셋째, 창틀(2)을 수평으로 맞추기 어려워 작업 완료후, 창틀(2)과 콘크리트 벽체(1)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고정될 우려가 있어,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넷째, 창틀(2)과 콘크리트 벽체(1)간의 상호 고정이 견고히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도 창틀(2)이 틀어질 우려가 야기되어 이 또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외에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창틀(2)과 콘크리트 벽체(1)의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는등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안정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의 향상과 공사기간의 단축등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
도 7은 창틀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콘크리트 벽체 110,210 : 홈
200 : 프레임 300 : 고정 프레임
400 : 프레임 고정수단 410,420 : 제 1, 2 가이더
430 : 지지나사 440 : 너트
500 : 차단판 600 : 고정 브라켓
700 : 주입밸브 800 : 너클 바아
900 : 주입호스 P : 펌프
T : (콘크리트)저장탱크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벽체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창문을 형성하는 창틀 조립체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상에 사각틀체 형상의 프레임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을 통해 양측면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위치 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공간부상에 복수의 차단판을 고정 브라켓을 통해 고정하여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사이의 밀폐된 공간부상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응고시켜 상호간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차단판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고정수단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하 가장자리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제 1 가이더와; 상기 제 1 가이더와 각각 대응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제 2 가이더와; 상기 제 2 가이더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제 1 가이더의 나사홈에 체결되며, 단부가 콘크리트 벽체에 접촉되는 지지나사와; 상기 지지나사와 제 2 가이더 사이에 개재되어 제 2 가이더를 프레임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밀폐된 공간부상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상에 밀폐된 공간부와 연통되며, 일방향으로만 주입 가능한 일방향 주입밸브를 마련하여 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 전에 상기 콘크리트의 주입 압력에 따른 프레임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프레임의 양측 내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너클 바아를 결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면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내측 가장자리면을 따라서는 상기 밀폐된 공간부상으로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통한 상호간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소정깊이로 홈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7은 전체 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은, 먼저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0)상에 복수의 고정 프레임(210)을 고정시키고, 이를 고정 프레임(300)상에 사각틀체 형상을 갖는 프레임(frame;200)의 양측 하면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위치시킨다.
이와같이 프레임(200)을 고정 프레임(300)을 통해 수평으로 위치 시킨 상태에서, 프레임 고정수단(400)을 통해 프레임(200)을 콘크리트 벽체(100)상에 견고히 위치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프레임 고정수단(400)에 의해 프레임(200)이 위치 고정됨에 의해서는 콘크리트 벽체(100)와 프레임(200)의 외측면 사이에 개방된 공간부(h)가 형성된다.
한편, 이와같이 프레임(200)을 콘크리트 벽체(100)상에 견고히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고정수단(4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도 7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크게 제 1, 2 가이더(guider;410,420)와 지지나사(430) 그리고 너트(440)로 대별된다.
제 1 가이더(410)는, 프레임(200)의 상,하 가장자리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에는 나사홈(411)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더(420)는 제 1 가이더(410)와 대응되는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지지나사(430)는, 제 2 가이더(420)의 외측으로부터 체결되어 제 1 가이더(410)의 나사홈(41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특히 제 1 가이더(410)를 관통한채 콘크리트 벽체(10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너트(440)는, 지지나사(430)와 제 2 가이더(420) 상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제 2 가이더(420)를 프레임(200) 내측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단계로써 개방된 공간부(h)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복수의 차단판(500)을 고정 브라켓(600)을 통해 프레임(200)의 양측 외면과 콘크리트 벽체(100)의 양측 외면 사이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결합시킴으로서 개방된 공간부(h)가 밀폐된 공간부(H)로 형성된다.
그리고 밀폐된 공간부(H)상으로 강제적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이를 응고시킴으로써 프레임(200)은 콘크리트 벽체(100)상에 일체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같이 프레임(200)을 콘크리트 벽체(100)상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600)과 차단판(500) 및 프레임 고정수단(400)을 분리하게 되면, 완성된 창틀 조립체를 얻을 수 있게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주입과 응고를 통해 상호간을 일체로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그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200)의 외측 가장자리면과 대응되는 콘크리트 벽체(100)의 내측 가장자리면을 따라서는 소정깊이로 홈(110,210)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콘크리트를 강제적으로 주입하는 단계에서, 콘크리트의 주입압력등에 의해 프레임(200)이 전체적 휨 변형될 우려가 야기된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콘크리트의 주입 전단계에서 프레임(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00)의 양측 내면을 강제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이상 복수의 너클 바아(800)가 결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전술한 밀폐된 공간부(H)상으로 콘크리트를 강제적으로 주입함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콘크리트가 저장되는 저장탱크(T)와 이에 소정의 압력을 부여하여 콘크리트가 주입호스(90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펌프(P)가 구비되며, 주입호스(900)를 통해 밀폐된 공간부(H)상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밸브가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이때 프레임(200)상에 마련되는 밸브는, 밀폐된 공간부(H)와 연통되며, 특히 주입호스(900)를 통해 콘크리트의 주입은 이루어지지만 주입된 상태에서는 주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는 일방향 주입밸브(700)가 채용된다.
한편, 이와같은 일방향 주입밸브(700)는 프레임(200)상에 설치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0)상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동시에 마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인 마무리 단계로써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된 각 부품등을 정리하고, 이 부품들이 분리되어 프레임(200)상에 형성되는 구멍부분을 마무리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완성된 창틀 조립체를 얻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에 의하면,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프레임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소정의 단계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시공방법에 비하여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상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콘크리트 벽체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창문을 형성하는 창틀 조립체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상에 사각틀체 형상의 프레임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을 통해 양측면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위치 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평으로 위치된 프레임을 프레임 고정수단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상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상에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개방된 공간부상에 복수의 차단판을 고정 브라켓을 통해 고정하여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사이의 밀폐된 공간부상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응고시켜 상호간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차단판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고정수단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하 가장자리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제 1 가이더와;
    상기 제 1 가이더와 각각 대응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제 2 가이더와;
    상기 제 2 가이더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제 1 가이더의 나사홈에 체결되며, 단부가 콘크리트 벽체에 접촉되는 지지나사와;
    상기 지지나사와 제 2 가이더 사이에 개재되어 제 2 가이더를 프레임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밀폐된 공간부상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상에 밀폐된 공간부와 연통되며, 일방향으로만 주입 가능한 일방향 주입밸브를 마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 전에 상기 콘크리트의 주입 압력에 따른 프레임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프레임의 양측 내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너클 바아를 결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면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내측 가장자리면을 따라서는 상기 밀폐된 공간부상으로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통한 상호간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소정깊이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시공방법.
KR1020000000991A 2000-01-05 2000-01-05 건축물용 창틀조립체 시공방법 KR10035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991A KR100356376B1 (ko) 2000-01-05 2000-01-05 건축물용 창틀조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991A KR100356376B1 (ko) 2000-01-05 2000-01-05 건축물용 창틀조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010A true KR20000024010A (ko) 2000-05-06
KR100356376B1 KR100356376B1 (ko) 2002-10-19

Family

ID=1963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991A KR100356376B1 (ko) 2000-01-05 2000-01-05 건축물용 창틀조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3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744A (ko) * 2002-03-26 2003-10-04 이준길 창틀 시공방법
KR102337831B1 (ko) * 2021-04-12 2021-12-10 신백범 창틀 떨림 방지를 위한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창틀 구조체
CN114382384A (zh) * 2021-12-24 2022-04-22 青岛博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气垫式外窗精确定位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621B1 (ko) 2021-12-22 2023-05-08 한경아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744A (ko) * 2002-03-26 2003-10-04 이준길 창틀 시공방법
KR102337831B1 (ko) * 2021-04-12 2021-12-10 신백범 창틀 떨림 방지를 위한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창틀 구조체
CN114382384A (zh) * 2021-12-24 2022-04-22 青岛博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气垫式外窗精确定位安装方法
CN114382384B (zh) * 2021-12-24 2024-03-22 青岛博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气垫式外窗精确定位安装装置及其定位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376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1210A (ko) 퍼즐타입 pc 패널을 사용하여 창문이 설치된 조적벽을 보강하는 방법
CN104763085A (zh) 装配整体式预应力双t楼板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411948B1 (ko) 커튼월용 조립유리패널
CN210396246U (zh) 一种拼接式整体卫生间
KR100356376B1 (ko) 건축물용 창틀조립체 시공방법
CN104541006B (zh) 抗震加强施工方法
KR100330603B1 (ko)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CN109577511B (zh) 一种预制墙板竖向缝连接结构及连接方法
JP3251262B2 (ja) Pc板取付け方法および取付け構造
KR200193649Y1 (ko)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JP2009287249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pc部材の接合方法、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pc部材
JPS595751B2 (ja) 取替サツシの施工法
CN110821343A (zh) 一种铝合金成品门窗及其安装方法
KR101086058B1 (ko) 건축용 바닥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CN212641845U (zh) 现浇筑墙体及墙体装饰板安装组件
JP3914457B2 (ja) プレキャストパネルゾーンと下方柱部材との接合工法
CN110016980A (zh) 防开裂预制t型转角柱
CN214941333U (zh) 一种外挂墙板的墙角连接节点及装配式建筑外墙
KR102419202B1 (ko) 시공성을 개선한 건축물의 보강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48357B1 (ko) 외부 부착형 pc 벽패널을 이용한 내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5759964U (zh) 一种装配式建筑用预制水泥墙板
CN218492777U (zh) 一种水晶艺术玻璃砖墙屏风安装结构
JPS63206542A (ja) カ−テンウオ−ルのガラス接合部のシ−ル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方立
CN210439450U (zh) 一种拼接式房屋
KR102375506B1 (ko) 전단키를 구비한 pc블록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