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744A - 창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창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744A
KR20030077744A KR1020020016587A KR20020016587A KR20030077744A KR 20030077744 A KR20030077744 A KR 20030077744A KR 1020020016587 A KR1020020016587 A KR 1020020016587A KR 20020016587 A KR20020016587 A KR 20020016587A KR 20030077744 A KR20030077744 A KR 20030077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illing
concrete wall
fill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길
Original Assignee
이준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길 filed Critical 이준길
Priority to KR102002001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744A/ko
Publication of KR2003007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74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창틀 시공 방법 고층 시공의 경우 충진재를 건물의 상층까지 이송함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고층 건물의 바닥에서 시멘트와 폼재 등을 혼합하여 충진재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벽체의 공간부에 공지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창틀을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통상의 압송수단을 이용하여 제1단계에서 제조된 충진재를 창틀 시공 위치까지 압송하는 제3단계와; 압송된 충진재를 콘크리트 벽체와 창틀 사이의 틈새에 충진하여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바닥면에서 충진재를 제조한 후 고층으로 압송하여 창틀을 시공하게 되므로 창틀 시공에 필요한 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창틀 시공시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창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 시공방법{omitted}
본 발명은 건물을 지을 때 창틀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래쪽에서 폼재를 건물의 상측으로 압송하여 창틀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고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한 창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건축물에는 외부 조망과 내부 환기 등을 위하여 창문이 설치되는 바, 이 창문의 고정을 위하여 창틀이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건물을 지을 때 창틀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후 창틀 설치 공간에 창틀을 넣고 그 위치를 고정한 다음, 창틀과 콘크리트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시멘트 몰탈 등을 주입하여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열 및 방음 등의 효과가 약하고 시멘트 몰탈이 건조되면서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좌우의 네 부분 중 하중을 지지하는 하측부만을 시멘트 몰탈로 시공하고 나머지 부분은 단열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한 폼재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위와 같은 창틀 시공 방법은 단층이나 저층 건물에서는 시공 작업에 큰 문제가 없으나 고층 건물에서 시공할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 및 폼재 등의 충진재를 건설중인 건물의 상층까지 이송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물의 상층에서 시멘트 몰탈을 직접 제조할 수 있도록 시멘트와 모래 등을 상측으로 이송하여야 하고, 시공에 필요한 폼재 등도 건물의 상층까지 이송하여야 하므로, 이들의 이송 작업에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하다. 이는 창틀 시공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됨을 의미하며, 건설중인 건물의 상층에서 많은 사람이 작업을 진행하므로 안전상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하측에서 시멘트 몰탈과 폼재를 혼합한 후 이를 건물의 상층으로 압송하여 창틀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공간에 충진하도록 함으로써, 건물 상층부에서 작업하는 인원을 최소화하고 충진재의 이송에 필요한 노동력을 줄여 창틀 시공에 다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창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바닥에서 시멘트와 폼재 등을 혼합하여 충진재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벽체의 공간부에 공지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창틀을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통상의 압송수단을 이용하여 제1단계에서 제조된 충진재를 창틀 시공 위치까지 압송하는 제3단계와; 압송된 충진재를 콘크리트 벽체와 창틀 사이의 틈새에 충진하여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방법은 고층 건물의 바닥에서 시멘트와 폼재 등을 혼합하여 충진재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벽체의 공간부에 공지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창틀을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통상의 압송수단을 이용하여 제1단계에서 제조된 충진재를 창틀 시공 위치까지 압송하는 제3단계와; 압송된 충진재를 콘크리트 벽체와 창틀 사이의 틈새에 충진하여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진재는 시멘트와 모래 및 폼재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고, 폼재를 보호하는 코팅재를 혼합제를 적당량 투입한 후 물을 붓고 공지의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혼합하여 제조한다. 물론, 콘크리트 벽체와 창틀 사이의 틈새에 충진재를 충진할 경우에는 압송된 충진재를 별도 보관하지 않고 압송된 충진재를 압송과 동시에 충진한다. 따라서, 압송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마련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창틀 시공방법은 창틀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틈새에 작업자가 시멘트 몰탈이나 폼재 등을 직접 주입하지 않고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주입하게 된다.
고층 건물에 창틀을 시공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 부분에서 통상의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충진재를 제조한다. 충진재는 통상의 시멘트 몰탈에 폼재를 추가한 것으로, 폼재의 보호를 위한 코팅재를 적정량 투입하고, 폼재와 시멘트 몰탈이 유리되지 않고 잘 혼합되도록 혼합제도 역시 적정량 투입한다. 즉, 시멘트와 모래 및 폼재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고 코팅재와 혼합제를 추가로 투입한 후 물을 붓고 교반하여 충진재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폼재는 우레탄 폼 등이 사용된다.
충진재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창틀을 위치시키고 창틀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유지되도록 창틀을 임시 고정한다. 이때,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단의 고정 수단이 필요한 바, 이 고정 수단은 콘크리트 벽체의 공간부에서 창틀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 사용되더라도 관계없다. 물론, 이와 같은 창틀의 임시 설치는 충진재의 제조 과정과 무관하게 먼저 설치될 수도 있고, 나중에 설치되더라도 상관은 없다.
충진재의 제조가 완료되면, 통상의 압송수단을 이용하여 충진재를 작업 공간까지 압송한다. 압송수단은 충진재의 특성상 스퀴지 타입의 압송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1997-0000549호로 출원한 몰탈 압송 기계용 스퀴지 장치도 그 중 하나이다. 물론, 충진재를 압송하는 도중에도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충진재를 계속 교반하여야 하며, 이는 충진재의 고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충진재가 압송되면 작업자는 압송된 충진재를 창틀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틈새에 충진하여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게 된다. 물론, 압송된 충진재를 작업 위치에서 별도로 보관할 필요없이 압송과 동시에 충진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압송 수단의 끝 부분에는 압송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제어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면, 이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충진할 경우에만 압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작업에 필요한 공간과 작업 인원을 줄이고 충진재의 고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계장치를 이용한 충진재의 주입은 사람이 직접 충진재를 투입하는 것에 비해 고압으로 충진하게 되므로, 충진재의 주입이 매우 치밀하게 이루어져 방음 및 단열 효과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창틀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틈새로 충진재가 모두 주입되면 충진재의 압송을 중지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하여 충진재가 고화되도록 한다. 물론, 충진재가 고화된 후 충분히 양생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고정 수단을 제거해서는 안된다. 충진재가 충준히 양생된 후 고정 수단을 제거하고 충진된 주변부를 깨끗하게 정리하면 창틀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방법은 바닥면에서 충진재를 제조한 후 고층으로 압송하여 창틀을 시공하게 되므로 창틀 시공에 필요한 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창틀 시공시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창틀과 콘크리트 사이의 틈새를 메꾸게 되므로 사람이 직접 메꾸는 것에 비하여 치밀하게 충진시킬 수 있어 보온 및 방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고층 건물의 바닥에서 시멘트와 폼재 등을 혼합하여 충진재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벽체의 공간부에 공지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창틀을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통상의 압송수단을 이용하여 제1단계에서 제조된 충진재를 창틀 시공 위치까지 압송하는 제3단계와; 압송된 충진재를 콘크리트 벽체와 창틀 사이의 틈새에 충진하여 창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시멘트와 모래 및 폼재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고, 폼재를 보호하는 코팅재를 혼합제를 적당량 투입한 후 물을 붓고 공지의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에서 압송된 충진재를 압송과 동시에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공방법.
KR1020020016587A 2002-03-26 2002-03-26 창틀 시공방법 KR20030077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87A KR20030077744A (ko) 2002-03-26 2002-03-26 창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87A KR20030077744A (ko) 2002-03-26 2002-03-26 창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44A true KR20030077744A (ko) 2003-10-04

Family

ID=3237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87A KR20030077744A (ko) 2002-03-26 2002-03-26 창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7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4792A (zh) * 2012-05-30 2012-10-03 福建省泷澄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门窗安装硬质发泡聚氨酯塞填施工工艺
CN114150843A (zh) * 2021-11-10 2022-03-08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一种外窗发泡剂全自动施打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74A (ja) * 1991-03-15 1994-02-01 Torii Kensetsu:Kk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窓枠取付方法
JPH07180355A (ja) * 1993-12-24 1995-07-18 Ibiden Kogyo Kk 水硬性流体物の圧送装置・圧送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吹付方法
KR970013930U (ko) * 1997-01-16 1997-04-28 이준길 몰탈 압송 기계용 스퀴지 장치
KR20000013200A (ko) * 1998-08-05 2000-03-06 장병주, 이일쇄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현장타설용기계장치
KR20000015449A (ko) * 1998-08-29 2000-03-15 이찬우 연료유의 자기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00024010A (ko) * 2000-01-05 2000-05-06 김광식 건축물용창틀조립체시공방법
KR200193649Y1 (ko) * 2000-01-05 2000-08-16 김광식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KR20030002019A (ko) * 2001-06-30 2003-01-08 박준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74A (ja) * 1991-03-15 1994-02-01 Torii Kensetsu:Kk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窓枠取付方法
JPH07180355A (ja) * 1993-12-24 1995-07-18 Ibiden Kogyo Kk 水硬性流体物の圧送装置・圧送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吹付方法
KR970013930U (ko) * 1997-01-16 1997-04-28 이준길 몰탈 압송 기계용 스퀴지 장치
KR20000013200A (ko) * 1998-08-05 2000-03-06 장병주, 이일쇄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현장타설용기계장치
KR20000015449A (ko) * 1998-08-29 2000-03-15 이찬우 연료유의 자기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00024010A (ko) * 2000-01-05 2000-05-06 김광식 건축물용창틀조립체시공방법
KR200193649Y1 (ko) * 2000-01-05 2000-08-16 김광식 건축물용 창틀 조립체
KR20030002019A (ko) * 2001-06-30 2003-01-08 박준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4792A (zh) * 2012-05-30 2012-10-03 福建省泷澄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门窗安装硬质发泡聚氨酯塞填施工工艺
CN114150843A (zh) * 2021-11-10 2022-03-08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一种外窗发泡剂全自动施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7910B2 (ja) プレハブ建物のプレキャスト壁体、組立構成及びその施工方法
CN101818527B (zh) 装配整体式剪力墙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CN107268878B (zh) 预制夹芯墙板的制作安装方法
CN101858114A (zh) 现场浇筑整体式轻体隔墙施工方法
CN106346595A (zh) 混凝土综合管廊立式成型模具、系统及其使用方法
CN103276916B (zh) 一种固封轻质混凝土板墙墙洞的构造方法及填充板件
CN104652830A (zh) 一种预制楼面板和预制墙板搭建的施工方法
US10053833B2 (en) Pre-cast decorative retaining wall system
CN113105199B (zh) 一种装配式蒸压加气混凝土板材及其制备方法
CN209817249U (zh) 一种用于建筑填充墙的预制泡沫混凝土复合墙板
US10267011B2 (en) Pre-cast decorative retaining wall system
CN102433958A (zh) 一种预制墙板施工构件
CN106760146A (zh) 一种建筑用装配式瓷陶砖及使用该瓷陶砖的建筑工艺
CN210288790U (zh) 先装装配式钢网框珍珠岩混凝土保温隔音耐火隔墙板
KR20030077744A (ko) 창틀 시공방법
CN101666143B (zh) 以大规格饰面砖为饰面层的聚氨酯保温系统施工方法
CN107859192A (zh) 一种保温板、承重墙体、非承重墙体及装配式墙体系统
CN114274306A (zh) 一种预制钢结构外墙挂板生产工艺
CN204609037U (zh) 复合保温墙板与建筑混凝土结构一体化施工保温墙体体系
CN108277907A (zh) 一种格构式混凝土墙体砌块改性水泥聚苯模壳的安装工艺
GB2320737A (en) Semi precast method of construction of multi-storey buildings
CN217268165U (zh) 房建工程保温装配式预制墙体
CN220014063U (zh) 用于托架成型的模块化保温装置及包含其的节能构造
CN217759722U (zh) 加强型集成保温装置及包含其的节能墙体
CN218492780U (zh) 建筑自保温节能墙体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