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286A - 구조물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286A
KR20000023286A KR1019990040248A KR19990040248A KR20000023286A KR 20000023286 A KR20000023286 A KR 20000023286A KR 1019990040248 A KR1019990040248 A KR 1019990040248A KR 19990040248 A KR19990040248 A KR 19990040248A KR 20000023286 A KR20000023286 A KR 20000023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termediate gear
input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189B1 (ko
Inventor
니시요시오
마츠시마타다스
Original Assignee
츠다 슈사쿠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 슈사쿠,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츠다 슈사쿠
Publication of KR2000002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부 구조물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까지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 부재 등을 조립 부착하지 않더라도 그대로의 상태로 지지부재로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물의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 수압부재 및 하부 수압부재를 포개진 상태로 상대 이동시켜 상부 수압부재 및 하부 수압부재의 포개진 방향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이 구성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하부 수압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는, 구동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중간 치차 요소 등을 구비하는 감속 치차 기구를 거쳐 이송나사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지지장치{Structure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교량이나 고속 도로 등과 같이, 상부 구조물과 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로 구성된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교량이나 고속 도로 등과 같이, 상부 구조물(l)과 이 상부 구조물(1)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2)로 구성되는 구조물 등에는, 상부 구조물(l)의 수직 하중을 확실하게 하부 구조물(2)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부 구조물(1)의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이나 수평방향의 흔들림을 흡수하기 위해서, 상부 구조물(1)과 하부 구조물(2) 사이에 지지부재(3)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3)는, 오랜 세월의 사용에 의해 피로하중을 받기 때문에, 일정한 세월이 경과한 후에는 새로운 지지부재(3)로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7-166514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지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지장치는, 하부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하측 슬라이딩면(4)를 갖는 상부 수압부재(5: 受壓部材)와, 이 상부 수압부재(5)에 포개지며 위면이 상부 수압부재(5)의 하측 슬라이딩면(4)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측 슬라이딩면(6)을 갖는 하부 수압부재(7)와, 이 하부 수압부재(7)를 잡아당기는 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잭 장치(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수압부재(5) 및 하부 수압부재(7)가 하부 수압부재(7)의 이동방향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한 상태에서, 이 지지장치를 상부 구조물(1)과 하부 구조물(2) 사이에 삽입시킨다. 또한, 이때 상부 구조물(1)과 상부 수압부재(5) 사이에는 덮개(11)를 삽입함과 동시에, 하부 구조물(2)과 하부 수압부재(7) 사이에는 베이스 부재(12)를 삽입한다. 또한 상부 수압부재(5)에는 밑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9)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9)가 상부 수압부재(5)에 형성된 구멍(10)내에 삽입되도록 포개진다. 더욱이, 상부 수압부재(5)와 유압식 잭 장치(8) 사이에는 반력 수용부재(13)가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식 잭 장치(8)를 구동시켜, 하부 수압부재(7)를 유압식 잭 장치(8)쪽으로 잡아당기면, 상부 수압부재(5)는 하부 수압부재(7)에 의해서 눌려지지만, 반력 수용부재(13)에 의해서 지탱되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으며, 이 때문에 하부 수압부재(7)만이 상측 슬라이딩면(6)과 하측 슬라이딩면(4)을 서로 미끄러지면서 이동한다. 이로써, 상부 수압부재(5)와 하부 수압부재(7)의 포개진 방향의 두께가 점차 두껍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지지장치가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지지하면서 들어올린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적정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돌기(9)가 수용되는 구멍(10)내의 공간에 스토퍼 부재(14)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부 수압부재(5)와 하부 수압부재(7)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고, 이로써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적정 위치에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장치를 사용하면,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l)을 지지하면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그 상태로 지지부재(3)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지지부재(3)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없는 경우에도 지지부재(3)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지지장치에서는,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정확한 위치까지 들어올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부 수압부재(7)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일본 특개평 7-166514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지지장치로는, 하부 수압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유압식 잭 장치(8)를 사용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유압식 잭 장치(8)의 호스 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유압의 저하에 의해 하부 수압부재(7)를 정확히 이동시킬 수가 없으며, 또한 들어올린 상부 구조물(l)이 내려가 버리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더욱이, 유압식 잭 장치(8)로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압이 저하하기 때문에,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l)을 적정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구멍(10)내의 공간에 스토퍼 부재(14)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부 수압부재(5)와 하부 수압부재(7)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필요가 있어, 공정수가 많은 작업에서는 번잡해지는 불합리를 갖는다.
한편, 예를 들어 유압식 잭 장치(8) 대신에 치차 전달 기구 등을 사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유압의 저하에 기인하는 불합리를 해결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치차 전달 기구는 효율이 너무 좋지 않고, 또한 입력되는 동력에 대하여 출력되는 동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하부 수압부재(7)를 정확히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일실시형태가 적용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상단면도.
도 4는 도 2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2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의 축입력 토크 - 잭의 출력하중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구동장치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구동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상단면도.
도 9는 도 8의 구동장치를 구비한 지지장치의 축입력 토크 - 잭의 출력하중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종래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종래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종래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55, 103: 지지부재 21: 지지장치
22: 상부 수압부재 23: 하부 수압부재
24, 100: 구동장치 25: 덮개
26: 베이스 부재 27: 반력 수용부재
42: 걸림부재 43: 삽입고정 구멍부
52: 구동축 53: 감속 치차 기구
62: 출력측 치차 63: 입력측 치차
69, 70, 115, 116: 제 1 중간 치차
71, 72, 117, 118: 제 2 중간 치차
78, 79: 유지 볼트 83: 회전 규제 부재
106: 홀더 플레이트 109, 110: 입력측 치차 요소
123: 제 3 중간 치차
124: 과부하 방지 기구 125: 제 4 중간 치차
132: 하중 설정 기구 133: 플랜지부
138: 회전 중단 부재 142, 143: 출력측 치차 요소
147, 148: 제 5 중간 치차 149, 150: 제 6 중간 치차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구조물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까지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들어올릴 수 있으며, 더구나 스토퍼 부재 등을 조립 부착하지 않더라도 그대로의 상태로 지지부재로서 사용할 수가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물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제 l 슬라이딩면을 갖는 제 1 수압부재와, 상기 제 1 수압부재에 포개지며 상기 제 1 수압부재의 제 1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제 2 슬라이딩면을 갖는 제 2 수압부재와, 상기 제 1 수압부재 및 상기 제 2 수압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 2 슬라이딩면을 서로 미끄러지게 하면서, 상기 제 1 수압부재와 상기 제 2 수압부재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수압부재와 상기 제 2 수압부재의 포개진 방향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상기 제 1 수압부재 및 상기 제 2 수압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부착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받아 소정의 회전비로 출력축에 전달하기 위한 치차 전달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치차 전달 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설치된 입력측 치차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출력측 치차와, 적어도 입력측 치차 및 출력측 치차를 맞물릴 수 있는 중간 치차를 구비하는 중간 치차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치차 요소는 상기 입력측 치차와 상기 출력측 치차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은, 입력측 치차를 거쳐 중간 치차 요소의 중간 치차에 전달되고, 이 중간 치차에 전달된 동력이 출력측 치차를 거쳐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 출력축에 전달된 동력에 의해서, 제 1 수압부재 및 제 2 수압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이 이동되고, 이로써 제 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 2 슬라이딩면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제 1 수압부재와 제 2 수압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 1 수압부재와 제 2 수압부재의 포개진 방향의 두께가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은, 입력측 치차를 거쳐 중간 치차 요소의 중간 치차에 전달된 후, 출력측 치차를 거쳐 출력축으로 전달되며, 입력된 동력을 정확한 회전비로, 또한 확실하게 출력할 수가 있다. 이로써, 치차 전달 기구가 부착된 제 1 수압부재 및/또는 제 2 수압부재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하부 구조물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치차 전달 기구에는, 유압식 잭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손상이 적으며, 이 때문에 제 1 수압부재 및/또는 제 2 수압부재를 항상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더구나, 예를 들어 하부 구조물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을 적정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스토퍼 부재 등을 조립하지 않더라도 그대로의 상태로 지지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은 치차 전달 기구를 거쳐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출력축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면,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치차 전달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송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 치차 요소는,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고, 각 중간 치차 요소는 입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l 중간 치차와, 출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2 중간 치차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중간 치차와 상기 제 2 중간 치차가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된 동력은 입력측 치차를 거쳐 입력축과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된 각 중간 치차 요소에 전달되어, 각 중간 치차 요소에서는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제 1 중간 치차 및 제 2 중간 치차에 그의 동력이 전달되며, 그 후 출력측 치차를 거쳐 출력축에 그의 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면, 중간 치차 요소는 입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1 중간 치차와, 출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2 중간 치차가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이들의 중간 치차 요소가 입력축과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설치되기 때문에, 치차 전달 기구의 소형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으며, 더구나 효율이 좋은 동력의 전달을 달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간 치차 요소가, 상기 입력축의 가까이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입력측 치차 요소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상에 배치되는 중간 치차 요소와, 상기 출력축의 가까이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출력측 치차 요소를 구비하고, 각 입력측 치차 요소는, 입력측 치차와 맞물릴 수 있는 제 1 중간 치차와, 중간 치차 요소에 맞물릴 수 있는 제 2 중간 치차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치차 요소는 제 2 중간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3 중간 치차와 출력측 치차 요소에 맞물릴 수 있는 제 4 중간 치차를 구비하며, 각 출력측 치차 요소는 제 4 중간 치차에 결합할 수 있는 제 5 중간 치차와 출력측 치차에 결합할 수 있는 제 6 중간 치차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중간 치차, 상기 제 2 중간 치차, 상기 제 5 중간 치차 및 상기 제 6 중간 치차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중간 치차 및 상기 제 2 중간 치차와, 상기 제 5 중간 치차 및 상기 제 6 중간 치차가 각각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은 입력측 치차를 거쳐 입력축의 가까이에 병렬로 배치되는 입력측 치차 요소에 전달되고, 각 입력측 치차 요소에 있어서는,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1 중간 치차 및 제 2 중간 치차에 그 동력이 전달되고, 그후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치차 요소에 그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중간 치차 요소로서는, 제 3 중간 치차 및 제 4 중간 치차에 그 동력이 전달되고, 그후 출력축의 가까이 병렬로 배치되는 출력측 치차 요소에 그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하여, 각 출력측 치차 요소에서는,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5 중간 치차 및 제 6 중간 치차에 그 동력이 전달되며, 그후 출력측 치차를 거쳐 출력축에 그 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하면, 중간 치차 요소는 입력측 치차 요소, 중간 치차 요소 및 출력측 치차 요소로 구성되며, 각 입력측 치차 요소가, 입력축의 가까이에서 입력축과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됨과 동시에,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l 중간 치차 및 제 2 중간 치차에 의해서 구성된다. 각 출력측 치차 요소가, 출력축의 가까이에서 입력축과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됨과 동시에,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5 중간 치차 및 제 6 중간 치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치차 전달 기구의 소형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효율이 좋은 동력의 전달을 달성할 수가 있다. 더구나, 중간 치차 요소가, 입력측 치차 요소, 중간 치차 요소 및 출력측 치차 요소와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축의 토크가 작은 경우라도, 출력축으로부터 큰 출력하중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전동 드라이버와 같은 토크가 작은 공구를 사용하여, 하부 구조물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까지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치차 전달 기구의 전달 경로중에, 정격하중을 넘는 부하가 부여될 때에 그 전달 경로를 단속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정격하중을 넘는 부하가 걸린 때에는, 과부하 방지 기구에 의하여 치차 전달 기구의 전달 경로가 차단된다. 이 때문에, 과부하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함께, 작업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치차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입력측 치차, 상기 출력측 치차 및 상기 중간 치차 요소에 제공되는 치차의 각 부재에, 니켈·인으로 구성되는 도금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니켈·인으로 구성되는 도금 처리를 실시하여, 각 부재간의 마찰 계수의 격차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양호하게 출력축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입력된 동력을 보다 정확한 회전비로, 또한 보다 확실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니켈·인으로 구성되는 상기 도금 처리에 있어서, 불소계 성분이 배합되고, 각 상기 부재의 표면에는, 니켈·인 도금 피막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내에 불소계 성분이 공석분산(共析分散)하고 있는 도금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인 도금 피막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내에 불소계 성분이 공석분산하고 있는 도금 피막이 형성됨으로써, 각 부재 사이에의 내마찰성, 내활주성, 정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양호하게 출력축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입력된 동력을 보다 정확한 회전비로, 또한 보다 확실하게 출력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이 지지장치(21)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이나 고속 도로 등과 같이, 상부 구조물(1)과 이 상부 구조물(1)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2)로 구성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1)과 하부 구조물(2)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3)의 교환 등을 위해서 사용되고, 그 자체로 지지부재(3)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지지장치(21)는 제 1 수압부재로서의 상부 수압부재(22)와, 제 2 수압부재로서의 하부 수압부재(23)와, 하부 수압부재(23)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의 구동장치(24)와, 또한 덮개(25)와, 베이스 부재(26)와, 반력 수용부재(27)로 구성된다.
상부 수압부재(22)는, 경량 및 경질인 합성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상부면(28)은 수평하며, 하부면(31)은 전방 측면(29)이 후방 측면(30)보다 두껍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측면에서 볼 때 쐐기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하부면(31)은 제 l 슬라이딩면으로서 작용한다. 상부 수압부재(22)에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 그 길이 방향의 전장에 걸쳐 아래쪽이 개방된 ⊃자 모양의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32)은, 구멍(32)에서의 상부면(40)과 상부 수압부재(22)의 상부면(28)이 평행하고, 상부면(40)과 상부 수압부재(22)의 상부면(28) 사이에는 그 전장에 걸쳐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수압부재(22)의 상부면(28)에는, 덮개(25)를 끼워넣기 위해서,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압부재(22)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페놀수지를 함침(含浸)한 특수섬유의 적층체로 구성되고, 전방 측면(29)에는,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며, 반력 수용부재(27)를 수용하기 위한 ⊃자 모양의 수용판(34)이, 전방 측면(29)이 일치되도록 끼워 넣어진다.
하부 수압부재(23)는, 상부 수압부재(22)와 같이 경량 또한 경질인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며, 하부면(35)은 수평이며, 상부면(36)은 후방 측면(37)이 전방 측면(38)보다 두껍게 되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며, 측면에서 볼 때 쐐기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부면(36)은 제 2 슬라이딩면으로서 작용하는 것이고, 이 상부면(36)의 경사 각도는, 상부 수압부재(22)의 하부면(3l)이 경사지는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하부 수압부재(23)에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 그 길이 방향의 전장에 걸쳐 윗쪽으로 돌출하는 돌기(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9)는 상부 수압부재(22)의 구멍(32)에 삽입 가능하며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돌기(39)의 상부면(41)(도 2에서 하부 수압부재(23)의 상부면(36)과 돌기(39)의 상부면(41)을 구별하기 위해서 다른 부호로 도시함)이 하부 수압부재(23)의 하부면(35)과 평행하고, 하부면(35)으로부터 상부면(41)까지의 높이가 그 전장에 걸쳐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 돌기(39)에서 길이방향 도중에는, 후술하는 구동장치(24)의 걸림부재(42)를 끼워넣기 위한 각뿔 형상의 삽입고정 구멍부(43)가 그 상부면(41)을 개방하도록 천공됨과 함께, 돌기(39)의 전방 측면(38)에서의 중앙부와 삽입고정 구멍부(43) 사이에는, 돌기(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구동장치(24)의 출력축으로서의 이송나사(44)를 끼우기 위한 삽입구(45)가 천공되어 있다. 또한, 하부 수압부재(23)는, 더 구체적으로, 상부 수압부재(22)와 같이, 페놀수지를 함침한 특수섬유의 적층체로 구성되며, 하부 수압부재(23)에서의 돌기(39)를 끼우는 양측 상부면(36)에는,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 수압부재(22)의 하부면(31)을 미끄러질 수 있는 수용판(46)이 설치된다.
덮개(25)는, 경질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 수압부재(22)의 상부면(28)에 형성된 오목부(33)에 끼워 넣어질 수 있으며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덮개(25)의 상부면에는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 구조물(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판(47)이 끼워진다.
구동장치(24)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으로서의 구동축(52)과, 하부 수압부재(23)의 돌기(39)에 형성된 삽입고정 구멍부(43)에 끼워 넣어지는 걸림부재(42)와, 이 걸림부재(42)에 나사 물림되는 출력축으로서의 이송나사(44)와, 기어박스(50)에 내장되어 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받아 소정의 회전비로 이송나사(44)에 그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치차 전달 기구로서의 감속 치차 기구(53)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부재(42)는,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며, 삽입고정 구멍부(43)에 끼워 넣어질 수 있는 각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전면의 중앙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박스(50)는,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상자이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방벽(73)의 중앙부는 구동축(52)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됨과 동시에, 이 개방부에는, 구동축(52)을 삽입 지지하기 위한 전방 삽입구(58)를 갖는 링 형상의 구동축 지지부재(55)가 설치된다. 또한, 기어박스(50)의 후방벽(56)의 중앙부에도, 이송나사(44)를 삽입하기 위한 후방 삽입구(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동축 지지부재(55)의 전방 삽입구(58)의 중심과 후방벽(56)의 후방 삽입구(57)의 중심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기어박스(50)는, 전방벽(73)과 후방벽(56)을 연결하는 4개의 유지 볼트(78, 79)(도 3에는 두 개만이 도시됨)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42)가 삽입고정 구멍부(43)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이송나사(44)의 일단부가 이 걸림부재(42)의 나사구멍(54)에 나사물림됨과 함께, 타단부는 후방 삽입구(57)에 끼워진 상태로 베어링 메탈(59)을 거쳐 기어박스(50)의 후방벽(5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구동축(52)은 그 일단부에 수동 핸들(60)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측은 전방 삽입구(58)에 끼워지는 상태로 베어링 메탈(61)을 거쳐 구동축 지지부재(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송나사(44)보다도 작은 직경의 구동축(52)의 선단부가 이송나사(44)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베어링 메탈(82)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로 인하여,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는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이 축선은 도 3에서 도면부호 66으로 표시된다.
또한, 감속 치차 기구(53)는, 입력측 치차(63), 출력측 치차(62) 및 두 개의 중간 치차 요소(64, 65)로 구성된다. 입력측 치차(63)는, 전방 삽입구(58)에 삽입되는 구동축(52)의 선단부에서, 이 구동축(52)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구동축(52)과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출력측 치차(62)는 후방 삽입구(57)에 삽입된 이송나사(44)의 선단부에서, 이 이송나사(44)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스플라인 결합된다. 두 개의 중간 치차 요소(64, 65)는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배치되는 축선(66)을 사이에 두고 서로 180o변위한 위치에서, 이 축선(66)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결국, 축선(66)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치차축(67, 68)과, 이들 두 개의 치차축(67, 68)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중간 치차(69, 70)와 제 2 중간 치차(71, 72)로 구성된다.
두 개의 치차축(67, 68)은, 각각 기어박스(50)의 전방벽(73)과 후방벽(56)에 베어링 메탈(74, 75, 76, 77)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제 1 중간 치차(69, 70)는 각 치차축(67, 68)의 일단부에서, 이 치차축(67, 68)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입력측 치차(63)에 결합하도록 각 치차축(67, 68)과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각 제 2 중간 치차(71, 72)는, 각 치차축(67, 68)의 축방향에서 각 제 l 중간 치차(69, 70)에 인접하게 치차축(67, 68)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출력측 치차(62)에 결합하도록 각 치차축(67, 68)과 일체로 설치된다. 이로써, 제 1 중간 치차(69, 70)와 제 2 중간 치차(71, 72)는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상태로 기어박스(50)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는, 그 상부면(48)에서 하부 수압부재(23)를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할 수 있도록,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며,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이 베이스 부재(26)의 상부면(48)에는, 하부 수압부재(23)를 그 하부 수압부재(23)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부(49)를 돌출 배치시키고 있다. 이 안내부(49)는, 베이스 부재(26)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돌기재로 구성되며, 각각이 하부 수압부재(23)의 폭방향 양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반력 수용부재(27)는, 구동장치(24)의 구동에 의해서 구동장치(24)측에 가까이 당겨지는 상부 수압부재(22)를 수용하여, 이 상부 수압부재(22)에 반력을 부여하고, 상부 수압부재(22)와 하부 수압부재(23)의 미끄러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수압부재(22)의 전방 측면(29)에 설치되는 수용판(34)과 구동장치(24)의 기어박스(50)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며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삽입구(80)가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측면의 하단부에는, 베이스 부재(26)의 선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단부(51)가 형성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지지장치(21)의 사용방법에 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지지장치(21)가 상부 구조물(1)과 하부 구조물(2) 사이에 셋팅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지지장치(21)의 셋팅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즉, 우선 베이스 부재(26)를 하부 구조물(2)에, 예를 들어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베이스 부재(26)가 수평으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적절한 판재를 삽입시켜 수평 상태로 고정한다. 이어서, 이 베이스 부재(26)의 상부면(48)상에 놓을 수 있는 안내부(49)내에 하부 수압부재(23)를 배치한다. 또한, 이 하부 수압부재(23)의 배치의 전후에서, 걸림부재(42)를 하부 수압부재(23)의 돌기(39)에 형성되는 삽입고정 구멍부(43)에 끼워 넣음과 함께, 이송나사(44)의 일단부를 반력 수용부재(27)의 삽입구(80)에 삽입한 후에, 하부 수압부재(23)의 돌기(39)에 형성되는 삽입구(46)에 삽입되어, 걸림부재(42)의 나사구멍(54)에 나사물림한다. 이로써, 하부 수압부재(23)에 구동장치(24)를 부착한다. 그리고, 하부 수압부재(23)에 상부 수압부재(22)를 상부 수압부재(22)의 구멍(32)을 하부 수압부재(23)의 돌기(39)에 삽입하여 포갠다. 이 구멍(32)과 돌기(39)와의 결합에 의해서, 상부 수압부재(22)는 하부 수압부재(23)에 대하여 돌기(39)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서만 미끄러짐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 수압부재(22)의 하부면(31)과 하부 수압부재(23)의 상부면(36)이 서로 미끄러질 수 있게 접촉한다. 그리고, 상부 수압부재(22)의 상부면(28)에 형성된 오목부(33)에 덮개(25)를 끼워 넣음으로써, 지지장치(21)의 셋팅이 완료된다. 또한 이 셋팅에서의 일련의 작업은 그 순서를 간단하게, 예를 들어 미리 조립될 수 있는 상태에서 한번에 세팅할 수도 있다. 또한 셋팅된 상태에서는 상부 구조물(1)과 덮개(25) 사이에 약간의 간격으로, 또는 이들이 서로 억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상부 수압부재(22)와 하부 수압부재(23)를 미끄러짐 방향에서 서로 비켜 놓아 포갠다.
이어서, 구동축(52)에 수동 핸들(60)을 부착시켜, 예를 들어 구동원으로서 인력에 의해 이 수동 핸들(60)을 시계방향(화살표(8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다면, 이 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이 입력측 치차(63)를 거쳐,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배치되는 축선(66)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중간 치차 요소(64, 65)에 전달된다. 그리고, 각 중간 치차 요소(64, 65)에서는, 각 치차축(67, 68)의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1 중간 치차(69, 70)로부터 제 2 중간 치차(7l, 72)에 그 동력이 전달되어, 그후 각 중간 치차 요소(64, 65)로부터 출력측 치차(62)를 거쳐 이송나사(44)에 그 동력이 전달된다.
이러한 수동 핸들(60)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축(52), 치차 감속 기구(53)를 거쳐 소정의 회전비로 이송나사(44)에 그 동력이 전달되고, 그 이송나사(44)에 나사물림되는 걸림부재(42)가 나선형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하부 수압부재(23)가 구동장치(24)쪽에 가까이 당겨지도록 이동한다. 하부 수압부재(23)가 이동하면, 상부 수압부재(22)는 하부 수압부재(23)에 의해서 눌려지지만, 반력 수용부재(27)에 의해 수용되기 위해서 이동할 수 없고, 그 결과 상부 수압부재(22)의 하부면(3l)과 하부 수압부재(23)의 상부면(36)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부 수압부재(22)와 하부 수압부재(23)가 상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대 이동이 시작되면, 상부 수압부재(22)와 하부 수압부재(23)의 포개진 방향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껍게 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이 지지장치(21)가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l)을 지지하면서 들어올리는 것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도면의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수동 핸들(60)의 회전을 멈추면, 상부 수압부재(22)와 하부 수압부재(23)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이것에 의해서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이 적정 위치로 지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장치(21)를 사용하면,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구조물(1)을 지지하면서 들어올릴 수 있으며, 또한 그 자체로 지지부재(3)로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지지부재(3)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없는 경우에도 지지부재(3)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적정 위치로 지지한 후에, 필요에 의해 수동 핸들(60)을 떼어,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52)에 그 구동축(52)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회전 규제 부재(83)를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지지장치(2l)에서는 한 개의 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된 동력이, 입력측 치차(63)를 거쳐 두 개의 중간 치차 요소(69, 70)에 전달된 후, 출력측 치차(62)를 거쳐, 다시 한 개의 이송나사(44)에 전달되기 때문에, 입력된 동력을 정확한 회전비로, 또한 확실하게 출력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수압부재(23)를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어,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정확한 위치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실시형태의 구동장치(24)를 사용한 경우의 입력축 토크(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된 토크)와 잭 출력하중(상부 수압부재(22)에 의해서 들어올릴 수 있는 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축입력 토크 - 잭 출력하중 특성이 도시된다. 도 7에서는 축입력 토크에 대하여 잭 출력하중이 매우 정밀하고 양호하게 상관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구동장치(24)를 사용하면, 구동축(52)의 회전량에 대하여, 정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들어올리는 하중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동장치(24)에서는 감속 치차 기구(53)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압식 잭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손상을 받는 것이 적고, 이 때문에 항상 정확하게 하부 수압부재(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더구나,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l)을 적정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스토퍼 부재 등을 조립하지 않더라도, 그대로의 상태로 지지부재(3)로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동일 축선(66)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감속 치차 기구(53)의 소형화에 의한 이송성 및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또한 중간 치차 요소(64, 65)가 제 1 중간 치차(69, 70)와 제 2 중간 치차(71, 72)를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이들의 중간 치차 요소(64, 65)를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의 축선(66) 주위에 병렬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소형화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장치(24)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 및 결합부재, 즉, 출력측 치차(63), 이송나사(44), 입력측 치차(6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축(52), 제 1 중간 치차(69, 70)를 제 2 중간 치차(71, 72)가 일체로 형성된 치차축(67, 68)에는 니켈·인으로 구성된 도금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니켈·인으로 구성된 도금 처리는, 예를 들어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각 부재를 니켈·인이 함유된 도금액에 침지하여, 무전해 도금에 의해 각 부재의 표면에 두께 2∼100μm, 바람직하게는, 5∼50μm의 도금층을 형성한 후에, 필요에 의해 300∼1000oC, 바람직하게는 300∼400oC로 1∼3 시간 열처리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니켈·인으로 구성되는 도금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각 부재 사이에서의 마찰계수의 격차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효율이 양호한 이송나사(44)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동력을 보다 정확한 회전비로, 또한 보다 확실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실시된 무전해 도금 피막중의 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l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각 부재에 실시되는 니켈·인으로 구성되는 도금 처리로서는, 니켈·인이 함유된 도금액에, 더욱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파플루오르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수지입자나 불화 흑연 입자 등 불소계 성분이 배합되고, 각 부재의 표면에는 니켈·인 도금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내에 불소계 성분이 공석분산하고 있는 무전해 도금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불소계 성분의 공석에 의해 각 부재간의 내마찰성, 내활주성, 정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효율이 양호하게 이송나사(44)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동력을 보다 정확한 회전비로, 또한 보다 확실하게 출력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무전해 도금 피막내의 불소계 성분의 공석량은, 피막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중량%가 된다. 또한, 이러한 도금 처리에서는, 필요에 의해 담금질을 실행해도 좋고, 또한 무전해 도금 피막의 경도가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로 300∼l000, 또한 400∼800이 되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은 상기한 구동장치(24)와 다른 실시형태의 구동장치(1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상부 단면도이다.
도 8에서, 이 구동장치(100)는 상술한 구동장치(24)와 같이, 구동축(52), 걸림부재(42)(도 8에는 도시하지 않음), 이송나사(44)를 구비하고 있지만, 감속 치차 기구(53) 및 그것을 내장하는 기어박스(50)의 구조가 상기한 구동장치(24)와 다르다.
한편, 기어박스(50)는 철강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상자이고, 그 전방벽(101)의 중앙부는 구동축(52)을 삽입하기 위하여 개방됨과 동시에, 이 개방된 부분에 구동축(52)을 삽입 지지하기 위한 전방 삽입구(102)를 갖는 링 형상의 구동축 지지부재(103)가 설치된다. 또한, 기어박스(50)의 후방벽(104)의 중앙부에도, 이송나사(44)를 삽입하기 위한 후방 삽입구(105)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동축 지지부재(103)의 전방 삽입구(102)의 중심과 후방벽(104)의 후방 삽입구(l05)의 중심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이 기어박스(50)에는 전방벽(10l)과 후방벽(104) 사이의 거의 중앙에, 후술하는 치차축(113, 114, 145, 146)을 유지하기 위한 홀더 플레이트(l06)가 전방벽(101) 및 후방벽(104)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이 기어박스(50)는 도시하지 않은 4개의 유지 볼트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하여, 이송나사(44)는 후방 삽입구(105)에 삽입된 상태로 베어링 메탈(107)을 거쳐 기어박스(50)의 후방벽(10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구동축(52)이 전방 삽입구(102)에 삽입되는 상태로, 베어링 메탈(108)을 거쳐 구동축 지지부재(103) 및 전방벽(10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로써,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는,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이 축선은 도 8에서 도면부호 66으로 표시된다.
또한, 감속 치차 기구(53)는, 상기한 구동치차(24)와 같이, 입력측 치차(63) 및 출력측 치차(62)를 구비함과 함께, 두 개의 입력측 치차 요소(l09, 110)와, 중간 치차 요소(111)와, 두 개의 출력측 치차 요소(142, l43)를 구비하고 있다.
두 개의 입력측 치차 요소(l09, 110)는 구동축(52)의 가까이에서,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배치되는 축선(66)을 사이에 두고 서로 180o변위된 위치에서, 이 축선(66)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요컨대, 축선(66)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치차축(l13, 114)과, 이들 두 개의 치차축(113, 114)에 각각 형성되는 제 l 중간 치차(115, 116)와 제 2 중간 치차(117, 118)로 구성된다.
두 개의 치차축(113, 114)은, 각각 기어박스(50)의 전방벽(101) 및 홀더 플레이트(106)에 베어링 메탈(119, 120, 121, 122)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제 1 중간 치차(115, 116)는 각 치차축(113, 114)의 한쪽 단부에서, 이 치차축(113, 114)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입력측 치차(63)에 결합되도록 하여 각 치차축(113, 114)과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각 제 2 중간 치차(117, l18)는 각 치차축(113, 114)의 축방향에서 각 제 1 중간 치차(115, 116)에 접하여 결합하여, 이 치차축(113, 114)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후술하는 중간 치차 요소(112)의 제 3 중간 치차(123)에 맞물리도록 하여 각 치차축(113, 114)과 일체로 설치된다. 이로써, 제 1 중간 치차(115, 116)와 제 2 중간 치차(117, 118)는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상태로 기어박스(50)내에 배치된다.
중간 치차 요소(111)는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 사이에서,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배치되는 축선(66)상에 배치되는 중간축(141)과, 이 중간축(141)의 주위에 설치되는 과부하 방지 기구(124)와, 과부하 방지 기구(124)의 주위에 설치되는 제 3 중간 치차(123)와, 중간축(141)의 주위에 형성되는 제 4 중간 치차(125)로 구성된다.
중간축(141)은 기어박스(50)의 홀더 플레이트(106)에 베어링 메탈(126)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중간축(141)은 이송나사(44)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의 한쪽 단부가 이송나사(44)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베어링 메탈(127)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그의 다른쪽 단부가 베어링 메탈(128)을 거쳐 구동축(52)에 회전가능하게 접한다.
과부하 방지 기구(124)는 구동축(52)의 주위에 설치되는 허브부재(129), 제 1 라이닝판(130), 제 2 라이닝판(131), 정격하중을 설정하기 위한 하중 설정 기구(132)를 구비한다. 허브부재(129)에는, 플랜지부(133)와, 그 플랜지부(133)로부터 전방벽(101)쪽으로 돌출하는 대경 원통부(134)와, 이 대경 원통부(134)로부터 전방벽(101)쪽으로 돌출하며 대경 원통부(134)보다도 작은 직경의 소경 원통부(1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허브부재(129)는 중간축(141)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그리고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고, 소경 원통부(135)의 선단부에는 오복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서, 구동축(54)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 메탈(128)을 받아 들여, 이 베어링 메탈(128)을 거쳐 구동축(54)에 허브부재(129)를 유지시킨다. 또한, 소경 원통부(135)의 외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허브부재(129)의 대경 원통부(134)에는 제 3 중간 치차(123), 제 1 라이닝판(130) 및 제 2 라이닝판(131)이, 제 1 라이닝판(130) 및 제 2 라이닝판(131) 사이에 제 3 중간 치차(123)가 끼워지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중 설정 기구(132)는 라이닝 누름 부재(136), 접시형 스프링(137), 회전 중단 부재(138), 및 체결 너트(139)로 구성된다. 라이닝 누름 부재(136)는 제 1 라이닝판(130)에 접하는 상태로 허브부재(129)의 소경 원통부(13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킴과 함께, 그 라이닝 누름 부재(136)를 제 1 라이닝판(130)을 향하여 밀치기 위해서, 접시형 스프링(137)이 라이닝 누름 부재(136)에 접한 상태로 허브부재(129)의 소경 원통부(l35)에 지지된다. 또한, 이 접시형 스프링(137)의 밀치는 힘을 조절하기 위해서, 체결 너트(l39)가 회전 중단 부재(l38)를 거쳐 접시형 스프링(137)을 억압할 수 있는 상태로 허브부재(129)의 소경 원통부(135)에 나사 물림된다.
이로써, 체결 너트(139)를 허브부재(129)의 소경 원통부(135)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전진시키고, 이 체결 너트(l39)와 허브부재(129)의 플랜지부(133) 사이에서, 접시형 스프링(137)이 라이닝 누름 부재(136)를 거쳐 제 1 라이닝판(130), 제 3 중간 치차(123), 제 2 라이닝판(131)을 강하게 억압하고, 그 결과 제 3 중간 치차(123)가 제 1 라이닝판(130) 및 제 2 라이닝판(131)에 의해서 억압되어, 이송나사(44)쪽의 부하가 큰 경우라도, 제 1 라이닝판(130) 및 제 2 라이닝판(131)에 대하여 제 3 중간 치차(123)가 미끄러지지 않고, 구동축(54)과 이송나사(44)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지 않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정격하중이 높게 설정된다.
반대로, 체결 너트(139)를 허브부재(129)의 소경 원통부(135)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후퇴시키면, 이 체결 너트(139)와 허브부재(129)의 플랜지부(133) 사이에서, 접시형 스프링(17)의 제 1 라이닝판(130), 제 3 중간 치차(123), 제 2 라이닝판(131)에 대한 억압력이 약해져 이송나사(44)쪽의 부하가 커지는 경우에는 제 1 라이닝판(130) 및 제 2 라이닝판(131)에 대하여 제 3 중간 치차(123)가 미끄러져, 구동축(54)과 이송나사(44) 사이의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며, 이로써 정격하중이 낮게 설정된다.
제 4 중간 치차(125)는, 중간축(141)의 축방향에서 홀더 플레이트(1O6)를 거쳐 과부하 방지 기구(124)에 인접하게, 이 중간축(141)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후술하는 각 출력측 치차 요소(142, 143)의 제 5 중간 치차(147, 148)에 맞물리도록 하여 중간축(141)과 일체로 설치된다.
두 개의 출력측 치차 요소(l42, l43)는 이송나사(44) 가까이에서,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배치되는 축선(66)을 사이에 두고 서로 180o변위한 위치에서, 그 축선(66)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결국, 축선(66)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치차축(145, l46)과, 이들 두 개의 치차축(l45, 146)에 각각 형성되는 제 5 중간 치차(147, 148)와 제 6 중간 치차(149, 150)로 구성된다.
두 개의 치차축(l45, 146)은 각각 기어박스(50)의 후방벽(104) 및 홀더 플레이트(106)에 베어링 메탈(151, 152, l53, 154)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제 5 중간 치차(147, 148)는 각 치차축(145, 146)의 한쪽 단부에서, 이 치차축(145, l46)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제 4 중간 치차(125)에 맞물리도록 하여 각 치차축(l45, 146)과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각 제 6 중간 치차(l49, l50)는, 각 치차축(145, 146)의 축방향에서 각 제 5 중간 치차(147, 148)에 인접하게, 이 치차축(145, 146)의 축선이 회전중심이 되는 상태로 출력측 치차(62)에 교합하도록 하여 각 치차축(l45, 146)과 일체로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제 5 중간 치차(147, 148)와 제 6 중간 치차(149, 150)는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상태로 기어박스(50)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장치(100)에 의해서, 상기와 동일한 형태로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적정의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구동축(52)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은, 입력측 치차(63)를 거쳐 우선, 구동축(52) 가까이에서,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배치되는 축선(66)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입력측 치차 요소(109, 110)에 전달된다. 그리고, 각 입력측 치차 요소(109, 110)에서는, 각 치차축(113, 114)의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제 l 중간 치차(115, 116)로부터 제 2 중간 치차(117, 118)에 그 동력이 전달되며, 그후 각 입력측 치차 요소(109, 110)의 제 2 중간 치차(117, 118)로부터 중간 치차 요소(111)의 제 3 중간 치차(123)에 그 동력이 전달된다.
이어서, 중간 치차 요소(111)의 제 3 중간 치차(l23)에 전달된 동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부하가 과부하 방지 기구(124)의 설정하중을 넘지 않은 경우에는, 제 3 중간 치차(123)가 제 1 라이닝판(130) 및 제 2 라이닝판(13l)에 의해서 억압 유지되고, 제 3 중간 치차(123)가, 허브부재(129), 그의 허브부재(129)와 스플라인 결합하는 중간축(l41) 및 그 중간축(141)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4 중간 치차(125)에 전달된다. 제 3 중간 치차(123)로부터 제 4 중간 치차(125)에 전달되어, 그후 이 중간 치차 요소(111)의 제 4 중간 치차(125)로부터, 이송나사(44) 가까이에서,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가 배치되는 축선(66)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출력측 치차 요소(142, 143)의 제 5 중간 치차(147, 148)에 전달된다.
또한, 부하가 과부하 방지 기구(124)의 설정하중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라이닝판(l30) 및 제 2 라이닝판(l31)에 대하여 제 3 중간 치차(123)가 미끄러져, 제 3 중간 치차(123)로부터 제 4 중간 치차(125)에 그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정격하중을 넘는 부하가 걸린 때에는, 과부하 방지 기구(l24)에 의해서 감속 치차 기구(53)의 전달 경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과부하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함께, 작업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출력측 치차 요소(142, 143)의 제 5 중간 치차(147, 148)에 전달된 동력은, 각 출력측 치차 요소(142, 143)에서 각 치차축(145, 146)의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제 5 중간 치차(147, 148)로부터 제 6 중간 치차(149, 150)에 그 동력이 전달되어, 그후 각 출력측 치차 요소(142, 143)의 제 6 중간 치차(l49, 150)로부터 출력측 치차(62)를 거쳐 이송나사(44)에 그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구동장치(l00)에는, 하나의 구동륜(52)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이 입력측 치차(63)를 거쳐 두 개의 입력측 치차 요소(109, l10)에 전달된 후, 과부하 방지 기구(124)를 구비한 중간 치차 요소(111)를 거쳐, 다시 두 개의 출력측 치차 요소(142, 143)에 전달되고, 그후 출력측 치차(62)를 거쳐 하나의 이송나사(44)에 전달되기 때문에, 입력된 동력을 정확한 회전비로, 또한 확실하게 출력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감속 치차 기구(53)를 상술한 구동장치(24)보다도 더욱 단수가 많은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구동치차(2)의 토크가 작은 경우라도, 이송나사(44)로부터 큰 출력하중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 9에는, 이 실시형태의 구동장치(100)를 사용한 경우의 축입력 토크(구동축(52)으로부터 입력되는 토크)와 잭 출력하중(상부 수압부재(22)에 의해서 들어올릴 수 있는 하중)과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 도 9에서는 축입력 토크에 대하여 잭출력하중이 매우 정확하게 양호한 상호 관계를 이루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구동장치(100)를 사용하면, 구동축(52)의 회전량에 대하여, 정확하고 확실하게 들어올리는 하중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구동축(52)의 토크가 작은 경우라도, 이송나사(44)로부터 큰 출력하중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드라이버(155)와 같은, 토크가 작은 공구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하부 구조물(2)에 대하여 상부 구조물(1)을 정확한 위치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구동장치(l00)에서는, 구동축(52), 중간 치차 요소(111) 및 이송나사(44)를 동일 축선(66)상에 배치하고, 또한 두 개의 입력측 치차 요소(109, 110)를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의 축선(66) 주위에 병렬로 배치하여, 제 1 중간 치차(115, 116)와, 제 2 중간 치차(117, 118)를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구성함과 함께, 두 개의 출력측 치차 요소(142, 143)를 구동축(52)과 이송나사(44)의 축선(66) 주위에 병렬로 배치하여, 제 5 중간 치차(147, 148)와, 제 6 중간 치차(149, 150)를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소형화하여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 드라이버(155)를 구동축(52)과 접속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구동축(52)에 전동 드라이버(155)의 구동축에 끼워 맞춤된 끼워 맞춤부를 설치하여 직접 결합하거나 커플링 등을 거쳐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과부하 방지 기구(124)에는, 구동장치(100)의 구동시 이송나사(44)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즉 상부 구조물(1)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충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구동장치(100)에서도, 상기한 구동장치(24)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부재 및 결합부재, 즉 출력측 치차(63), 이송나사(44), 입력측 치차(63)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축(52), 제 1 중간 치차(115, 116)와 제 2 중간 치차(117, 118)가 일체로 형성된 치차축(113, 114), 제 3 중간 치차(123)와 제 4 중간 치차(125)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축(141), 제 5 중간 치차(147, 148)와 제 6 중간 치차(149, 150)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차축(145, 146)에는, 니켈·인으로 이루어지는 도금 처리나, 더욱이 이들의 성분에 불소계 성분이 배합되거나 도금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치차 전달 기구의 치차의 개수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중간 치차 요소로서 하나의 치차를 사용하더라도,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5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비는 그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소망의 기어비를 적정하게 선택하면 좋다. 더욱이, 치차 전달 기구로서 유성 치차 기어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구조물(1)과 하부 구조물(2) 사이에 삽입시켜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우측 구조물과 좌측 구조물 사이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지지부재(3)로서가 아니고, 단순한 잭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장치(24) 또는 구동장치(100)를 하부 수압부재(23)에 부착시켰지만, 상부 수압부재(22)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상부 수압부재(22)와 하부 수압부재(23)의 양쪽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제공하였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므로, 한정적으로 해석하지 말아야 한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한 것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제 l 슬라이딩면을 갖는 제 1 수압부재와, 상기 제 1 수압 부재에 포개지고 상기 제 l 수압부재의 제 1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슬라이딩면을 갖는 제 2 수압부재와, 상기 제 1 수압 부재 및 상기 제 2 수압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 2 슬라이딩면을 서로 미끄러지게 하면서, 상기 제 1 수압부재와 상기 제 2 수압부재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수압 부재와 상기 제 2 수압부재의 포개진 방향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상기 제 l 수압부재 및 상기 제 2 수압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받아, 소정의 회전비로 출력축에 전달하기 위한 치차 전달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치차 전달 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는 입력측 치차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는 출력측 치차와, 적어도 입력측 치차 및 출력측 치차와 맞물릴 수 있는 중간 치차를 갖는 중간 치차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치차 요소는, 상기 입력측 치차와 상기 출력측 치차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치차 요소는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고,
    각 중간 치차 요소는, 입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1 중간 치차와, 출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2 중간 치차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중간 치차와 상기 제 2 중간 치차가 동일 축선상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치차 요소는, 상기 입력축의 가까이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입력측 치차 요소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상에 배치되는 중간 치차 요소와, 상기 출력축의 가까이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이 배치되는 축선의 주위에 병렬로 배치되는 출력측 치차 요소를 구비하고,
    각 입력측 치차 요소는, 입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l 중간 치차와, 중간 치차 요소에 맞물릴 수 있는 제 2 중간 치차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치차 요소는, 제 2 중간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3 중간 치차와, 출력측 치차 요소에 맞물릴 수 있는 제 4 중간 치차를 구비하고,
    각 출력측 치차 요소는, 제 4 중간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5 중간 치차와, 출력측 치차에 맞물릴 수 있는 제 6 중간 치차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중간 치차, 상기 제 2 중간 치차, 상기 제 5 중간 치차 및 상기 6 중간 치차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 l 중간치차 및 상기 제 2 치차와, 상기 제 5 중간 치차 및 상기 제 6 중간 치차가 각각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 전달 기구의 전달 경로 중에, 정격하중을 넘는 부하가 부여될 때, 그의 전달 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입력측 치차, 상기 출력측 치차, 및 상기 중간 치차 요소에 구비되는 치차의 각 부재에 니켈·인으로 구성된 도금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니켈·인으로 구성된 상기 도금 처리는 불소계 성분이 배합되고, 각 상기 부재의 표면에는, 니켈·인 도금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내에 불소계 성분이 공석분산하고 있는 도금 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1999-0040248A 1998-09-18 1999-09-18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0372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424398 1998-09-18
JP98-264243 1998-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286A true KR20000023286A (ko) 2000-04-25
KR100372189B1 KR100372189B1 (ko) 2003-02-14

Family

ID=1740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248A KR100372189B1 (ko) 1998-09-18 1999-09-18 구조물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41214B1 (ko)
KR (1) KR100372189B1 (ko)
TW (1) TW4061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8282B1 (en) * 2000-05-10 2001-12-11 Euv Llc Motorized support jack
KR101103983B1 (ko) 2008-12-22 2012-01-06 조영철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US7905465B1 (en) * 2009-05-14 2011-03-15 Softway Industrial Solutions, Llc Shimless aligner
CN104772261B (zh) * 2015-04-27 2017-06-30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涂布机及其控制方法
CA3022261A1 (en) * 2018-10-25 2020-04-25 Softway Industrial Solutions, Llc Aligner
KR102444039B1 (ko) * 2020-11-17 2022-09-19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4401A (en) * 1963-04-02 1966-04-05 Iimura Yukiya Motor operated screw jack
SE454660B (sv) * 1983-07-11 1988-05-24 Kone Oy Barktrumma med minst en lagerring e d
KR920005683Y1 (ko) * 1990-06-28 1992-08-20 주식회사 비앤앨 자동차용 전동잭
JP2809114B2 (ja) * 1993-10-20 1998-10-08 松尾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橋梁等の扛上支持方法並びに支承装置
US5781830A (en) * 1995-02-17 1998-07-14 Gaylord; Michael F. Electroless plated magnetic brush roller for xerographic copiers, printer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189B1 (ko) 2003-02-14
TW406155B (en) 2000-09-21
US6241214B1 (en)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6042100B3 (de) Antriebseinrichtung
EP1593879A1 (en) Traction drive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102006039652A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Schalten des Untersetzungsverhältnisses
EP3746681A1 (de) Zwei-gang-getriebe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kraftfahrzeug
EP1307313A1 (de) Handwerkzeugmaschine
DE112016003863T5 (de) Automatische Kupplungsvorrichtung
EP2726252A1 (de) Trockenbauschrauber
EP2686140A1 (de) Kraftschrauber-überlastsicherung
KR20000023286A (ko) 구조물의 지지장치
DE102012206318A1 (de) Selbstverstärkende Reibungskupplung
DE19809131B4 (de) Elektrohandwerkzeugmaschine
DE10313739A1 (de) Kupplungsbetätigungen
DE102019109431A1 (de) Reibungskupplung für einen Kraftfahrzeugantriebsstrang; Antriebsstrangeinheit, Getriebeeinheit sowie Antriebsstrang
DE102011086238B4 (de) Parksperre sowie Getriebegehäuse mit einer Parksperre
EP2011608B1 (de) Handwerkzeuggerät mit Rutschkupplung
DE10255909B4 (de) Stellglied einer Kupplung
DE102005015617A1 (de) Durch Elektromotor eingerückte Kupplung mit einem Schleppdrehmomentaktuator
JPH0842657A (ja) アクチュエータ
DE102007041602A1 (de) Innenrad-Kreisschubgetriebe ohne Zahnreibung mit minimalem Gleichlauffehler mit rückwärtiger Selbsthemmung bei hohem Antriebswirkungsgrad
JP3312012B2 (ja) 構造物の支持装置
DE10336521A1 (de) Starter
EP2180979A1 (de) Elektrohandwerkzeuggerät
DE102007004703B4 (de) Sicherheitskupplung
DE3202420C2 (de) Schrauber
DE102006058666A1 (de) Reibungskupplung für den Antriebsstrang eines Fahrze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