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713A -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한 클라이언트-게이트웨이 가상 접속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한 클라이언트-게이트웨이 가상 접속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713A
KR20000022713A KR1019990033404A KR19990033404A KR20000022713A KR 20000022713 A KR20000022713 A KR 20000022713A KR 1019990033404 A KR1019990033404 A KR 1019990033404A KR 19990033404 A KR19990033404 A KR 19990033404A KR 20000022713 A KR20000022713 A KR 2000002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dium
gateway
client
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984B1 (ko
Inventor
홀조지이주니어
캐리존디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0002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인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에 응답하여 논리적 네트워크 접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이 기술은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의 가상 접속을 정의하며, 이 가상 접속은 기본적인 물리적 접속의 연속적인 연결에 의존하지 않으며, 상기 물리적 접속이 다른 매체 형태상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경우에도 투명하게 동작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물리적 접속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 조차도 물리적 매체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매체 변경은 모니터링될 수 있는 서버스 품질 또는 전송 속도와 같은 다수의 요인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람인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물리적 접속 및 그 상태의 표현, 현재 사용중인 물리적 접속에 관한 정보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정의된다. 사용자는 논리적 접속을 중단시키지 않고 이 GUI로부터 현재의 물리적 접속에 대한 변경을 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한 클라이언트-게이트웨이 가상 접속 방법 및 시스템{VIRTUAL CLIENT TO GATEWAY CONNECTION OVER MULTIPLE PHYSICAL CONNECTIONS}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의 가상 접속(virtual connection)이 사용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다수의 물리적인 접속(physical connection)에 의해 지원될 수 있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인 접속은 다양한 요인(factor)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접속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정의된다.
오늘날, 컴퓨터 워크스테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는 것은 흔히 발생하는 일이다. 전화 라인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워크스테이션의 모뎀을 이용하거나, 토큰 링(Token Ring) 또는 이더넷(Ethernet)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 카드(LAN Card)를 이용하거나, 무선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적절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 등과 같은 다양한 접속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은 랩탑, 핸드헬드 또는 이동 컴퓨터, 차량 장착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프로세싱 및 통신 기능을 가진 어떠한 형태의 컴퓨터 프로세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원격 호스트도 역시 프로세싱 및 통신 기능을 가진 다양한 다른 형태의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쉽게 입수할 수 있다. 이후에, "워크스테이션" 또는 "호스트"라는 용어는 이들 형태의 컴퓨팅 장치중 어느 것을 말한다.
워크스테이션이 원격 위치된 호스트에 접속될 때, LAN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이 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접속을 일으키는 장치는 "클라이언트"로서 언급되고, 이러한 요구를 수신하는 장치는 "게이트웨이"로서 언급되게 된다. 게이트웨이 컴퓨터(즉, 컴퓨터에 구현된 게이트웨이 기능)는 논리적인 엔드-투-엔드(end-to-end) 통신으로서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의 엔트리 포인트(point of entrance)로서 사용된다. 네트워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게이트웨이 머신을 통해 억세스될 수 있다. 종종, 클라이언트는 이동 장치가 될 수 있다. 소정의 게이트웨이를 통해 많은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현재, 클라이언트와 그것이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사이의 접속은 특정의 물리적인 접속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은 유선 매체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매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여기서, 무선 접속은 고레벨의 논리적인 접속으로부터 이러한 기본적인(underlying) 접속을 구별하는데 있어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물리적인(physical) 접속"을 이용하는 것을 말하며, 전파나 마이크로웨이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접속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접속은 셀룰러 전화, 패킷 무선망(공중망 또는 사설망), 위성, 마이크로웨이브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대안의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리적인 접속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TCP/IP 접속(이후, "논리적인 접속"으로 언급됨)은 클라이언트 및 게이트웨이 머신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의미있는 방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적인 TCP/IP 접속은 논리적인 접속의 지속기간 동안에 하나의 기본적인 물리적 접속의 이용에 제한된다. 만일 물리적 접속이 불통되면(예를 들어, 접속이 끊어지거나 또는 소정의 허용오차를 넘어 품질이 떨어지면), TCP/IP 구현예는 논리적인 접속을 종료시키게 된다. 통신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가 다시 접속 설정 프로세스를 시작해야 한다. 이것은 이용가능한 물리적인 접속(이전의 매체가 고장난 경우에는, 대체 접속)을 찾아내는 것에서부터 통신 파라미터의 인증 및 교섭(negotiation)과 같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특유의 요구조건을 수행하는 것까지 여러 가지 프로세스를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시간을 소비하는 일이다. 또한, 통신의 중단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일 때 데이터의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사람인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과 대화하고 있다면, 이러한 중단은 상당한 좌절감 및 괴로움을 유발시킬 수 있다.
물리적인 접속이 중단되었을 때 논리적인 접속을 지속시킬 수 있는 "쇼트-홀드 모드(Short-Hold Mode)(IBM사)"와 같은 몇가지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알려진 기술들은 동일한 형태의 접속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접속을 재설정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제한은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를 접속시킬 수 있는 다수의 다른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조차도 접속을 재설정하는 것을 완전히 방해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뎀과 같은 물리적인 장치가 고장난 경우). 또한, 이러한 제한은 변화된 환경하에서는 바람직할 수도 있는 다른 매체로의 변경 가능성을 부여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뇌우에 의해 사용하고 있던 전화 라인에 허용불가능한 잡음이 유발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비록 전화 라인을 통해 접속이 재설정될 수 있지만, 그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양호하게 수행할 수도 있는 다른 유선 접속이나 또는 무선 패킷망과 같은 다른 이용가능한 매체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논리적인 네트워크 접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및 데이터를 완전하게 유지하면서, 후속 물리적인 접속에 다른 물리적인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제안되는 기술은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에 가상 접속(virtual connection)을 정의하는데, 이것은 기본적인 물리적 접속의 지속적인 연결에 의존하지 않으며, 다른 매체 형태에서 물리적 접속이 설정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작을 다시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물리적인 접속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에도 물리적인 매체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매체 변경은 서비스 품질이나 전송 속도와 같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람인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물리적 접속에 관한 표현이나 그 각각의 상태 정보 및 현재 이용중인 특정한 물리적 접속에 관한 다른 정보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정의된다. 또한, 이러한 GUI는 사람인 사용자가 논리적인 접속의 중단 없이 이용중인 물리적인 접속의 변경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인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이 나타나는 경우에 논리적인 네트워크 접속이 투명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및 데이터를 변하지 않게 유지하면서, 후속 물리적인 접속에 다른 물리적인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물리적인 접속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에도 논리적인 접속의 기초를 이루는 물리적인 매체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러한 매체 변경이 서비스 품질이나 전송 속도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람인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물리적 접속 및 그 상태에 관한 표현이나 현재 사용중인 물리적 접속에 관한 정보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논리적인 접속을 중단하지 않고) 물리적인 접속의 변경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게 되며,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또한, 여기서 넓게 설명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에서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가상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구현 기술을 제공하며,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중 제1 매체와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중 제1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속 매체중 제2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제2 접속 장치 -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매체와 상기 제2 접속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접속 매체 및 상기 제1 접속 장치와 다름 - 를 이용하여 제2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논리적 접속 - 여기서, 상기 논리적 접속은 상기 제1 접속 및 상기 제2 접속에 의해 지원됨 - 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로 세션 키 - 여기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논리적 접속을 식별하며, 상기 제1 접속을 이용할 때 생성됨 - 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세션 키를 수신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을 계속하기 위한 요구로서 상기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 및 상기 게이트웨이,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 및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의 그래픽 표현;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 각각의 상태; 및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어느 것이 현재 사용중인지에 관한 표시를 묘사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은 상기 제1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에 응답하여 설정되거나, 상기 제1 접속보다 양호한 접속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요구에 응답하여 설정되며, 상기 요구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개시된다.
도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환경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네트워킹된 컴퓨팅 환경의 블록도.
도3은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의 기존의(물리적 및 논리적) 네트워크 접속을 고레벨로 도시한 도면.
도4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게이트웨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의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의 이용가능성을 예시한 도면.
도5는 상이한 물리적 매체의 이용을 수반할 수 있는 다른 기본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대한 물리적 접속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가능성을 도시한 도면.
도6은 클라이언트 머신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본적인 물리적 접속의 변경에 걸쳐 가상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는 로직을 예시한 흐름도.
도7은 게이트웨이 머신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후속 물리적 접속에 걸쳐 가상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는 로직을 예시한 흐름도.
도8a 내지 도8e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중인 물리적 접속(또한,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는 대안의 물리적 접속)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대한 변경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GUI의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워크스테이션 12:마이크로프로세서
14:버스 16:사용자 인터페이스 어댑터
18:키보드 20:마우스
22:인터페이스 장치 24:디스플레이 장치
26:디스플레이 어댑터 28:메모리
30:기억장치 32:통신 채널 또는 모뎀
이제,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게 되는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대표적인 워크스테이션 하드웨어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도1의 환경은 관련 주변 장치를 포함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대표적인 단일 사용자 컴퓨터 워크스테이션(1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워크스테이션(10)은 마이크로프로세서(12)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공지된 기술에 따라 워크스테이션(10)의 구성요소들과 마이크로프로세서(12)를 접속하고 그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스(14)를 포함하고 있다. 워크스테이션(10)은 통상적으로, 버스(14)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2)를 키보드(18), 마우스(20), 및/또는 터치-인식 스크린이나 디지탈화된 엔트리 패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될 수 있는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댑터(16)를 포함한다. 버스(14)는 또한, LCD 스크린이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4)를 디스플레이 어댑터(26)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접속한다. 버스(14)는 또한, 메모리(28) 및 장기간 기억장치(30)에 마이크로프로세서(12)를 접속하며, 이러한 장기간 기억장치(30)로는 하드 드라이브, 디스켓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등이 있다.
워크스테이션(10)은 통신 채널 또는 모뎀(32)을 통해 다른 컴퓨터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워크스테이션(10)은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32)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워크스테이션(10)은 LAN 또는 WAN 내의 다른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컴퓨터와의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구성과 적절한 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도2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40)를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40)는 무선 네트워크(42) 및 네트워크(44)와 같은 다수의 개별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네트워크는 다수의 개별 워크스테이션(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도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42,44)는 또한, (데이터 리포지토리(48)에 억세스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컴퓨터(46)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47)와 같은 메인프레임 컴퓨터 또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컴퓨터(46)는 각각의 네트워크(44)로의 엔트리 포인트로서 작용한다. 게이트웨이(46)는 통신 링크(48)를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42)에 바람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6)는 또한, 통신 링크(48)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워크스테이션(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컴퓨터(46)는 IBM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아키텍쳐/370,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아키텍쳐/390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AS/400으로 알려짐)과 같은 중급의 컴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아키텍쳐/370",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아키텍쳐/390",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 및 "AS/400"은 IBM사의 등록상표이다.
게이트웨이 컴퓨터(46)는 또한, (데이터 리포지토리(48)와 같은) 기억장치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이트웨이 컴퓨터(46)가 네트워크(42)로부터 지리적으로 매우 먼 거리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워크스테이션(10)도 역시 네트워크(42,44)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2)는 캘리포니아에 위치하고, 게이트웨이(46)는 텍사스에 위치하고,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워크스테이션(10)이 뉴욕에 위치할 수도 있다. 워크스테이션(10)은 셀룰러폰, 무선 주파수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수의 대안의 접속 매체를 통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42)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42)는 바람직하게는, IP를 통한 TCP 또는 UDP, X.25, 프레임 릴레이, ISDN, PSTN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50a)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46)에 접속된다. 워크스테이션(10)은 이와 달리 다이얼 접속(50b,50c)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46)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42) 및 네트워크(44)는 도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도시 안됨)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코드는 통상적으로, CD-ROM 드라이브나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소정 형태의 장기간 기억 매체(30)로부터 게이트웨이(46)와 워크스테이션(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의해 억세스된다. 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코드는 디스켓이나 하드 드라이브 또는 CD-ROM과 같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매체중 어느 것에도 구체화될 수 있다. 이 코드는 이러한 매체로 분배될 수 있으며, 소정의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 또는 기억장치로부터 다른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위해 소정 형태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으로 사용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 프로그래밍 코드는 메모리(28)에 구체화되어, 버스(14)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의해 억세스될 수도 있다. 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코드를 물리적인 매체상에서 메모리에 구체화하거나 이 소프트웨어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분배하는 기술 및 방법은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더 이상 논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위해 정의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24)중 어느 것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18), 마우스(20) 및/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22)(예, 터치-인식 스크린, 디지탈화된 엔트리 패드 등)를 이용하여 이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와 대화한다.
이제,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클라이언트를 위한 로직의 구현예(도6 참조)는 게이트웨이를 위한 로직의 구현예(도7 참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들 양자를 위한 로직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도3은 접속(305,315)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A(310)를 통해 게이트웨이(32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3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기존의 클라이언트 및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되는 종래 기술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의 특정 네트워크(310)를 통한 단일의 물리적(유선 또는 무선) 및 논리적 네트워크 접속(305,315)이 논리적 접속의 지속기간 동안에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310)를 통한 물리적 접속(305,315)은 중단된 이후에 종래 기술에서도 여전히 논리적 접속을 유지하면서 재설정될 수 있지만, 동일한 물리적 매체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후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물리적 접속(305,315) 및/또는 네트워크(310)의 변경을 허용한다.
또한, 도3에는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가상 접속(330)과, 클라이언트 및 게이트웨이로 하여금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해 논리적 접속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스트림 포맷의 관념적인 표현(abstract representation)(340)이 예시되어 있다. 가상 접속(340)은 접속(305,315)에 사용된 매체 또는 네트워크(310)의 형태에 관계없이, 클라이언트(300)로부터 게이트웨이(320)까지 연장되어 있다. 데이터 스트림(340)은 이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에 따라 TCP/IP 헤더(346)에 의해 캡슐화된(encapsulated) 애플리케이션-특유의 데이터(application-specific data)(348)로 이루어진다. 이 데이터는 또한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패킷(344)에 캡슐화되며, 이 LCP 패킷은 역시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 패킷(342)내에 캡슐화된다. 본 발명은 LCP 패킷(344) 내의 기존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의 논리적 접속과 새로운 물리적 접속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존의 정보에 대한 새로운 의미론(semantics)을 정의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LCP 정보(344)와 네트워크 정보(342)는 함께 동반되어 진행되며, 즉, LCP 정보(344)가 기본적인 물리적 네트워크 및 그 네트워크 정보(342)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른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이 설정되기 때문에, LCP(344)내의 정보는 TCP/IP 헤더(346)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논리적인 TCP/IP 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네트워크 정보(342)는 특정 네트워크 접속에 따라 변화된다.
도4는 네트워크 B 및 C를 통한 대안의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412,414)의 이용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네트워크 A를 통한 물리적 접속(410)이 이용불가능한 경우에도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400)로부터 게이트웨이(420)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들 대안의 접속(412,414)은 또한, 라인 속도, 대역폭, 서비스 비용 등과 같은 요인들의 관점에서 접속(410)이 덜 바람직한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될 물리적 접속(410,412,414)은 클라이언트(400)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한을 제거하여, 가상 접속을 투명하게 유지하면서 이용가능한 접속중 어느 것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다른 기본적인 네트워크 B(512)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500)로부터 게이트웨이(520)까지 네트워크 A를 통한 물리적 접속(510)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다른 물리적 매체의 이용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510)은 다이얼-업 전화 매체를 이용하는 PSTN 네트워크를 통한 유선 접속이 될 수 있으며, 반면에, 접속(512)은 다른 형태의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 접속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동적인 변경은 클라이언트(500)와 게이트웨이(520) 사이의 논리적 TCP/IP 접속을 중단시키지 않고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6은 클라이언트 머신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본적인 물리적 접속의 변경을 통해 가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로직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의 프로세스는 (1)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TCP/IP 접속을 위해 처음으로 접속 설정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 또는 (2) 클라이언트 머신상의 애플리케이션이 게이트웨이로의 전송을 위해 TCP/IP 패킷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했을 때 호출되게 되는 로직을 예시한 것이다.
이 프로세스는 블록(600)에서 시작되며, 여기서, TCP/IP 접속의 클라이언트측이 여전히 액티브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한 검사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는 게이트웨이와 이미 세션이 설정되어 있을 때 "액티브" 상태로 간주되고, 이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세션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여긴다(즉, 이 클라이언트는 분리 요구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하지 않았다). 블록(610)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여전히 접속되어 있는지 질의한다. 클라이언트는 그것이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을 때 "접속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셀룰러 기술이 사용된 경우에, 이것은 셀룰러 "서비스 범위내"에 있는 것을 포함하며, 다이얼 방식의 전화 접속이 사용된 경우에는, 전화 라인상에서 다이얼 톤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검사에서 긍정 응답이면, 물리적 접속 및 논리적 접속이 모두 변하지 않은 완전한 상태이며, 따라서, 블록(620)에서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는 TCP/IP 프로토콜에 따라 정상적으로 운영된다(즉, TCP/IP 패킷이 게이트웨이로 전송되게 된다). 다음에, 도6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클라이언트가 여전히 액티브 상태에 있지만,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블록(630)으로 진행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논리적 TCP/IP 접속이 분리되게 되어,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의 이 세션을 종료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면, 후속 물리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논리적 접속이 완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논리적 접속이 사용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블록(630)에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후속 물리적 접속에 사용될 기술을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 프로세스에서 다양한 요인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한 관점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호도(preferences)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것은 하향(descending) 선호도 순서가 될 수 있다. 하향 순서로 저장된 경우에, "디폴트" 또는 "가장 바람직한" 기술은 프로파일 내의 첫 번째 엔트리이다. 사용자 프로파일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성공적인 물리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찾을 때까지, 프로파일로부터 각각의 엔트리가 순차적으로 시도되게 된다. 블록(6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시점에서 기술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스캔한다. 프로파일로부터 하나의 기술이 선택되고, 이 기술이 이용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스캔이 수행되고, 이용가능한 기술이 발견될 때까지 이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루핑 메카니즘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캐닝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전화 접속을 시도할 예정인 경우에 모뎀의 존재 및 다이얼 톤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검사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머신이 셀룰러와 같은 무선 기술의 서비스 적용범위내에 있는지 알기 위해 검사하는 단계; 시각 또는 클라이언트 머신의 지리적 위치에 근거하여 상이한 기술을 이용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이 이용되지 않거나 이용불가능한 경우에, 시도할 기술은 클라이언트로 직접 코딩될 수 있으며, 또는 구성 파일(configuraion file)로부터 억세스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안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블록(640)에서는, 블록(630)에서 선택된 매체를 이용하여 후속 물리적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구성 요구 메시지가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이 세션에 전에 사용된 매체가 아닌 다른 매체가 될 수 있으며, 유선 접속에서 무선 접속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키(논리적 접속이 최초에 설정되었을 때 PPP(Point-to-Point Portocol) 프로토콜에 따라 설정된 액티브 PPP 세션의 식별자)는 (데이터 스트림 포맷(340)을 이용하여) 이 구성 요구 메시지의 네트워크 정보 부분(342)에 의해 게이트웨이로 전송되게 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새로운 기술을 구현하는 게이트웨이가 기본적인 물리적 세션의 중단 이후에 가상 접속을 통해 통신을 다시 시작하기 위한 요구가 시도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6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 구성 요구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반송되고, 이 확인 메시지가 긍정이면, 도6의 프로세스를 호출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이때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것은 이 분야에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며,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클라이언트가 더 이상 액티브 상태가 아니면 블록(650)으로 진행된다. 블록(650)에서는, 게이트웨이에 대한 후속 물리적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기술을 선택하는, 블록(630)과 동일한 판단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다음에, 제어는 블록(660)으로 계속되어, 새로운 물리적 및 논리적 접속이 셋업되게 된다. 이 프로세스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며, 필요한 인증을 수행하고, 다음에 교섭(암호화 및 압축 기술의 사용을 교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음)을 하고, 또한, 통신에 사용될 IP 어드레스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단 이들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면, 접속이 셋업되고, 새로운 세션을 통한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다음에, 도6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도6의 프로세스는 물리적인 접속에 대한 중단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구성가능성에 근거하여 호출될 수도 있다. 이것은 보다 양호한 물리적 접속이 이용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보다 양호한 접속을 구성하는 것도 역시 사용자-구성가능하지만, 보다 많은 용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보다 높은 대역폭을 탐색하고, 현재 과도한 용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다 낮은 대역폭을 탐색하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로부터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이러한 비교 프로세스를 주기적으로 호출하기 위해 타이머-구동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파일은 이러한 비교 프로세스가 매 15분 마다, 또는 그 보다 약간 짧거나 긴 시간 주기로 호출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물론 다른 대안의 시간 단위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전송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전화 전송 속도가 높은 시간 주기로부터 속도가 보다 낮은 다른 시간 주기로 넘어가는 것 등과 같은 특정 기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이 구현되는 경우에, 블록(610)에서의 검사가 긍정 응답일 때, 블록(610)과 블록(620) 사이에서 비교 프로세스가 수행되게 된다. 이 비교 프로세스는 보다 양호한 물리적 접속을 탐색하게 되는데, 만일 아무 것도 발견되지 않으면, 기존의 접속이 유지되게 되고, 전송될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블록(620)에서 전송된다. 만일 그렇지 않고, 보다 양호한 접속이 발견되는 경우에, 제어는 이 추가적인 비교 프로세스로부터 블록(640)의 프로세스로 진행되어, 이러한 보다 양호한 매체에 대한 구성 요구를 전송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다른 관점에서, 사용자가 기본적인 물리적 접속에 대한 변경을 직접 개시하여, 도6의 프로세스가 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8a 내지 도8e(보다 상세하게 후술됨)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GUI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GUI는 사람인 사용자가 물리적 접속 및 그 대안의 접속에 관한 표현, 그 각각의 상태 정보, 및 현재 사용중인 특정 물리적 접속에 관한 다른 정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GUI는 사람인 사용자로 하여금 도6의 프로세스를 호출하는 변경의 형태를 착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물리적 접속을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안의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대안의 방법은 접속을 변경하기 위한 선택가능한 기능을 가진 팝-업 또는 풀-다운 메뉴(문맥-인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를 제공하는 방법, 접속을 변경하기 위해 누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키를 정의하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리적 접속의 변경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지원하는 이러한 관점은 도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블록(610)과 블록(620) 사이에 추가적인 검사가 삽입된다. 이 검사는 사용자가 변경을 요구했는지 질의하는 것이다. 만일 응답이 부정이면, 제어는 블록(620)으로 계속되고, 만일 응답이 긍정이면, 제어는 이 추가적인 비교 프로세스로부터 블록(640)의 프로세스로 진행되어, 이 변경된 접속에 대한 구성 요구를 전송하게 된다.
도7은 게이트웨이 머신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후속 물리적 접속을 통해 가상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는 로직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클라이언트가 다른 후속 물리적 접속으로 변경할 때 클라이언트로부터 게이트웨이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블록640을 참조하자). 따라서, 도7의 로직은 게이트웨이에서 제어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데이터를 이용하지만, 제어 데이터가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새로운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제어 데이터의 의미론(semantics)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가상 접속이 복수의 물리적 접속에 의해 지원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데이터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되며,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도7의 프로세스는 블록(700)에서 시작되며, 여기서, 인입 메시지가 구성 요구(Configure Request)인지 알기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만일 구성 요구가 아니면, 이 데이터는 본 발명에 관련되지 않은 것이다. 블록(710)에서, 게이트웨이 프로세스는 PPP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 요구조건에 따라 정상적으로 동작되며, 이것은 인입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도7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인입 메시지가 구성 요구인 경우에 블록(720)으로 진행되어, 그 인입 메시지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가 게이트웨이에 의해 액티브 상태로 간주되는지 알기 위해 검사한다. 이 검사 결과가 부정이면, 블록(730)에서 새로운 물리적 및 논리적 접속을 셋업한다. 이 프로세스는 이 분야에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며, 필요한 인증 단계와 교섭 단계(암호화 및 압축 기술의 사용에 관해 교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음) 및 통신을 위해 사용할 IP 어드레스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속 물리적 접속을 통해 가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를 게이트웨이로 식별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세션 키는 블록(730)의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양자에게 알려지게 된다. 이들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접속이 셋업되고, 새로운 세션을 통한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다음에, 도7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블록(740)에서는 구성 요구 메시지의 네트워크 정보 부분에 포함된 세션 키를 검사하여, 그것이 이 클라이언트에 대해 이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키인지 판단한다. 이 검사 결과가 부정이면, 클라이언트는 게이트웨이가 기억하고 있는 것과 다른 세션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 클라이언트는 이전의 세션으로부터 로그-아웃한 것이며, 이에 대해 게이트웨이가 알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지금 새로운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블록(750)에서 클라이언트에 대한 게이트웨이의 정보가 리셋되어야 한다. 다음에, 제어는 블록(730)으로 진행되어, 클라이언트에 대한 새로운 접속을 셋업한다.
블록(760)에서, 인식하고 있는 세션 키가 수신되었다. 이 블록(760)에서는 이 요구가 그 클라이언트와의 이전의 통신에 사용되었던 것과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지 질의한다. 만일 그렇다면, 블록(7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이 정상적으로 계속된다. 그러나, 만일 다른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면, 블록(780)에서 이 후속 장치에 대한 이전의 논리적 접속을 재맵핑한다. 모뎀의 고유의 일련번호와 같은 식별자는 접속 설정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게이트웨이로 전송된다. 이 식별자는 그 모뎀을 사용하고 있는(다른 접속 장치에 대해서도 유사함) 특정 클라이언트 세션(또한, 그 현재의 프로토콜 상태와 같이, 그 세션에 관해 게이트웨이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클라이언트가 다른 매체로 변경하면, 다른 식별자가 전송되게 된다. 블록(780)의 재맵핑 프로세스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식별자를 게이트웨이의 의해 유지되고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와 연관시켜, 매체가 변경된 경우에도 세션이 투명하게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재맵핑 프로세스는 현재의 물리적 접속이 이전의 것과 동일한 형태가 아닌 경우에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이용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도7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도8a 내지 도8e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GUI(800)를 도시하고 있다. 도8a는 클라이언트 워크스테이션(805)이 게이트웨이(810)에 접속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805)와 게이트웨이(810)를 접속하기 위해 네트워크 A(820), 네트워크 B(830) 및 네트워크 C(84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워크스테이션(805)에 대해 복수의 인터페이스 장치(821:적외선 무선 송수신기, 831;셀룰러폰, 841;CDPD 카드)와 이 워크스테이션(805)으로부터 각각의 네트워크(820,830,840)까지 링크(822,832,842)가 존재하는 경우에 GUI에 나타나게 된다. 다음에, 네트워크는 각각의 링크(822,832,842)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810)에 접속된다. 이들 도면은 또한 게이트웨이(810)에 접속된 다수의 장치(850)를 도시하고 있다.
비록 도8a 내지 도8e가 흑백의 음영으로 그려졌지만, 다수의 접속들을 그 상태에 근거하여 구별하기 위해 실제적인 구현에서는 다른 공지의 기술(예를 들어, 칼라, 3D, 하이라이팅, 세이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GUI 기술(예,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포인트-클릭 선택 기능, 드래그-드롭 등)이 완전히 GUI(800) 내에 통합되고, 인터페이스(800)가 사용자의 국어에 관계없이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워크스테이션에 대해 디스플레이될 정보를 결정하고 그것의 그래픽 표현을 만들기 위한 기술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도8a는 링크(822)의 검은 윤곽선(다른 링크(832,842)와 대조됨)과 검은선(823)(833 및 843과 대조됨)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A(820)와 링크(822,823)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현재의 물리적 접속 및 경로, 즉, 워크스테이션(805)이 링크(822)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A에 접속하기 위해 장치(821)를 사용하고, 다음에 게이트웨이(810)로 접속하기 위해 링크(823)를 이용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대응하는 그래픽 심볼의 존재에 의해, 장치(831)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B를 통해 링크(832,833)와 장치(841)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C를 통해 링크(942,843)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도면에서 보다 검은선을 이용한 것은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다른 시각적 표시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도8b는 사용자가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정보 윈도우(86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도시하고 있다. 이 윈도우(860)는 선택된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 기능은 포인트-클릭(point-and-click)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화살표(862)는 사용자가 링크(822)를 선택한 것을 나타낸다. 또는, 윈도우(860)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그래픽 디스플레이로부터 대응하는 객체 위로 포인팅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팝업(pop up)될 수도 있다. 비록 도8b에는 선택된 링크에 대한 접속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GUI에 표현된 어떠한 구성요소(노드, 물리적 접속 및 본 발명의 가상 접속 등)도 이와 유사하게 적절한 콘텍스트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도8c는 네트워크 A를 통한 물리적 접속이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B를 통한 물리적 접속은 대안으로서 활용될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셀룰러폰(831)은 예를 들어, 서비스 범위를 벗어나,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이용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네트워크 B를 통한 접속을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은 링크(832)를 통해 "X" 표시(870)를 배치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상태를 전달하는 다른 유사한 표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C는 여전히 이용가능한 대안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8d는 대안의 이용가능한 물리적 접속으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가 디스플레이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보이고 있다. 사용자는 기존의 선택 기술을 이용하여, 그가 네트워크 C(840)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으로 변경하길 원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링크(842)를 선택할 수 있다(선택적으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물리적 접속이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상기시키고 사용자에게 계속할 것인지 질의하는 팝업 윈도우를 제공함으로써, 변경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전에 그러한 변경을 확인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구할 수도 있다. 또한, 요구된 변경이 기존의 상황하에서 타당한 것으로 보이는지 암시하는 것과 같은 문맥인식(context-sensitive)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 이후에, 검은 윤곽선은 이제 (링크(822) 대신에) 링크(842)의 그래픽 표현을 둘러싸고 있으며, 보다 검은선(843)은 이제 링크(823) 대신에 이 링크가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A 및 네트워크 B를 통한 접속은 여전히 이용가능한 대안으로서 유지되고 있다.
도8e는 접속의 상태를 알 수 없으며, 따라서, 그것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링크(842)상에 물음표(880)가 배치되어 있다. 대안으로, 다른 등가의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또한, 네트워크 B(830)를 통한 접속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A(820) 및 네트워크 C(840)를 통한 접속도 이용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기본적인 인터넷 개념을 배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러한 모든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인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논리적인 네트워크 접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및 데이터를 완전하게 유지하면서, 후속 물리적인 접속에 다른 물리적인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에서, 상기 환경내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가상 접속(virtual connection)을 유지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
    상기 접속 매체중 제1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제1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서브프로세스;
    상기 접속 매체중 제2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제2 접속 장치 -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매체와 상기 제2 접속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접속 매체 및 상기 제1 접속 장치와 다름 - 를 이용하여 제2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서브프로세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논리적 접속 - 여기서, 상기 논리적 접속은 상기 제1 접속 및 상기 제2 접속에 의해 지원됨 - 을 유지하기 위한 서브프로세스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논리적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서브프로세스는,
    상기 제2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세션 키 - 여기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논리적 접속을 식별하며, 상기 제1 접속을 이용할 때 생성됨 - 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클라이언트내의 서브프로세스; 및
    상기 세션 키를 수신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을 계속하기 위한 요구로서 상기 수신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게이트웨이내의 서브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및 상기 게이트웨이,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 및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의 그래픽 표현;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 각각의 상태; 및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어느 것이 현재 사용중인지에 관한 표시를 묘사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서브프로세스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상기 제1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상기 제1 접속보다 양호한 접속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사용자에 의한 요구에 응답하여 설정되며, 상기 요구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서브프로세스에 의해 개시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7.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에서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가상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중 제1 매체와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중 제1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접속 매체중 제2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제2 접속 장치 -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매체와 상기 제2 접속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접속 매체 및 상기 제1 접속 장치와 다름 - 를 이용하여 제2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논리적 접속 - 여기서, 상기 논리적 접속은 상기 제1 접속 및 상기 제2 접속에 의해 지원됨 - 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논리적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제2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세션 키 - 여기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논리적 접속을 식별하며, 상기 제1 접속을 이용할 때 생성됨 - 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클라이언트내의 수단; 및
    상기 세션 키를 수신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을 계속하기 위한 요구로서 상기 수신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게이트웨이내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및 상기 게이트웨이,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 및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의 그래픽 표현;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 각각의 상태; 및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어느 것이 현재 사용중인지에 관한 표시를 묘사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상기 제1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상기 제1 접속보다 양호한 접속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사용자에 의한 요구에 응답하여 설정되며, 상기 요구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수단에 의해 개시되는
    시스템.
  13.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에서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가상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중 제1 매체와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중 제1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속 매체중 제2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제2 접속 장치 -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매체와 상기 제2 접속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접속 매체 및 상기 제1 접속 장치와 다름 - 를 이용하여 제2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논리적 접속 - 여기서, 상기 논리적 접속은 상기 제1 접속 및 상기 제2 접속에 의해 지원됨 - 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논리적 접속을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로 세션 키 - 여기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논리적 접속을 식별하며, 상기 제1 접속을 이용할 때 생성됨 - 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세션 키를 수신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을 계속하기 위한 요구로서 상기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및 상기 게이트웨이,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매체 및 상기 이용가능한 접속 장치의 그래픽 표현;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 각각의 상태; 및 상기 접속 매체와 상기 접속 장치중 어느 것이 현재 사용중인지에 관한 표시를 묘사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상기 제1 접속의 중단 또는 고장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상기 제1 접속보다 양호한 접속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사용자에 의한 요구에 응답하여 설정되며, 상기 요구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단계에 의해 개시되는
    방법.
KR1019990033404A 1998-09-02 1999-08-13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한 클라이언트-게이트웨이 가상 접속방법 및 시스템 KR100326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45,521 1998-09-02
US09/145,521 1998-09-02
US09/145,521 US6308281B1 (en) 1998-09-02 1998-09-02 Virtual client to gateway connection over multiple physical conn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713A true KR20000022713A (ko) 2000-04-25
KR100326984B1 KR100326984B1 (ko) 2002-03-06

Family

ID=2251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404A KR100326984B1 (ko) 1998-09-02 1999-08-13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한 클라이언트-게이트웨이 가상 접속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08281B1 (ko)
EP (1) EP1014647B1 (ko)
JP (1) JP3444483B2 (ko)
KR (1) KR100326984B1 (ko)
CN (1) CN1186907C (ko)
AT (1) ATE289728T1 (ko)
CA (1) CA2280101C (ko)
DE (1) DE69923827T2 (ko)
HK (1) HK1026090A1 (ko)
MY (1) MY123335A (ko)
SG (1) SG81299A1 (ko)
TW (1) TW4544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381A1 (en) * 1999-08-21 2001-03-01 Danal Co., Ltd.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second connection path
KR100889914B1 (ko) * 2002-09-19 2009-03-20 주식회사 케이티 다종 무선망 환경하에서의 무선 데이터 자동 접속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239B1 (en) * 1998-10-07 2003-06-03 Eric Morgan Dowling Virtual connection of a remote unit to a server
US7293107B1 (en) 1998-10-09 2007-11-06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8078727B2 (en) 1998-10-09 2011-12-13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7778260B2 (en) 1998-10-09 2010-08-17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8060656B2 (en) 1998-10-09 2011-11-15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6546425B1 (en) 1998-10-09 2003-04-08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GB9822550D0 (en) * 1998-10-15 1998-12-09 British Telecomm Computer communications
US6522875B1 (en) 1998-11-17 2003-02-18 Eric Morgan Dowling Geographical web browser,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US7249377B1 (en) * 1999-03-31 2007-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lient delegation of security to a proxy
US7000014B2 (en) * 1999-04-02 2006-02-14 Nortel Networks Limited Monitoring a virtual private network
US7882247B2 (en) 1999-06-11 2011-02-01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e connectivity in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mputing environments
US7231045B1 (en) * 1999-08-30 2007-06-12 Intel Corporation Secure transaction modem storing unique indicia
WO2001097428A2 (en) * 2000-06-08 2001-12-20 Sierra Wireless, Inc. Wireless modem simulation of a lan card
US6965914B2 (en) 2000-10-27 2005-11-15 Eric Morgan Dowling Negotiated wireless peripheral systems
US6901429B2 (en) 2000-10-27 2005-05-31 Eric Morgan Dowling Negotiated wireless peripheral security systems
US7035932B1 (en) 2000-10-27 2006-04-25 Eric Morgan Dowling Federated multiprotocol communication
US6888792B2 (en) * 2000-12-07 2005-05-03 Intel Corporation Technique to provide automatic failover for channel-based communications
US6693888B2 (en) * 2001-06-06 2004-02-17 Networks Associates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that specifies the types of frames to be captured and to be displayed for an IEEE802.11 wireless LAN
US20050198379A1 (en) 2001-06-13 2005-09-08 Citrix Systems, Inc. Automatically reconnecting a client across reliable and persistent communication sessions
JP2003110564A (ja) * 2001-09-28 2003-04-1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設定方法
US20030063581A1 (en) * 2001-10-02 2003-04-03 Vyankatesh Shanbha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interaction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packet data network
WO2003056775A1 (fr) * 2001-12-30 2003-07-10 Legend (Beijing) Limited. Moyen et procede de commande permettant d'adapter differents supports de liaison de transmission de reseau a une couche physique
US7661129B2 (en) 2002-02-26 2010-02-09 Citrix Systems, Inc. Secure traversal of network components
US7984157B2 (en) 2002-02-26 2011-07-19 Citrix Systems, Inc. Persistent and reliable session securely traversing network components using an encapsulating protocol
US20040008688A1 (en) * 2002-07-11 2004-01-15 Hitachi, Ltd. Business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configuration in networks
US6754346B2 (en) 2002-07-31 2004-06-22 Steven P. Eiserling Method for tracing the distribution of physical digital media
JP4125585B2 (ja) * 2002-11-18 200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6957263B2 (en) * 2002-11-19 2005-10-18 Fujitsu Limited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large-scale optical networks
JP4040628B2 (ja) * 2003-02-27 2008-01-3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8327116B1 (en) * 2003-12-08 2012-12-04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types of data frames
CN101495990B (zh) 2005-12-02 2011-09-14 思杰系统有限公司 用于提供从代理服务器到虚拟计算环境的身份验证证明以访问远程资源的方法和设备
US7512408B2 (en) * 2006-02-16 2009-03-31 Softwired Ag Scalable wireless messaging system
US7739391B2 (en) * 2006-02-16 2010-06-15 Softwired Ag Gateway for wireless mobile clients
US7599393B1 (en) 2006-03-24 2009-10-06 Sierra Wireless, Inc. Architecture for emulating an ethernet network interface card
US7685630B2 (en) * 2006-05-04 2010-03-23 Citrix Onlin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scalable authentication
US7792019B1 (en) * 2006-06-22 2010-09-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ll management
US8289965B2 (en) 2006-10-19 2012-10-16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s session with an end-user based on the state of a network connection
US8184549B2 (en) 2006-06-30 2012-05-22 Embarq Holdings Company, LLP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egress
US8194643B2 (en) 2006-10-19 2012-06-05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nection of an end-user to a remote network
US9094257B2 (en) 2006-06-30 2015-07-28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8488447B2 (en) 2006-06-30 2013-07-16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code speed in a transmission path during call set-up due to reduced transmission performance
US8799446B2 (en) * 2006-08-18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 resiliency within on-premise products
US8199653B2 (en) 2006-08-22 2012-06-12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net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ver a packet network
US8531954B2 (en) 2006-08-22 2013-09-10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servation requests with a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engine
US8238253B2 (en) 2006-08-22 2012-08-07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terlayer devices and optimizing network performance
US8537695B2 (en) 2006-08-22 2013-09-1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all being received by a trunk on a packet network
US8619600B2 (en) 2006-08-22 2013-12-3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alls over a call path having best path metrics
US8130793B2 (en) 2006-08-22 2012-03-06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reciprocal billing for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s over a packet network
US9479341B2 (en) 2006-08-22 2016-10-2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diagnostics on a packet network node
US8189468B2 (en) 2006-10-25 2012-05-29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messages between networks
US8015294B2 (en) 2006-08-22 2011-09-06 Embarq Holdings Company, LP Pin-hole firewall for communicating data packets on a packet network
US8576722B2 (en) 2006-08-22 2013-11-0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connectivity fault management packets
US8144587B2 (en) 2006-08-22 2012-03-27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network resources using a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engine
US8064391B2 (en) 2006-08-22 2011-11-22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optimizing network performance to a wireless device
US8224255B2 (en) 2006-08-22 2012-07-17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frequency windows
US7843831B2 (en) 2006-08-22 2010-11-30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data on a packet network
US8307065B2 (en) 2006-08-22 2012-11-06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network operators
US8274905B2 (en) 2006-08-22 2012-09-25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graph representative of network performance over a time period
KR101331222B1 (ko) * 2006-12-19 2013-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단말장치, 통신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주소설정방법
US9129243B2 (en) * 2007-06-01 2015-09-08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strategic planning by utilizing roadmapping
US8068425B2 (en) 2008-04-09 2011-11-29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et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determine improved measures of path states
US8630193B2 (en) 2009-06-11 2014-01-14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a user to enhance communications
US8694618B2 (en) 2011-04-13 2014-04-08 Microsoft Corporation Maximizing data transfer through multiple network devices
US8627412B2 (en) * 2011-04-14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atabase connection reconnect
US9571331B1 (en) * 2012-11-21 2017-02-14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accessing local networks via a virtualized gateway
US20140258771A1 (en) 2013-03-06 2014-09-11 Fortinet, Inc. High-availability cluster architecture and protocol
US20150356633A1 (en) * 2014-06-09 2015-12-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djusting qos levels for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analytics
CN104539531B (zh) * 2014-12-25 2019-08-02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7490222A (zh) * 2017-09-08 2017-12-19 深圳市智物联网络有限公司 一种热泵的远程监控管理方法以及物联网管理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915A (en) * 1993-05-25 1995-08-29 Intel Corporation Parallel processing system virtu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protection and flow control
EP0631455A1 (de) * 1993-06-25 1994-12-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frechterhalten von virtuellen Verbindungen bei einem zumindest teilweisen Ausfall von Verbindungswegen
US5627821A (en) * 1994-03-15 1997-05-06 Hitachi, Ltd. Defect notification method in a multipoint ATM network
JP2826468B2 (ja) * 1994-04-27 1998-11-18 日本電気 株式会社 回線切替え装置
JP3070898B2 (ja) * 1994-08-31 2000-07-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装置
JP3036575B2 (ja) * 1994-08-31 2000-04-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網設定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5652789A (en) * 1994-09-30 1997-07-29 Wildfire Communications, Inc. Network based knowledgeable assistant
US5659544A (en) * 1994-10-17 1997-08-1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in wireless cellular and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US5682478A (en) * 1995-01-19 1997-10-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imultaneous services over multiple, simultaneous connections between a client and network server
US5684959A (en) * 1995-04-19 1997-11-0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topology of a network
US5627892A (en) * 1995-04-19 1997-05-0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Data security scheme for point-to-point communication sessions
US5751965A (en) * 1996-03-21 1998-05-12 Cabletron System, Inc. Network connection status monitor and display
US6064677A (en) * 1996-06-27 2000-05-16 Xerox Corporation Multiple rate sensitive priority queues for reducing relative data transport unit delay variations in time multiplexed outputs from output queued routing mechanisms
US6088451A (en) * 1996-06-28 2000-07-1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element access
AU6247198A (en) * 1997-01-16 1998-08-07 Bruce Cornett Method for connecting multiple heterogeneous computers to public networks using a single physical connection
US6055575A (en) * 1997-01-28 2000-04-25 Ascend Communications, Inc. Virtual private network system and method
JPH10271127A (ja) * 1997-03-27 1998-10-09 Toshiba Corp データ授受方式
WO1999023853A1 (en) * 1997-11-05 1999-05-14 Nokia Ip Inc. Multiport interfaces for a network using inverse multiplexed ip switched flows
US6157950A (en) * 1997-12-05 2000-12-05 Encanto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computer or small network to a wide are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US6658013B1 (en) * 1999-03-23 2003-12-02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survivability of inter-ring traffi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381A1 (en) * 1999-08-21 2001-03-01 Danal Co., Ltd.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second connection path
KR100889914B1 (ko) * 2002-09-19 2009-03-20 주식회사 케이티 다종 무선망 환경하에서의 무선 데이터 자동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3335A (en) 2006-05-31
SG81299A1 (en) 2001-06-19
TW454400B (en) 2001-09-11
EP1014647A2 (en) 2000-06-28
EP1014647B1 (en) 2005-02-23
JP3444483B2 (ja) 2003-09-08
EP1014647A3 (en) 2002-04-17
HK1026090A1 (en) 2000-12-01
KR100326984B1 (ko) 2002-03-06
DE69923827T2 (de) 2006-02-09
US6308281B1 (en) 2001-10-23
JP2000122947A (ja) 2000-04-28
CN1186907C (zh) 2005-01-26
CA2280101C (en) 2008-02-05
ATE289728T1 (de) 2005-03-15
DE69923827D1 (de) 2005-03-31
CA2280101A1 (en) 2000-03-02
CN1247425A (zh)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984B1 (ko) 복수의 물리적 접속을 통한 클라이언트-게이트웨이 가상 접속방법 및 시스템
US9571560B2 (en) Direct file transfer between subscribers of a communications system
US8769117B2 (en) Switching between connectivity types to maintain connectivity
US8719422B2 (en) Transparent reconnection
US7020700B1 (en) Client side socks server for an internet client
US64703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connection communication session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figuring Lines and Terminal Settings
Cisco Connection Commands
Cisco Connection Commands
Cisco Connection Commands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Cisco Configuring Terminal Lines and Modem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