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690A -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690A
KR20000022690A KR1019990032122A KR19990032122A KR20000022690A KR 20000022690 A KR20000022690 A KR 20000022690A KR 1019990032122 A KR1019990032122 A KR 1019990032122A KR 19990032122 A KR19990032122 A KR 19990032122A KR 20000022690 A KR20000022690 A KR 20000022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oxygen barri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827B1 (ko
Inventor
최원중
권오빈
정광식
Original Assignee
남창우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우,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창우
Priority to KR101999003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8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08L23/0861Saponified 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4Gas barrie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20∼80중량%, b) 에틸렌 공중합체 5∼79중량% 및 c)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와 분자량이 1,000∼5,000정도의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반응물 1∼30중량%로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용융성형성 및 상용성(compatibility)이 동시에 우수하므로 상기 조성물을 차단층으로 사용한 제품은 외관 (투명성 등)과 기계적 강도 및 산소차단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Oxygen barrier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이하 "EVOH"라 함)와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기체차단성, 기계적물성 및 외관이 우수한 필름, 시트,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우수한 성형성, 기계적 물성 및 습기에 대한 차단성능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기체 투과도가 높으므로 산소를 비롯한 기체의 차단성능이 요구되는 식품 포장용과 같은 용도에는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산소차단성이 우수한 고분자인 EVOH와 함께 공압출, 라미네이션 (lamination) 또는 코팅 (coating)에 의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필름, 시트 또는 용기로 제조되고 있다.
한편, EVOH는 기체차단성, 투명성의 면에서 우수한 수지로서 다층 성형품 제조시 기체차단층의 수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폴리올레핀에 비하여 월등히 비싸므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EVOH 층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함으로써 다층 성형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으나, 일정한 두께 이하로 EVOH 층을 얇게 하는데는 성형품의 품질균일도를 유지하기에 큰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기체차단층의 가격을 낮추는 방법으로서 EVOH를 가격이 낮은 폴리에틸렌과 혼합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으로 조성물을 제조할 때, EVOH와 폴리에틸렌간의 상용성 (compatibility)이 부족하여 두 혼합물의 제조가 어렵고, 이들 혼합물을 차단층으로 사용한 필름이나 시트의 외관이 불균일하며, 기계적 강도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때는 EVOH와 폴리에틸렌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제 3의 성분으로서 상용화제 성분을 함께 혼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와 외관이 우수한 조성물을 만들기 위한 상용화제의 선정이 주요한 기술적인 과제가 되어왔다.
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 15,556호 (1980)와 제 210,725호 (1987), 미국특허 제 4,971,864호 (1990) 및 미국특허 제 5,356,990호 (1994)에는 무수말레익산과 같은 극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폴리에틸렌에 그라프트 (graft) 중합된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산소차단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에 의한 차단성 수지 조성물은 여전히 성형품의 투명성 및 두께편차와 같은 외관이 불량하며, 상용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상용화제의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용융성형성이 저하되고 산소차단성도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어 상업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EVOH와 에틸렌 공중합체를 혼합함에 있어서, 두 수지간의 상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용융성형성도 우수하여 성형품의 외관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EVOH 20∼80중량%, 에틸렌 공중합체 5∼79중량% 및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와 분자량이 1,000∼5,000정도의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polyamide oligomer)의 반응물 1∼30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품은 상기 조성물을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포함하는 산소차단성 필름 또는 시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 EVOH 20∼80중량%, b) 에틸렌 공중합체 5∼79중량%, 및 c)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와 분자량이 1,000∼5,000 정도의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반응물 1∼30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VOH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에 의하여 생성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검화시킨 에틸렌-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가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EVOH의 검화도가 90% 미만일 때는 산소차단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검화도가 높을수록 산소차단성이 우수하다. 또한, EVOH의 에틸렌 함유율이 10몰% 미만일 때는 가공성이 나빠 용융성형이 어려우며 50몰%를 초과하면 산소차단성이 충분하지 않다.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로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α-올레핀과 공중합체 (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불포화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α-올레핀은 탄소수 4∼8개의 α-올레핀으로서,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 및 옥텐-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되며, 불포화산 유도체는 (메타)아크릴산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된다.
상기 c) 성분은 EVOH와 에틸렌 공중합체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용화제 성분으로 사용되며,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 50∼98 중량부에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2∼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융압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의 양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반응하지 않은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과량 존재하게 되어 본 조성물의 모폴로지 (morphology)와 용융성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산소투과율이 오히려 저하되며, 98 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와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므로 본 발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여기서, 반응이 진행되는 부분은 주로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말단기인 아민기와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의 무수산기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반응에 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수한 상용화제가 제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상용화제는 무수말레익산 대신에 폴리아미드의 주사슬이 그라프트 되어 있는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형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시에 폴리아미드의 주사슬이 EVOH의 상 (phase)에 침투되고,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주사슬이 에틸렌 공중합체 상에 침투함으로써 상용화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EVOH와 직접 반응이 가능한 무수말레익산기를 변형시킴에 의하여 상용화제와 EVOH와의 직접적인 반응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조성물 내에서의 가교반응을 최대한 억제하여 용융성형성, 성형물의 외관 및 기계적 물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탄소수 1∼12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의미하며, 1종 또는 그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공단량체 (comonomer)인 무수말레익산과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에틸렌과 공단량체와의 중합비는 조절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단량체의 중량비는 무수말레익산이 0.1∼10 중량부, 알킬(메타)아크리렐이트가 3∼30 중량부 정도가 적당하다. 무수말레익산은 본 발명에서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와의 반응을 일으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관능기이며, 상기 공중합체 내에서 0.1 중량부 이하일 경우는 본 발명의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시에 가교반응이 일어나기 쉬워 용융성형성이 나빠지므로 성형물의 외관이 나빠지게 된다. 한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를 감소시킴에 의하여 투명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게 함으로써, 제조된 상용화제가 조성물 내에서 용융시 흐름성이 좋으므로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이러한 효과를 얻기가 어려우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된 상용화제가 에틸렌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나빠지므로 상용화제로서의 효과가 매우 낮아지게 된다.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기 공중합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Elf Atochem 사의 LotaderR또는 Japan Polyolefin 사의 AdtexR등이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6, 폴리아미드-12, 및 폴리아미드-6/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차아민과 같은 분자량 조절제를 첨가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분자량이 1,000∼5,000 정도의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사용된다. 이때, 폴리아미드의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할 경우는 말단에 아민기가 적게 존재하고 용융압출시 흐름성이 나쁘므로 무수말레익산을 포함하는 상기의 공중합체들과의 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적어지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폴리아미드의 분자량이 1,000 미만으로 너무 작으면,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의 용융시 혼합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두 성분간의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품의 제조조건에 따라 건조혼합 (Dry Blending) 또는 용융혼합 (Melt Blending)된 후에 압출기로 혼입되어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블로운 (blown), 캐스트 (Cast) 압출성형 등의 가공 기기를 사용하여 가공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A, 접착성 수지를 B, 열가소성 수지를 C라고 할 때, A층 단독 또는 A/B, A/B/C, B/A/B, C/B/A/B/C, C/A/C/B/C, C/B/C/A/C/B/C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 시트 또는 용기로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인 접착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말레익산과 같은 불포화산으로 그라프트시킨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다층 구조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등을 그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가공조제, 염료,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가소제와 같은 첨가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특히 글리세롤, p-톨루엔설폰아미드류와 같은 EVOH에 대한 가소제를 첨가할 경우 차단층의 유연성 (Flex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샘플 (sample)의 산소차단성은, 1일동안 이들을 온도 23℃와 상대습도 50%의 습기조건에 방치한 후, 가스투과율 측정기 (모델명: Toyoseiki MC1, B-Typ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산소투과도의 단위는 cc/㎡·일·기압이다. 흐림도 (Haze)는 흐림도 측정기 (Nippon Denshoku사 300A Turbid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이다.
각 수지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 법에 의하여 190℃ 또는 210℃에서 2,160g의 힘을 가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g/10분이다. 각 수지의 밀도는 ASTM D-1505 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g/㎤이다.
실험에 사용한 EVOH와 에틸렌 공중합체의 종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수지종류 용융정도(2,160g, g/10분)
190℃ 210℃
EVOH E-1 에틸렌함량 44 몰% - 13
E-2 에틸렌함량 32 몰% - 12
에틸렌공중합체 P-1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0.7 -
P-2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0 -
P-3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비닐아세테이트 함량 15중량%) 1.5 -
실험에 사용한 c) 성분의 종류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수지 종류 용융점도 밀도(g/㎤)
190℃
C-1 에틸렌-무수말레익산-메틸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1) 10.9 0.937
C-2 에틸렌-무수말레익산-메틸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2) 13.7 0.935
C-3 에틸렌-무수말레익산-부틸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3) 7.6 0.943
C-4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4) 1.5 0.919
PAO 폴리아미드-6, 분자량 2,000 - -
C-5 C-1/PAO = 90/10 중량부의 반응물 5.7 -
C-6 C-1/PAO = 80/20 중량부의 반응물 2.5 -
C-7 C-2/PAO = 90/10 중량부의 반응물 6.5 -
C-8 C-2/PAO = 80/20 중량부의 반응물 2.7 -
C-9 C-3/PAO = 90/10 중량부의 반응물 2.1 -
1) Japan Polyolefin 사의 AdtexRET 182.
2) Japan Polyolefin 사의 AdtexRET 184M.
3) Japan Polyolefin 사의 AdtexRER 615F.
4) Elf Atochem 사의 LotaderR3410.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PAO)의 제조:
500ml 용량의 가압반응기에 카프로락탐 (ε-Caprolactam) 170g, 도데실아민 (Dodecylamine) 10.9g 및 물 3.9g을 넣고 밀봉한 뒤, 260℃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때, 가압반응기의 압력이 4.5 kg/㎠까지 상승하였다. 압력 조절 밸브를 열어 상압으로 맞춘 후 다시 260℃에서 2 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온도를 떨어뜨려 생성된 고체 성분을 얻었다. 이 고체성분들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파우더로 제조한 후 끓는 물에 넣고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80℃의 진공오븐에서 8 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열 분석 장비로 측정한 결과 얻어진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용융온도는 220℃이었다.
본 발명의 상용화제 C-5 ∼ C-9의 제조:
상기 표 2에서 기재된 중량부로 각각 건조혼합 (Dry Blending)한 후, 이 혼합물을 직경 19㎜의 이축스크류 (twin screw) 압출기를 이용하여 130-180-210- 220-210℃에서 용융압출함으로써 펠렛 (pallet)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E-2 50중량%, P-1 40중량%, 및 상용화제 10중량%를 각각 총량 2kg으로 텀블믹서를 사용하여 건조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직경 19mm의 이축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190-200-210-210-210℃에서 용융압출함으로써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6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차단층으로 사용하여 5층 캐스팅 필름 장비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접착층/차단층/접착층/폴리에틸렌의 구조를 갖는 5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2.8 (190℃, 2.16㎏)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접착층으로 용융지수가 3.5 (190℃, 2.16㎏)인 무수말레익산 변성 (그라프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MAH-g-LLDPE)을 사용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30/10/15/10/30㎛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용화제 차단층 펠렛 5층 필름 물성
용융지수(190℃, 2.16㎏) 두께편차 흐림도(Haze %) 산소투과율(cc/㎡.일.기압)
실시예 1 C-5 1.06 12 2.8
실시예 2 C-6 1.50 13 2.0
실시예 3 C-7 1.20 13 1.8
실시예 4 C-8 1.60 14 1.7
실시예 5 C-9 0.36 11 2.5
비교예 1 C-1 0.08 × 16 2.9
비교예 2 C-2 0.11 × 17 2.7
비교예 3 C-3 0.04 × 30 3.8
비교예 4 C-4 1.00 22 3.1
*◎;±10% 이내, ○;±10∼15%, △;±15∼20%, ×;±20% 이상
상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융성형성이 우수하여 두께편차와 투명성 (낮은 흐림도)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산소차단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9 및 비교예 5∼7
EVOH, 상용화제 및 에틸렌 공중합체를 하기 표 4에 기재된 무게비로 각각 총량 20kg으로 텀블 믹서를 사용하여 건조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3층 (3-Layer) 블로운 필름 머신 (제조회사: 독일 Kiefel사, 모델명: Rotex 40S/30S/40S)의 중간층 압출기 (Middle Layer Extruder)에 투입하고, 내부 (Inside)와 외부 (Outside) 압출기에는 접착성 수지인 무수말레익산-그라프트-폴리에틸렌을 투입하여 폭 500㎜, 두께 55㎛의 3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중간층 압출기의 스크류 압축비가 3.3:1인 스크류를 사용하였고, 중간층 압출기의 온도는 210℃로 유지하였다. 전자현미경 (Philips사 SEM 515)으로 측정한 결과 각층의 평균두께는 20/15/20㎛이었다.
EVOH/상용화제/폴리에틸렌의 각 무게비 흐림도(Haze, %) 산소투과율(cc/㎡.일.기압)
실시예 6 E-2/C-5/P-1= 60/7/33 11.2 2.0
실시예 7 E-1/C-8/P-1= 60/10/30 9.4 12.5
실시예 8 E-2/C-8/P-1= 50/7/43 12.8 4.9
실시예 9 E-2/C-9/P-2= 60/5/35 11.6 2.3
비교예 5 E-2/C-1/P-1= 60/5/35 23.6 10.1
비교예 6 E-1/C-2/P-1= 60/10/30 27.5 45.4
비교예 7 E-2/C-4/P-2= 60/7/35 27.3 12.5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차단층으로 하여 블로운 필름을 제조할 경우,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산소차단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11 및 비교예 8∼9
EVOH, 에틸렌 공중합체 및 상용화제를 하기 표 5에 기재된 무게비로 각각 총량 50Kg으로 텀블믹서를 사용하여 건조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직경 40㎜의 이축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190-200-210-210-210℃에서 용융압출함으로써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6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각각 직경이 각각 50/50/60/50/60㎜의 압출기 5개 (A/B/C/D/E)를 갖는 5중 공냉식 블로운 필름 압출기의 C-압출기에 투입하여 폭 1,200㎜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A층 및 E층 :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용융지수 1.0, 밀도 0.919)
B층 및 D층 : 말레익산 변성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MI 1.2, 밀도 0.90)
가공온도 ; - A,B,D,E 압출기 : 190-200-210-215℃
- C 압출기 : 200-210-215-220℃
- 어뎁터 (Adapter) : 225℃
- 다이 (Die) : 220℃
압출량 ; 200㎏/시간
필름두께는 A/B/C/D/E를 각각 15/10/12/10/15㎛로 하여 총 62㎛로 제조하였다.
EVOH/상용화제/에틸렌 공중합체의각 무게비 흐림도(Haze,%) 산소투과율(㏄/㎡·일·기압) 파단점 인장강도(㎏/㎠)(ASTM D638)기계적방향/횡방향
실시예 10 E-2/C-8/P-1 =60/7/33 12.6 2.7 218/175
실시예 11 E-1/C-9/P-2 =50/10/30 13.4 15.3 210/184
실시예 12 E-2/C-5/P-3 =60/7/33 10.5 3.4 223/190
비교예 8 E-2/C-2/P-1 =60/7/33 30.5 25.8 169/113
비교예 9 E-1/C-3/P-2 =50/10/30 33.2 83.2 185/117
비교예 10 E-2/C-1/P-3 =60/6/34 25.3 11.2 206/115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 필름의 외관, 산소차단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필름의 산소차단층으로 사용 가능한 EVOH와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용화제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상용화제들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조성물의 용융성형성 및 상용성이 동시에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차단층으로 사용한 성형품의 외관 (투명성 등)과 기계적 강도 및 산소차단성이 우수한 필름이나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20∼80중량%, b) 에틸렌 공중합체 5∼79중량% 및 c)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와 분자량이 1,000∼5,000정도의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반응물 1∼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함유율이 10∼50몰%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적어도 90% 이상 검화시킨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불포화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에틸렌과 α-올레핀과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무수말레익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와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반응비가 98:2∼50:50 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α-올레핀은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 및 옥텐-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산 유도체는 (메타)아크릴산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6, 폴리아미드-12 및 폴리아미드-6/12의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산소차단성 필름.
  11.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산소차단성 시트.
  12.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산소차단성 용기.
KR1019990032122A 1998-09-16 1999-08-05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31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122A KR100314827B1 (ko) 1998-09-16 1999-08-05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38243 1998-09-16
KR1019980038243 1998-09-16
KR1019990032122A KR100314827B1 (ko) 1998-09-16 1999-08-05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90A true KR20000022690A (ko) 2000-04-25
KR100314827B1 KR100314827B1 (ko) 2001-11-15

Family

ID=2663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122A KR100314827B1 (ko) 1998-09-16 1999-08-05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8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675B1 (ko) * 2000-02-15 2006-07-31 바프렉스 주식회사 산소차단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93390B1 (ko) * 2000-12-06 2007-03-09 바프렉스 주식회사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93388B1 (ko) * 2000-12-06 2007-03-09 바프렉스 주식회사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675B1 (ko) * 2000-02-15 2006-07-31 바프렉스 주식회사 산소차단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93390B1 (ko) * 2000-12-06 2007-03-09 바프렉스 주식회사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93388B1 (ko) * 2000-12-06 2007-03-09 바프렉스 주식회사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827B1 (ko) 200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7762B1 (en) A resinous composition, molded articles and containers made thereof and its use
EP0152180B1 (en) Polyvinyl alcohol alloys
KR101125333B1 (ko) 에틸렌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필름층
US20140205821A1 (en) Modified flexible evoh for high performance films
KR20030057307A (ko)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블렌드 조성물
KR0143995B1 (ko) 기체 차단성을 갖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기제의 조성물
JP2002537408A (ja) ポリオレフィンとポリビニールアルコールの組成物から成形したフィルム、シート、成形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多層構造製品
EP1854626B1 (en) Thermoformable packaging film
JP2002234975A (ja) アイオノ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0314827B1 (ko)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EP2123451B1 (en)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192963A1 (en) Modified ethylene-vinyl alcohol resi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0161647B1 (ko) 산소 차단성 다층필름
EP0483736B1 (en) Resin composition
TWI805712B (zh) 用作多層結構中之黏結層之樹脂及包括其的多層結構
US6156401A (en) Oxygen barrier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containing the same
KR100547353B1 (ko)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산소차단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KR100605675B1 (ko) 산소차단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93388B1 (ko)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93390B1 (ko)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970636B1 (ko) 고탄성 및 내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스킨포장용 다층 필름
KR100904950B1 (ko)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0326587B1 (ko) 산소차단성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품
JPS63291937A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混合物
FI86874C (fi) Gastaett material, som innehaoller invaendigt mjukgjord polyvinylalkoh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