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410A - 열교환기에 연결된 도관내의 유체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밸브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에 연결된 도관내의 유체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410A
KR20000022410A KR1019980710842A KR19980710842A KR20000022410A KR 20000022410 A KR20000022410 A KR 20000022410A KR 1019980710842 A KR1019980710842 A KR 1019980710842A KR 19980710842 A KR19980710842 A KR 19980710842A KR 20000022410 A KR20000022410 A KR 2000002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passages
end plat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프 브롬그렌
Original Assignee
랄프 브롬그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브롬그렌 filed Critical 랄프 브롬그렌
Publication of KR2000002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41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16K3/2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with fluid passages in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39Four port revers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788With valve or movable deflector at junction
    • Y10T137/87804Valve or deflector is tubular passage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로, 또는 열교환기로부터 각각 유체를 안내하는 도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냉각수를 개천수, 강물, 해수 등으로부터 취하는 시스템에 사용된 열교환기는 종종 막힘과 관련된 문제점을 가진다. 열교환기의 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열교환기를 규칙적으로 백플러싱하는 것이다. 즉, 예를들어 하루당 몇 번씩 흐름방향을 역전시켜서 열교환기의 입구측 영역과 부딪히는 염류 및 미립자를 이들이 유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쓸어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원통형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있는 밸브몸체(18)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또한 열교환기로 각각 유체를 안내하는 도관은 케이싱의 각 단부판내에 있는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배열된 연결튜브에 연결되며, 밸브몸체의 약 90°의 회전으로 상기 몸체가 두 개의 다른 위치로 변환되어 상기 유체는 관통로(19,20,21,22)를 경유하여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에 연결된 도관내의 유체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밸브
본 발명은 열교환기로, 또는 열교환기로부터 각각 유체를 안내하는 도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밸브는 회전가능한 밸브몸체 및 단부판을 갖는 원통형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는 원통형 케이싱의 가상축과 동축인 회전축을 가지며, 4개의 관통로가 상기 밸브몸체를 관통해 연장하도록 지향되어서 유체의 주 흐름방향이 상기 밸브몸체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상기 밸브몸체가 제 1 회전방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관통로 내부의 개구가 각각의 단부판내에 있는 두 개구 정면에서 보아 직각이고 상기 밸브몸체가 제 2 회전방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다른 관통로내부에 있는 상기개구가 상기 단부판의 개구의 정면에서 보아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수를 개천수, 강물, 해수 등으로부터 취하는 열교환기는 종종, 관의 막힘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가진다. 그러한 이유는 한편으론, 염류 및 입자들이 냉각채널의 내벽에 부딪히고 다른한편으론, 생물학적인 성장이 그 이유이다.
열교환기의 청정상태를 유지하는 간단하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은 열교환기를 규칙적으로 백플러쉬(backflush)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흐름방향은 예를들어, 매일 한 번 이상씩 역류시키는 것이다. 염류 및 미립자의 흐름방향을 역류시켜 열교환기의 입구측 영역과 충돌시킴으로써, 유입될 때와 동일하게 유출될 수 있다.
그러한 백플러싱 시스템은 보통, 도관의 입출구를 연결하는 4개의 밸브 및 두 개의 튜브로 구성된다. 그러한 시스템을 위한 투자비용은 열교환기 자체의 비용보다도 오히려 높을 때가 있다. 그러므로, 백플러싱은 열교환기의 효율감소로 인한 불필요한 열손실을 초래할 정도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전술한 형태의 백플러싱 시스템은 다른 단점, 즉 밸브의 오 개폐의 위험성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4개의 밸브의 경우에, 각각 두 개의 위치를 가지므로 밸브위치의 조합은 총 16개가 가능하며, 따라서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의 신뢰성이 아주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것과 유사한, 즉 냉각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밸브가 US-A-4 203 469호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는 회전가능한 몸체, 및 케이싱과 밸브의 기능에 필수적인 여러개의 부품이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단부판 부품으로 구성된 밸브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단부판에는 밸브와 도관과의 연결을 위해 연장해 있는 두 개의 튜브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에는 밸브몸체의 회전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상기 단부판중의 하나는 스프링에 의해 밸브몸체의 한 단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봉 와셔를 가지며, 다른 단부판에는 밸브몸체의 회전을 위한 전기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당히 작은 튜브칫수를 갖는 시스템에 가장 적합하며 여러 측면에서 복잡성 때문에 대형의 밸브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하 설계에 있어서, 기능의 오작동 위험은 습기, 특히 해수가 냉각시스템에 사용되었을 경우 매우 부식에 민감하므로 냉각 시스템에의 사용시 매우 크다. 미국 특허출원 번호 4 203 469호에 기술된 밸브는 4개의 관통로가 밸브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이들 4개의 관통로가 밸브 몸체의 중간영역과 동일한 직경으로 통과되듯이 매우 큰 부피를 차지한다. 상기 밸브몸체 중간부의 횡단면은 관통로 직경의 합보다 상당히 큰 매우 큰 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용 백플러싱 시스템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취급이 보다 더 간단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비용은 4개의 밸브를 하나의 밸브로 줄이고 상기 배관을 보다 더 간단하게 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의 구성은 기계가공이 거의 없는 간단한 구성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보다도 더 중요하다. 이후에 전술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백플러싱의 취급은 백플러싱 작업시 단지 하나의 밸브만을 작동시키면 되고 상기 밸브는 단지 두 개의 위치만을 가지므로 간단해 진다. 이러한 간단함으로, 예를들어 백플러싱 밸브의 원격제어를 위한 개선된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밸브는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실린더 또는 피봇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가능한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공지의 원리에 따른 백플러싱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플러싱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백플러싱의 사시도이며,
도 4는 관통로의 배열원리 및 밸브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백플러싱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백플러싱 밸브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백플러싱 밸브를 Ⅰ-Ⅰ선에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도 5의 백플러싱 밸브를 Ⅱ-Ⅱ, Ⅲ-Ⅲ, 및 Ⅳ-Ⅳ선을 따라 각각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12는 밸브몸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은 열교환기내의 흐름을 역전시켜 유체를 열교환기로 또는, 열교환기로부터 안내하는 도관(2,3)내의 흐름방향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열교환기의 백플러싱을 가능하게 하는 밸브(4-7)의 배열을 갖는 평판형 열교환기(1)를 도시한다.
정상적인 위치에서, 상기 밸브(4,5)는 개방되고 상기 밸브(6,7)는 폐쇄된다. 상기 도면에서, 도관(2)은 입구도관이고 도관(3)은 출구도관이며, 이는 유체가 도관(2)과 밸브(4)를 통해, 그리고 입구포트(10)를 통해 열교환기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상기 유체는 출구포트(11)와 밸브(6) 및 도관(3)을 통해 열교환기를 이탈한다. 열교환기의 백플러싱시, 상기 밸브(4,5)는 폐쇄되고 밸브(6,7)는 개방된다. 상기 도관(2)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도관(8) 내측으로 하향 압박되어 밸브(7)를 통해 상기 포트(11)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후, 상기 유체는 정상의 흐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열교환기를 통과한다. 상기 유체는 포트(10)를 통해 열교환기를 이탈하여 포트(10), 밸브(5) 및 도관(9)을 통과한 후에 도관(3)을 이탈하게 된다.
도 2는 입구 및 출구 도관(2,3)상에 백플러싱 밸브(12)를 갖는 평판형 열교환기(1)를 도시한다. 상기 백플러싱 밸브는 도 1의 밸브(4-7) 및 도관(8,9)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정상작동시, 백플러싱 밸브의 밸브몸체는 입구측 도관(2)이 입구측 포트(10)에 연결되고 출구측 도관이 상기 밸브 몸체내의 적합하게는 원통형인 관통로를 경유하여 출구측 포트(11)에 연결되는 그러한 위치로 회전된다.
백플러싱시, 상기 밸브몸체는 다른 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입구측 도관(2)은 출구측 포트(11)에 연결되고 출구측 도관(3)은 입구측 포트(10)에 연결된다. 상기 백플러싱 밸브의 설계와 기능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태지만 도 2의 밸브에 비해 90°회전된 백플러싱 밸브를 도시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은 두 개의 평탄한 단부평판(13a,13b), 케이싱(14) 및 상기 단부판과 케이싱을 결합상태로 유지하는 스크류 조인트(17)를 포함한다. 두 개의 다른 단부평판(13a,13b)에는 열교환기로부터, 또한 열교환기로 유체를 각각 안내하는 도관에 연결된 외측으로 연장하는 연결튜브(15a,15b,16a,16b)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튜브는 플랜지 또는 다른 형태의 튜브 커넥터없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러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같이 지향된 밸브내에 배열되어 있을 때 정상위치에 있다는 가정하에 도시한 밸브몸체(18)의 개략적이 도면이다. 4개의 관통로(19-22)가 밸브몸체를 통해 연장하며 밸브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개구(19a-22a, 19b-22b)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구들은 밸브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약 90°의 각도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관통로(19,20)는 회전축선을 구성하는 밸브몸체의 가상 종축선에 평행하며 직경방향으로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부분을 가지며 정상작동시, 상기 밸브몸체는 유체가 상기 관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회전위치를 가지므로, 상기 밸플러싱 밸브는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튜브가 제공하는 것보다 더 높은 압력강하를 유발하지 않는다.
상기 관통로(21,22)가 밸브몸체를 경사지게 통과하므로, 상기 통로의 개구는 180°로 변위된다. 만일 밸브몸체가 종축선 주위에서 90°로 회전되고 도 3의 밸브 하우징에 내장되면, 상기 연결튜브(15a)가 연결튜브(16b)(15b는 16a에)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목적인 유체의 흐름방향의 변경이 달성된다.
상기 두 단부판(13a,13b) 및 케이싱(14)은 상기 단부판을 통해 연장하는 길다란 스크류(17a)를 갖는 스크류 조인트에 의해 함께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스크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단부중 하나의 단부에 너트(17b)를 가진다. 상기 스크류 조인트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상기 단부판과 케이싱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유닛을 형성함으로써 현재 사용되는 도관내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힘과 토오크에 저항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밸브의 좌측 단부판을 도시한다. 본 도면의 밸브는 원형 단부판을 가지나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소형 밸브를 위해서는 두 개의 스크류를 갖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며, 그러한 경우에 상기 단부판은 길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가 4개의 스크류를 갖는다면 비용측면에서 정방방형 단부판이 가장 적합하다.
도 7은 관통로(19,20)가 연결통로(15a,15b,16a,16b)의 정면에서 보아 각각 우측의 위치에 있는 밸브몸체(18)를 도시한다. 상기 두 개의 경사진 관통로(21,22)는 밸브몸체의 직경감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밸브몸체의 중심부분에 다소 길다란 부분을 가진다.
상기 케이싱(14)은 단부에 플랜지(14b)가 제공되어 있는 배럴(14a)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플랜지에는 단부판(13a,13b)에 대해 각각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켓(32a)을 갖는 가스켓 홈(32)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의 내측이 유체와 접촉하므로 상기 케이싱은 바람직하게,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품질을 갖는 재료, 예를들어 티타늄 또는 보강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상기 케이싱이 금속재료로 제조되면 상기 플랜지는 바람직하게 배럴에 용접된 링을 가진다. 상기 케이싱이 보강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면 상기 플랜지는 제작시 케이싱과 합체된다.
상기 밸브몸체의 두 개의 평탄 단부면에는 각각의 개구(19a-22a,19b-19b) 주위에 가스켓(31a)을 갖는 가스켓 홈(31)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단부판(13a,13b)에 대해 밀봉결합된다. 일정한 압력강하가 열교환기에서 항상 발생하는데, 이는 상기 압력이 출구도관내에서 보다 입구도관에서 다소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압력차가 입구측 도관으로부터 출구측 도관에서의 누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두 개의 협력 관통로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에 대해 밀봉되어야 한다. 도 8은 상기 단부판상의 커버판(29)과 결합하는 가스켓을 도시한다.
상기 단부판(13a,13b)은 밸브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체압력에 대항하기 위해 다소 튼튼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허용가능한 변형치에 대한 요건을 만족해야 하며, 다른한편으론 누출위험으로 인한 가스켓(31a)의 압력을 낮게 하므로 외피의 휨을 너무 크게 해서는 않된다. 상기 단부판을 저합금의 압력용기 강으로 제조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만족할 만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단부판의 내측면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도록 커버판(29)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커버판으로 상기 단부판의 전체 내측면을 덮을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가스켓(32a)이 결합될 정도의 크기는 가져야 한다. 도 8은 커버판(29)이 상기 연결 튜브(15b)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연결튜브에는 커버판내에 칼라(29a)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는 연결튜브의 내측으로 연장되어서 커버판 내부의 재료가 단부판내의 저합금강에 의해 오염될 어떠한 위험없이 용접물(29b)이 밀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는 종축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게 현수된다. 스텃축(23)이 단부판(13a)내측으로 나사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텃축의 단부는 부드러운 원형부로 구성되고 회전시 밸브몸체내에 있는 재료의 마모를 방해하기 위해 밸브몸체내에 베어링(2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의 우측단부는 밸브몸체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오크가 현수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스텃축(25)를 경유하여 도입될 수 있는 약간 상이한 방식으로 현수되어 있다. 상기 스텃축(25)이 밸브몸체 내측으로 도입되어 있는 정방형부(25a)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는 반면에, 스텃축이 내부에 도입되는 구멍이 대응하는 정방형부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상기 스텃축은 상기 밸브몸체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방식, 예를들어 키이 조인트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스텃축과 밸브몸체 사이의 상호 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텃축(25)은 반경방향의 힘을 받는 베어링(26)내의 단부판(13b)에 저어널된 원통형부(25b)를 가진다.
상기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는 주위보다 높은 압력을 가지며 상기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제(27)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밀봉제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밀봉재료의 일정한 압축이 필요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너트(28)가 제공되는데 상기 너트는 밀봉제가 압축되기 전에 과도한 크기를 가진다. 상기 너트는 스텃축의 원형부(25a)상의 외측 단부면과 결합하므로 상기 스텃축이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너트는 양호한 저어널 특성을 갖는 재료, 예를들어 청동으로 제조된다.
도 9는 밸브몸체(18)의 단부면과 케이싱(14)을 도시한다. 상기 단면Ⅱ-Ⅱ는 상기 단부판(13a)과 밸브몸체(18) 및 케이싱(14) 사이에 있는 각각의 조인트 단면이며, 상기 단면은 단지, 스크류(17a)와 스텃축(23)을 통해 절단한 것이다. 상기 가스켓(31a)은 각각의 관통로(19-22) 주위에서 볼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32a)은 플랜지(14b)내에서 볼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단면 Ⅱ-Ⅱ, Ⅲ-Ⅲ 및 Ⅳ-Ⅳ로부터 상기 관통로(21,22)의 단면들이 밸브몸체의 길이를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 가를 알 수 있다. 상기 4개의 관통로가 밸브몸체의 동일 직경부를 절단했을 때 상기 단면부분들이 밸브몸체의 중앙부내에서 길다랏게 연장하도록 상기 관통로를 설계함으로써, 상기 밸브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여러 이유로 바람직하다. 한편으론, 제작비용이 밸브의 크기에 의존하므로 커다란 밸브보다 작은 밸브를 제작하는데 적은 비용이 소요되며, 다른 한편으론 밸브가 작아 점유공간이 작아 설치시 유리하며 취급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도시된 밸브는 전체 길이를 따라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반면에, 두 개의 다른 관통로는 변화된 횡단면을 가진다. 4개의 모든 관통로가 길이를 따라 변화되는 형상을 갖고 동일한 직경부를 가로지르는 길다란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면, 상기 밸브의 직경은 도시된 밸브에 대해 다소 감소될 수 있다.
도 12는 두 개의 단부판(34,35)과 상기 단부판 사이에 있는 4개의 튜브(36-39)로 구성되는 밸브몸체(33)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튜브는 관통로(19-22)가 밸브몸체(18)내의 개구를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단부판내의 개구를 연결한다. 즉,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배열된 튜브는 밸브몸체의 가상 종축선과 평행하고 두 개의 튜브는 한 단부판내의 각각의 개구로부터 다른 단부판내에 직경으로 배열된 개구로 연장한다.
상기 밸브몸체(33)는 한편으론 강하면서 형상이 안정적이고 다른 한편으론, 양호한 내식성을 갖는, 예를들면 금속, 세램 또는 보강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다. 물론, 여러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여러개의 복합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밸브몸체의 관통로 내부의 흐름저항은 가능한한 적어야 한다. 이러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관통로용 유압직경은 연결튜브(15a,16b,15a,16b)용 유압직경과 동일해야 한다. 정상작동시, 상기 밸브몸체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두 개의 관통로는 이들 통로가 직선튜브에 비해 추가의 압력손실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유압 통로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다소 큰 압력손실을 유발하는 밸브몸체를 통해 비스듬이 연장하는 상기 두 개의 다른 튜브는 상기 유체 흐름이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강요받지만 백플러싱이 단지 짧은 시간주기동안에만 발생하므로, 펌핑에너지의 전체 증가는 단지 미소하다.
두 개의 평탄 단부판으로 구성된 밸브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밸브몸체를 갖는 백플러싱 밸브의 설계는 단부판과 중간부품-밸브몸체와 케이싱-사이의 경계면은 평면상에서 평행하다. 이는 케이싱과 밸브몸체가 유지보수 작업시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의 조립도 단지 스크류 조인트(17)와 스텃축(23,25)을 조작하는 것이 전부이다. 그후, 상기 케이싱과 밸브몸체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단부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도관 모두는 백플러싱 밸브의 유지보수 작업시 분해할 필요가 전혀 없다.
전술한 백플러싱 밸브는 두 개의 분해가능한 단부판을 구비한 밸브 하우징을 갖지만, 하나의 단부판이 케이싱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다른 단부판이 제거가능한 실시예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케이싱에는 튼튼한 플랜지가 제공되어서 적절한 종류의 스크류 조인트, 예를들어 플랜지와 단부판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스크류 또는 후크 스크류에 의해 단부판을 느슨하게 부착할 수 있어야 한다.

Claims (7)

  1. 열교환기(1)로, 또는 열교환기(1)로부터 각각 유체를 안내하는 도관(2,3) 내부의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밸브(12)로서, 상기 밸브는 회전가능한 밸브몸체(18) 및 단부판을 갖는 원통형 케이싱(14)으로 구성되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18)는 원통형 케이싱(14)의 가상축과 동축인 회전축을 가지며, 4개의 관통로(19-22)가 상기 밸브몸체(18)를 관통해 연장하도록 지향되어서 유체의 주 흐름방향이 상기 밸브몸체(18)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상기 밸브몸체(18)가 제 1 회전방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관통로(19,20) 내부의 개구(19a-20b)가 각각의 단부판(13a,13b)내에 있는 두 개구의 정면에서 보아 직각이고, 상기 밸브몸체(18)가 제 2 회전방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다른 관통로(21,22))내부의 개구(21a22b)가 상기 단부판(13a,13b)내에 있는 개구의 정면에서 보아 직각으로 형성되는 도관내의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밸브에 있어서,
    두 개의 대향하는 관통로(19,20)가 상기 밸브몸체(18)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고 상기 두 개의 다른 관통로(21,22)가 밸브몸체(18)를 통해 경사지게 연장하여서, 상기 관통로의 각각의 단부(21a-22b)가 약 180°로 변위되고 상기 관통로(19-22)의 두 개 이상의 관통로가 상기 밸브몸체(18)의 중앙부에 원형단면부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의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거의 균일한 두께의 두 개의 평탄 단부판(13a,13b)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단부판은 두 개가 직경방향으로 배열된 연결튜브를 갖도록 배열되어 상기 한 단부판에 있는 연결구멍은 다른 단부판(13b)에 있는 연결구멍의 정면에서 보아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원통형 케이싱(14) 및 두 개의 제거가능한 단부판(13a,13b)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부판(13a,13b)은 단부판(13a,13b)의 외측 원주변을 따라 스크류 조인트에 의해 케이싱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7a)가 두 개의 단부판(13a,13b) 사이로 연장되어서 상기 단부판은 스크류(17a)를 조임으로써 케이싱(14)에 대해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영구 부착된 단부판과 제거가능한 단부판을 갖는 원통형 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부판은 단부판의 원주변을 따라 스크류 조인트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2,3,)에 밸브(12)를 연결하기 위한 튜브형 장치(15a-16b)가 상기 밸브몸체(18)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열교환기(1)내의 냉각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6항에 따른 밸브의 용도.
KR1019980710842A 1996-07-04 1997-07-03 열교환기에 연결된 도관내의 유체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밸브 KR20000022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2635A SE9602635L (sv) 1996-07-04 1996-07-04 Ventil för ändring av flödesriktningen hos ett fluidum i rörledningar, och dess användning vid väremväxlare
SE9602635-6 1996-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410A true KR20000022410A (ko) 2000-04-25

Family

ID=2040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42A KR20000022410A (ko) 1996-07-04 1997-07-03 열교환기에 연결된 도관내의 유체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58974A (ko)
EP (1) EP0907848B1 (ko)
JP (1) JP2000514535A (ko)
KR (1) KR20000022410A (ko)
DE (1) DE69717628T2 (ko)
SE (1) SE9602635L (ko)
WO (1) WO19980016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924A (ko) * 2000-06-22 2002-01-09 이구택 강판 코팅롤의 수분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0124C2 (sv) 2002-07-31 2003-05-27 Marinnovation Hb Backspolningsventil med genomströmmat ventilhus
US6936112B2 (en) * 2002-11-26 2005-08-30 Refined Technologies, Inc. Heat exchanger cleaning process
US6978793B1 (en) 2003-05-21 2005-12-27 Phex Llc Portabl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pass plate and frame heat exchangers
US7631661B2 (en) * 2004-08-23 2009-12-15 Zhejiang Sanhua Co Ltd. Straight flow reversing valve
GB2431979B (en) * 2005-08-17 2010-04-28 Ranco Inc Straight flow reversing valve
JP4991408B2 (ja) * 2007-06-19 2012-08-01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水冷式空気圧縮機
DE102008029968A1 (de) * 2008-06-26 2009-12-31 Bürkert Werke GmbH & Co. KG Mehrkanal-Verteilventil
US20110281516A1 (en) * 2008-09-22 2011-11-17 Newcomer Douglas A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configuring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US20100071888A1 (en) * 2008-09-22 2010-03-25 Newcomer Douglas A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611558B2 (ja) * 2008-11-04 2014-10-22 株式会社不二工機 多方切換弁
US20100108570A1 (en) * 2008-11-06 2010-05-06 Nath Cody W Method for improving liquid yield in a delayed coking process
KR100897366B1 (ko) 2009-03-03 2009-05-15 신민철 부단수 밸브 교체 장치
US8480812B2 (en) * 2009-06-04 2013-07-09 Refined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removing hydrocarbons and noxious gasses from reactors and media-packed equipment
US20110056694A1 (en) * 2009-09-10 2011-03-10 Refined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Removing Paraffinic Hydrocarbon Or Bitumen In Oil Producing Or Disposal Wells
FR2960289B3 (fr) * 2010-05-21 2012-05-11 Solios Environnement Procede et dispositif de desencrassement
US20130281000A1 (en) * 2012-04-23 2013-10-24 Douglas A. Newcome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configuring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US9415151B2 (en) * 2012-09-25 2016-08-16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Blood flow reversal valv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SE540689C2 (en) * 2013-11-25 2018-10-09 Esbe Ab An valve for an indoor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and an air temperature conditioning unit including such a valve
JP6478585B2 (ja) * 2014-11-26 2019-03-06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JP6478586B2 (ja) * 2014-11-26 2019-03-06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PL228837B1 (pl) * 2015-03-24 2018-05-30 Pozniak Artur Sposób zmiany kierunku przepływu powietrza w systemach wentylacyjnych i urządzenie do zmiany kierunku przepływu powietrza w systemach wentylacyjnych
CN106052477A (zh) * 2016-06-07 2016-10-26 新疆中泰化学阜康能源有限公司 膜法除硝装置中的深冷换热器的一键冲洗的方法
CN106015150A (zh) * 2016-08-11 2016-10-12 青岛大学 一种二位四通转盘式换向阀
ES2704374A1 (es) 2017-09-08 2019-03-15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Medios para evitar la obstrucción de un condensador de placas de una máquina lavavajillas doméstica
CN109944959A (zh) * 2017-12-21 2019-06-28 江西理工大学 一种阀芯回转式电液伺服阀
JP7282863B1 (ja) 2021-12-06 2023-05-29 櫻護謨株式会社 切換機構、および車両
CN114522289B (zh) * 2022-02-28 2023-06-30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一种膀胱冲洗装置
WO2024063071A1 (ja) * 2022-09-21 2024-03-28 愛三工業株式会社 流路切替装置
CN115790256A (zh) * 2022-12-29 2023-03-14 山东鼎浩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撬装式涡流热膜换热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3241C (de) * 1948-12-29 1951-04-02 Rosenblads Patenter Ab Oberflaechen-Waermeaustauscher
DE1134256B (de) * 1961-06-21 1962-08-02 Zentrales Projektierungsbuero Drehschieber fuer Fluessigkeiten und Gase
US4203469A (en) * 1978-06-09 1980-05-20 Gates James T Four way reversing valve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DE3430860C2 (de) * 1984-06-15 1994-08-25 Mesroc Gmbh Mehrwege-Armatur zum Umlenken von Strömungsrichtungen und/oder Regeln von Fördermengen von in Rohrleitungssystemen geführten, gasförmigen oder flüssigen Medien, insbesondere bei Röhrenwärmeaustauschern
EP0190318A1 (de) * 1984-08-22 1986-08-13 MESROC GmbH Vertrieb technischer Produkte Mehrwege-armatur zum umlenken von strömungsrichtungen von gasförmigen oder flüssigen medien
CA1269910A (en) * 1986-07-10 1990-06-05 John M. Dewil Fluid flow control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924A (ko) * 2000-06-22 2002-01-09 이구택 강판 코팅롤의 수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58974A (en) 2000-05-09
DE69717628D1 (de) 2003-01-16
SE504895C2 (sv) 1997-05-20
SE9602635L (sv) 1997-05-20
SE9602635D0 (sv) 1996-07-04
EP0907848B1 (en) 2002-12-04
DE69717628T2 (de) 2003-04-30
EP0907848A1 (en) 1999-04-14
JP2000514535A (ja) 2000-10-31
WO1998001688A1 (en) 199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2410A (ko) 열교환기에 연결된 도관내의 유체 흐름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밸브
US4635674A (en) Diverter valve assembly and method
US3348804A (en) Valve construction
AU642213B2 (en) A ball valve
US7900653B2 (en) Two-way ball valve to prevent backwash
JPS5884291A (ja) スリ−ブ式分流器
US3323537A (en) Rotary valve of welded tube and plat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US4976403A (en) Valve with metallic bellows valve stem seal
US7117882B2 (en) Valv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flow of a fluid in pipe conduits
US3841601A (en) Fabricated ball valve
CA1224453A (en) Fabricated ball valve
US9441740B2 (en) Cartridge seated plug valve
CN115727203A (zh) 一种液压管路用高压密封连接结构
CA1287035C (en) Trunnion type ball valve
CN212804388U (zh) 一种便于快开换向的阀体
US4653536A (en) Fluid flow reverser assembly
JP2008309224A (ja) ボールバルブ
GB2105427A (en) Erosion protection of pipework joints especially in a filtering system
RU2153114C2 (ru)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ий прямоточный кран
CN210218754U (zh) 一种安装有支撑件的天然气管道阀门结构
JP2534899Y2 (ja) バタフライ弁
WO1998027372A1 (en) Plastic sleeved rotary valve
EP1540213B1 (en) Ball valve
RU11856U1 (ru) Шаровой кран
JP2527277Y2 (ja) ねじ込み形バタフライ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