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564U - 자동차용 냉방방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방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564U
KR20000021564U KR2019990009438U KR19990009438U KR20000021564U KR 20000021564 U KR20000021564 U KR 20000021564U KR 2019990009438 U KR2019990009438 U KR 2019990009438U KR 19990009438 U KR19990009438 U KR 19990009438U KR 20000021564 U KR20000021564 U KR 200000215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assage
cushion
backrest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7573Y1 (ko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이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국 filed Critical 이병국
Priority to KR2019990009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573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냉방방석(1)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름철 엉덩이와 등 부위를 받쳐주는 좌석에 냉방방석(1)을 올려놓아 차가운 공기를 발생시켜주는 에어컨과 연결하여 열전달에 의해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 부위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시원하게 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방방석(1)에 관한 것이다. 일측으로 자동차의 에어컨으로부터 발생되어 공급되는 냉기를 주입할 수 있는 냉기주입구(7)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되는 냉기가 순환할 수 있는 에어 통로가 2중으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통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막대걸림돌기(22)와 고무막대걸림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통로를 단일체로 감싸주는 커버(2)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방방석 {an air-conditioned cushion which is used on a car sea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냉방방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름철에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 부위를 시원하게 해 줄 수 있는 자동차용 냉방방석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냉방방석으로 일반적으로 개방형과 밀폐형의 2가지가 있는 데, 개방형냉방방석은 방석내에 통풍(바람)구멍을 가지고 일종의 냉매가스인 공기가 직접 인체에 닿도록 하여 시원하게 하는 방식이며, 밀폐형냉방방식은 냉매가스가 냉방방석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단지 열전달에 의해 인체를 시원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개방형냉방방식은 등이나 엉덩이 뒷부분으로 갈수록 유압이 적어져 냉기주입구와 연결된 부분에만 약간의 냉방효과가 있을 뿐 냉방방석 전체에 걸쳐서는 냉방효과가 전혀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밀폐형냉방방식도 그 구조상 정도는 덜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상존하여 유압이 떨어지지 않게 그 냉매흐름의 동력원이 세고 크게 하려다보니 장치가 크고 비싸게 되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89년 실용신안출원(출원번호 89-18759호)된 '자동차 의자 방석 송풍장치'는단턱이 형성된 본체내면에 다수의 돌출관을 정렬형성하여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상판을 괘삽하여 공지자체에어그릴 주면에 접착된 레일에 삽착된 모음구와 ON,OFF 스위치를 구성한 연결호스로 연결시켜 에어그릴의 냉,온풍을 방석에서 분출하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은 개방형으로서 유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등판의 방석은 커녕 착석 엉덩이 뒷부분에까지도 아예 냉,온풍이 도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그 효과가 없다라고까지 할 수도 있었다. 나아가 돌출관이나 다수 통공이 천공된 상판등으로 인해 그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도 많아 실용성이 거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1993년 특허출원(출원번호 96-16448호)된 '통풍시트'는 “도전성 고무방석 일측에 팬(FAN)식 공기주입기를 장착하여 외부공기를 강제주입시켜 시트 상면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통풍성을 높일 뿐 아니라 돌기에 의한 지압효과와 매입된 자석의 자력선에 의한 혈액순환의 촉진을 도와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 역시 상기한 개방형의 단점과 제조의 어려움 및 고제조비용등의 원천적인 문제점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어서 상기한 실용신안등록출원 89-18759호와 비교하여 볼 때, 돌기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 할 수 있으며, 재질을 도전성 고무방석에 규칙적으로 다수의 돌기를 일체화시키고 시트 내면에 다수의 자석을 매입시킴으로써 혈액순환의 촉진을 약간 향상시킨 효과는 있어 보인다. 그러나 그 효과가 조금 개선된 것에 비해 상기 구성으로 인해 통풍성이 향상되기는 커녕 오히려 바람이 흘러다닐 수 있는 공간체적이 커져 유압의 감소가 현격해지고, 또한 제조비용이 더 커져 그 실용성이 더욱 없어졌다는 단점이 있었다.
세째, 상기한 개방형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출원번호 95-33817)된 '냉매가스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트 냉방구조'는 밀폐형으로써 “시트의 쿠션과 등받이가 펌프에 의해 냉방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튜브를 설치하고, 이것들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일부를 에어콘의 증발기 내부에 배관하여, 증발기 내부의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에서 흡수하는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연결관내부의 냉방수를 냉방시켜 시트의 튜브에 공급하는 구성”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은 밀폐형으로서 상기한 개방형의 단점을 많이 치유했으나 리져버 탱크 및 펌프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시트 내부에 들어가는 연결관, 증발기등의 구성이 많이 요구되어 그 제조비용이 비쌀뿐만 아니라 제조과정도 복잡하고 고장시 수리도 어려우며, 이러한 시트 냉방구조를 자동차에 설치하려면 자동차 전체를 뜯어 고쳐야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에어컨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자동차에 고비용으로 설치해야만 할 만큼의 필요성이 존재치 않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더운 여름날 운전을 위해 햇볕에 달궈진 자동차로 들어가야 할 경우를 상정할 때, 에어컨이 기본적으로 차에 장착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 고안의 장치를 작동시키자마자 시트가 빨리 냉방되어야 에어컨과는 다른 독특한 효과를 이룬다 할 것이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증발기등 본격적으로 작동되기까지 시간을 잡아먹는 요소가 많은 바, 그 독특한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워 역시 개방형과 마찬가지로 그 실용성이 없는 단점이 있었다.
네째,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출원번호 95-49377호)된 '자동차용 냉방시트'는 “일측으로 자동차의 에어컨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어 공급되는 냉기를 주입할 수 있는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되는 냉기가 순환할 수 있는 에어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통로를 단일체로 감싸주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방시트”로 기재되어 있다.
이 고안은 밀폐형으로서 상기 실용신안출원 95-33817호(냉매가스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트냉방구조)와 비교해 볼 때, 그 구성이 간단하여 실용성이 더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이 개선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에어통로를 흐르면서 그 유압이 상당폭으로 떨어져서 시트 전체에 걸친 냉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고 그러다 보니 또한 상기한 급속냉방이라는 독특한 효과를 이루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방석 전반에 걸쳐 냉각시켜서 탑승자를 시원하게 하는 자동차의 냉방방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방석의 냉방을 급속히 함으로써 에어컨과 다른 독특한 효과를 이루는 자동차용 냉방방석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무받침대를 확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1을 보인 일부절결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방석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2에 따른 방석의 평단면도,
도 6은 도 4,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4,5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방방석 2 : 커버
3 : 외피 4 : 굴곡부
5 : 굴곡걸림돌기 6 : 굴곡걸림홈
7 : 냉기주입구 8 : 냉기주입걸림돌기
9 : 냉기주입걸림홈 10 : 등받이
11 : 깔판 12 : 등받이고무막대
13 : 깔판고무막대 14 : 제 1에어통로
15 : 제 2에어통로 16 : 제 1보조에어통로
17 : 제 2보조에어통로 18 : 냉기조절부재
19 : 냉기분배판 20 : 냉기분배돌출판
21 : 고무막대결합덮개 22 : 고무막대걸림돌기
23 : 고무막대걸림홈 24 : 에어통로형성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 1도, 제 2도 및 제 3도는 본 고안 자동차용 냉방방석(1)의 사시도, 실시예1의 일부절결사시도 및 굴곡부의 확대단면도로서, 냉방방석(1)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제 1, 제 2보조에어통로가 형성되게 하는 막대모양의 고무재질의, 즉 등받이고무막대(12)및 깔판고무막대(13)가 냉방방석(1)의 하면에 단단히 접착되어 있고, 냉방방석(1)의 전반부 양쪽에는 자동차의 에어컨으로부터 발생되어 공급되는 냉기를 주입할 수 있는 냉기주입구(7)가 연결된다.
등과 엉덩이 부분의 경계선은 거의 인체에 닿지 아니하므로, 그 경계선인 굴곡부(4)는 되도록 공기 흐름의 유압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제 2보조에어통로를 갖지 않는 구조로서 자연스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고무등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되어 있다. 또한 굴곡부(4)는 등받이(10)와 깔판(11)이 사용할 때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분리될 수 있도록 굴곡걸림돌기(5)와 굴곡걸림홈(6)에 의해 끼움맞춤식으로 되어 있다.
냉기주입구(7)는 냉방방석(1)의 전반부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방석과 연결되어 착석시 인체에 불편함을 주지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냉기주입구(7)도 굴곡부(4)와 마찬가지로 사용시 편리할대로 분리가능하도록 냉기주입걸림돌기(8)와 냉기주입걸림홈(9)에 의하여 끼움맞춤식으로 되어있다.
제 4도는 냉방방석(1)을 평면에서 본 단면도로서, 외곽에 각 제 1, 제 2보조에어통로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제 1, 제 2에어통로가 2중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깥쪽의 제 1에어통로(14)는 냉방방석(1)의 중간부분을 넘어 거의 끝까지 되어 있으며, 안쪽의 제 2에어통로(15)는 냉방방석(1)의 중간 부분에까지만 되어 있다.
따라서 등부분에까지 냉기가 별도의 바깥쪽의 제 1에어통로(14)를 통해 유압의 감소가 거의 없이 직접 도달하고 이후 각 제 1보조에어통로(16)로 냉기가 가도록 하고 있다.
제 6,7도는 냉방방석(1)의 굴곡부(4)를 넘지 않는 곳에서의 깔판고무막대(13)가 없는 곳의 에어통로의 단면도와 냉방방석(1)의 굴곡부(4)를 넘는 곳에서의 등받이고무막대(12)가 없는 곳의 에어통로의 단면도이다. 제 1, 제 2에어통로와 제 1, 제 2보조에어통로간의 연결공간은 냉기조절부재(18)에 의해 그 공간부피을 협소하게 하여 주 에어통로에서 부 에어통로로 나가는 냉기가 빠른 속도로 가도록 한 구조이다.
나아가 착석시 고무막대가 휘어지고 장기간 사용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외피(3)에서 이탈됨으로써 에어통로가 막히거나 원활한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막대걸림돌기(22)와 고무막대걸림홈(23)에 의해 에어통로형성부와 연결되어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하고, 전체적으로 냉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공이 있는 고무막대결합덮개(21)에 의해 에어통로형성부(24)와 연결됨으로써 고무막대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만아니라 고무막대가 전후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실시예 2
냉기를 에어통로로 주입하는 데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외에도 다음의 방법이 있다.
즉, 제 5도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냉기주입구로부터 냉기가 주입되고, 냉기주입구로부터 제 1, 제 2에어통로로 유입된 냉기는 냉기분배판(19)과 냉기분배돌출판(20)에 의해 바깥쪽과 안쪽에 냉기가 골고루 분배된다. 이를 위해 외피(3)와 냉기분배판(19)과의 최단직선거리와 냉기분배판(19)과 냉기분배돌출판(20)과의 최단직선거리가 같도록 구조되어 있다. 또한 냉기분배판(19)과 냉기분배돌출판(20)의 재질은 약간 딱딱한 구조로 되어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냉기분배판(19)과 냉기분배돌출판(20)은 착석시 인체가 많이 닿지 않는 부분이므로 냉방방석(1)의 착석감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
냉기주입의 방법외에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2중의 에어통로를 갖는 자동차용 냉방방석에 의하면 여름철에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부위를 시원하게 해 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구조된 본 고안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은 상기한 개방형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으로서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반탄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졌으므로 착석감이 뛰어나고 또한 공간부피가 작아 유속이 강하고 고무막대의 흔들림이나 외피(3)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엉덩이의 누름으로 인한 냉기의 통풍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둘째, 바깥쪽의 제 1에어통로(14)로 냉기가 직접 등받이(10)의 방석에 도달하므로 유압의 감소가 적어 등부분의 방석에까지 확실히 냉방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냉방방석(1)전체에 걸쳐 골고루 냉방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사람이 여름날 인체 국부적으로 크게 차가워지는 것보다 인체 전체에 걸쳐 조금이라도 차가워지는 것이 시원함을 더 크게 느끼듯이 더워진 자동차에서 시원한 효과를 이루는 정도가 기존의 냉방방식보다 큰 효과를 갖는다.
쎄째, 제 1,제 2보조에어통로의 공간부피가 작아 유속이 빠르고, 상기한 것처럼 엉덩이외에도 등부분에까지 확실히 냉방되고, 굴곡부(4)에는 제 1,제 2보조에어통로가 없는등으로 인해 기존의 냉방방석보다도 일정온도에까지의 냉방의 시간이 짧아 상기한 했볕에 달궈진 자동차에 탑승하는 경우 에어컨과는 다른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네째, 상기한 응축기등이 달려있는 실용신안등록출원 95-33817호등과 비교할 때, 방석의 설치에 있어서 단순히 냉방방석(1)을 자동차 의자에 얹어 냉기공급원과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트내부에 연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등 간단하고, 또한 그 제조비용도 상기한 다수의 돌기구조보다 훨씬 싸며, 자동차는 물론 기타 냉방이 필요한 곳에도 에어컨등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만 있으면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시의 필요에 따라 등받이(10), 깔판(11), 냉기주입구(7)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한 급속냉방이라는 독특한 효과와 함께 그 실용성이 크게 커진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일측으로 자동차의 에어컨으로부터 발생되어 공급되는 냉기가 주입되는 냉기주입구(7)와, 상기 냉기주입구(7)를 통해 도입되는 냉기를 방석외곽으로 안내하는 에어통로형성부(24)와, 상기 에어통로형성부의 에어가 균등한 압력으로 분배되어 흐르는 공간인 제 1에어통로(14) 및 제 2에어통로(15)와, 상기 제 1에어통로(14)와 제 2에어통로(15)중 제 1에어통로(14)만이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10)와, 상기 제 1에어통로(14)와 상기 제 2에어통로(15)가 외곽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깔판(11)과, 상기 등받이(10)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 1에어통로(14)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상기 등받이(10)로 안내하는 등받이고무막대(12)와, 상기 등받이고무막대(12)사이의 에어가 흐르는 공간인 제 1보조 에어통로(16)와, 상기 깔판(11)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 2에어통로(15)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상기 깔판(11)으로 안내하는 깔판고무막대(13)와, 상기 깔판고무막대(13) 사이의 에어가 흐르는 공간인 제 2보조 에어통로(17)와, 상기 등받이(10) 및 깔판(11)을 덮는 커버(2)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냉방방석(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깔판(11)의 경계부근에는 유연성있는 소재로 된 굴곡부(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굴곡부(4)는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깔판(11)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굴곡걸림돌기(5)와 굴곡걸림홈(6)에 의해 끼움맞춤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4)는 상기 제 1보조에어통로(16) 및 상기 제 2보조 에어통로(1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방방석(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주입구(7)는 상기 냉방방석(1)의 전반부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아래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주입구(7)는 상기 냉방방석(1)과 분리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냉기주입구걸림돌기(8)와 냉기주입구걸림홈(9)에 의하여 끼움맞춤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방방석(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통로형성부(24)는 상기 제 1에어통로(14)에서 상기 제 1보조 에어통로(16)로의 에어배출의 공간부피를 협소하게 하기 위한 냉기조절부재(18)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방방석(1).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방석(1)은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고무막대(12) 및 상기 깔판고무막대(13)에 고무막대걸림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통로형성부(24)에는 고무막대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끼움맞춤식으로 되어 있고 전체적인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통공이 있는 고무막대결합덮개(21)가 상기 에어통로형성부(24) 및 상기 등받이고무막대(12), 상기 깔판고무막대(13)와 밀착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방방석(1).
KR2019990009438U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냉방방석 KR200257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38U KR200257573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냉방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38U KR200257573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냉방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64U true KR20000021564U (ko) 2000-12-26
KR200257573Y1 KR200257573Y1 (ko) 2001-12-24

Family

ID=5476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438U KR200257573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냉방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5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93B1 (ko) * 2012-03-09 2013-11-04 (주)드림카 자동차용 통풍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93B1 (ko) * 2012-03-09 2013-11-04 (주)드림카 자동차용 통풍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573Y1 (ko) 200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835B2 (en) Thermal module for climate-controlled seat assemblies
US8434314B2 (en) Clim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20080084095A1 (en) Ventilation system for seat
US20060214480A1 (en) Vehicle seat with thermal elements
JP5430085B2 (ja) 送風装置が組込まれた座席
KR20000057178A (ko) 공기 조화가 가능한 차량 시트
WO2006124835A1 (en) Ventilated headrest
KR200485005Y1 (ko) 차량용 통풍시트
KR200257573Y1 (ko) 자동차용 냉방방석
KR200443642Y1 (ko) 차량용 통풍 시트
KR100691456B1 (ko) 냉난방용 공기순환매트
KR101379579B1 (ko) 철도 시트의 냉난방장치
KR200295557Y1 (ko) 차량용 통풍방석
JP6089095B2 (ja) 座席装置
KR20160139839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0357474Y1 (ko) 냉난방장치를 갖는 자동차 시트
JP5947074B2 (ja) 座席装置、座席用送風装置、および車両
CN216002319U (zh) 车用座椅及车辆
KR200402443Y1 (ko) 냉난방용 공기순환매트
KR100476084B1 (ko) 자동차용 냉난방 겸용 시트커버
CN212921232U (zh) 一种具有加热和制冷功能的座椅
KR20050101152A (ko) 강제통풍식 깔개
KR200279970Y1 (ko) 자동차의 냉난방 겸용 시트커버
KR200279999Y1 (ko) 자동차 의자에 냉기 또는 난기를 공급하는 장치
JPH0492607A (ja) 車両用シートの通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