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563A -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 Google Patents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563A
KR20000020563A KR1019980039229A KR19980039229A KR20000020563A KR 20000020563 A KR20000020563 A KR 20000020563A KR 1019980039229 A KR1019980039229 A KR 1019980039229A KR 19980039229 A KR19980039229 A KR 19980039229A KR 20000020563 A KR20000020563 A KR 20000020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glass
liquid crystal
integrated circuit
bump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563A/ko
Publication of KR2000002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내부회로와 상기 내부회로의 하나의 신호라인에 공통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돌출패드 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동일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돌출패드를 2개 이상씩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동일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돌출패드를 2개 이상씩 구비하므로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전극, 즉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를 채용하는 상기 칩온글라스 모듈에서는,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 간의 접촉저항이 크게 감소되므로,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의 왜곡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정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본 발명은 칩온글라스(Chip On Glass, COG)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칩온글라스 모듈에 채용되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LCD Driver IC)에 관한 것이다.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를 응용세트에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플라스틱 패키지로 조립하여 실장하는 방법이나 베어 칩(bare chip)을 기판에 실장하는 칩온보드(Chip On Board)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세트의 소형화 및 두께의 슬림화에 따라,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실장면적의 최소화 및 비용감소를 실현할 수 있는 칩온글라스 방법이 출현하였다.
그런데 칩온글라스 방법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를 액정패널(LCD Panel)에 실장 적용할 경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돌출패드(Bump Pad)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의 영향으로 인하여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구동신호가 왜곡되어 액정이 오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통상의 칩온글라스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돌출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단면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내부회로와 상기 내부회로의 하나의 신호라인에 공통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돌출패드 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동일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돌출패드를 2개 이상씩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칩온글라스 모듈은,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 글라스 기판, 및 상기 글라스 기판상에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돌출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패드와 접촉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을 구비하며, 특히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내부회로와 상기 내부회로의 하나의 신호라인에 공통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돌출패드 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동일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돌출패드를 2개 이상씩 구비하므로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전극, 즉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를 채용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칩온글라스 모듈에서는,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 간의 접촉저항이 크게 감소되므로,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의 왜곡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정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칩온글라스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참조번호 11은 글라스기판을, 참조번호 13은 산화 도전막을, 참조번호 15는 베어 칩 상태의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를, 참조번호 17은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돌출패드를, 참조번호 19는 액정패널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글라스 기판(11) 상에 표시화면을 구성하는 액정패널(19)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글라스 기판(11) 상에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15)의 돌출패드(17)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극, 즉 산화 도전막(13)이 형성된다. 상기 산화 도전막(13)은 상기 액정패널(19)의 로우신호선과 칼럼신호선을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15)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패드(17)과 접촉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산화 도전막(13)은 전도성 물질인 ITO(Indium Thin Oxide)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패드(17)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패드(17)은 상기 글라스 기판(11) 상에 형성된 상기 산화 도전막(13)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의 통로가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돌출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참조하면, 실리콘 기판(21) 상에 알루미뮴(Al)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패드(23)이 형성되고 절연막(25)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패드(23) 위에 외부단자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금(Au)로 이루어지는 돌출패드(27)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31)은, 내부회로(33)과 상기 내부회로(33)의 하나의 신호라인(37)에 공통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돌출패드 쌍(35a,35b)를 구비한다. 도 3에는 돌출패드들이 2개씩 하나의 신호라인에 공통 연결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씩 하나의 신호라인에 공통 연결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에서는 돌출패드와 도 1에 도시된 산화 도전막(13)이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일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돌출패드를 2개 이상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가 칩온글라스 모듈에 채용될 경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돌출패드가 칩온글라스의 산화 도전막 패턴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접촉저항이 크게 감소된다. 이에 따라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구동신호가 접촉저항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되므로 구동신호의 왜곡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들어 한정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원 발명에 대한 각종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동일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돌출패드를 2개 이상씩 구비하므로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가 칩온글라스 모듈에 채용될 경우,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산화 도전막 패턴 간의 접촉저항이 크게 감소되므로,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의 왜곡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정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4)

  1. 칩온글라스 모듈에 채용되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에 있어서,
    내부회로;
    상기 내부회로의 하나의 신호라인에 공통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돌출패드 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드 쌍이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
  3.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
    글라스 기판; 및
    상기 글라스 기판상에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의 돌출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패드와 접촉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액정 구동용 집적회로는, 내부회로;
    상기 내부회로의 하나의 신호라인에 공통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돌출패드 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드 쌍이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KR1019980039229A 1998-09-22 1998-09-22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KR20000020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229A KR20000020563A (ko) 1998-09-22 1998-09-22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229A KR20000020563A (ko) 1998-09-22 1998-09-22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563A true KR20000020563A (ko) 2000-04-15

Family

ID=1955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229A KR20000020563A (ko) 1998-09-22 1998-09-22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5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7165B2 (en) 2015-04-16 2019-07-3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7165B2 (en) 2015-04-16 2019-07-3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320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240818B1 (ko) 테이프캐리어패키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11367125B (zh) 阵列基板及显示面板
KR20030016534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13736A (ko) 전기 광학 유닛 및 전자 기기
KR10042019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US693731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plementing improved electrical lines and the fabricating method
JPH11126039A (ja) 表示装置
KR10024813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12521A (ko) 접속 범프와 기판도전막 패턴 간의 안정적인 접촉저항을갖는 액정구동회로 칩 접속 범프 구조 설계 및 이방성 전도접착제를 사용한 칩온글라스/칩온플렉스 접속 방법
KR100510439B1 (ko) 더미돌출패드를 구비한 액정구동칩의 칩온글라스 패키지 구조 및 패키징 방법
KR20030029731A (ko) 액정표시장치
KR100194690B1 (ko) 액정 표시 모듈
KR19980015037A (ko) 검사용 공통 선과 공통 패드를 갖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LCD)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액정 표시 모듈 제조 방법
KR20000020563A (ko) 돌출패드와 칩온글라스의 도전막 패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액정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칩온글라스 모듈
JP2000187247A (ja) 半導体回路基板
JP2005242392A (ja) 液晶表示装置
JP3717602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76736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09420B1 (ko)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KR100529490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160829Y1 (ko)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KR100529567B1 (ko) 구동집적회로및이를포함하는표시장치
JPH08338997A (ja) 液晶表示素子
KR0157541B1 (ko) 절곡용 탭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