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420B1 -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 Google Patents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420B1
KR100909420B1 KR1020020086064A KR20020086064A KR100909420B1 KR 100909420 B1 KR100909420 B1 KR 100909420B1 KR 1020020086064 A KR1020020086064 A KR 1020020086064A KR 20020086064 A KR20020086064 A KR 20020086064A KR 100909420 B1 KR100909420 B1 KR 10090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ignal transmission
liquid crystal
wiring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9669A (ko
Inventor
김상래
문성웅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4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02F1/13629Multilayer wi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02F1/136295Materials; Compositions; Manufacture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을 기판 상에 형성한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의 경로를 단순화하여 신호 왜곡을 최소화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컬러필터가 형성된 상부기판;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이 종횡으로 배열되고 그 교차점에 스위칭소자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판과 합착되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복수개의 게이트신호 전달용 소스패드; 상기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상기 소스패드와 인접하여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복수개의 게이트신호 전달용 게이트패드; 상기 소스패드에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상기 소스패드와 상기 게이트패드를 연결하는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을 포함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을 제안한다.
LOG, 본딩패드, 단차

Description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F LINE-ON-GLASS TYPE}
도 1은 종래 액정표시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기판 위에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이 구성된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을 도시한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을 도시한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330: TFT기판 110,340: 컬러필터기판
120,260: 소스드라이버IC 130,250: 게이트드라이버IC
140,230: 소스인쇄회로기판 150: 게이트인쇄회로기판
160,200: 액정표시패널 170,210: 게이트배선
180,220: 데이터배선 190: 가요성인쇄필름
230: 박막트랜지스터 240,320: 게이트신호전송용배선
300: 데이터패드 310:게이트패드
본 발명은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을 기판 상에 형성한 라인-온-글래스(line-on-glass) 방식의 액정표시패널(TFT-LCD panel)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의 경로를 단순화하여 신호 왜곡을 최소화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의 주력제품인 액정표시장치(TFT-LCD)는 양산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화와 고해상도화가 급속도로 진전되어 노트북 컴퓨터용 뿐만 아니라 대형 모니터 응용제품으로도 개발되어 기존의 CRT(cathode ray tube) 제품을 점진적으로 대체하고 있어 디스플레이(display) 산업에서의 그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다. 특히 모든 전자 제품의 경, 박, 단, 소 추세에 따라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 휴대성의 중요성이 더 한층 높아지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평판디스플레이의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성능뿐만 아니라 양산성까지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각종 신제품 창출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자 산업에서 반도체 이상의 파급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는 액정표시패널에 액정 셀(cell)을 구동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해 주는 다수의 드라이버 IC칩(driver IC chip)을 포함하며 이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컴퓨터(computer)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를 제어 하는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와 액정 셀에 각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별로 서로 다른 액정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부품 등이 다층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장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film-transistor)가 설치된 하부기판을 TFT 기판, 컬러필터(color filter)가 설치된 상부기판을 컬러필터 기판이라 하겠다. 게이트(gate)와 데이터(data) 신호배선을 통하여 드라이버 IC의 구동신호를 효과적으로 인가하기 위해 각 신호배선은 TFT 기판 주변부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어 있다. 본딩 패드에 드라이버 IC를 연결하는 방법은 드라이버 IC칩이 본딩 패드에 직접 연결되는 COG(chip-on-glass) 실장방식과 TAB(tape-automated bonding) 기술을 이용한 TCP(tape carrier package) 실장방식이 있다.
도 1은 TCP 방식을 사용하여 구동 IC를 실장한 액정표시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60)은 게이트배선(170)과 데이터배선(180)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하부기판(100)과, 상기 하부기판(100)과 합착되는 상부기판(110)과, 상기 하부기판(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데이터배선(180)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배선(180)에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IC칩이 실장된 소스 TCP(120)와, 상기 게이트배선(17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배선(170)과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배선(170)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IC칩이 실장된 게이트 TCP(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기판(100)의 면적은 상기 드라이버 IC칩의 실장을 위해 상기 상부기판(110)의 면적보다 크다.
최근 들어 반도체 박막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게이트 신호 처리용 콘트롤러 및 데이터 신호 처리용 콘트롤러의 칩셋(chip set)이 고집적화되면서 크기는 작아지고 그 기능은 보다 강력해짐으로 인하여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CB; 140)의 면적 증가 없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40)에 게이트 신호 처리용 콘트롤러 및 데이터 신호 처리용 콘트롤러를 포함한 모든 구동 콘트롤러의 실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처럼 모든 구동 콘트롤러가 소스 인쇄회로기판(140)에 실장 가능해져서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50)은 단순히 게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었지만 액정표시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40)으로부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50)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용 케이블(cable)과 커넥터(connector)를 여전히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은 게이트 신호를 가요성 인쇄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PC; 190)이라는 별도의 신호 전송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액정표시패널(160)을 제작할 때 재료비의 상승을 가져오며, 상기 가요성 인쇄필름(190)을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50)과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40)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납땜불량에 의한 액정표시패널 불량이 발생했었다.
이와 같은 케이블과 커넥터는 액정표시패널의 전체 조립 공정수 및 조립 부품수를 증가시킴은 물론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단지 신호 전송의 매개체로 사용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 역시 전체 조립 공정수 및 조립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가장 중요한 것은 액정표시패널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 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과 커넥터 대신 기판 상에 게이트 신호 전송용 배선을 형성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컬러필터가 형성된 상부기판;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이 종횡으로 배열되고 그 교차점에 스위칭소자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판과 합착되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복수개의 게이트신호 전달용 소스패드; 상기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상기 소스패드와 인접하여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복수개의 게이트신호 전달용 게이트패드; 상기 소스패드에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상기 소스패드와 상기 게이트패드를 연결하는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을 포함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을 제시한다.
상기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은 아날로그신호 전송배선과; 디지털신호 전송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신호 전송배선의 단면적이 상기 디지털신호 전송배선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신호 전송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패드 및 데이터패드의 단차가 상기 디지털신호 전송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패드 및 데이터패드의 단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은 적어도 7개 이상의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기판 위에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이 구성된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요성 인쇄필름을 대신하여 게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240)을 액정표시패널(200)의 하부기판에 직접 형성한다.
액정표시패널(200)은 TFT 기판, 컬러필터 기판과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TFT 기판에는 종횡으로 게이트배선(210) 및 데이터배선(220)이 배열되고 그 교차점에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230)가 설치된다.
컬러필터 기판의 일측면에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하여 RGB 화소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TFT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으로 구성된 액정패널(200)은, 게이트배선(2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박막 트랜지스터(230)가 턴-온(turn-on)되기에 충분한 전압을 인가하고 데이터배선(220)에 소정 전압을 인가할 경우, 해당 게이트배선(210)과 접속된 모든 박막 트랜지스터(230)가 턴-온되면서 각 화소에 데이터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게이트배선(210)과 데이터배선(220)에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와 데이터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버 IC(250)와 데이터 드라이버 IC(260)에 의해 각 배선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딩 패드인 게이트패드와 소스패드로 인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기판 상에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230)측에서 게이 트 TCP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게이트 신호전송배선(240)을 형성한다.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이 유리기판 상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방식을 라인-온-글래스 방식이라 한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라인-온-글래스 방식을 사용한 액정표시패널의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을 도시하고 있다.
게이트신호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소스패드(300)로부터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310)를 통해 흐르게 된다.
게이트신호 전송용 소스패드(300)는 액정표시패널의 모서리에 데이터배선(220)과 연결된 소스패드와 동일한 크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310)는 상기 게이트신호 전송용 소스패드(300)와 인접하여, 게이트배선(210)과 연결된 게이트패드와 동일한 크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게이트신호 전송배선(320)을 하부기판(330)의 모서리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하부기판(330) 상의 공간은 매우 협소하다.
또한, 도 3의 게이트신호 전달을 위한 게이트신호 전송용 소스패드(300)와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좁은 영역에서의 배선을 위해 많은 부분이 꺽이고 배선 길이도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게이트신호 전송배선(320)의 저항이 증가하고 패널 설계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단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게이트신호 전송 용 소스패드 및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를 구비하고 있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패드(300,310)는 모서리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줄어든다. 즉, 하부기판(330)의 모서리에서 멀어질수록 액정패널의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패드(300,310)를 사용할 경우 게이트신호 전송배선(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터닝(patterning)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패널에서는, 게이트신호 전송배선(320)이 한번만 꺽여 게이트신호 전송용 소스패드(300)에서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310)로 연결되므로 종래에 비해 배선(320)의 길이가 감소되고 꺽이는 횟수도 감소하게 된다. 즉, 배선 경로가 최대한 단순해진다.
상기 게이트신호 전송용 패드(300,310)의 크기는 기판의 크기나 각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의 굵기 등을 고려한다.
상기 배선(320)을 통해 Vgh, Vgl, Vcc, GND, Gsp, Gsc, Goe의 신호가 전달된다. 따라서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은 적어도 7개의 도선으로 구성된다. Vgh와 Vgl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시키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이고, Gsc와 Goe는 상기 게이트배선에 흐르는 게이트신호를 제어한다. 또한 Gsp는 게이트 드라이버 IC를 제어하는 신호이고, Vcc는 드라이버 IC를 구동하는 전압, GND는 접지전압이다.
상기 배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중 Vgh, Vgl, Vcc, GND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저항에 의한 신호의 왜곡에 민감하므로 상대적으로 배선을 두껍게 형성해 저항을 낮추어 줄 필요가 있다. 반면, Gsp, Gsc, Goe 등은 디지털 신호이므로 저항에 의해 신호가 다소 왜곡되더라도 큰 지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신호의 특성을 고려한 경우 아날로그 신호가 전달되는 배선이 연결되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패드는 단차를 크게 형성하고, 디지털 신호가 전달되는 배선이 연결되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패드는 단차를 작게 형성하여 제작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차를 가지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패드는 액정표시장치의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게이트배선과 같은 레이어(layer)를 형성하므로 단순히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사용되는 마스크(mask)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전송배선을 구성하는 도전성 금속에는 알루미늄(Al) 계열, 몰리브덴(Mo) 계열, 크롬(Cr) 계열이 있다.
상기 TCP는 게이트패드 및 데이터패드에 이방성 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이방성도전필름은 양면 테입(tape)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열경화성 수지 필름(film)에 볼(ball) 형태의 도전성 입자들이 들어있어 열압착을 하면 상하방향의 패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지만 충분히 간격이 유지되는 수평 방향의 패드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다.
본딩 패드에 이방성 도전필름을 붙이고 여기에 TCP를 얼라인(align)하여 가 압착한 후 핫바(hot bar)로 눌러 열압착을 한다. 이때 배선 및 이방성 도전필름의 재질의 열특성을 고려한 적정온도와 압력이 중요한 공정 파라미터(parameter)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에서는 배선(320)이 각 게이트신호 전송용 패드(300,310)의 측면에 연결되어 동일한 압착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저항과 동일한 도전특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게이트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한다.
또한,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된 배선이 가까이 인접하게 되면 각 배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전기적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배선에 더미 패드(dummy pad)를 설치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게이트 신호의 전송을 위해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과 커넥터 대신 기판 상에 게이트 신호 전송용 배선을 형성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의 경로를 단순화하여 게이트 신호전송배선 자체의 저항을 최소화한다.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의 저항이 최소화되면 이에 따른 게이트 신호의 왜곡도 최소화되어 액정표시패널의 오작동이 감소하게 된다.
셋째,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 및 데이터패드의 단차를 적절히 조정하여 설계함으로써 각 신호라인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의 경우에는 배선을 두껍게 형성하고, 디지털 신호의 경우에는 배선을 가늘게 형성하여 협소한 기판 상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컬러필터가 형성된 상부기판;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이 종횡으로 배열되고 그 교차점에 스위칭소자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판과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복수개의 게이트신호 전송용 소스패드;
    상기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상기 소스패드와 인접하여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복수개의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
    상기 소스패드에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소스패드와 상기 게이트패드를 연결하는 하부기판의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신호 전송배선;
    을 포함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은 아날로그신호 전송배선과; 디지털신호 전송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전송배선은 적어도 7개 이상의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신호 전송배선의 단면적이 상기 디지털신호 전송배선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신호 전송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 및 게이트신호 전송용 데이터패드의 단차가 상기 디지털신호 전송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신호 전송용 게이트패드 및 게이트신호 전송용 데이터패드의 단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신호 전송배선은 알루미늄, 몰리브덴 또는 크롬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KR1020020086064A 2002-12-28 2002-12-28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KR10090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064A KR100909420B1 (ko) 2002-12-28 2002-12-28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064A KR100909420B1 (ko) 2002-12-28 2002-12-28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669A KR20040059669A (ko) 2004-07-06
KR100909420B1 true KR100909420B1 (ko) 2009-07-24

Family

ID=3735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064A KR100909420B1 (ko) 2002-12-28 2002-12-28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967B1 (ko) * 2016-08-30 2023-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67483B1 (ko) * 2016-09-09 202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64A (ja) 1996-06-27 1998-01-16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
KR19980082889A (ko) * 1997-05-09 1998-12-0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
KR19990047258A (ko) * 1997-12-03 1999-07-05 김영환 액정 표시 모듈
KR20010009044A (ko) * 1999-07-07 2001-02-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용 신호연결부재 및 이에 장착된 드라이브 아이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64A (ja) 1996-06-27 1998-01-16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
KR19980082889A (ko) * 1997-05-09 1998-12-0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
KR19990047258A (ko) * 1997-12-03 1999-07-05 김영환 액정 표시 모듈
KR20010009044A (ko) * 1999-07-07 2001-02-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용 신호연결부재 및 이에 장착된 드라이브 아이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669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691B2 (en) Electrooptical device,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wiring formed on and protruding from a base material to directly under an input bump on a semiconductor device
US7777857B2 (en) Substrate of display device for packaging driving integrated circuit
US7876122B2 (en) Display device
US2004007580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3708467B2 (ja) 表示装置
JP4879781B2 (ja) 表示パネル
US8541888B2 (en) Pad layout structure of a driver IC chip
KR100640208B1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범프 구조
US20080186293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wiring board
US70126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081117A1 (en) Display device and a circuit thereon
JP2002023190A (ja) 液晶表示装置製造方法
KR2001008397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6680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182911A1 (en)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2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102048A (ko) 액정표시장치
JP2004109969A (ja) 液晶表示装置
US20070132931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KR100909420B1 (ko)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KR1009903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81046B1 (ko) 더미부를 가지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9980015037A (ko) 검사용 공통 선과 공통 패드를 갖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LCD)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액정 표시 모듈 제조 방법
KR100919190B1 (ko)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US200400275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