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534A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534A
KR20000020534A KR1019980039177A KR19980039177A KR20000020534A KR 20000020534 A KR20000020534 A KR 20000020534A KR 1019980039177 A KR1019980039177 A KR 1019980039177A KR 19980039177 A KR19980039177 A KR 19980039177A KR 20000020534 A KR20000020534 A KR 2000002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battery
charging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7654B1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8003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6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목적 : 전지 조립 후 포메이션 단계에서 활물질의 안정화를 초기에 구축하기 위해 활물질의 표면에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전지의 불량을 제거하는 차기 단계의 에이징 시간을 줄임으로써 공정의 단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성 : 상기 양극(10)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12)이 함께 어셈블리된 전지에 동일한 전류로 충전을 시작으로 하여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길게 함에 의하여 도전성 피복층이 도전성 네트워크층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활물질의 전류 경로가 확정되도록 하는 포메이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효과 : 종래 공지된 포메이션 방식에 의한 전지의 성능에 비해 충방전 효율이 3%정도 향상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활물질의 표면에 전류 경로(current path)를 형성하기 위해, 전지 조립 후 포메이션(formation) 단계에서 활물질의 안정화를 초기에 구축하여 전지의 불량을 제거하는 차기 단계의 에이징(aging) 시간을 줄임으로써 공정의 단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고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이온 이차전지 중에서 코발트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으로 LiCoO₂ 이 사용되고 음극으로 탄소재가 사용되어, 충전시 음극에서 Li+이온가 발생되어 음극으로 흡수되고, 방전시 필요한 Li+이온이 전해액 내로 방출되어 충방전이 반복된다.
여기서, 양극은 LiCoO₂ 의 활물질과 도전제 및 결합제가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양극 기재에 도포 및 충진되고, 이것이 다시 건조와 압연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음극도 탄소재 활물질에 도전제 및 결합제가 함유된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구리재질의 음극 기재에 상술한 양극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얻어짐에 따라, 양극과 음극은 활물질 입자의 표면으로 도전제 성분이 코팅되어진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배치하고 함께 권취한 전극롤을 보유한 코발트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0.2C로 7시간 충전하여 4.1V가 유지되는 포메이션 방식을 채택하여 전극 기재(2)에 활물질(4)과 함께 함침된 도전제 성분에 의한 도전성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고용량화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코발트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에이징 단계에서 전지가 충전이 올바로 되어 사용 가능한지를 검토하여 불량전지를 선별한 후 제품으로 출하하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정 전류로 계속해서 충전하는 종래의 방법은 포메이션을 행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포메이션이 되었다 하더라도 안정화가 보장되지 않았을 때는 재차 여러번의 충방전이 필요하게 되어 공정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장기간의 에이징 단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은 전지 조립 후 포메이션 단계에서 활물질의 안정화를 초기에 구축하기 위해 활물질의 표면에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전지의 불량을 제거하는 차기 단계의 에이징 시간을 줄임으로써 공정의 단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어셈블리된 전지에 동일한 전류로 충전을 시작으로 하여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길게 함에 의하여 도전성 피복층이 도전성 네트워크층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활물질의 전류 경로가 확정되도록 하는 포메이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CoO₂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류는 0.2C 이하로 인가되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충전과 방전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충전시간과 방전시간은 각각 30분 및 10분 정도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의 전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의 포메이션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 공지된 포메이션에 의한 전지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종래 활물질의 전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 공지된 전지의 포메이션을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2 : 전극 14, 18 : 활물질
16, 20 : 전극 기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의 전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의 포메이션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 공지된 포메이션에 의한 전지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코발트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전극롤과 전해액을 함께 캔의 내부에 수납하고, 캔의 개구를 가스켓이 개재되는 캡 어셈블리로 밀봉하여 얻어진다.
상기 전극롤은 양극(10), 세퍼레이터 및 음극(12)을 함께 권취하여 제작되는데, 양극은 LiCoO₂ 의 활물질(14)과 도전제 및 결합제가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양극 기재(16)에 도포 및 충진되고, 이것이 다시 건조와 압연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극(12)도 탄소재 활물질(18)에 도전제 및 결합제가 함유된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구리재질의 음극 기재(20)에 도포 및 충진되고, 상술한 양극과 동일한 과정의 건조와 압연을 거쳐 얻어짐에 따라, 양극(10)과 음극(12)은 활물질 입자의 표면으로 도전제 성분이 코팅되어진다.
이와 같은 양극과 음극이 도전성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셈블리된 이차전지를 포메이션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포메이션 단계는 종래의 정전류 충전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전류로 시간을 달리한 충전과 방전에 의하여 도전성 피복층이 도전성 네트워크층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활물질의 전류 경로가 확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지에 충전을 할 때는 0.2C의 전류로 30분 정도의 충전시간을 유지하고, 반면에 방전시에는 충전시와 동일한 전류인 0.2C로 10분 정도 유지함으로써, 전체 포텐셜 전압은 점진적으로 상승되도록 한다.
이렇게 반복되는 충전과 방전을 50사이클 정도로 행하면 양극과 음극의 표면에는 전압 포텐셜 변화에 따라 전류 경로가 생성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지 성능 결과를 얻게 된다.
이 그래프에서 좌변은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포메이션에 의한 전지의 성능을 종래 공지된 것과 본 발명에 의한 것을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변은 포메이션에 의한 전지의 효율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포메이션 방식으로 전류 경로를 형성한 전지는 그 용량이 1600mAh로 종래 포메이션 방식에 의한 전지의 용량과 거의 동일함으로 알 수 있고, 충전량으로 방전량을 나눈 전지의 효율은 20사이클까지 비슷하게 진행되나, 그 이후부터 점차 차이가 벌어져 50사이클이 되었을 때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류 경로를 형성한 전지의 경우 100%의 효율을 보이지만 종래 포메이션 방식을 채택한 전지의 효율은 97%정도로 대략 3%의 효율 차이를 보인다. 이는 사이클을 더욱 진행시킬수록 더욱 차이가 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전지와 동일하게 주어진 시간동안 포메이션을 행한 본 실시예는 효율이 더욱 뛰어나고, 또한 본 발명은 초기활성화시 정전류로 인해 과충전이 발생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반복 충방전에 의한 포메이션으로 인해 과충전이 방지되므로서 전극의 손상이 방지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지는 충전 리저브가 감소되므로서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류 경로의 형성반응이 자연적으로 유도되게 하여,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의 손상이 방지되게 하며, 균일하고 치밀한 도전성 네트워크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 활물질의 표면 요철이 미세 균일해지고, 고밀도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전지의 포메이션을 충전 전류 0.2C와 방전 전류 0.2C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가하고, 충전시간은 30분으로 방전시간은 10분으로 함에 따라 전압 포텐셜이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종래 공지된 포메이션과 동일한 용량을 지니면서도 효율은 3%정도 향상된 결과를 얻는다.
또한, 전극 기재에 도포된 활물질에 전류 경로가 자연적으로 형성되어져서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의 손상이 방지되게 하며, 균일하고 치밀한 도전성 네트워크층이 형성되게 할 수 있어 양극 활물질의 표면 요철이 미세 균일해지고, 고밀도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양극 활물질에는 결착제가, 음극 활물질에는 도전제 및 결착제가 함께 교반되어 도전성 피복층을 갖는 양극 활물질 페이스트 및 음극 활물질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양극 기재 및 음극 기재에 각각 도포 및 충전한 양극, 음극이 구비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10)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12)이 함께 어셈블리된 전지에 동일한 전류로 충전을 시작으로 하여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길게 함에 의하여 도전성 피복층이 도전성 네트워크층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활물질의 전류 경로가 확정되도록 하는 포메이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CoO₂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는 0.2C 이하로 인가되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과 방전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시간과 방전시간은 각각 30분 및 10분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9980039177A 1998-09-22 1998-09-22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027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177A KR100277654B1 (ko) 1998-09-22 1998-09-22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177A KR100277654B1 (ko) 1998-09-22 1998-09-22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534A true KR20000020534A (ko) 2000-04-15
KR100277654B1 KR100277654B1 (ko) 2001-01-15

Family

ID=1955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177A KR100277654B1 (ko) 1998-09-22 1998-09-22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6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612B1 (ko) * 2001-07-14 2003-04-26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리튬-황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WO2008100090A1 (en) * 2007-02-16 2008-08-21 Sk Energy Co., Ltd. Fabric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WO2008100091A1 (en) * 2007-02-16 2008-08-21 Sk Energy Co., Ltd. Fabric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70067042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충전 방법
CN112272880A (zh) * 2018-11-20 2021-01-26 株式会社Lg化学 用于激活二次电池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4492B2 (en) 2019-10-31 2022-08-23 Sion Pow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or battery
US11056728B2 (en) * 2019-10-31 2021-07-06 Sion Pow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or batter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612B1 (ko) * 2001-07-14 2003-04-26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리튬-황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WO2008100090A1 (en) * 2007-02-16 2008-08-21 Sk Energy Co., Ltd. Fabric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WO2008100091A1 (en) * 2007-02-16 2008-08-21 Sk Energy Co., Ltd. Fabric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US8523958B2 (en) 2007-02-16 2013-09-03 Sk Innovation Co., Ltd. Fabric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70067042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충전 방법
CN112272880A (zh) * 2018-11-20 2021-01-26 株式会社Lg化学 用于激活二次电池的方法
US11876191B2 (en) 2018-11-20 2024-01-16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activating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654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3391A1 (en) Fast formation cycling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10066285B2 (en) Process of preparing a chemically pre-formed (CPF) iron negative electrode with water
US10217994B2 (en) Nickel-iron battery with a chemically pre-formed (CPF) iron negative electrode
US7960050B2 (en) Secondary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3000821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battery
KR100307453B1 (ko)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음극
US20100192362A1 (en) Split Charge Forming Process for Battery
KR20220027952A (ko) 고에너지 리튬이온 배터리용 애노드 전리튬화
KR100277654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00090974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7145092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0294250A (ja) Liイオン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材およびLiイオン電池
JP2005101409A (ja) キャパシタ
JP2016126953A (ja) 二次電池の充電ムラ低減方法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21100272A1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49340B1 (ko) 이차전지용 전극
JP2005174779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070097148A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가지는 이차 전지
KR100355501B1 (ko) 축전지및그제조방법
WO2024053717A1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JP2023173595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0553728B1 (ko)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JPS61147473A (ja) 鉛蓄電池の製造法
JP2023039751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装置
KR20240074795A (ko) 에너지 저장 요소 및 제조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