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490U - 슬래그 컷팅볼 - Google Patents

슬래그 컷팅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490U
KR20000020490U KR2019990007673U KR19990007673U KR20000020490U KR 20000020490 U KR20000020490 U KR 20000020490U KR 2019990007673 U KR2019990007673 U KR 2019990007673U KR 19990007673 U KR19990007673 U KR 19990007673U KR 20000020490 U KR20000020490 U KR 200000204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refractory
cutting ball
conical
stee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길
Original Assignee
박성길
주식회사 대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길, 주식회사 대진공업 filed Critical 박성길
Priority to KR2019990007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490U/ko
Publication of KR20000020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490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9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taining slag during the pouring of the metal or retaining metal during the pouring of the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36Devices for plugging tap holes, e.g. plugs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강 작업 종료시 보텍스 등에 의한 슬래그 컷팅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내부 통공을 갖으면서 비중이 용강 및 슬래그의 비중 사이에 놓이는 원추형 제 1 내화물 (1)과, 상기 내부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평탄면 위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첨단부를 지나 연장되어 형성된 강재 로드 (2)와, 상기 강재 로드의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첨단부로부터 상기 강재 로드의 타단부 끝까지 둘러싸고 있는 제 2 내화물 (3)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컷팅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래그 컷팅볼 {Slag Cutting Ball}
본 고안은 전로 출강 작업 중 출강이 종료됨과 동시에 출강구를 폐쇄하여 용강내의 슬래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래그 컷팅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슬래그 컷팅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슬래그 컷팅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및 제강공정이 일관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일관제철소에서 용광로에서 제조된 용철은 전로로 옮겨져 산소 취련에 의한 탈탄 처리 등의 정련 공정 및 그 외 합금화처리를 거친 후 레이들로 출강된다. 전로 처리가 종료된 후 전로내에 존재하는 용강의 상부면에는 정련 공정으로 발생한 슬래그가 용강과 슬래그의 비중차이에 의해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출강 작업의 여부는 전로내의 슬래그를 가능한 한 용강과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이와 같이 슬래그를 용강과 분리하여 전로로부터 레이들로 배출시키는 경우 용강 (비중: 7.8) 및 슬래그 (비중: 2.2 - 3)의 중간 비중의 제 3 매개물을 출강 작업 종료시에 전로에 도입하여 슬래그가 용강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 3 매개물을 슬래그 컷팅볼이라 한다.
슬래그 컷팅볼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87-2540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가 개시하고 있는 종래의 슬래그 컷팅 볼은 출강 작업 중 용강 및 슬래그에서 발생하는 보텍스 (vortex) 등에 의해 상기 슬래그 컷팅 볼이 출강구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출강 종료 시점에서 일부 슬래그가 출강되는 용강 내로 혼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중앙에 내부 통공을 갖으면서 비중이 용강 및 슬래그의 비중 사이에 놓이는 원추형 제 1 내화물 (1)과, 상기 내부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평탄면 위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첨단부를 지나 연장되어 형성된 강재 로드 (2)와, 상기 강재 로드의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첨단부로부터 상기 강재 로드의 타단부 끝까지 둘러싸고 있는 제 2 내화물 (3)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컷팅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옆면에는 상기 강재 로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기초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출강 작업시 슬래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제 1 내화물 1과 강재 로드 2와 상기 강재 로드 2를 둘러싸는 제 2 내화물 3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슬래그 컷팅볼은 볼 형태의 내화물로 이루어져 그 비중이 용강과 슬래그의 중간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출강 작업시 슬래그를 차단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출강 작업 중에는 보텍스 등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강과 슬래그 사이에 비중차 때문에 부유하고 있던 슬래그 컷팅 볼이 출강구로부터 벗어나 출강구의 폐쇄가 적기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슬래그 컷팅볼과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제 1 내화물의 중앙 통공을 통해 강재 로드 2를 삽입하고 상기 강재 로드 2를 둘러싸고 있는 제 2 내화물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컷팅볼을 출강 작업 종료 시점에 출강구 13 위로 투입하여 상기 제 2 내화물 3이 출강구 13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출강 작업시 발생하는 보텍스 등에 의해서도 상기 슬래그 컷팅볼이 출강구 13 이외의 지점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래그 컷팅볼이 출강구로부터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의 용강을 레이들로 출강시킬 수 있고 슬래그가 출강시 혼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4의 사용상태도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로 12의 측벽에 형성된 출강구 13에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을 삽입하는 경우 강재 로드 2 및 제 2 내화물이 상기 출강구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로 중에 남아있는 용강 10 및 슬래그 11에서 보텍스 등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컷팅볼이 출강구 13의 지점으로 흘러가지는 않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내화물의 측벽에 강재의 길이 방향으로 홈 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 4이 상기 제 1 내화물의 측벽에 형성되는 경우 슬래그 컷팅볼의 이미 출강구 13을 폐쇄한 후에도 전로내에 남아있는 잔류 용강 10이 상기 홈 4를 타고 출강될 수 있기 때문에 용강 수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로의 출강 작업 종료 시점에 특히 문제시되는 슬래그 컷팅볼이 보텍스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출강시 슬래그가 혼입되는 것을 막으면서 전로로부터 용강을 레이들로 출강할 수 있다.

Claims (2)

  1. 중앙에 내부 통공을 갖으면서 비중이 용강 및 슬래그의 비중 사이에 놓이는 원추형 제 1 내화물 (1)과, 상기 내부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평탄면 위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첨단부를 지나 연장되어 형성된 강재 로드 (2)와, 상기 강재 로드의 상기 원추형 제 1 내화물의 첨단부로부터 상기 강재 로드의 타단부 끝까지 둘러싸고 있는 제 2 내화물 (3)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컷팅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화물 (1)의 측벽에는 상기 강재 (2)의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컷팅볼.
KR2019990007673U 1999-05-07 1999-05-07 슬래그 컷팅볼 KR200000204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73U KR20000020490U (ko) 1999-05-07 1999-05-07 슬래그 컷팅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73U KR20000020490U (ko) 1999-05-07 1999-05-07 슬래그 컷팅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90U true KR20000020490U (ko) 2000-12-05

Family

ID=5476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673U KR20000020490U (ko) 1999-05-07 1999-05-07 슬래그 컷팅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49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5261A (en) Wire injection nozzle
KR20000020490U (ko) 슬래그 컷팅볼
JP2010242178A (ja)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線用鋼の製造方法
KR100416191B1 (ko) 전로의 출강구 플러그
EP0060305A1 (en) Method for smelting using top-and bottom-blown converter
JP2010163681A (ja)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線用鋼の製造方法
JP2004277830A (ja) 転炉製鋼方法
KR101049845B1 (ko) 슬래그 혼입 방지용 부유물
US4733853A (en) Molten metal taphole design to improve yield and cleanliness
RU2289630C2 (ru) Способ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ванны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US4093190A (en) Process for the protection of a refractory wall in service
JP2009052070A (ja) 溶銑脱りん処理方法
RU2004598C1 (ru) Желоб дл слива и модифицировани чугуна
JP2005226127A (ja) 溶銑の精錬方法
RU96123500A (ru) Способ обессеривания жидкого чугуна
RU2112045C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конвертере
JPS57158316A (en) Production of al-containing steel
JP3430876B2 (ja) 転炉製錬方法および転炉製錬用ランス
JP3680385B2 (ja) 溶銑の脱マンガン方法
JP2005113192A (ja) 転炉内スラグの流出防止具
JP4265453B2 (ja) 溶融金属の精錬方法
KR20020051962A (ko) 저린 저질소 용강의 전로 정련방법
JPH01263214A (ja) 無倒炉出鋼式の転炉構造
RU216546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и в электродуговой печи
SU929709A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чугу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