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099U -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099U
KR20000020099U KR2019990007052U KR19990007052U KR20000020099U KR 20000020099 U KR20000020099 U KR 20000020099U KR 2019990007052 U KR2019990007052 U KR 2019990007052U KR 19990007052 U KR19990007052 U KR 19990007052U KR 20000020099 U KR20000020099 U KR 200000200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valve body
air
discharge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9992Y1 (ko
Inventor
이봉규
Original Assignee
이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규 filed Critical 이봉규
Priority to KR2019990007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92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5/00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 B66F5/04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with fluid-pressure-operated lif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7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pneu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을 들어올리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키는 에어부스터로 구성되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스터의 실린더몸체 일측에 부착볼트에 의하여 부착되는 에어밸브장치를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기 에어공급밸브로 부터 공압을 공급받는 공압유입공과, 상기 공압유입공과 연통하도록 공압공급밸브체의 중심에 형성되는 공압배출공과,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의 일측에 편심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공압배출공에서 배출되는 공압을 실린더몸체 내부로 공급하여 피스톤헤드를 압축작동시키거나 피스톤헤드의 복귀작동시에는 공압을 배출시키는 공압유출입공으로 구성된 공압공급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를 향해 마주하는 중심에 형성되는 작동실과, 상기 작동실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공압유출공으로 부터 배출되는 공압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수개의 방출로를 구성하고 있는 공압회류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며 중심에 시일돌기가 원형으로 둘출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밸브판과; 상기 공압회류밸브체의 작동실 주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공압작동부와 상기 고정밸브판의 가이드공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채 공압을 방출하는 다수의 공압방출홈이 있는 밸브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작동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와 고정밸브판과의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어 공압의 공급 및 방출작동을 제어하는 가동밸브판과;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Lifter using oiljack and air booster}
본 고안은 차량을 들어올리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키는 에어부스터(Air Booster)로 구성되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들어올리는 유압잭은 유압실린더를 내,외부 2중원통으로 구성한 다음 외부원통과 내부원통 사이에 충진된 오일을 펌핑하여 내부원통으로 공급하는 작동과 내부원통으로 공급된 오일을 외부원통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구성으로 피스톤을 상승 및 하강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차량용 유압잭은 유압펌핑작동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것과, 에어부스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한 전자의 것은 유압실린더의 외부원통 일측 하부에 조절간이 연결된 체크밸브와 펌핑작동간이 연결된 펌핑밸브를 설치한 다음 상기 조절간으로 체크밸브를 펌핑위치로 조작한 후 펌핑작동간을 수동으로 펌핑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외부원통에 충진된 유압을 내부원통으로 펌핑공급하여 피스톤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전자의 유압잭은 작업자의 힘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상승작동이 매우 느리고 힘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후자의 것은 에어공급밸브를 한차례 조작하게 되면 에어부스터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유압을 자동으로 펌핑공급하도록 구성된 것과 에어공급밸브를 수동으로 단속적으로 반복해서 조작하게 되면 에어부스터가 단속적으로 작동하여 유압을 펌핑공급하도록 구성된 것 등 두 종류의 것이 있는데, 에어부스터가 자동으로 작동하면서 유압을 펌핑하는 것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 57385 호가 선행기술로 소개되고 있는 바 상기 선행기술의 유압잭은 유압을 펌핑하는 에어부스터의 구성이 실린더몸체 양측에 유압통로가 복잡하게 구성된 유압밸브와 에어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에어밸브를 장착하여 유압의 펌핑압력을 증가시켜 유압잭이 상당이 무거운 중량체(40t 이상)를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이 매우 비싼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에어부스터가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은 실린더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는 피스톤을 압축작동(전진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에어공급밸브를 열어 공압을 공급하여 공압이 피스톤을 압축작동시키도록 하고 다음 압축된 피스톤을 복귀작동(후진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에어공급밸브를 닫아 공압을 공급을 차단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스톤이 복귀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이 싼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작업자가 에어공급밸브의 개폐조작을 수동으로 반복 되풀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수동으로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유압의 펌핑작동이 더디어지게 되므로 유압잭의 피스톤을 상승작동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에어부스터를 개량하여 구조는 간단하고 유압은 자동으로 펌핑작동할 수 있도록 에어부스터의 실린더몸체 일측에 개량된 에어밸브장치를 장착하여 에어공급밸브를 한차례 개방조작하게 되면 공급되는 공압이 피스톤헤드를 압축작동시키고 압축작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피스톤헤드를 압축하였던 공압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므로서 피스톤헤드의 복귀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헤드의 왕복작동에 따라 펌핑로드가 상기 에어밸브장치의 반대측에 장착된 유압펌핑노즐의 내부를 왕복하면서 유압잭의 공압을 연속적으로 펌핑하여 유압잭의 피스톤을 자동으로 상승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상기 에어밸브장치에 공급되는 공압과 실린더몸체에 공급되었던 공압의 방출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크밸브가 기울어지는 현상없이 똑바르게 왕복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평판상의 받침대의 일측에 오일이 충진된 내,외부 원통으로 구성되며 내부원통에 피스톤이 상방으로 노출되어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된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내,외부 원통과 연통하는 유압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체크밸브체와,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유압잭과 마주하게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에어부스터와, 상기 에어부스터의 유압펌핑노즐과 상기 체크밸브체의 오일펌핑관을 연결하는 유압호스와, 상기 에어부스터의 실린더몸체와 에어밸브장치를 연결하는 공압회류관과, 상기 에어밸브장치에 공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공급밸브로 구성된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스터의 실린더몸체 일측에 부착볼트에 의하여 부착되는 에어밸브장치를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기 에어공급밸브로 부터 공압을 공급받는 공압유입공과, 상기 공압유입공과 연통하도록 공압공급밸브체의 중심에 형성되는 공압배출공과,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의 일측에 편심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공압배출공에서 배출되는 공압을 실린더몸체 내부로 공급하여 피스톤헤드를 압축작동시키거나 피스톤헤드의 복귀작동시에는 공압을 배출시키는 공압유출입공으로 구성된 공압공급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를 향해 마주하는 중심에 형성되는 작동실과, 상기 작동실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공압유출공으로 부터 배출되는 공압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수개의 방출로를 구성하고 있는 공압회류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며 중심에 시일돌기가 원형으로 둘출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밸브판과;
상기 공압회류밸브체의 작동실 주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공압작동부와 상기 고정밸브판의 가이드공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채 공압을 방출하는 다수의 공압방출홈이 있는 밸브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작동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와 고정밸브판과의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어 공압의 공급 및 방출작동을 제어하는 가동밸브판과;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의 공압배출공의 둘레에는 상기 가동밸브판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밸브판이 기울어짐 없이 똑바르게 움직이면서 공압의 공급 및 방출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에어부스터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에어부스터의 에어밸브장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에어부스터의 공압공급밸브몸체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잭 2 : 받침대
3 : 에어부스터 4 : 에어밸브장치
4a : 공압공급밸브체 4b : 공압회류밸브체
5 : 유압펌핑노즐 6 : 작동밸브체
7 : 에어공급밸브 8 : 필터
11 : 피스톤 12 : 체크밸브체
14 : 오일펌핑관 15 : 유압호스
31 : 실린더몸체 32 : 공압공급측 플렌지
33 : 유압펌핑측 플렌지 34 : 피스톤헤드
35 : 펌핑로드 36 : 스프링
41 : 공압유입공 42 : 공압배출공
43 : 공압유출입공 44 : 작동실
46 : 가이드봉 61 : 고정밸브판
62 : 가동밸브판 63 : 스프링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에어부스터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에어부스터의 에어밸브장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에어부스터의 공압공급밸브몸체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유압잭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유압잭(1)은 평판상으로 된 받침대(2)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잭(1)은 오일이 충진된 외부원통과 상기 외부원통의 오일을 공급받아 피스톤(11)을 상하로 출몰작동시키는 내부원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유압잭(1) 하부 일측 좀더 자세하게는 외부원통의 하부 일측에 체크밸브체(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체(12)에는 내부의 밸브를 외부원통에 충진된 오일이 내부원통으로 펌핑공급되게 하는 상태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내부원통에 공급된 오일이 외부원통으로 회수되는 상태로 작동시키는 조절간(13)이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원통에 충진된 오일을 내부원통으로 펌핑공급하는 오일펌핑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압잭(1)과 마주하는 받침대(2)의 타측에는 에어부스터(3)가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부스터(3)의 실린더몸체(31)는 그 양측이 공압공급측 플렌지(32)와 유압펌핑측 플렌지(33)에 의하여 밀폐상태로 조립되며, 그 내부에는 피스톤헤드(34)와 펌핑로드(3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헤드(34)는 스프링(36)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상기 에어부스터(3)의 공압공급측 플렌지(32) 외부에는 수개의 부착볼트(37)에 의하여 에어밸브장치(4)가 부착되며, 유압공급측 플렌지(33)에는 유압펌핑노즐(5)이 부착된다.
상기 에어밸브장치(4)는 공압공급측 플렌지(32)의 중심에 형성된 큰 구멍(32a)을 밀폐하도록 부착되는 공압공급밸브체(4a)와 상기 부착볼트(37)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공압공급밸브체가 공압공급측 플렌지(32)에 밀봉상태로 부착되게 하는 공압회류밸브체(4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밸브장치(4)의 공압공급밸브체(4a)는 공압공급측 플렌지(32)의 큰 구멍(32a)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양측 주연부에는 패킹(부호 생략)이 부착되어 있으며, 공압공급밸브체(4a)의 일측에 형성된 공압유입공(41)에는 에어공급밸브(7)로 부터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압호스(71)가 연결되는 연결구(72)가 나사조립되어 있고 상기 공압공급밸브체(4a)의 중심부에는 상기의 공압유입공(41)과 연통하는 공압배출공(4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공압공급밸브체(4a)의 편심위치에는 큰 구멍(32a)과 연통하도록 공압유출입공(43)이 뚫어져 있다.
다음 상기 에어밸브장치(4)의 공압회류밸브체(4b)는 상기 공압공급밸브체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공압공급측 플렌지(32)에서 길게 돌출되는 수개의 부착볼트(37)에 의하여 나사조립되도록 수개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압공급밸브체(4a)와 마주하는 쪽에는 작동밸브체(6)를 수용하는 작동실(44)과 공압을 방출하는 수개의 방출로(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실(44)의 내면 중심에는 공압회류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공압공급측 밸브체(32)에 설치되는 공압공급밸브체(4a)와 공압회류밸브체(4b) 사이에는 고정밸브판(61)이 공압공급밸브체(4a)를 감싼 채 공압회류밸브체(4b)의 단층면(47)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공압공급밸브체(4a)와 고정밸브판(61) 사이에는 패킹(부호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밸브체(6)의 공압작동부(6a)는 공압회류밸브체(4b)의 작동실(44) 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압회류공(46)으로 회류되는 공압이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공압작동부(6a)에는 패킹(부호 생략)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작동밸브체(6)의 밸브작동부(6b)는 고정밸브판(61)의 중심에 형성된 안내공(61a)을 통해 공압공급밸브체(4a)쪽을 향해 진퇴작동을 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밸브작동부(6b)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공압방출홈(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압공급밸브체(4a)와 고정밸브판(61) 사이에는 가동밸브판(62)이 설치되는데, 상기한 가동밸브판(62)은 공압배출공(42)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63)에 탄력지지된 상태에서 상기한 작동밸브체(6)의 밸브작동부(6b)에 밀착된 채 밸브작동부(6b)를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작용과 상기의 밸브작동부(6b)의 전진작동(공압공급밸브체쪽을 향해 진입하는 작동을 말함)에 의하여 공압배출공(42)을 밀폐하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동밸브판(62)이 공압배출공(42)과 고정밸브판(61)의 안내공(61a)을 공압의 누설없이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의 공압배출공(42)과 안내공(61a)에는 시일돌기(42a)(61b)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가동밸브판(62)은 공압공급밸브체(4a)에 돌출된 다수의 가이드봉(46)에 의하여 왕복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가이드봉(46)은 가동밸브판(62)이 공압배출공(42)의 시일돌기(42a)와 고정밸브판(61)의 시일돌기(61b)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현상없이 똑바르게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담당하여 가동밸브판(62)이 공압의 밀폐작동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에어부스터(3)의 실린더몸체(31)의 중간부분 일측에는 구멍(31a)을 뚫고 그곳에 연결구(38a)를 나사조립하는 한편, 상기 공압회류밸브체(4b)의공압회류공(46)에도 또 하나의 연결구(38b)를 나사조립한 다음 상기한 양측의 연결구(38a)(38b)를 공압회류관(38)으로 연결한다.
다음 상기 에어부스터(3)의 유압펌핑측 플렌지(33)에 설치되는 유압펌핑노즐(5)은 상기의 유압펌핑측 플렌지(33)의 내,외측에서 나사조립되는 체결너트(7a)(7b)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압펌핑노즐(5)의 삽입단(5a)측에는 펌핑로드(35)가 유압을 누설시키지 않고 펌핑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부싱(51)과 패킹(52) 그리고 패킹을 보호하기 위한 테프론링(53)이 펌핑로드(35)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유압펌핑노즐(5)의 선단과 유압잭(1)의 체크밸브체(12)의 오일펌핑관(14)이 유압호스(15)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2)의 일측 즉, 유압잭(1)이 설치된 부분에는 바퀴(21)가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에어부스터(3)가 설치되는 타측에는 이동손잡이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손잡이간(22)에 부착된 에어공급밸브(7)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4a)의 공압유입공(41)에 부착된 연결구(72)가 연결호스(71)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부스터(3)의 유압펌핑측 플렌지(33)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33a)에는 필터(8)가 나사조립되어 에어부스터(3)의 피스톤헤드(34)의 압축 및 복귀작동시 공압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상기 필터(8)는 실린더몸체(31)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먼지 등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 등을 들어올리고자 할 때에는 먼저 유압잭(1)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받침대(2)를 바닥에 수평상태로 고정시킨 다음 이동손잡이간(22)에 부착된 에어공급밸브(7)의 공압유입구에 콤푸레샤 등에서 공압을 공급하는 호스(도시 생략)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에어공급밸브(7)의 레바를 개방조작하게 되면 상기 에어부스터(3)의 피스톤헤드(34)가 실린더몸체(31) 내부를 왕복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펌핑로드(35)가 유압펌핑노즐(5) 내부를 왕복작동하면서 유압펌핑작동을 진행하게 되므로서 유압잭(1)의 피스톤(11)을 상승작동을 개시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유압잭(1)의 피스톤(11)을 상승작동시키는데 따른 에어부스터(3)의 피스톤헤드(34)와 유압펌핑로드(35)의 작동상태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유압잭(1)의 외부원통에 충진된 오일이 내부원통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잭(1)의 하부에 장착된 체크밸브체(12)의 밸브를 조절간(13)으로 조절한 다음 상기 에어공급밸브(7)의 레바를 개방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공급밸브(7)를 개방조작하게 되면 콤푸레샤에서 발생된 공압이 에어공급밸브에 연결된 공압호스(71)와 연결구(72)를 통해 에어밸브장치(4)의 공압공급밸브체(4a)의 공압유입공(41)을 거쳐 공압배출공(42)으로 유입되는데, 이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압배출공(42)에 탄력설치된 스프링(63)의 탄발력에 의하여 작동밸브체(6)를 밀어내고 있는 가동밸브판(62)은 고정밸브판(61)의 시일돌기(61b)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공압유입공(41)으로 유입된 공압은 공압회류밸브체(4b)로 이동하지 못하고 공압유출입공(43)을 통해 실린더몸체(3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몸체(31)로 유입된 공압은 피스톤헤드(34)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서 피스톤헤드(34)는 스프링(36)의 탄성력을 이기고 유압펌핑측 플렌지(33)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피스톤헤드(34)와 유압펌핑측 플렌지(33)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공압은 배출공(33a)에 부착된 필터(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상기 피스톤헤드(34)의 압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이 피스톤헤드(34)가 압축작동을 개시할 때에는 유압펌핑로드(35)도 유압펌핑노즐(5) 내부로의 진입작동을 개시하는 상태가 되며, 상기의 유압펌핑로드(35)가 유압펌핑노즐(5)을 진입할 때에는 유압호스(15) 내부에 흡입되었던 오일을 밀어내는 이른바 압축펌핑하는 상태이므로 오일은 유압잭(1)의 내부원통으로 공급되어 피스톤(11)을 일정높이만큼 상승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의 피스톤헤드(34)가 공압유출입공(43)으로 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유압펌핑측 플렌지(33)쪽으로 압축작용을 하면서 이동하여 실린더몸체(31)의 중간부분에 뚫어져 있는 구멍(31a)을 벗어나는 순간에는 상기 피스톤헤드(34)에 압력을 가하던 공압이 상기한 구멍(31a)을 통해 공압연결관(38)으로 회류하여 공압회류밸브체(4b)의 작동실(44)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헤드(34)를 압축작동시키는 공압은 콤푸레샤에서 공급되는 공기압과 스프링(42)의 탄성력을 합한 압력보다 센 압력이므로 상기 작동실(44)로 회류된 공압은 작동밸브체(6)의 공압작동부(6a)에 작용하게 되며, 이와 같이 회류된 공압은 도 3과 같이 상기 작동밸브체(6)를 고정밸브판(61)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서 상기 작동밸브체(6)의 밸브작동부(6b)는 스프링(63)으로 탄력지지되고 있는 가동밸브판(62)을 공압배출공(42)쪽으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가동밸브판(62)은 공압배출공(42) 주위에 다수의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봉(46)의 안내를 받아 기울어지는 현상없이 똑바르게 이동하면서 시일돌기(42a)에 밀착되게 되며, 이렇게 상기의 가동밸브판(62)이 공압배출공(42)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 공압배출공(42)은 공압의 배출작동이 차단된 상태가 되는 한편 공압을 공급하는 콤푸레샤는 계속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밸브체(6)가 가동밸브판(62)을 공압배출공(42)쪽으로 밀어준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밸브체(6)의 밸브작동부(6b)가 고정밸브판(61)의 안내공(61a)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이렇게 안내공(61a)를 통해 공압공급밸브체(4a)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밸부작동부(6b)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공압방출홈(6c)에 의하여 상기 고정밸브판(61)의 안내공(61a)이 개방된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상기 피스톤헤드(34)의 이면측 실린더몸체(31) 내부(피스톤헤드와 공압공급측 플렌지 사이의 내부공간)와 공압유출입공(43) 및 공압방출홈(6c)은 서로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피스톤헤드(34)를 압축작동시켰던 공압은 공압유출입공(43)과 공압방출홈(6c)으로 통해 공압회류밸브체(4b)의 작동실(44)쪽으로 배출되는 즉시 방출로(45)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이렇게 공압이 방출로(45)로 방출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헤드(34)의 이면에 공압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피스톤헤드(34)는 압축되었던 스프링(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헤드(34)가 스프링(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할 때에는 펌핑로드(35)도 유압펌핑노즐(5) 내부에서 후퇴작동(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는 상태)을 하게 되는데, 상기의 펌핑로드(35)가 후퇴작동할 때에는 유압잭(1)의 외부원통에서 오일을 흡입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피스톤헤드(34)가 스프링(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공압공급측 플렌지(32)쪽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필터(8)를 통해 불순물이 여과된 공기가 실린더몸체(31) 내부(유압공급측 플렌지측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피스톤헤드(34)의 복귀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복귀작동을 하는 상기 피스톤헤드(34)의 선단이 공압연결관(38)이 연결되는 구멍(31a)를 벗어나는 순간에는 상기한 공압연결관(38)은 대기압 상태의 유압공급측 플렌지(33)측 내부와 연통하는 상태가 되므로 공압회류밸브체(4b)의 작동실(44)에 작용하던 회류공압이 없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작동실(44)에서 회류공압이 제거되면 콤푸레샤에서 발생되는 공압과 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밸브판(62)이 작동밸브체(6)를 작동실(44)쪽으로 밀어내면서 고정밸브판(61)의 시일돌기(61b)에 밀착되어 공압배출공(42)으로 배출되는 공압은 공압유출입공(43)으로 통해 실린더몸체(31)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헤드(34)를 재차 압축작동시키는 작용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부스터(3)는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피스톤헤드(34)가 공압공급측 플렌지(32)쪽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또한 가동밸브판(62)은 고정밸브판(61)의 안내공(61a)을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유압잭(1)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에어공급밸브(5)의 레바를 개방상태 즉, 공압공급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콤푸레샤 등에서 공급되는 공압은 공압공급측 플렌지(32)쪽 내부로 유입되므로 피스톤헤드(34)가 압착작동을 진행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헤드(34)의 이면측이 공압연결관(38)이 연결된 구멍(31a)을 벗어나게 되면 피스톤헤드(34)에 압력을 가하던 공압은 공압연결관(38)으로 회류되어 공압회류밸브체(4b)의 작동실(44)에 설치된 작동밸브체(6)에 압력을 가하여 가동밸브판(62)을 밀어내도록 하여 상기 가동밸브판(62)이 공압배출공(42)을 폐쇄하게 됨과 동시 상기 피스톤헤드(34) 이면측의 공압은 공압유출입공(43)과 작동밸브체(6)의 공압방출홈(6c)을 거쳐 공압회류밸브체(4b)의 방출로(45)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상기 피스톤헤드(34)는 스프링(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작동을 진행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헤드(34)가 복귀작동을 진행할 때 그 선단이 구멍(31a)를 벗어나는 순간에 이르면 공압연결관(38)이 대기압 상태의 실린더몸체(31) 내부와 연통하게 되므로 에어밸브장치(4)의 가동밸브판(62)이 고정밸브판(61)의 안내공(61a)을 폐쇄하게 되므로 공압유입공(41)으로 유입되는 공압은 다시 실린더몸체(31) 내부로 유입되는 작용이 반복해서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헤드(34)는 자동으로 압축작동과 복귀작동을 연속해서 반복 되풀이하게 되는 한편, 상기와 같이 피스톤헤드(34)가 압축작동과 복귀작동을 반복함에 따라 펌핑로드(35)도 유압펌핑노즐(5) 내부를 전진 및 후퇴작동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펌핑로드(35)가 전진 및 후퇴작동을 반복함에 따라 유압잭(1)의 외부원통에 저장된 오일은 오일펌핑관(14)으로 흡입되었다가 내부원통으로 주입되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렇게 외부원통에 있던 오일이 내부원통으로 펌핑공급됨에 따라 유압잭(1)의 피스톤(11)이 상승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압잭(1)의 피스톤(11)을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조절간(13)을 반대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체크밸브체(12)의 밸브가 개방되어 내부원통에 주입된 오일이 외부원통으로 회수되므로 피스톤(11)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압잭의 피스톤을 상승작동시키기 위하여 오일을 펌핑하는 에어부스터의 에어밸브장치를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로 구분하여 구성한 다음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 사이에는 고정밸브판을 설치하고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쪽에는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가동밸브판을 설치하며 상기 공압회류밸브체쪽에는 작동밸브체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작업자가 에어공급밸브의 레바를 개방상태로 한차례 조작하는 수단으로 공압이 에어부스터의 피스톤헤드를 자동으로 압축 및 복귀작동을 반복해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유압잭의 피스톤을 자동으로 상승작동시킬 수 있어 유압잭의 사용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져다주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은 에어밸브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에어부스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평판상의 받침대의 일측에 오일이 충진된 내,외부 원통으로 구성되며 내부원통에 피스톤이 상방으로 노출되어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된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내,외부 원통과 연통하는 유압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체크밸브체와,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유압잭과 마주하게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에어부스터와, 상기 에어부스터의 유압펌핑노즐과 상기 체크밸브체의 오일펌핑관을 연결하는 유압호스와, 상기 에어부스터의 실린더몸체와 에어밸브장치를 연결하는 공압회류관과, 상기 에어밸브장치에 공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공급밸브로 구성된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스터의 실린더몸체 일측에 부착볼트에 의하여 부착되는 에어밸브장치를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기 에어공급밸브로 부터 공압을 공급받는 공압유입공과, 상기 공압유입공과 연통하도록 공압공급밸브체의 중심에 형성되는 공압배출공과,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의 일측에 편심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공압배출공에서 배출되는 공압을 실린더몸체 내부로 공급하여 피스톤헤드를 압축작동시키거나 피스톤헤드의 복귀작동시에는 공압을 배출시키는 공압유출입공으로 구성된 공압공급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를 향해 마주하는 중심에 형성되는 작동실과, 상기 작동실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공압유출공으로 부터 배출되는 공압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수개의 방출로를 구성하고 있는 공압회류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와 공압회류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며 중심에 시일돌기가 원형으로 둘출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밸브판과;
    상기 공압회류밸브체의 작동실 주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공압작동부와 상기 고정밸브판의 가이드공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채 공압을 방출하는 다수의 공압방출홈이 있는 밸브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작동밸브체와;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와 고정밸브판과의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어 공압의 공급 및 방출작동을 제어하는 가동밸브판과;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밸브체의 공압배출공의 둘레에는 상기 가동밸브판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밸브판이 기울어짐 없이 똑바르게 움직이게 하면서 공압의 공급 및 방출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KR2019990007052U 1999-04-28 1999-04-28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KR200249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052U KR200249992Y1 (ko) 1999-04-28 1999-04-28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052U KR200249992Y1 (ko) 1999-04-28 1999-04-28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099U true KR20000020099U (ko) 2000-11-25
KR200249992Y1 KR200249992Y1 (ko) 2001-11-16

Family

ID=5476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052U KR200249992Y1 (ko) 1999-04-28 1999-04-28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349B1 (ko) * 2020-07-16 2021-01-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펌프/수차 너트-잭의 리프팅 에어 실린더가 구비된 에어 유닛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349B1 (ko) * 2020-07-16 2021-01-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펌프/수차 너트-잭의 리프팅 에어 실린더가 구비된 에어 유닛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92Y1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531A (en) Pump arrangement driven by compressed-air
KR930002474B1 (ko) 유압 실린더용 밸브
KR950002979B1 (ko) 유체압 피스톤 발동기
EP0832359B1 (en) Pneumatic pump
KR200249992Y1 (ko)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리프트장치
JP2852953B2 (ja) 流体圧ピストン発動機
US4110983A (en) Air operated hydraulic pump apparatus
CN214368097U (zh) 一种可切换气动增压泵自动换向阀门控制系统
US6499974B2 (en) Piston pump
JP3290804B2 (ja) 増圧器
KR20190079744A (ko) 수동식 양수기
JP3342929B2 (ja) 高圧流体発生装置
CN218407715U (zh) 一种往复式气动泵及流体增压装置
CN115258999B (zh) 一种电动卧式液压千斤顶
KR100510751B1 (ko) 유압잭과 에어부스터로 구성된 에어작기
CN216842074U (zh) 一种新型真空注油机工作头结构
KR102120088B1 (ko) 중고압 공기압축기용 2단 언로더 시스템
CN217462449U (zh) 一种气动增压泵液压单元
CN116292169A (zh) 一种双作用气液增压泵
JP2676111B2 (ja) 流体圧駆動連続作動型往復動アクチュエータ
US7007860B2 (en) Plunger cavity pressure control for a hydraulically-actuated fuel injector
RU2046223C1 (ru) Пневмогидроусилитель
JPH088307Y2 (ja) ブースタポンプ
RU27166U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насос с двухступенчатой подачей
KR100523999B1 (ko) 에어작기의 에어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