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043U - 묘소용 영정탑구조 - Google Patents

묘소용 영정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043U
KR20000020043U KR2019990006955U KR19990006955U KR20000020043U KR 20000020043 U KR20000020043 U KR 20000020043U KR 2019990006955 U KR2019990006955 U KR 2019990006955U KR 19990006955 U KR19990006955 U KR 19990006955U KR 20000020043 U KR20000020043 U KR 200000200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usoleum
pedestal
tile
cemetery
spir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복
Original Assignee
박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복 filed Critical 박유복
Priority to KR2019990006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043U/ko
Publication of KR20000020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043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원묘지나 개인묘지의 각 묘소마다 설치되는 비석의 일측에 도자기공예의 사진전사기법을 이용하여 묘소에 안장된 망자(亡者)의 인물사진이나 주요 문건을 전사시킨 영정을 설치함으로서 묘소 참배의 실제감을 높이고, 새로운 묘지문화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의 자연조건하에서 변색이나 탈색없이 생전의 모습을 생생하게 간직할 수 있도록 하는 묘소용 영정탑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묘소 앞의 비석 일측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사각으로 구성되는 받침대의 위면에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의 중앙에는 요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의 바닥면에는 표면에 영정을 인쇄시켜 전사층이 구비된 타일을 접착제로 부착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묘소용 영정탑구조 {A portrait tower structure for a grave}
본 고안은 공원묘지나 개인묘지의 비석 일측에 설치하는 영정탑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원묘지나 개인묘지의 각 묘소마다 설치되는 비석의 일측에 도자기공예의 사진전사기법을 이용하여 묘소에 안장된 망자(亡者)의 인물사진이나 주요 문건을 전사시킨 영정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묘소용 영정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묘지는 비석에 한글이나, 한자로 안장된 망자의 이름 등을 표기하고 있으며, 그외에는 안장된 망자의 업적이나 자손관계 등을 비석의 이면에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석은 전면에 안장된 망자의 이름만을 표기함으로서 공원묘지에 안장된 묘소를 후손들이 찾을 때면 묘소의 위치를 찾아 헤메는 번거로움을 격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묘소를 참배할 때에도 후손(특히 신세대)들은 묘소 속에 안장된 망자의 생존모습을 기억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묘소 참배는 실제감이 없는 형식적인 행사에 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원묘지나 개인묘지의 각 묘소마다 설치되는 비석의 일측에 도자기공예의 사진전사기법을 이용하여 묘소에 안장된 망자의 인물사진이나 주요 문건을 전사시킨 영정을 설치함으로서 묘소 참배의 실제감을 높이고, 새로운 묘지문화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의 자연조건하에서 변색이나 탈색없이 생전의 모습을 생생하게 간직할 수 있도록 한 묘소용 영정탑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받침대 2 : 경사면
3 : 요입부 4, 4´ : 타일
5 : 전사층 6 : 영정
7 : 접착제 8 : 주요 문건
9 : 이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묘소 앞의 비석 일측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사각으로 구성되는 받침대(1)의 위면에는 경사면(2)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2)의 중앙에는 요입부(3)를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3)의 바닥면에는 표면에 영정(6)을 인쇄시켜 전사층(5)이 구비된 타일(4)을 접착제(7)로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1)는 석재와 철재, 수지재, 유리재, 도자기재, 콘크리트 및 목재 등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일(4)에는 도자기류에 사진을 전사하는 통상적인 사진전사기법을 사용하므로 건축 내장재로 사용되는 도자기판 타일이나 유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자기류로 구성되는 타일(4)의 표면에 영정(6)을 전사하여 전사층(5)을 구성하고, 그 전사층(5)이 구성된 타일(4)의 이면에 도자기용 접착제(7)를 도포하여 받침대(1)의 요입부(3) 바닥면에 부착하므로서 영정탑을 비석의 일측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영정탑을 설치하면 후손들이 묘소를 찾았을 때 선조의 생존모습을 볼 수 있으므로 묘소 참배의 의미를 새롭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영정탑은 타일(4)의 표면에 전사기법으로 영정(6)을 인쇄함으로서 자연조건하에서 탈색이나 변색없이 영정(6)을 생생하게 반영구적으로 간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의 구조와 영정(6)의 표현을 다양화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a는 타일(4)에 전사되는 영정(6)의 일측으로 주요 문건(8)을 함께 전사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받침대(1)를 높게 형성하면서 경사면(2)에는 영정(6)이 전사된 타일(4)을 부착하고, 받침대(1)의 정면측에는 이름(9)을 전사한 타일(4´)을 부착시킨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3c 및 도 3d는 받침대(1)의 형상을 경사면(2)을 형성하지 않은 6면체로 하거나 경사면(2)을 형성하지 않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3e는 원형으로 받침대(1´)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고, 도 3f는 그 원형인 받침대(1´)의 위면에 경사면(2)을 형성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영정탑은 상기에 예시한 받침대(1)(1´)외에도 영정(6)을 전사한 타일(4)을 부착하는 형상의 받침대(1)(1´)이면 모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영정탑의 구조는 묘소에 설치하는 것 외에도 실내외의 각종 안내탑과 홍보물 및 공공장소의 슈퍼그래픽 등에 제한되지 없고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묘소 앞의 비석 일측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대의 위면에는 중앙에 요입부를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의 바닥면에는 표면에 영정을 인쇄시켜 전사층이 구비된 타일을 접착제로 부착함으로서 묘소 참배의 실제감을 높이고, 새로운 묘지문화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의 자연조건하에서 변색이나 탈색없이 생전의 모습을 생생하게 간직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묘소 앞의 비석 일측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사각으로 구성되는 받침대(1)의 위면에는 경사면(2)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2)의 중앙에는 요입부(3)를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3)의 바닥면에는 표면에 영정(6)을 인쇄시켜 전사층(5)이 구비된 타일(4)을 접착제(7)로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묘소용 영정탑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를 원통형의 받침대(1´)로 형성하고, 그 위면에 전사층(5)을 갖는 타일(4)을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묘소용 영정탑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일(4)의 표면에는 영정(6)과 함께 주요 문건(8)을 전사하고, 그 영정(6)과 주요 문건(8)이 전사된 타일(4)을 받침대(1)(1´)의 위면 요입부(3)에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묘소용 영정탑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5)을 갖는 타일(4)을 위면에 부착하는 받침대(1)(1´)의 정면에는 이름(9)이 전사된 타일(4´)을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묘소용 영정탑구조.
KR2019990006955U 1999-04-27 1999-04-27 묘소용 영정탑구조 KR200000200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55U KR20000020043U (ko) 1999-04-27 1999-04-27 묘소용 영정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55U KR20000020043U (ko) 1999-04-27 1999-04-27 묘소용 영정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043U true KR20000020043U (ko) 2000-11-25

Family

ID=5476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955U KR20000020043U (ko) 1999-04-27 1999-04-27 묘소용 영정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0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62B1 (ko) * 2009-07-21 2010-03-26 (주)우석 분리 구조를 가진 평토장용 표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62B1 (ko) * 2009-07-21 2010-03-26 (주)우석 분리 구조를 가진 평토장용 표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05872A1 (en) Tomb top
KR20000020043U (ko) 묘소용 영정탑구조
Bowes et al. An amphitheatre and its afterlives: survey and excavation in the Durres amphitheatre
JP6599399B2 (ja) 墓石システム
ES2300186B1 (es) Lapida ceramica de diseño.
Welch The shrine of the holy footprint in Delhi
JP2010196453A (ja) 墓碑
Langdale et al. A Short Report on Three Newly Accessible Churches in the Syrian Quarter of Famagusta.
CN204876780U (zh) 家族式组合墓碑
JP2556775Y2 (ja) 墓 碑
JP3199687U (ja) 簡易墓石
JP3146640U (ja) 先祖供養墓
CN2680789Y (zh) 立体式构架安放墓
Wahab TYPOLOGY OF THE OTTOMAN MAUSOLEUMS IN RHODES IN THE LIGHT OF THE REMAINING TYPES IN CEMETERY OF MURAD RE'IS
CN2634023Y (zh) 瓷质墓墙
WO2002029183A1 (en) The illuminated remembrance monument
FI119393B (fi) Hautausmenetelmä ja tuhkaholvi sen soveltamiseksi
JP3016134U (ja) 墓所用石材加工品
Mitchell The early medieval monastery as a site of commemoration and place of oblivion
McDowell New Orleans Cemeteries:" Architectural Styles and Influences"
JP2001152697A (ja) 永代供養墓兼用永代供養納骨設備
RU93032266A (ru) Надгробный памятник
Sexton Don't Let the Rain Fall on my Face: French Louisiana Gravehouses in an Anthropo-Geographical Context
Yousefisalekdeh Studies in Armenian Architecture in Iran/Western Azerbaijan
JP3142343U (ja) 骨つぼ安置室を有する墓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