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746A -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746A
KR20000019746A KR1019980038009A KR19980038009A KR20000019746A KR 20000019746 A KR20000019746 A KR 20000019746A KR 1019980038009 A KR1019980038009 A KR 1019980038009A KR 19980038009 A KR19980038009 A KR 19980038009A KR 20000019746 A KR20000019746 A KR 20000019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
polyester
membrane support
separ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859B1 (ko
Inventor
임대우
백문수
윤성로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이영관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관,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관
Priority to KR10-1998-003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8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8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01D69/1071Woven, non-woven or net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25Fibr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50Control of the membrane prepara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6Surface irregula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의 표면조도가 매우 우수하고 표면 위에 도포되는 얇은 층의 고분자 분리막과 친화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분리막 지지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 부직포에 있어서, 건식법에 의해 형성된 저밀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상부층으로 하고 습식법에 의해 형성된 고밀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하부층으로 하여 다단계 칼렌더링 표면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지지체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본 발명은 반투과성 분리막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직포의 표면 조도(평활성)가 매우 우수하고, 표면위에 도포되는 얇은 층의 고분자 분리막과 친화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정밀한 여과를 요구하는 역삼투 분리막 및 초순수 여과를 위한 액체여과 분야에 있어 분리막은 부직포와 같은 지지체 위에 도포되어 있다. 분리막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역학적 특성으로는 강도 및 신도 뿐만아니라 부직포의 표면 섬유가 완전히 밀
착되어 부직포 표면에 도출된 섬유가 전혀 없는 표면특성과 일정한 투과성을 가지는 특성을 가져야만 한다. 필터에 사용되는 고분자 분리막은 구조 자체가 매우 약하므로 필터 제조공정의 장력 및 필터 사용시 부여되는 수압에 견디기 위해서는 지지체가 요구되어진다.
기존에는 지지체로서 종이나 직물이 사용되어 왔으나 분리막과 지지체 사이의 친화력이 부족하여 박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종이의 경우 역학적인 강도가 적은 점과 직물의 경우 표면이 매우 거칠기 때문에 분리막 층이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필터의 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분리막 지지체의 표면을 매우 평활하게 하여 균일한 분리막 층을 형성하게 하고 역학적 강도를 향상시켜 제조공정시의 장력과 필터링시의 수압에 견디는 분리막 지지체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역삼투 분리막 및 초순수 여과 분리막의 지지체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표면 평활성이 매우 우수하며 투과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역삼투 분리막 및 초순수 여과 분리막의 지지체로 직물, 스판본드 부직포 및 장섬유 맷트등이 사용되어 왔다. 지지체에 카스팅되는 합성 고분자는 점도가 300-400cps로 매우 낮으며 형성되는 두께 또한 40㎛로 매우 얇으므로 지지체 표면에 도출된 섬유가 있을 경우 분리막에 구멍이 생기게 되고 이 구멍을 통하여 여과되지 않은 액체가 유출되어 여과된 액체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표면이 평활하고 외부로 도출된 섬유가 없는 표면 가공을 목적으로 스판본드 부직포나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열 칼렌더로 표면 압착가공을 하여 왔으나,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지지체는 도출된 섬유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섬유간 뭉침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복잡한 가공공정이 요구되어져 왔다.
부직포의 표면 평활성 부여에 관하여는 미국특허 제4377615호에서 부직포의 구성을 섬도 6.8데니어, 섬유장 12mm인 미연신 폴리에스테르사 35%와 동일한 섬도 및 섬유장인 연신사 65%를 습식법에 의해 섬유 함유량 0.02%로하여 웹을 형성시키고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탈수한 후 150℃로 건조시키고 스틸/코튼 칼렌더로 표면처리하여 표면이 평활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904523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열접착 제품으로 저융점 섬유 또는 융점이 다른 복합섬유(side by side)를 이용하여 건식 부직포 제조방법인 카딩에 의해 웹을 제조하고 225℃의 열풍 건조기를 통하여 저융점 섬유 또는 융점이 낮은 부분을 용융접착시켜 부직포를 제조하고 칼렌더 압력 300kp/cm, 온도
200℃로 하여 표면 가공을 부여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4-21526에서는 분리막 지지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제조시 2층 구조로 하고, 상부층은 하부층에 비해 섬도가 굵은 섬유와 섬유간 접착 섬유로 미연신사,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폴리프로필렌, 폴리에칠렌)등의 열융착성 섬유를 2:8 ∼ 8:2을 기준하여 습식법에 의한 초지기로 균일한 시트를 형성하고 226℃의 칼렌더 롤에 의해 표면가공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4377615호에 나타난 습식법에 의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된 섬유장 12mm로서는 물에 분산성이 좋지 않아 부직포 내에서 섬유가 서로 뭉쳐 다발이 형성되기 쉬우며 미연사와 연신사로 구성된 웹을 150℃로 건조시킬 경우 섬유결합력이 부족하여 섬유가 날리는 현상과 칼렌더 가공 처리시 요구되는 장력에 부적합하여 웹 절단이 생기기 쉽다.
또한 미국특허 제4904523호에 기술된 폴리에스테르 열접착 부직포 재조방법 중 칼렌더 압력 300kp/cm, 온도 200℃로하여 표면 가공을 할 경우 저융점섬유 및 복합섬유 중 저융점 부분이 칼렌더 표면에 용융 부착되어 부직포의 표면 평활 가공이 어려울 뿐더러 균일한 두께를 형성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4-21526에 제시된 분리막 지지체의 경우 상부층의 습식 부직포와 하부층의 부직포를 각각 별도로 생산하고 열칼렌더 가공시 복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열칼렌더 가공에 의해서 압력이 부직포 층간 계면에 집중되어 부직포 결합이 어려워 부직포간 박리가 발생되기 쉬운 단점과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면가공시 열스틸 칼렌더와 탄성칼렌더로 부직포를 압착시켜 결합섬유의 용융에 의해 고강도를 부여하기는 어려우며 정밀한 두께 조절이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막 지지체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켜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하며, 지지체로서 요구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표면가공을 세밀화 시키고 분리막 제조공정시 요구되는 인장강도, 고분자 분리막 도포시 이면 배출성을 개선하며 분리막과 친화성을 향상시키므로서 역삼투 분리막 제조시 분리막 고분자와 지지체의 박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필터로서 요구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발명 분리막 지지체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단면도
도 2는 본발명 분리막 지지체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공정도
도 3은 본발명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표면가공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상부층 2 : 하부층
3 : 분리막 5 : 습식웹
6 : 가이드 롤 7 : 에어레이드 웹
8 : 공기흡입장치 9 : 열풍흡입장치
10 : 2층 복합웹 11 : 권취장치
12, 13, 14, 16, 17, 18 : 스틸 칼렌더롤
15, 19 : 고무롤
상기 문제점 해결로서 부직포의 표면 균제도가 우수하며 고분자 분리막 친화성이 우수한 분리막 지지체를 얻는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리막에 적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서 고분자 분리막이 도포 되거나 고착 되는 부분은 상부층(1)이고, 하부층(2) 도포된 고분자가 배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는 본발명 분리막 지지체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공정도로서, 제지공정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습식법에 의해서 하부층을 형성하는 고밀도 층의 습십웹(5)은 섬도 2∼6d, 섬유장 1∼7mm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와 접착섬유로서 섬도 2∼6d, 섬유장 1∼7mm인 저융점(융점 150℃)폴리에스테르 섬유를 60∼50%를 함께 현택액에서 분산 시킨다. 이때 현탁액에서의 섬유 농도는 0.02∼0.08%로 하여 다단계의 분산액조에서 회전 스크루로 분산도를 향상시킨다. 섬유장이 1mm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시 분산성은 양호하나 형성된 부직포의 역학적 강도가 낮아 분리막 지지체로서는 적합하지 않으며, 섬유장이 7mm이상인 경우에는 현탁에서의 분산성이 좋지 않아 섬유간 뭉침이 발생하여 웹균제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습식법에 의해서 형성된 습십웹(5)은 가이드 롤(6)을 통하여 웹 이송시 파단을 방지하고 건식방법에 의해 형성된 저밀도 부직포의 상부층(1)과 결합되기 위해 이송된다. 통상의 습식법에 의해 형성된 웹은 탈수화 과정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탈수를 시키지 않고 습식상태를 유지시키므로 건식법에 의해 형성된 웹이 습윤상태의 웹에 부착되어 적층시 섬유 날림을 방지하게 된다.
고분자 분리막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부층(1)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과 같은 열가소성 섬유를 사용하고, 공기 적층방식이나 카딩과 같은 건식방법을 이용하여 에어레이드 웹(7)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리막 지지체로서 요구되는 역학적 특성에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였다. 상부층(1)의 부직포 웹은 섬도 3∼6d, 섬유장 24∼38mm인 구성섬유(매트리스 섬유)와 side by side형태(PET/PE) 복합섬유가 접착섬유로 형성된다.
구성섬유의 섬도가 3d 이하일 경우에는 조밀한 구조의 부직포가 형성되므로 고분자 분리막의 침투가 용이하지 못하며, 6d 이상일 경우에는 부직포가 벌키한 구조가 되어 고분자 분리막의 침투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고분자 형성속도 및 두께의 균제도에 문제점을 발생 시킨다. 이때에 공기흡입장치(8)는 하부층을 형성하는 습식웹(5)의 물을 탈수화 및 건식부직포 적층시 웹의 견고성을 부여한다. 열풍 흡입 장치(9)로 상/하부층 내에 구성된 접착섬유를 100℃ 이상의 열풍으로 접착섬유를 용융하여 구성 섬유와 접착 시키므로서 일정한 강도를 부여시킨다. 권취장치(11)은 형성된 웹을 일정한 길이 또는 폭으로 재단하거나 권취하는 설비로서 칼렌더 설비가 연속 공정일 경우에는 필요가 없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본발명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공정에 의해 형성된 상부층(1)과 하부층(2)으로 구성된 분리막 지지체는 요구되는 표면특성, 공기투과도 및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서 칼렌더 가공이 이루어 진다.
기존의 칼렌더 가공은 스틸/코튼롤(steel/ cotton roll) 1세트로 구성된 설비에서 가공이 이루어져 균일한 두께와 표면가공(도출섬유 방지)이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칼렌더 롤을 다단계로 하여 롤 구성, 온도조건, 압력조건에 따라 분리막 지지체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게 하였다. 즉, A죤(ZONE)에 구성된 롤은 스틸/스틸롤로서 온도조건을 180∼230℃로 하고 상부롤과 하부롤과의 온도 차를 2∼10℃로 하여 열전달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접착섬유를 충분히 용융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며 B죤의 롤은 상부롤은 스틸, 하부롤은 고무롤로 구성시킴으로서 분리막 지지체 부직포의 하부층(습식법에 의해서 제조된 웹) 밀도를 증가시켜 고분자 분리막(POLYSULFONE)이 배면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C, D죤은 A, B죤 대비 온도 및 압력을 작게 하여 분리막 지지체로서 요구되는 공기투과도, 두께 및 표면가공을 정밀하게 가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2d, 4mm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혼합율 50%와 접착섬유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4d, 4mm 50%을 물에 분산시켜 섬유농도 0.02%의 현택액을 만든 후 통상적인 습식법에 의해서 40g/㎡의 고밀도 층을 형성시키고, 섬도3d 이고 섬유장 38mm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섬도 5d 이고 섬유장 38mm 복합섬유(PET/PE)를 혼합, 개섬 및 크로스 레퍼로 크로스 적층하여 저밀도 층을 형성시켜 습식법에 의해 형성된 고밀도 웹층에 적층시킨 후 120℃의 열풍으로 접착섬유를 용융 결합시킨다. 저밀도 층과 고밀도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 웹을 표 2에 나타낸 열칼렌더 조건으로 표면가공을 하였으며, 분리막 지지체로서 요구되는 특성분석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2
건식법에의해 형성되는 상부층 부직포의 구성섬유(3d×38mm)는 70%로하고, 접착섬유(3d×38mm)는 30% 하였으며 제조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습식법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층 부직포는 구성섬유(2d×4mm)을 50%로 하였으며, 접착섬유(4d×4mm)는 50%로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면 칼렌더 가공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물성평가치는 표 3과 같다.
비교실시예 1
건식법에 의해 제조되는 상부층 부직포는 구성섬유를 섬도 1d, 섬유장 38mm로 하였고 접착섬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으며, 습식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부층 부직포는 구성섬유의 섬유장을 0.5mm로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 하였다. 칼렌더 표면 가공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물성 평가치는 표3과 같다.
비교실시예 2
분리막 지지체 부직포의 상부층 웹 구성을 폴리에스테르(7d×38mm) 50%와 결합섬유는 실시예 1과 동일하여 건식 방식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하부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2d×8mm)70%로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 하였다. 칼렌더 표면 가공조건은 표2에 나타내었으며 물성 평가치는 표 3과 같다.
비교실시예 3
분리막 지지체 부직포의 상부층을 형성하는 웹 구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3d×38mm) 70%와 접착섬유 복합PET/PE(5d×38mm) 30%로 하여 건식법에 의해 형성하고, 하부층을 형성하는 습식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2d×4mm) 60%와 저융점 PET
(4d×4mm)40% 로 구성시켜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여, 칼렌더 가공조건 표2에 나타낸 것에 의해 표면 가공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물성 평가치는 표 3과 같다.
표 1
항목 구성섬유SPEC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2 비교실시예3
상부층(건식법) PET 1d×38㎜ - - 50% - -
PET 3d×38㎜ 50% 70% - - 70%
PET 7d×38㎜ - - - 50% -
하부층(습식법) PET 2d×0.5㎜ - - 70% - -
PET 2d×4㎜ 50% 50% - - 60%
PET 2d×8㎜ - - - 70% -
상부층결합섬유 복합PET/PE5d×38㎜ 50% 30% 50% 50% 30%
하부층결합섬유 저융점PET/4d×4㎜ 50% 50% 30% 30% 40%
표 2
항목 롤명칭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2 비교실시예3
A SET온도 ℃ 12 210 223 210 223 223
13 198 220 198 220 220
B SET온도 ℃ 14 160 160 160 160 -
15 - - - - -
C SET온도 ℃ 16 180 180 180 180 -
17 178 178 178 178 -
D SET온도 ℃ 18 120 120 120 120 -
19 - - - - -
압력(㎏/㎝) A.C SET 60 60 60 60 60
B.D SET 40 40 40 40 40
가공속도(m/min) 35 30 35 30 30
표 3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실시예 1 비교실시예 2 비교실시예 3
중량(g/㎡) 80 100 80 100 100
두께(㎛) 90 100 98 110 130
강도(㎏/15mm) MD 12 14 10 15 11
CD 11 12 6 14 9
공기투과도(cc/㎠/sec) 상부 11.6 8.3 11.6 11.8 10.2
하부 4.4 4.2 9.8 8.6 7.4
전체 3.7 3.6 5.3 5.8 5.4
돌출섬유(개/㎡) 0 0 0 0 50
분리막 접착강도(g/15mm) 60 70 55 80 85
배면유수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본발명 분리막 지지체는 저밀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웹을 상부층으로 하고 고밀도의 폴리에스테르 습식웹을 하부층으로 하여 다단계 칼렌더링 표면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부직포의 표면조도가 매우 우수하고 표면 위에 도포되는 얇은 층의 고분자 분리막과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사용중 고분자 분리막이 박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고 역학적 강도를 향상시켜 분리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분리막 지지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부직포에 있어서, 건식법의 의해 형성된 저밀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상부층으로 하고, 습식법에 의해 형성된 고밀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하부층으로 하여 다단계 칼렌더링 표면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건식법에 의해 형성된 저밀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구성섬유 보다 융점이 낮은 접착섬유를 30∼70%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습식법에 의해 형성된 고밀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섬도 2∼6d, 섬유장 1∼7mm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와, 동일 섬도 및 섬유장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60∼50%를 습식법에 의해 섬유 함유랑 0.02∼0.08%로 하여 다단계의 분산액조에서 분산시켜 균제도가 우수한 습식웹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지지체
  4. 제2항에 있어서, 접착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프로필렌 및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의 열가소성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다단계 칼렌더링 가공은 4개의 죤으로 구성되고 각 죤의 롤구성, 롤압력 및 온도를 변화시켜 부직포의 표면가공, 공기투과도와 두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지지체
KR10-1998-0038009A 1998-09-15 1998-09-15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KR10047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09A KR100477859B1 (ko) 1998-09-15 1998-09-15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09A KR100477859B1 (ko) 1998-09-15 1998-09-15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46A true KR20000019746A (ko) 2000-04-15
KR100477859B1 KR100477859B1 (ko) 2005-07-11

Family

ID=1955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009A KR100477859B1 (ko) 1998-09-15 1998-09-15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8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878A (ko) * 2000-12-28 2002-07-08 한형수 원통형 카트리지 필터의 제조방법
KR100364156B1 (ko) * 2000-12-22 2002-12-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634314B1 (ko) * 2003-01-28 2006-10-1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육모용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8496722B2 (en) 2007-12-14 2013-07-30 Kolon Industries, Inc. Nonwoven for air filtratio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1118289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처리 엘리먼트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엘리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41B1 (ko) * 2019-06-05 2020-11-19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습식 부직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6431A1 (de) * 1983-05-05 1984-11-08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Hygienevlie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vlieses
US4795559A (en) * 1985-03-29 1989-01-03 Firma Carl Freudenberg Semipermeable membrane support
JP3242208B2 (ja) * 1993-06-03 2001-12-25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ー用濾材
JPH07243162A (ja) * 1994-03-02 1995-09-19 Kuraray Co Ltd 芳香族ポリエステル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156B1 (ko) * 2000-12-22 2002-12-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20054878A (ko) * 2000-12-28 2002-07-08 한형수 원통형 카트리지 필터의 제조방법
KR100634314B1 (ko) * 2003-01-28 2006-10-1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육모용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8496722B2 (en) 2007-12-14 2013-07-30 Kolon Industries, Inc. Nonwoven for air filtratio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1118289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처리 엘리먼트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엘리먼트
CN114269877A (zh) * 2019-12-11 2022-04-01 株式会社Lg化学 用于水处理元件的热熔粘合剂组合物、包含其的粘合剂膜和水处理元件
CN114269877B (zh) * 2019-12-11 2023-12-22 株式会社Lg化学 用于水处理元件的热熔粘合剂组合物、包含其的粘合剂膜和水处理元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7859B1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6520B1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6156680A (en) Reverse osmosis support substrat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689199A (en) Nonwoven fabrics
JP3153487B2 (ja) 半透膜支持体
US4496583A (en) Paper-like polyester fiber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851355A (en) Reverse osmosis support substrat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02095937A (ja) 半透膜支持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24443B1 (ko) 반투막 지지체용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
JP7371056B2 (ja) 半透膜支持体
CN110453377A (zh) 支撑材料和半透膜复合材料
JP6005542B2 (ja) 半透膜支持体用不織布
KR101874742B1 (ko) 투과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US5336556A (en) Heat resistant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0477859B1 (ko)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분리막 지지체
US4904523A (en) Polyester heat bonded product
US5422159A (en) Fluorpolymer sheets formed from hydroentangled fibers
KR100332594B1 (ko) 카트리지 형태의 기능성 공기청정기 필터여재와 그 제조방법
JP2013180294A (ja) 半透膜支持体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45240A1 (ja) 半透膜支持体及び半透膜支持体の製造方法
JP3519158B2 (ja) 薄手軽量強化熱融着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530299B (zh) 支撑材料和半透膜复合材料
GB210603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veyor belting
KR100490515B1 (ko) 고강도 고강성 배수필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112B1 (ko) 드라이어 시트(Dryer Sheet)용 장섬유 부직포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4719B1 (ko) 와이퍼용 부직포의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