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278A -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278A
KR20000019278A KR1019980037284A KR19980037284A KR20000019278A KR 20000019278 A KR20000019278 A KR 20000019278A KR 1019980037284 A KR1019980037284 A KR 1019980037284A KR 19980037284 A KR19980037284 A KR 19980037284A KR 20000019278 A KR20000019278 A KR 2000001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data
dual port
memor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수
김영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3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278A/ko
Publication of KR2000001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인터넷 관련 데이터 등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교환기측에서 BSC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20msec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시켜 주는 데이터 속도변환 동작을 수행하고, 보코더에서는 바이패스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음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이동단말기를 노트북과 연결하여 인터넷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인터넷 관련 데이터 등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라 칭함.)측 보코더(Vocoder)는 20msec 단위로 채널(Channel)을 탐색하여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되는데, DCS(Digital Cellular System)에서는 20msec 단위로 채널을 탐색한 후 8Kbps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에서는 20msec 단위로 채널을 탐색한 후 13Kbps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런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측에서는 하나의 채널에 64Kbps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BSC측에서 20msec 단위로 채널검색을 하기 때문에, 교환기측에서 이보다 빠른 속도로 BSC측으로 데이터 전송을 하게되면, 보코더 버퍼(Buffer)에 데이터 중첩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데이터가 유실되는 경우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교환기측에서 BSC측으로 데이터 전송을 하게될 때, 20msec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시켜 주는 데이터 속도변환 동작을 할 수 없어서,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인터넷 관련 데이터 등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교환기측에서 BSC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20msec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시켜 주는 데이터 속도변환 동작을 수행해 주고, 보코더에서는 바이패스모드(Bypass Mode)로 동작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음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 및 공유 메모리의 값을 초기화시키는 제 1 단계와; 타교환기에서 전송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MSC(Mobile Switch Center; 이하 MSC라 칭함.)내에 장착된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MSC내에 장착된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에서 입력받은 비음성 데이터를 속도변환하여 20msec 단위로 상기 보코더에 전송시키는 제 3 단계와; BSC내에 장착된 보코더에서 20msec 단위로 전송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바이패스모드로 동작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이동단말기로 통과시키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 방법중 MSC측에서 단말기로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 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 방법중 단말기에서 송신한 비음성 데이터를 MSC에서 수신하는 방법 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코더 200 : MSC
210 :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 211 : TSW 인터페이스부
212 : 데이터 전송부 213 : 제어부
214 : 공유 메모리 215 : 이중포트 메모리
220 :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장치를 나타낸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장치는 도시치 않은 BSC내에 장착된 보코더(100), MSC(200)로 구성된다.
상기 보코더(100)는 비음성 데이터 송/수신시 도시치 않은 단말기 또는 상기 MSC(200)에서 전송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바이패스모드로 동작하므로써, 압축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비음성 데이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MSC(200)는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는 타교환기에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았을 경우 20msec 단위로 속도변환하여 상기 보코더(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TSW(Time switch) 인터페이스부(Interface)(211),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부(213), 공유 메모리(214) 및 이중포트 메모리(215)로 구성된다.
상기 TSW 인터페이스부(211)는 비음성 데이터 송/수신시 상기 보코더(100)와 상기 MSC(200)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는 지맨스사에서 제조한 PEB 20320칩을 사용하였으며, 비음성 데이터 송/수신시 비음성 데이터를 전송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MSC(200)에서 단말기측으로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비음성 데이터를 20msec 단위로 전송하도록 제어해 주고, 단말기측에서 상기 MSC(200)측으로 비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수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송신버퍼로 전송하도록 제어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공유 메모리(214) 및 이중포트 메모리(215)는 비음성 데이터 송/수신시 비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도시치 않은 송신버퍼 및 수신버퍼 영역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중 MSC측에서 단말기로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중 단말기에서 송신한 비음성 데이터를 MSC에서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하기에서 언급할 비음성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인터넷 관련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비음성 데이터는 ISLP(ISDN Subscriber Line Processor) 포맷(Format)의 160바이트(Bytes) 단위로 구성되며, DCS 시스템에서는 160바이트 중에서 43바이트가 실제 데이터이고 117바이트는 특정 아이들 코드(Idle Code)인 "7E(Echo)"로 구성된다.
한편, PCS 시스템에서는 160바이트 중에서 55바이트가 실제 데이터이고 105바이트는 특정 아이들 코드인 "7E(Echo)"로 구성된다.
그러면, 먼저 상기 MSC(200)측에서 단말기로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과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MSC(200)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제어부(213)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를 "0"으로 셋팅(Setting)시키고,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송/수신 버퍼 및 인터럽트 큐를 분할 및 할당시키는 초기화단계를 수행한다(S1).
또한, 상기 MSC(200)내에 장착된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 (220)는 타교환국에서 전송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이중포트 메모리(215)로 전송한다(S2).
한편, 상기 MSC(200)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제어부(213)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수신버퍼 상태가 "1"인가를 판단한다(S3-1). 즉, 상기 제어부(213)에서 이중포트 메모리의 수신버퍼 상태가 "1"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220)에서 출력한 비음성 데이터가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수신버퍼에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수신버퍼 상태가 "1"이면, 즉 상기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220)에서 출력한 비음성 데이터가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수신버퍼에 수신되었으면,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수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송신버퍼로 전송시킨다(S3-2).
한편,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수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켜 줌으로써, 다음번의 비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S3-3).
또한, 상기 제어부(213)는 20msec 시간을 카운팅하여 20msec 시간이 지났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S3-4). 즉, 상기 제어부(213)에서 20msec 시간을 카운팅하는 이유는, BSC측에서 20msec 단위로 채널검색을 하기 때문에, 20msec 간격으로 비음성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13)는 20msec 시간이 지났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S3-4), 20msec 시간이 지나면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제어 비트를 "0"으로 리셋시켜 줌으로써,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로 하여금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BSC의 보코더(100)로 전송시켜 주도록 제어한다(S3-5). 그러면,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는 상기 공유 메모리(214)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리드한 후, 상기 BSC의 보코더(1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가 상기 BSC의 보코더(100)로 전송완료 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완료 비트가 "1"인가를 확인한다(S3-6).
또한,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완료 비트가 "1"이면, 송신완료되었음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제어 비트를 "1"로 셋트시킨다(S3-7). 이때, 상기 제어부(213)가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제어 비트를 "1"로 셋트시켜 주는 이유는 다음번의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송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켜 줌으로써, 다음번의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준비동작을 수행한다(S3-8).
또한, 상기 BSC의 보코더(100)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를 통해 전송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후,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함으로 단말기측으로 통과시킨다(S4).
한편, 단말기에서 송신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MSC(200)측에서 수신하는 동작과정을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MSC(200)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제어부(213)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를 "0"으로 셋팅(Setting)시키고,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송/수신 버퍼 및 인터럽트 큐를 분할 및 할당시키는 초기화단계를 수행한다(S10).
한편, BSC내에 장착된 상기 보코더(100)는 단말기에서 송신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후, 압축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함으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MSC(200)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TSW 인터페이스부(211)로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MSC(200)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TSW 인터페이스부(211)는 상기 보코더(100)를 통과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후, 시스템 버스를 통해 해당 데이터 전송부(212)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MSC(200)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는 상기 TSW 인터페이스부(211)에서 출력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후,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수신버퍼로 전송한다(S20).
또한, 상기 MSC(200)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210)내에 장착된 제어부(213)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인터럽트 큐 수신상태가 "1"인가를 판단한다(S30-1). 이때, 상기 제어부(213)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인터럽트 큐 수신상태가 "1"인가를 판단하는 동작은, 단말기에서 송신한 비음성 데이터가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수신버퍼에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동작과정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인터럽트 큐 수신상태가 "1"이면, 즉 상기 BSC의 보코더(100)를 통과한 비음성 데이터가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수신버퍼로 수신되었으면,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수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송신버퍼로 이동시킨다(S30-2).
또한,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212) 제어메모리 영역의 인터럽트 큐 수신상태를 "0"으로 리셋시킨다(S30-3).
한편,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공유 메모리(214)의 수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켜 줌으로써, 다음번의 비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준비동작을 수행한다(S30-4).
이때,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송신버퍼 상태를 "1"로 셋팅시켜 줌으로써, 상기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220)에서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도록 제어해 준다(S30-5). 그러면, 상기 상기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220)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리드한 후 데이터 처리해 줌으로써, 비음성 데이터 수신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215)의 송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켜 줌으로써, 다음번의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준비동작을 수행한다(S30-6).
따라서, 교환기측에서 BSC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20msec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시켜 주는 데이터 속도변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음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이동단말기를 노트북과 연결하여 인터넷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교환기측에서 BSC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20msec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시켜 주는 데이터 속도변환 동작을 수행하고, 보코더에서는 바이패스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음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이동단말기를 노트북과 연결하여 인터넷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BSC내에 장착된 보코더와; TSW 인터페이스부, 다수개의 데이터 전송부, 제어부, 공유 메모리 및 이중포트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MSC내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와; MSC내에 장착된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MSC측에서 단말기로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 및 공유 메모리의 값을 초기화시키는 제 1 단계와; 타교환기에서 전송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MSC내에 장착된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MSC내에 장착된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에서 입력받은 비음성 데이터를 속도변환하여 20msec 단위로 상기 보코더에 전송시키는 제 3 단계와; BSC내에 장착된 보코더에서 20msec 단위로 전송된 비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바이패스모드로 동작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이동단말기로 통과시키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이중포트 메모리의 수신버퍼 상태가 "1"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1 단계와; 상기 제 3-1 단계에서 이중포트 메모리의 수신버퍼 상태가 "1"이면, 즉 상기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출력한 비음성 데이터가 이중포트 메모리의 수신버퍼에 수신되면, 이중포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의 송신버퍼로 전송시켜 주는 제 3-2 단계와; 제어부에서 이중포트 메모리의 수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켜 주는 제 3-3 단계와; 제어부에서 20msec 시간을 카운팅하여 20msec 시간이 지났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4 단계와; 상기 제 3-3 단계에서 20msec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 전송부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제어 비트를 "0"으로 리셋시켜 줌으로, 공유 메모리의 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보코더로 전송시키는 제 3-5 단계와; 공유 메모리의 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가 보코더로 전송완료 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데이터 전송부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완료 비트가 "1"인가를 확인하는 제 3-6 단계와; 상기 제 3-6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부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완료 비트가 "1"이면, 제어부에서 데이터 전송부 제어메모리 영역의 송신제어 비트를 "1"로 셋트시키는 제 3-7 단계와; 제어부에서 공유 메모리의 송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키는 제 3-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3. BSC내에 장착된 보코더와; TSW 인터페이스부, 다수개의 데이터 전송부, 제어부, 공유 메모리 및 이중포트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MSC내의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와; MSC내에 장착된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송신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MSC측에서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이중포트 메모리 및 공유 메모리의 값을 초기화시키는 제 10 단계와; 단말기측에서 송신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BSC내에 장착된 보코더에서 입력받아 바이패스모드로 동작하므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MSC내에 장착된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로 통과시키는 제 20 단계와; 상기 MSC내에 장착된 데이터 속도변환 처리부에서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 30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 단계는, 데이터 전송부 제어메모리 영역의 인터럽트 큐 수신상태가 "1"인가를 판단하는 제 30-1 단계와; 상기 제 30-1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부 제어메모리 영역의 인터럽트 큐 수신상태가 "1"이면, 공유 메모리의 수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이중포트 메모리의 송신버퍼로 이동시키는 제 30-2 단계와; 제어부에서 데이터 전송부 제어메모리 영역의 인터럽트 큐 수신상태를 "0"으로 리셋시키는 제 30-3 단계와; 제어부에서 공유 메모리의 수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키는 제 30-4 단계와; 제어부에서 이중포트 메모리의 송신버퍼 상태를 "1"로 셋팅시켜 줌으로써, 트렁크 및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이중포트 메모리의 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30-5 단계와; 제어부에서 이중포트 메모리의 송신버퍼 인덱스값을 "1"포인트 증가시키는 제 30-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KR1019980037284A 1998-09-10 1998-09-10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KR20000019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284A KR20000019278A (ko) 1998-09-10 1998-09-10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284A KR20000019278A (ko) 1998-09-10 1998-09-10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278A true KR20000019278A (ko) 2000-04-06

Family

ID=1955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284A KR20000019278A (ko) 1998-09-10 1998-09-10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2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76B1 (ko) * 2001-12-28 2004-06-22 (주)미라콤테크놀로지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76B1 (ko) * 2001-12-28 2004-06-22 (주)미라콤테크놀로지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3849A (en) Adapter for data transmission to and from a radio telephone
US5793810A (en) Method of bypassing vocoders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K281169B6 (sk) Spôsob prenosu údajov z periférie do rádiotelefónu a zariadenie na jeho vykonávanie
US6002999A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a selector and a plurality of vocod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85575A1 (en) Interface control of communication between a control processor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US20040001471A1 (en) Card devic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5724610A (en) Selector bank subsystem of CDMA system using a pair of first processors for selecting channels between CDMA interconnect subsystem and mobile service switch center
KR20000019278A (ko) 이동통신교환기의 비음성 데이터 전송방법
US7010579B1 (en) Direct data routing system
JP3144360B2 (ja) 伝送速度切替tap装置
US2010021650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s Protocols on a Mobile Phone Device
KR100311352B1 (ko) 범세계 이동통신 제어국 시스템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렉터/트랜스코더
JPH1098502A (ja) データ移動体通信方式
JP3467324B2 (ja)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送・受信制御方式
JP368284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ーデック切り替え方法
KR100513901B1 (ko) 패킷데이터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KR1003673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및 제어국간 음성 데이터전송장치
CN1252953C (zh) Cdma电路数据与话音业务并行实现的方法和设备
JP2577592B2 (ja) 着信選択方式
US20060075149A1 (en) Communications command control system with a software based at command receiver/transmitter
KR100326135B1 (ko) 교환기의 아이더블유에프 정합장치
KR100328444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패킷처리장치
KR100290094B1 (ko) 에이디에스엘 시스템 유지관리의 에이티유-시 장치
KR10042919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셀렉터/보코더
KR100287337B1 (ko) 개인휴대통신 교환기의 상위제어 프로세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