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984U -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984U
KR20000017984U KR2019990003735U KR19990003735U KR20000017984U KR 20000017984 U KR20000017984 U KR 20000017984U KR 2019990003735 U KR2019990003735 U KR 2019990003735U KR 19990003735 U KR19990003735 U KR 19990003735U KR 20000017984 U KR20000017984 U KR 200000179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helf assembly
fixed
cupboar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주
이심향
Original Assignee
강인주
이심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주, 이심향 filed Critical 강인주
Priority to KR2019990003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984U/ko
Publication of KR20000017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984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찬장의 본체 프레임의 일측 보관실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이 내측부에 구비되는 선반조립체와, 선반조립체를 높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조절위치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본체 프레임의 일측 보관실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이 내측부에 구비되는 선반조립체와, 본체 프레임의 상면판에 결합된 안내풀리에 선반조립체를 매달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요소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여러가지 양념용기를 선반에 보관하는 선반조립체를 찬장에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아래, 위로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로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종 조리를 하면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UP-DOWN MOVING MECHANISM FOR SELVES OF A PANTRY CHEST}
본 고안은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찬장에 위, 아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한 선반조립체의 선반에 여러가지 양념용기 둥의 주방용품을 보관하여, 조리할 때에 선반조립체를 아래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주방에는 싱크대가 바닥면에 놓여 설치되고, 찬장이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찬장은 복수개의 보관실이 구분 형성되고, 각 보관실에는 선반이 복수단으로 고정되어 각 선반에 양념용기 등의 주방용품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찬장이 싱크대의 상부에 높게 위치하고, 싱크대가 찬장에 비하여 전후폭이 길어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찬장은 상측부의 선반에 물품을 올려 넣거나 꺼낼 때에 몸을 기울이면서 손을 위로 길게 뻗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물품을 안정적으로 쉽게 취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조리할 때에 흔히 사용하는 양념 등을 보관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최하단의 선반에 주로 보관하지만 조리할 때에 동선이 길기 때문에 조리능률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찬장에 위, 아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한 선반조립체의 선반에 여러가지 양념용기 등의 주방용품을 보관하여, 조리할 때에 아래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는 찬장의 본체 프레임의 일측 보관실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이 내측부에 구비되는 선반조립체와, 선반조립체를 높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조절위치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조립체의 양측면에는 가이드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 보관실의 내부 양측면에는 가이드슈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가 가이드슈에 삽입되며, 상기 선반조립체의 상단 양측부에는 최하단까지 이동할 때에 본체 프레임의 걸림부에 접촉되어 걸리는 걸림편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절위치 유지수단은 일측 보관실의 내면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걸림공이 구비된 걸림판과, 선반조립체에 결합되어 걸림판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요소와, 상기 걸림요소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요소는 선반조립체의 후면판에 고정되는 브래키트와, 브래키트에 고정되는 안내구와, 안내구의 안내공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걸림구와 걸림구를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해제요소는 선반조립체의 프레임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걸림구를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와 걸림구에 연결되는 당김줄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는 본체 프레임의 일측보관실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이 내측부에 구비되는 선반조립체와, 본체 프레임의 상면판에 결합된 안내풀리에 선반조립체를 매달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요소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권취요소는 선반조립체의 상면판에 고정된 고정판에 권취기가 고정되고, 권취기의 축에 권취풀리가 결합되며, 권취풀리에 일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복수회 감겨진 와이어가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된 안내풀리에 감겨진 후 고정판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권취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태엽 스프링이 결합되어 축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구조이고, 상기 권취기에는 선반조립체가 하강할 때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퍼와, 선반조립체의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클러치요소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요소는 고정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사각축이 고정되고, 사각축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디스크가 결합되며, 디스크와 권취풀리의 서로 탄력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일방향으로 맞물리는 래치트,가 형성되는 한편, 선반조립체의 프레임에 손잡이가 힌지결합되고, 손잡이에 당김줄이 연결되며, 사각축과 디스크의 내경부를 통해 일측으로 연장되는 당김줄이 고정핀으로 디스크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는 상기 권취기에 감속모터가 채용되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선반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권취요소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걸림요소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걸림요소와 해제요소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6은 선반조립체의 안내구조와 걸림구조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찬장 21 : 본체 프레임
22 : 보관실 24 : 선반
25 : 걸림부 30 : 선반조립체
31 : 프레임 32 : 걸림편
33 : 가이드 34 : 가이드슈
100 : 조절위치 유지수단 110 : 걸림판
111 : 걸림공 120 : 걸림요소
121 : 브래키트 122 : 안내구
123 : 안내공 124 : 걸림구
125 : 스프링 130 : 해제요소
140 : 손잡이 150 : 당김줄
200 : 권취요소 201 : 고정판
202 : 고정편 210 : 권취기
211 : 케이싱 212 : 축
220 : 권취풀리 230 : 안내풀리
240 : 댐퍼 250 : 클러치요소
251 : 사각축 252 : 스프링
253 : 디스크 254,255 : 래치트
256 : 고정핀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본고안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선반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에는 권취요소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에는 걸림요소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걸림요소와 해제요소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6에는 선반조립체의 안내구조와 걸림구조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바닥면에 싱크대(10)가 설치되고, 주방의 벽면에 찬장(20)이 고정되어 있다. 또, 찬장(20)은 본체 프레임(21)에 복수개의 보관실(22)이 구분 형성되고, 각 보관실(22)에는 도어(23)가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각 보관실(22)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선반(24)이 구비되어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통상의 주방용 찬장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21)의 일측 보관실(2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24)이 내측부에 구비되는 선반조립체(30)와, 선반조립체(30)를 높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은 조절위치 유지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반조립체(30)는 도 1, 도 2 및 도 6과 같이, 양측면에 가이드(33)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 보관실(22)의 내부 양측면에는 가이드슈(34)가 고정되고, 가이드(33)가 가이드슈(34)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직선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선반조립체(30)의 상단 양측부에는 걸림편(32)이 고정되어 선반조립체(30)가 아래로 최하단까지 이동할 때에 본체 프레임(21)의 걸림부(25)에 접촉되어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안정하게 걸려있게 된다.
상기 조절위치 유지수단(1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측 보관실(22)의 내면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걸림공(111)이 구비된 걸림판(110)과, 선반조립체(30)에 결합되어 걸림판(110)의 걸림공(111)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요소(120)와, 상기 걸림요소(120)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요소(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요소(120)는 선반조립체(30)의 후면판에 고정되는 브래키트(121)와, 브래키트(121)에 고정되는 안내구(122)와, 안내구(122)의 안내공(123)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걸림구(124)와 걸림구(124)를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25)으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구(124)는 안내구(122)의 안내공(123)에 삽입되어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26)에 와셔(127)가 결합된다.
해제요소(130)는 선반조립체(30)의 프레임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140)와, 손잡이(140)의 조작에 의해 걸림구(124)를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140)와 걸림구(124)에 연결되는 당김줄(150)로 구성된다. 손잡이(140)는 선반조립체(30)의 프레임(31)에 축핀(141)으로 힌지결합되고, 당김줄(150)은 손잡이(140)의 연결공(142)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걸림구(124)의 연결공(128)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는 선반조립체(30)의 내부에 여러가지 양념용기(V) 및 주방용품 등을 보관하여 사용하게 되며, 조리를 하는 동안에 선반조립체(3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이용하기 편하기 위치로 조절한 후, 양념용기(V) 등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선반조립체(30)의 하부에 결합된 손잡이(140)를 당기면 당김줄(150)이 당겨지고, 당김줄(150)에 의해 걸림구(124)가 당겨져 걸림판(110)의 걸림공(111)에서 이탈되면서 선반조립체(30)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선반조립체(30)를 인력에 의해 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반조립체(30)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적합한 높이로 이동시킨 후, 손잡이(140)를 놓으면 걸림구(124)가 스프링(125)의 복원탄력에 의해 돌출되어 걸림판(110)의 걸림공(111)에 걸리게 되므로 선반조립체(30)가 다시 잠기게 되어 조절된 위치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조립체(30)의 양측부에는 가이드(33)의 내측으로 스프링(40)을 삽입하여, 이 스프링(40)의 하단을 가이드(33)의 하단에 연결하고, 스프링(40)의 상단을 가이드슈(34)의 상단에 연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선반조립체(30)를 아래이동시킬 때에 자중에 의한 급속 낙하력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위로 이동시킬 때에는 스프링(40)의 복원탄력에 의해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체 프레임(21)의 상면판에 결합된 안내풀리(230)에 선반조립체(30)를 매달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요소(20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권취요소(200)는 선반조립체(30)의 상면판에 고정된 고정판(201)에 권취기(210)가 고정되고, 권취기(210)의 축(212)에 권취풀리(220)가 결합되어 있으며, 권취풀리(220)에 일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복수회 감겨진 와이어(W)가 본체 프레임(21)의 상단부에 결합된 안내풀리(230)에 감겨진 후 고정판(201)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권취기(210)는 케이싱(211)의 내부에 태엽 스프링이 결합되어 축(212)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구성을 갖으며, 선반조립체(30)를 하강시킬 때에는 와이어(W)가 풀어지면서 태엽 스프링에 복동력이 축적되고, 선반조립체(30)를 상승시킬 때에는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W)가 다시 원래 형태로 감기게 된다.
권취기(210)에는 선반조립체(30)가 하강할 때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퍼(240)와, 선반조립체(30)의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클러치요소(25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240)는 권취풀리(220)에 형성된 기어(221)에 기어(241)로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요소(250)는 고정판(201)에 고정되는 고정편(202)에 사각축(251)이 고정되고, 사각축(251)에는 스프링(252)을 개재하여 디스크(253)가 결합되며, 디스크(253)와 권취풀리(220)의 서로 탄력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일방향으로 맞물리는 래치트(254),(2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걸림요소(120)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손잡이(140)에 연결된 당김줄(150)을 클러치요소(250)의 사각축(251)과 디스크(253)의 내경부를 통하여 일측으로 돌출시키고 단부에 고정핀(256)을 묶어 연결함으로써 손잡이(140)에 의해 클러치요소(250)를 착탈조작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크(253)는 사각공(257)이 형성되어 사각축(251)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W)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핀(256)은 사각공(257)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홈(258)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는 선반조립체(30)의 하단부에 결합된 손잡이(140)를 당기면 당김줄(150)에 의해 클러치요소(250)의 디스크(253)가 당겨지면서 권취풀리(220)와 디스크(253)의 래치트(254),(255)가 분리되므로 선반조립체(3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에는 권취풀리(220)에서 와이어(W)가 풀리게 되고, 권취기(210)에 내장된 태엽 스프링은 복원탄력이 축적된다.
또한, 선반조립체(30)를 상승시킬 때에는 권취기(210)에 내장된 태엽 스프링의 복원탄력에 의해 와이어(W)가 권취풀리(220)에 원래 형태로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선반조립체(30)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다가 손잡이(140)를 놓게 되면 클러치요소(250)의 디스크(253)가 스프링(252)의 복원탄력에 의해 앞으로 이동하여 디스크(253)와 권취풀리(220)의 래치트(254),(255)가 다시 물리게 되므로 선반조립체(30)가 조절된 위치에서 안정하게 걸려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는 상기 권취기(210)에 감속모터를 이용한 것이며, 이와 같이 감속모터를 이용하게 되면, 감속모터를 정,역회전시킴에 의해 선반조립체(30)를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댐퍼(240)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조립체(30)가 최상측 및 최하측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상,하한 감지 스위치를 설치하여, 선반조립체(30)가 상,하단으로 이동한 때에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는 여러가지 양념용기 및 주방용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조립체를 찬장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아래, 위로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로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주방에서 각종 조리를 하면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본체 프레임(21)의 일측 보관실(2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24)이 구비되는 선반조립체(30)와, 선반조립체(30)를 높이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조절위치 유지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조립체(30)의 양측면에 가이드(33)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 보관실(22)의 내부 양측면에는 가이드슈(34)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33)가 가이드슈(34)에 삽입되며, 상기 선반조립체(30)의 상단 양측부에는 최하단까지 이동할 때에 본체 프레임(21)의 걸림부(25)에 접촉되어 걸리는 걸림편(32)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3. 본체 프레임(21)의 일측 보관실(2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24)이 구비되는 선반조립체(30)와, 본체 프레임(21)의 상면판에 결합된 안내풀리(230)에 선반조립체(30)를 매달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요소(200)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요소(200)는 선반조립체(30)의 상면판에 고정된 고정판(201)에 권취기(210)가 고정되고, 권취기(210)의 축(212)에 권취풀리(220)가 결합되며, 권취풀리(220)에 일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복수회 감겨진 와이어(W)가 본체 프레임(21)의 상단부에 결합된 안내풀리(230)에 감겨진 후 고정판(201)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구성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210)가 감속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210)는 케이싱(211)의 내부에 태엽 스프링이 결합되어 축(212)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구조이고, 상기 권취기(210)에는 선반조립체(30)가 하강할 때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퍼(240)와, 선반조립체(30)의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클러치요소(25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KR2019990003735U 1999-03-09 1999-03-09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KR200000179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735U KR20000017984U (ko) 1999-03-09 1999-03-09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735U KR20000017984U (ko) 1999-03-09 1999-03-09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84U true KR20000017984U (ko) 2000-10-05

Family

ID=5476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735U KR20000017984U (ko) 1999-03-09 1999-03-09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9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94A1 (ko) * 2015-03-20 2016-09-29 이권영 싱크대용 수전금구
CN111387859A (zh) * 2020-05-22 2020-07-10 宁波瑞狄安采暖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电热毛巾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94A1 (ko) * 2015-03-20 2016-09-29 이권영 싱크대용 수전금구
CN111387859A (zh) * 2020-05-22 2020-07-10 宁波瑞狄安采暖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电热毛巾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9494B2 (ja) 収納ユニット
KR20080059758A (ko) 냉장고
US8936225B2 (en) Retractable hanging assembly for cookware and utensils
US11219350B2 (en)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KR20000017984U (ko) 찬장의 선반 승강장치
KR20060017175A (ko) 식기세척기
KR101174538B1 (ko) 냉장고
JP2004305491A (ja) 昇降吊戸棚
JPH1033281A (ja) 吊戸棚
KR101237697B1 (ko) 냉장고
JPS58221908A (ja) 食器重ね装置
KR101178343B1 (ko) 냉장고
JP3930287B2 (ja) 棚配設用収納装置
KR200272077Y1 (ko) 가변형 승하강수납장치
KR101174945B1 (ko) 냉장고
JP7492740B2 (ja) 収納装置
US10582828B1 (en)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JPH06343522A (ja) 昇降機構付吊戸棚
JP2001286353A (ja) 昇降式吊戸棚
CN216796929U (zh) 一种可调式衣柜
JPH11290143A (ja) 垂直引出式吊戸棚
JPH09276055A (ja) 上下スライド機構を備えた収納庫
JP2000270936A (ja) 昇降キャビネット
JP2011147662A (ja) 吊戸棚
JP3370631B2 (ja) バネ式付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