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896U -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896U
KR20000017896U KR2019990003588U KR19990003588U KR20000017896U KR 20000017896 U KR20000017896 U KR 20000017896U KR 2019990003588 U KR2019990003588 U KR 2019990003588U KR 19990003588 U KR19990003588 U KR 19990003588U KR 20000017896 U KR20000017896 U KR 200000178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unit assembly
wall formwork
wal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7691Y1 (ko
Inventor
최충호
Original Assignee
최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호 filed Critical 최충호
Priority to KR2019990003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6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거푸집 역할과 철근 배근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버팀부재 및 간격유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거나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벽체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는 나란하게 수직 입설된 한 쌍의 각형부재(2)(2)와; 일단(一端)(3A)은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他端)(3B)은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의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양 단부쪽 상,하면에 각각 사각형 요입부(5)가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양 단부측 폭 중앙에 볼트체결구멍(7)이 형성되어 볼트(6)에 의해 상기 각형부재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횡방향 결속부재들(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횡방향 결속부재(3)들의 소정 위치에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수직철근(4)이 접합된다. 본 고안의 벽체거푸집 단위 조립체는 입체가 아닌 평면상의 단위체로 제조되어 있어 제작이나 보관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취급이 편리하며, 필요에 따라 벽체거푸집 조립체에 수직철근이 용접되어 있어 거푸집 조립과 동시에 철근배근이 함께 이루어지며 완성된 벽체에서 벽체거푸집 조립체 및 패널을 해체하지 않음으로써 공기단축에 크게 기여한다.

Description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FORM UNIT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WALL}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거푸집 역할과 철근 배근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버팀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거나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벽체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한국 특허출원 제98-8690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설공사로서 거푸집을 시공하여야 한다. 거푸집은 정확한 소정치수로 가공 조립할 수 있어야 하고 콘크리트 부어넣기로 인한 변형이 없을 만큼의 강도 및 조립방법이어야 하며 조립해체가 간단하고 재사용 가능한 강도를 갖는 재료 및 공법을 채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종래의 거푸집으로서, 예컨대 목재를 가공하여 만드는 목재거푸집은 재료가 많이 필요하고 그 가공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가공 및 시공에 상당한 시간과 숙련기술이 필요하고 또한 콘크리트 측압에 견디게 하기 위한 각종 버팀부재 및 간격유지재 등의 보조부재가 필요하며, 콘크리트 경화후 거푸집 해체작업을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 거푸집은 그 거푸집 해체이후 콘크리트 벽체에 단열재 시공 및 마감재의 부착을 하기 위하여 별도의 벽틀을 설치하는 등의 다단계의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종래 공법의 거푸집을 사용하여서는 신속하고 간편한 건축공사를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근래에는 다수의 가로철선과 세로철선 및 크로스철선을 상호 용착하여 이루어진 입체식 구조의 철선재 조립식 거푸집모듈(에컨대, 국내 특허출원공고 제90-8987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근을 이용한 입체식 구조의 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후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기의 단축은 물론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은 다수의 가로 철선과 세로철선 및 크로스철선 각각의 교차점 모두를 상호 용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접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따라서 이를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한 고가의 복잡한 공장설비가 필요하다.
둘째, 이 입체식 거푸집은 다량의 가로철선과 세로철선 및 크로스철선이 일체로 용착되어 입방체로 구성되어 있어 그 부피가 매우 큰 바, 이는 보관, 운반하는 데에 많은 물류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그 부피가 커서 시공과정에서 취급이 쉽지 않다.
셋째,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은 그 거푸집 양쪽에 패널을 삽입하면 그 내부에 수직철근의 설치가 곤란하며, 콘크리트 타설시에 측압에 의한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면 후속조치에 한계가 있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전통방식의 목재 벽체거푸집이나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의 하나는 세로부재와 가로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의 벽체거푸집 조립체를 제조함에 있어 입체식 거푸집이 아닌 평면상의 단위부재로 제조하여 그 부피와 중량을 줄여 보관, 운송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세로부재와 가로부재가 일체로 결합한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를 다수개 사용함으로써 거푸집이 조립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에 대한 인장보강부재, 즉 철근배근이 함께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경화이후 거푸집 해체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공기단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벽체 외측에 대한 단열재 및/또는 마감재 시공을 거푸집시공 직후 또는 거푸집시공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제적인 건축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이점과 특징은 후상술하는 구성 및 작용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1실시예에 사용된 횡방향 결속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절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체거푸집 단위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를 사용하여 벽체거푸집을 구축하는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2실시예 복수개를 사용하여 완성된 벽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철근과 횡방향 결속부재의 철선결속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2 : 각형 강관
3 : 횡방향 결속부재4 : 수직철근
5 : 사각형 요홈 6 : 볼트 또는 나사
7 : 결속구멍 8 : 콘크리트
9 : 수평철근 10 : 패널
11 : v형 노치 12 : 결속철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체거푸집 단위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에 사용되는 횡방향 결속부재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1)의 제1실시예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어 동일 평면 내에서 나란하게 수직 입설된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사각 단면의 철제 각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그 네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볼트체결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각형부재(2)(2)와; 그리고,
일단(一端)(3A)은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他端)(3B)은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의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일정한 폭(W1)과 두께(t) 및 길이(L)를 갖는 다수개의 횡방향 결속부재들로서, 상기 다수개의 횡방향 결속부재들은 각각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2)(2)에 대하여 직각되게, 즉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상호 일정한 간격(D)을 두어 등간격으로 배설되며, 각 결속부재의 양 단부쪽 상,하면에 각각 사각형 요입부(5)가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 양 단부측 폭 중앙에 볼트(나사)체결구멍(7)이 형성되어 볼트(나사)(6)에 의해 상기 각형부재(2)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횡방향 결속부재들(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1)는 도 4로 도시한 제2실시예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횡방향 결속부재(3)들의 중앙부에 그 길이방향(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용접된 수직철근(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제2실시예는 거푸집공정과 철근배근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공기단축에 기여하며 이 제2실시예의 경우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철근(9)을 더 배근할 수도 있고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1)와 조립체(1)의 사이 중앙부 공간에 상기 수직철근 이외의 또다른 수직철근 등을 설계하중에 따라 배근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 거푸집용 단위조립체(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바람직하게는 형강관(2)(2)과 결속부재(3)가 상호 고착연결된 것이 아니라 그 접합부(볼트체결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그 보관이나 운반시는 도3의 맨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절첩된 상태로 취급할 수 있고 현장 시공시에는 도 3의 맨 좌측에 도시한 것처럼 각형강관(2)(2)과 결속부재(3)가 상호 수직상태가 되도록 다시 편쳐서 사용하게 된다. 각형강관(2)(2)과 결속부재(3)의 이러한 상대적 가동성(可動性)은 물류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의 시공공차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데에도 유익하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1)는, 이 단위조립체가 복수개 사용되어 벽체거푸집을 구축하는 것을 도시한 도 5 및 도 6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그 복수개의 단위 조립체가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어 상기 횡방향 결속부재(3)의 양 단부측 상,하면에 형성된 사각형 요입부(5) 내에 패널(10)이 끼워져 입방체의 벽체 거푸집이 조립된다.
횡방향 결속부재의 양 단부측 상하면에 형성된 사각형 요입부(5)의 폭(W2)은 끼워지는 패널(10)의 두께(W3)에 상응하는 크기로서 패널 두께에 따라서 가변성을 지니며, 횡방향 결속부재(3)의 횡방향 길이(L)도 구축하고자 하는 벽체 콘크리트 두께에 따라 임의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각형부재(2) 및 횡방향 결속부재(3)는 바람직하게는 강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을 높이기 위해 아연도금강재로 이루어지며, 그 치수(두께)는 구조물의 설계하중에 따라 적절히 가변설계될 수 있다.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실시예는 횡방향 결속부재의 중앙부 상하면에 v형 노치홈(11)이 형성된 것과 수직철근(4)이 횡방향 결속부재에 용접되는 것이 아니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철선(12)에 의해 횡방향 결속부재에 결속됨으로써 조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와 동일하다.
상기 v형 노치(11)는 수직철근(4)의 횡방향 결속부재(3)에 대한 조립위치결정수단 및 결속철선(12)을 사용하여 수직철근(4)을 횡방향 결속부재(3)에 조립할 때 그 결속철선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결정홈의 역할을 한다. 이 제3실시예는 각형부재(2), 횡방향 결속부재(3) 및 수직철근(4)을 각각 공장생산한 후 필요에 따라 이들을 현장에서 조립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보관 및 운반 등의 물류에 유익한 이점이 있다. 제3실시예는 상기 v형 노치홈(11)이 횡방향 결속부재의 중앙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지만 v형 노치(11)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하고자 하는 수직철근(4)의 개수 및 결속위치와 관련하여 가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횡방향 부재의 상하면 중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부재(2) 및 횡방향 결속부재(3)는 바람직하게는 강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을 높이기 위해 아연도금 강재로 이루어지며, 그 치수(두께)는 구조물의 설계하중에 따라 적절히 가변설계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충전물질로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만을 상정하여 예시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벽체 거푸집용 조립체는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을 아니며, 이상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채 황토와 같은 콘크리트 이외의 습식 양생재 또는 단열이나 흡음재로서의 합성수지 발포체를 충전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의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는 입체가 아닌 평면상의 단위체로 제조되어 있어, 제작이나 보관 운반이 극히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취급이 편리하며, 필요에 따라 벽체거푸집 단위 조립체에 수직철근이 사전 용접 또는 간단하게 사후 조립가능하여 거푸집 조립과 동시에 철근배근이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거푸집 시공이 간편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단위조립체를 사용하여 구축되는 벽체는 콘크리트 측압 등에 대비한 버팀부재나 간격유지재가 불필요하여 공정의 간편 및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경화 후 벽체거푸집 단위 조립체 및 패널을 해체하지 않고 일체로 성력화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벽체 외면에 대한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을 벽체거푸집 시공 이후 곧바로 병행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공기단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상호 소정 간격을 두어 동일 평면 내에서 나란하게 수직 입설된 사각단면 부재로서, 그 네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볼트체결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각형부재(2)(2)와; 그리고,
    일단(一端)(3A)은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他端)(3B)은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의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일정한 폭(W1)과 두께(t) 및 길이(L)를 갖는 다수개의 횡방향 결속부재들로서, 상기 다수개의 횡방향 결속부재들은 각각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에 대하여 직각되게, 즉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상호 일정한 간격(D)을 두어 등간격으로 배설되며, 각 결속부재의 양 단부쪽 상,하면에 각각 사각형 요입부(5)가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 양 단부측 폭 중앙에 볼트체결구멍(7)이 형성되어 볼트(6)에 의해 상기 각형부재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횡방향 결속부재들(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결속부재(3)들의 소정 위치에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수직철근(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철근(4)의 횡방향 결속부재(3)들에 대한 결합은 그 수직철근이 횡방향 결속부재에 대하여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결속부재(3)들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v형 노치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각형부재(2)(2)에 대하여 횡방향 결속부재들(3)의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KR2019990003588U 1999-03-08 1999-03-08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KR200247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88U KR200247691Y1 (ko) 1999-03-08 1999-03-08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88U KR200247691Y1 (ko) 1999-03-08 1999-03-08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96U true KR20000017896U (ko) 2000-10-05
KR200247691Y1 KR200247691Y1 (ko) 2001-10-27

Family

ID=5476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588U KR200247691Y1 (ko) 1999-03-08 1999-03-08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6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4416A (zh) * 2022-08-29 2022-11-04 石河子大学 一种可变角度的钢筋定位模板及其施工方式
CN117468733A (zh) * 2023-12-27 2024-01-30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箱板式墙体的辅助连接工装及箱板式墙体的装配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4416A (zh) * 2022-08-29 2022-11-04 石河子大学 一种可变角度的钢筋定位模板及其施工方式
CN115284416B (zh) * 2022-08-29 2024-04-02 石河子大学 一种可变角度的钢筋定位模板及其施工方式
CN117468733A (zh) * 2023-12-27 2024-01-30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箱板式墙体的辅助连接工装及箱板式墙体的装配方法
CN117468733B (zh) * 2023-12-27 2024-04-23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箱板式墙体的辅助连接工装及箱板式墙体的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691Y1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AU625596B2 (en) Surfaces' assembly fittings for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injection moulds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200422887Y1 (ko) 무지보 보 거푸집 시공을 위한 트러스 구조물
KR200247691Y1 (ko)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KR101627820B1 (ko) 중공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수평 조립체
KR100257973B1 (ko)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KR20000061241A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AU2020272706A1 (en) CLT structure
KR200152481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JP2534931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ト造の壁柱構造とそれを用いた建築物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KR200305991Y1 (ko) 건축 슬래브용 트러스 데크패널
KR200296951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EP4036315A1 (en) Construction system for footings and foundation walls, especially in the lost formwork system
KR102385923B1 (ko) 모멘트 접합이 가능한 삼각형 기둥의 결합구조
CN216921007U (zh) 一种用于安装预制混凝土墙板的构造柱
KR20020091560A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KR200166886Y1 (ko) 강콘크리트 구조
KR102235422B1 (ko) 모듈유닛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41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더
KR19990075375A (ko)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JP2000017841A (ja) 鉄筋支持具、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93585A (ko) 무거푸집 기둥과 mhs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